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aristimes
3.11K subscribers
26.3K photos
7 videos
78 files
10.9K links
※ 공지
본 채널은 각종 경제 및 지정학적 뉴스를 토대로, 향후 시대 흐름을 예측하여 투자에 응용하는 필자 자신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한 채널입니다.
항상 최대한의 성실과 정확성을 추구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다만, 본인이 본 채널에서 밝혔던 / 밝히는 견해는 업데이트된 분석, 뉴스 및 향후 전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때 별도의 공지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Download Telegram
어제 #OPEC+ 회의는 #오만, #아랍에미리트, #이라크, #사우디, #러시아, #쿠웨이트, #알제리#카자흐스탄 이 전부 사우디로 모여 개최한 최초의 회의

이게 무슨 뜻인가 할 수 있는데, OPEC+ 헤드쿼터는 #오스트리아 빈에 있습니다.
이 국가들이 빈이 아니라 리야드에 모인 건 전례가 없는 일입니다.

자꾸 머릿속을 감도는 한 가지 가설이 있는데요.

검증이 되지 않아 따로 공유하지는 않았는데, 최근 트위터 일각에서 1974년 헨리 키신저가 사우디와 맺었다는 소위 '페트로달러' 협정이 기존 협정 기간 50년을 채웠고, 빈살만 왕세자가 페트로달러 협정 연장을 거부했으며 이달 중순 경 만료된다는 찌라시가 돌고 있습니다.

너무 밑도 끝도 없는 이야기라서 공유하지 않았었는데, 갑작스레 리야드로 소집된 #OPEC+ 국가들을 보면 또 그것과 연관된 것 아닌가 하는 정황적 의심이 듭니다.
#지정학 #석유 #시대의_변곡점
뉴욕에 도전장…美 텍사스 증권거래소 추진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시타델시큐리티스 등은 텍사스주 댈러스에 새로운 증권거래소를 설립하려는 프로젝트를 후원하고 있다.

현재 텍사스거래소 법인의 최고경영자(CEO)로 등록된 제임스 리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개인과 대형 투자사로부터 1억2000만달러(약 1650억원)가량을 모금한 것으로 알려졌다. 텍사스거래소 측은 올 하반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실제 증권거래소 운영을 위한 서류를 제출할 계획이다. 내년에 거래를 시작하고, 2026년 첫 상장(IPO)을 성공시킨다는 구상이다.

블랙록 등이 이 프로젝트를 후원하는 배경에는 NYSE와 나스닥이 점점 깐깐해지고 있다는 불만이 깔려 있다. 이사회의 다양성 목표를 세우라는 등 규칙이 늘어나면서 기업들이 불편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텍사스거래소 측은 거래소를 더욱 ‘CEO 친화적인 방식’으로 운영하겠다고 약속했다.

리 CEO는 “댈러스는 세계 주요 금융센터 중 하나로 성장했다”며 “TXSE는 완전히 디지털로 운영되겠지만, 댈러스 도심에 일부 시설도 갖출 것”이라고 WSJ에 말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60583401

여러분들께선 이 뉴스를 보고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각자의 해석이 다르겠지만, 저는 연방을 깨고 나가기 위한 준비 중 하나로 봅니다.

지금 텍사스 주는 #귀금속 저장소 및 #금본위제 복귀 준비로 '달러'라는 화폐를 벗어날 준비, 즉 #탈달러 준비는 다 마쳐가는 상황입니다.
여기서 텍사스거래소가 생겨나면 여차할 때 연방을 깨고 나가도 NYSE에 접근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분열 #시대의_변곡점
아메리칸 항공 승무원들, +17% #임금 인상 협상 거부

모두가 (임금) 인상을 받고 싶어 한다.
미국 고위층들은 재정 지배(Fiscal Dominance)가 무엇인지 배우고 있다. 이제 그들은 "내재된 기대 심리"가 무엇인지 배우게 될 것이다.

#미국 #노동 #시대의_변곡점
극우파 유럽의회 선거 압승에…마크롱, '의회 해산' 승부수 [송영찬의 디플로마티크]

마크롱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대국민 연설에 나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있을 수는 없다”며 하원을 해산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초 2027년이었던 차기 총선은 2024년으로 3년 가까이 앞당겨지게 됐다.

의회 해산 결정은 지난 6~9일 치러진 유럽의회 선거에서의 여당이 기록적인 참패를 할 것이라는 관측 속에서 나왔다.
이날 발표된 출구조사 결과 #프랑스 제1야당이자 극우 성향의 국민연합(RN)은 출구조사에서 32%의 득표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RN의 예상 득표율은 여당인 르네상스당(15.2%)의 두 배를 넘는다.

실제 개표 결과가 출구조사대로 나올 경우 RN은 1994년 시작된 역대 유럽의회 선거에서 처음으로 30% 이상을 득표한 프랑스 정당이 될 전망이다.
반면 르네상스당의 예측 득표율은 3위인 중도좌파 사회당(14%)에도 간신히 앞섰다.

마린 르펜 RN 대표는 즉각 환영 의사를 밝혔다. 르펜 대표는 “국민이 투표하면 국민이 승리한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조기 선거를 소집하기로 한 대통령의 결정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프랑스 국민들이 지지해준다면 우리는 권력을 행사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프랑스에서와 마찬가지로 #독일 에서도 극우정당 독일대안당(AfD)가 16.4%의 역대 최고 득표율을 얻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중도우파 성향 기독민주당·기독사회당 연합(29.5%)에 밀려 1위 득표엔 실패할 것으로 보인다.


포퓰리즘 정당들의 화려한 수권 무대 등장
#지정학 #정치 #시대의_변곡점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6104406i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금 보유고 결정에 대한 당신의 결정 요소는 무엇인가요?
- 상: 선진국-신흥국 종합,
- 중: 선진국(남색) vs 신흥국(녹색)(2024)
- 하: 선진국(남색) vs 신흥국(녹색)(2023)


위 그래프에서 개괄적으로 보면 가장 강한 이유는 ' #인플레이션 헷지와 장기적 가치 저장소'였고, 가장 약한 이유는 ' #탈달러 정책의 일환'이었습니다만, 후속 그래프에서 보면 좀 흥미로운 포인트들이 있습니다.

1) 2023년 대비 24년에는 선진국 응답자들 중 '장기적 가치 저장소 / 인플레이션 헷지' 항목을 고른 비중이 대폭 증가
- 반면 '역사적으로 들고 있었기 때문에 들고 있다(Historical Position)'는 응답 비중은 유의미하게 감소

2) 탈달러 정책이 금 보유고 증가의 이유라고 적시한 비중이 신흥국에서 미미하게나마 증가했을 뿐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등장

3) 신흥국 중 약 1/4 가까운 비중이 '제재 우려'와 '국제 통화시스템 변혁'을 금 보유고 정책의 기준으로 둔다고 밝힘
#시대의_변곡점 #금본위제
IMF, 상하이 지역센터 건립…아시아·태평양 지역 유대 강화

18일(현지시간)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IMF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PBOC)은 공동 성명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대표해 처음으로 IMF 상하이 센터를 개설한다고 밝혔다.

IMF 상하이 센터는 베이징에서 상하이로 이전될 예정인 중국-IMF 역량 개발 센터(CICDC)와 협력할 예정이다. CICDC는 IMF와 중국 정부가 공동으로 설립한 기관으로 30년 넘게 중국에서 중국 및 기타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경제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을 제공해왔다.

판공성 PBOC 총재는 "우리는 상하이 지역 센터가 IMF와 중국 간의 협력을 심화하고,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 간의 거시 경제 정책 교류 및 조정을 강화하며, 지역 및 글로벌 금융 안정을 지원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3945

한편, 중국의 #탈달러 등 친서구 통화정책 개혁 프레임이 진전되는 가운데 '달러 패권의 수호자'인 IMF는 도리어 중국으로 한 발짝 더욱 다가갑니다.

견제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조직의 성격이 수십 년 만에 바뀌고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만...
#시대의_변곡점
나일 퍼거슨: 이번에는 #미국 이 소련이 된 것인가?

- 나약해진 군대('종이(서류 상으로만 강한)' 호랑이)
- 국방비 지출을 상회하는
#부채 이자비용
- 노령화된
#정치 리더십(소련의 브레즈네프, 안드로포프, 체르넨코 vs 미국의 트럼프와 바이든)
- 정부 및 공공기관에 대한 대중의 불신과 냉소
- 마약, 알코올 남용, 자살 등 사회병리적인 사상자 증가
- 이데올로기에 함몰된 교조주의적
#정치 및 교육 행태
(공산-사회주의 vs
#ESG, DEI 등 PC적 정책 결정)

기묘한 평행이론
#시대의_변곡점
https://www.thefp.com/p/were-all-soviets-now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