Polaristimes
3.15K subscribers
26.4K photos
7 videos
78 files
10.9K links
※ 공지
본 채널은 각종 경제 및 지정학적 뉴스를 토대로, 향후 시대 흐름을 예측하여 투자에 응용하는 필자 자신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한 채널입니다.
항상 최대한의 성실과 정확성을 추구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다만, 본인이 본 채널에서 밝혔던 / 밝히는 견해는 업데이트된 분석, 뉴스 및 향후 전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때 별도의 공지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Download Telegram
#오스트리아 정부, 23년도부터 화석연료 이용한 난방 금지.

그럼 얼어죽으면 되겠네요.
#대중의_심리 #사회불안
현재 #유럽 쪽 일기예보입니다.
월말/월초 경부터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며, 12월 초순부터는 유럽 전역에 완연한 냉기가 감돌기 시작합니다.

가장 심각한 곳은 #노르웨이 #스웨덴 을 위시한 북유럽 국가들입니다.
특히 노르웨이는 현재 #러시아#천가 #공급부족 공백을 메꿔주는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곳인데, 겨울철이 되어 수출량을 줄이고 자국 내 소비량을 늘리면 매우 곤란해질 수 있습니다.

유럽 본토로 보면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이 특히 춥지만 그 이외에도 전반적으로 영하 밑으로 떨어지는 기온이 됩니다.

#지정학 #에너지
#독일 서 극우세력 '의회 무장공격 계획' 의혹…용의자 25명 검거

독일 당국이 의회 공격을 계획한 혐의로 극우 성향의 '테러단체' 관련자 25명을 검거했다고 AFP,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독일 당국에 따르면 검거된 이들은 작년 11월께부터 독일 국가 질서를 전복할 목적으로 독일 의회에 무장 공격을 가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 혐의를 받고 있다.

네오나치를 신봉하는 제국시민 극우파들은 최근 몇 년 사이 더 급진적으로 성향이 변하면서 독일 내 안보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25명은 베를린 등 독일 지역 곳곳을 비롯해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등에서도 검거됐다.

특히 이 중에는 특수부대 소속인 현역군인도 포함됐다고 로이터는 현지 군 정보당국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세상이 바뀌고 있습니다.
#시대의_변곡점 #대중의_심리 #사회불안
https://www.yna.co.kr/view/AKR20221207150700098
#오스트리아 외무장관:
제재는 비례성을 유지해야 하며, 일반 #러시아 대중들에게 피해가 가선 안 된다.
러시아와의 외교라인을 완전히 끊으면 안 된다. #유럽 의 향후 안보 구조는 좋든 싫든 러시아와 함께해야 한다.

현실에 눈을 뜨다.
#지정학
https://www.vindobona.org/article/foreign-minister-schallenberg-calls-for-non-exaggeration-regarding-russia
#헝가리#오스트리아 국방부, #우크라이나 에 무기를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인

#지정학
히틀러가 #독일 의 지도자가 된 것은 1933년이었다. 독일이 재무장을 한 것은 1935년이었다.
독일의 라인란트 재무장 사태는 1936년에 일어났으며
#오스트리아 와 수데텐란트는 1938년이었다.

그리고, 독일이
#폴란드 를 침공하며 2차대전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것은 1939년이었다.

히틀러 집권 이래 2차대전까지 6년이 걸렸습니다.

6년.
1933년부터 미리 시대의 전조를 지켜보며 대비한 사람들에게는 긴 기다림의 시간입니다.

그러나 빤히 보이는 징조를 무시하고 전혀 대비하지 않은 이들은, 운명의 수레바퀴가 1933년에 시작되었다는 것도 모른 채 하루아침에 세상이 바뀌었다고 느낄 것입니다.
당연히 그런 사람들은 변하는 세상에 대비했을 리 없고, 그대로 운명의 격랑에 휩쓸렸겠죠.

여러분들은 어찌 하시겠습니까?
수 년이라는 시간을 기다릴 수는 없으니, 그저 모든 것을 운에 맡기고 찾아올 운명을 기다리기만 하시겠습니까?
아니면, 몇 년이 걸릴지는 몰라도 다가올 미래에 대해 대비하시겠습니까?
#시대의_변곡점 #지정학
자칭 '자유민주주의'라고 스스로를 소개하는 #미국#유럽 국가들이 #에너지 기업들에 대해 부과하는 #횡재세#증세 리스트

#영국: 28년까지 에너지 수익의 35% 횡재세

#아일랜드: (모두가 알다시피) 75% 횡재세

#독일: #전력 공급업체의 흑자 중 90%(!!) 절도에 가까운 징세

#미국: 계속해서 횡재세 요구 중이며, 대통령은 에너지 산업 공격에 앞장서는 중

#캐나다: 에너지 산업에 40% 가량의 로열티 부과(사회주의라고 비웃는 #에콰도르 의 경우 15%...ㅋㅋ)

#오스트리아: #석유#천가 기업에 40%, 전력 기업에 90%

#프랑스: 수십억 규모의 횡재세 예상

#그리스: 마찬가지로 전력 수입에 90% 징세

#노르웨이: 이미 석유 수입의 78%를 징세, 추가적으로 전력 수입의 23% 횡재세 부과 예정


남미가 사회주의? 정치적 리스크?
ㅋㅋ 진짜 사회주의 공산주의는 어디인가?
https://twitter.com/calvinfroedge/status/1624451794578333696?t=0bsOxZmiC8QZcUUysjBEAQ&s=35
Polaristimes
#미국 #국채 만기도래 비중, 내년도 더 늘어나 내년도에는 더 많은 이자를 부담해야 함 #긴축불가
#오스트리아, #프랑스, #독일, #영국#미국 의 만기도래 시기 별 #국채 비중

미국은 2년 미만 만기의 단기채 비중이 무려 5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연준#금리 인상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나라입니다.
#긴축불가
#오스트리아 의 100년물 #국채 가격, 사상 최저치 영역 #붕괴 시도 중
[속보] 신용평가사 피치, #미국 신용등급 AA+로 하향 조정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피치레이팅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부채 한도 증액으로 인해 재정 적자 폭이 커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미국 재무부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피치 레이팅스는 이날 미국의 신용등급(IDRs·장기외화표시발행자등급)을 종전 AAA에서 AA+로 하향 조정했다. AA+로 미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된 건 1994년 이후 처음이다.

이로써 미국은 #네덜란드, #덴마크, #호주 등 피치의 최고 등급인 AAA 그룹에서 퇴출됐다. 대신 #캐나다, #오스트리아, #핀란드, #뉴질랜드 등과 같은 AA+를 부여받게 됐다.

피치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낮춘 이유는 재정 건전성이 악화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피치는 보도자료를 통해 "향후 3년간 미국의 재정이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국가 채무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피치는 미국의 거버넌스가 AAA등급을 받은 다른 국가에 비해 악화됐다는 점을 지적했다. 정치권이 #부채 한도 상향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으며 디폴트(채무불이행)가 임박해서야 해결하는 일이 반복되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어제 몸이 좀 안 좋아서 새벽에 뉴스를 못 봤는데, 이런 뉴스가 떴었네요.
10년물 #국채 #금리 가 상승하는 와중에도 달러인덱스 #환율 은 하락하는 기묘한 현상이 발생해서 뭔가 싶었는데, 달러가 개도국화 되고 있습니다.
#시대의_변곡점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875126
#오스트리아, #에너지 #횡재세 강화
- 코로나 이전 대비 수익이 10% 이상 증가하면 #증세

10%면 #인플레이션 상승분도 안 되겠다 ㅅㅋ들아 ㅋㅋ
사실상 보편적 증세고, 앞으로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겁니다.

당연히 #투자부족 으로 이어짐.
Polaristimes
#유럽은행 매파성 게이지 업데이트
ECB 위원 "사실이 바뀌면 마음이 바뀐다"…금리 인하 기대감 키워

이자벨 슈나벨 #유럽은행(ECB) 집행이사가 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에 맞춰 추가 #금리 인상을 보류할 수 있지만 통화정책 당국자들은 내년 중반까지 금리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유도해서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로이터는 "해당 발언은 보수적인 정책 입안자 진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목소리로 여겨지는 슈나벨의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적 전환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홀츠만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 나겔 #독일 분데스방크 총재 등 주요 매파 유럽은행 총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슈나벨의 비둘기파 전환은 분명한 시사점이 있습니다.
#긴축불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2056610i
#오스트리아 최대 민간 부동산 개발업체 시그나, 파산 신청:
23년 초, 그들의 자산 가치는 52억 유로였다.
9월 들어, 그들의 자산 가치는 28억 유로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그러나, 청산 당시 자산 가치는 3억 1400만 유로에 불과했다.


'자산'가치 산정, 회계가 의미가 있는 겁니까?
어제 #OPEC+ 회의는 #오만, #아랍에미리트, #이라크, #사우디, #러시아, #쿠웨이트, #알제리#카자흐스탄 이 전부 사우디로 모여 개최한 최초의 회의

이게 무슨 뜻인가 할 수 있는데, OPEC+ 헤드쿼터는 #오스트리아 빈에 있습니다.
이 국가들이 빈이 아니라 리야드에 모인 건 전례가 없는 일입니다.

자꾸 머릿속을 감도는 한 가지 가설이 있는데요.

검증이 되지 않아 따로 공유하지는 않았는데, 최근 트위터 일각에서 1974년 헨리 키신저가 사우디와 맺었다는 소위 '페트로달러' 협정이 기존 협정 기간 50년을 채웠고, 빈살만 왕세자가 페트로달러 협정 연장을 거부했으며 이달 중순 경 만료된다는 찌라시가 돌고 있습니다.

너무 밑도 끝도 없는 이야기라서 공유하지 않았었는데, 갑작스레 리야드로 소집된 #OPEC+ 국가들을 보면 또 그것과 연관된 것 아닌가 하는 정황적 의심이 듭니다.
#지정학 #석유 #시대의_변곡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