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aristimes
3.12K subscribers
26.3K photos
7 videos
78 files
10.9K links
※ 공지
본 채널은 각종 경제 및 지정학적 뉴스를 토대로, 향후 시대 흐름을 예측하여 투자에 응용하는 필자 자신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한 채널입니다.
항상 최대한의 성실과 정확성을 추구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다만, 본인이 본 채널에서 밝혔던 / 밝히는 견해는 업데이트된 분석, 뉴스 및 향후 전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때 별도의 공지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Download Telegram
시장의 올해 #연준 #금리 인하 전망치, 최근 들어 다시금 반등 개시

#유럽은행#캐나다 가 연 포문
#긴축불가
#미국 2y10y 장단기 금리차(일드 스프레드), 사상 최장기간 역전 기록 중

#국채 시장은 #침체 를 이야기하며 #연준 을 시험 중입니다.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오늘은 개인적 스케쥴로 인해 일찍 들어갑니다.
오늘 새벽에 #연준 FOMC가 있는데, 이번에는 FOMC 모니터링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만약 가능하면 새벽에 뉴스 보고, 아니라면 내일 상황에 따라 다시 보겠습니다.
새벽의 변동성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새벽 자 #연준 FOMC 유사남 유튜브 요약

여기에 몇몇 개 빠진 것들이 있는데, 좀 보고 채워넣겠습니다.
#연준 파월:
- 비 #주택 부문의 #인플레이션 이 여전히 높은 것을 보고 있다
- #임금 상승은 여전히 지속가능한 경로 위에 있다
- 2% 인플레이션이 되려면 임금 증가율을 낮춰야 할 것


이 주장의 당부당은 둘째치고, 선거연도에 임금을 낮춰야 한다고 말하는 #연준 의장... 오만하기 짝이 없죠?
#정치
"연준 금리동결은 실수…트럼프에겐 선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연합인포맥스

13일 MSNBC는 사설에서 " #연준 은 이미 #금리 를 내렸어야 한다"며 "매달 이를(인하를) 거부하는 것은 트럼프에 선물을 주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현재 연준은 #인플레이션 에 맞서기 위해 금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고 이는 바이든에게 좋은 일처럼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매체는 말했다.

MSNBC는 "5월 고용이 예상을 웃돌았지만 다른 데이터는 덜 고무적이다"며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3%에 그쳤고 실업률은 2년여만에 처음으로 4%를 기록했으며 다른 지표에서도 #노동 시장이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년여만에 처음으로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인플레이션을 싫어하는 것으로 유명한 #유럽은행#캐나다, #스위스 등이 금리를 내렸음에도 연준은 계속 높은 금리를 고집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문제는 고금리에는 희생자가 따른다는 점이라고 매체는 지적했다. 금리가 오르면 모기지, 신용카드, #자동차 #대출 이자가 오르고 이 같은 이자비용 증가가 CPI에는 반영되지 않지만 생활비 상승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MSNBC는 연준의 독립성이 중앙은행의 경제적 목표에 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해 존재한다며, 연준의 잘못된 금리 정책이 경제를 불필요하게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고 말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3178

외야에서 계속 들어오는 압박.
금리를 낮추면 바이든 편, 금리를 동결하면 트럼프 편... ㅋㅋ

아까 전에도 말씀드렸지만 파월 의장의 이번 스탠스는 대선을 앞둔 중앙은행장이라고 보기엔 지나치게 오만합니다.
#정치 #긴축불가
WSJ, FOMC 이후 반어법적 비판…"파월은 행복한 의장"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연합인포맥스

WSJ 편집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이달 FOMC가 끝나고 오피니언을 통해 '제롬 파월은 행복한 #연준 의장이다(Jerome Powell Is a Happy Federal Reserve Chief)'라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부제로서 "통화정책이 정말 긴축적인가"라고 물었다.

WSJ은 파월 의장이 행복한 이유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지목했다. 연초부터 CPI가 반등했지만, 이번에 보합으로 마무리됐기 때문이다.

이번 FOMC에서는 점도표상 올해 인하 전망 횟수가 줄었고,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높아졌다. 5월 CPI 역시 전년 대비 상승률(3.3%)로 보면 목표치(2%)와 차이가 있다. 에너지를 제외한 서비스 물가는 5%대이고 근원 CPI는 3.4%다.

물가에 안도하는 위원들도 줄었을뿐더러, 그럴 상황도 아니라는 게 WSJ의 요지다. 파월 의장이 전월 대비 CPI 보합만 보고 통화정책 긴축 효과를 인정하는 분위기에 의문을 제기한 셈이다.

그래도 시장참가자들과 정치권, 백악관은 금리인하를 바라고 있다고 WSJ은 설명했다.
고용을 비롯해 소비, #주식 시장, #비트코인, #원자재 등 다양한 부문에서 강세 현상이 목격되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반기업적 규제에도 경기 #침체 증거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고 WSJ은 진단했다.

WSJ은 "경제 심리가 빠르게 변할 수 있고 통화정책이 길고 가변적인 시차를 두고 작동한다는 오래된 시각을 고려하면 언제든지 경제에 충격이 올 수 있다"며 "이러한 경우 연준은 #금리 를 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연준이 정치를 거의 의식하지 않긴 하지만, 파월 의장은 더 쉬운 돈을 요구하는 외부의 압박을 피하는 것이 옳다"며 "지금은 #인플레이션 대비책을 고수하는 것이 맞다"고 제언했다.


그리고 보수 #언론 인 WSJ에서는 왜 더 긴축적으로 가지 않냐고 태클.
연준은 정중동인 가운데 외야만 시끄럽네요... ㅋㅋ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3138
Polaristimes
어제 #연준 파월 의장:
뭔가 고장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고치는 것은 우리의 계획이 아니다

이에 대한 반응:
그럼 SVB
#은행 붕괴 사태와 BTFP는 도대체 뭐였는데?


ㅋㅋ 이건 너무 추한 궤변이지...
연준이 지난 5년 간, 매파적이든 비둘기파적이든 단 한 번이라도 '선제적으로' '예방적으로' 움직인 적이 있긴 합니까?
'신 채권왕' 제프리 건들락:

- 이번 사이클에서
#미국 장기 #국채 #금리 와, 아마도 #연준 기준금리 또한 고점을 친 것으로 보인다

- 여전히
#침체 예상 중

- 현재 가격에서도 여전히
#금 분할매수(Cost Averaging into Gold)는 유효하다


의외로 #매크로 를 좀 안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항상 저평가당하는 건들락입니다만, 저는 이전에 몇 차례 말씀드렸듯 건들락의 베팅이 틀릴 때는 있을 지 몰라도 그의 생각은 상당히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원래 구루들의 발상은 결과도 중요하지만 그 로직을 보기 위해서 트래킹하는 거니까...)
머니마켓, 올해 #연준#금리 인하 전망치 그래프

슬금슬금 다시금 2차례 인하 프라이싱 중
#긴축불가
삼(Sahm)의 법칙 창시자 "연준, 고용 악화 속 불장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경제를 침체로 몰고 갈 수도 있는 불장난을 하고 있다고 삼의 법칙(Sahm's rule)을 창시한 경제학자가 주장했다.

18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뉴 센츄리 아드바이저의 이코노미스트인 클라우디아 삼은 연준이 지금 #금리 를 인하하지 않음으로써 경제를 #침체 로 몰고 갈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몇 달간 실업률이 상승하면서 "삼의 법칙"이 월가에서 점점 더 많이 회자하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이는 강력했던 미국의 #노동 시장에 균열이 생기고 있으며 앞으로 잠재적인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됐다.

경제학자인 클라우디아 삼도 연준이 당장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하하지 않음으로써 큰 위험을 감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준이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삼의 법칙이 발동되고, 이에 따라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정책 입안자들이 더 극단적인 조치를 하도록 강요할 수도 있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그는 "나의 기본 시나리오는 경기침체가 아니다"면서도 "하지만 이는 현실적인 위험이다"고 주장했다. 그는 "왜 연준이 그 위험을 밀어붙이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무엇을 기다리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금은 연준이 불필요한 경기침체를 일으키는 것이 최악의 결과다"고 강조했다.

삼은 "여기서 나쁜 결과는 정말 나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위험 관리 관점에서, 나는 연준의 금리 인하를 꺼리는 것과 #인플레이션 에 대한 끊임없는 강경 발언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제롬 파월 의장과 연준 고위 관계자들이 "불장난을 하고 있다"면서 고용 시장의 변화 정도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주 파월이 언급한 "고용 증가의 악화"를 기다리는 것은 위험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경기침체 지표는 변화를 기반으로 한다"면서 "우리는 모든 다른 수준의 실업률에서 경기침체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은 많이 내려갔다"면서 " 원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실업률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두 가지를 균형 있게 고려하면, 고용 시장은 위험 지역에 가까워지고, 인플레이션은 (위험지역에서) 멀어진다"면서 "연준이 무엇을 해야 할지는 명백하다"고 덧붙였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3905

해당 발언은 백그라운드를 좀 알면 흥미로운데요.
'클라우디아 샴'이라고 하는 샴 리세션 지표 개발자는 경제 분야에서 흑인/히스패닉 등의 참여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던 PC 성향, 즉 친 민주당 성향의 경제학자였으며, #매크로 진영의 관점에서는 치솟는 국가 #부채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케인지언(그것도 꽤나 상당히 극렬한) 진영에 속해 있습니다.

당연히 적극적인 국가의 개입(큰 정부)을 선호하며, 이를 방해하는 #연준 의 긴축 정책을 싫어합니다.

다만, 그 성향과는 별개로 이름값이 있는 경제학자고, 연준에 대한 외야의 #정치 적 압력은 계속될 겁니다.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일본 재무성, #일본은행 이 장기채 매수량을 줄이기로 한 가운데 단기채 발행량을 늘려 #국채 포트폴리오 상 가중평균 만기를 단축화하려는 방안 준비 중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4-06-19/japan-is-said-to-consider-issuing-bonds-with-shorter-maturities?embedded-checkout=true

1) #미국#연준 이 하는 것을 그대로 보고 베끼는 일본의 모습.

2) 그러나, 이 말인 즉슨 해당 방안의 리스크 또한 그대로 가져간다는 뜻이 됩니다.
이자비용 절감을 위해 단기채 비중을 늘리면 늘릴 수록 국가는 개도국화되는 것입니다.

#긴축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