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aristimes
3.11K subscribers
26.3K photos
7 videos
78 files
10.9K links
※ 공지
본 채널은 각종 경제 및 지정학적 뉴스를 토대로, 향후 시대 흐름을 예측하여 투자에 응용하는 필자 자신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한 채널입니다.
항상 최대한의 성실과 정확성을 추구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다만, 본인이 본 채널에서 밝혔던 / 밝히는 견해는 업데이트된 분석, 뉴스 및 향후 전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때 별도의 공지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Download Telegram
22년 초 이래 지난 2년 3개월 간 #미국 달러 대비 주요국 #환율 변동치

#멕시코, #브라질 헤알 강세 - #아르헨티나, #이집트, #터키 3개국 압도적 약세

해당 3개국은 #인플레이션 테마로 제가 #주식 에 투자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합니다.
Polaristimes
#터키, GDP 대비 민간(상) 및 정부(하) #부채 비율 그래프

2021년 터키 리라화 #환율 의 평가절하가 개시되고 당국이 #인플레이션 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이래, 터키의 부채비율은 극히 건전해졌습니다.

수 차례 말씀드렸듯이, 역사상 압도적인 수의 고부채 국가들이, 부채/GDP 비율에서 분자인 부채가 아니라 분모인 명목 GDP를 올려 부채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태풍'을 받아들이고 한층 더 개선된 경제 펀더멘탈 위에서, 이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는 터키의 모습입니다.
오늘 #일본은행 #금리 발표 이후 급변동한 #일본 엔화 #환율 의 모습.

모든 베팅을 거두고 한 발짝 떨어져서 지켜보고 있으니, 그저 우습기 한량없는 모습이네요.
일본이 #터키, #아르헨티나 처럼 되는 것을 볼 수 있을까요? ㅋㅋㅋ
#터키 & #브라질 중앙은행 MOU 체결

기사에 보면 #카자흐스탄 중앙은행 이야기도 나오는데, #브릭스 1.5군 내지는 2군 급 국가들이 자기들끼리도 서로 연대하는 모습
#탈달러 #지정학
https://kr.investing.com/news/economy/article-93CH-1047058
글로벌 #주식 시장 밸류에이션, 주식 리스크 프리미엄(Y축) vs GDP 대비 시총(소위 '버핏 지수')

제가 왜 #러시아 주식을 그렇게 사고 싶어하는지, #터키 주식을 괜찮게 보는지, #미국 주식에 대해 부정적인지가 한 그래프 안에 다 나와 있습니다.
#터키 #금 보유고, 4월 들어 8톤(약 25.7만 온스) 증가하며 11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
- 올해 들어 누적 구매량 38톤(약 122.2만 온스) 및 총 금 보유고 578톤(약 1858.3만 온스)

터키도 금 보유고가 578톤인데, 고작 100톤 언저리인 한은은 슬슬 직무유기 아닙니까?
#금본위제
1995년 이래 #인도 #금 수입량(녹색), #터키 수입량(자색), #러시아 금 보유고(청색) 및 #중국 #인민은행 금 보유고+상해 금 거래소(SGE) 실물 인출량(적색) 그래프

1) 08년도를 기점으로 중국의 '실물 금' 수요가 폭등하기 시작
2) 중국의 실물 금 인출량 + 인민은행 금 보유고를 포함한 실물 금 '국가' 보유량 추산치, 최신 데이터 기준 약 2.5만 톤(8억 온스 이상)에 달하고 있음

이 지표를 보면서, 러우전쟁 발발 직후 러시아의 정책을 떠올려 보시죠.
중국이 당시 러시아처럼 완전한 금태환제는 아닐 지언정, 시민들로부터 금을 직매입하는 창구를 연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만약 중국에서 #은행 시스템 리스크가 발발하는 가운데 국가가 금을 직매입하는 창구를 연다고 하면, 사람들은 앞으로 소득이 생길 때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이 아니라 금을 매입해 둘 겁니다. 은행의 '신용 리스크'를 새삼스레 떠올리게 될 테니까요.
또한 중국의 '공식' 금 보유고 또한 급속도로 확충되겠죠. 민간 보유 수량이 정부 수량으로 이전될 테니.

가능한 #금본위제 시나리오 중 하나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터키, #유럽 최대의 #석탄 발전국이 되다

서구의 깨시민들이 화석 연료, 특히 석탄(미국의 경우 #천가 포함)이라는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발전 원료를 지나치는 동안,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압도적인 에너지 효율성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누구 탓을 하리오?
#ESG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turkey-becomes-europes-largest-coal-fired-electricity-producer-maguire-2024-05-21/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홍콩, #중국 본토, #인도#터키#금 수입처 현황

전통의 강호 #스위스(청색)가 분명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지만, 신흥 다크호스 #아랍에미리트(주황색)의 존재감이 점점 도드라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