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aristimes
3.12K subscribers
26.3K photos
7 videos
78 files
10.9K links
※ 공지
본 채널은 각종 경제 및 지정학적 뉴스를 토대로, 향후 시대 흐름을 예측하여 투자에 응용하는 필자 자신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한 채널입니다.
항상 최대한의 성실과 정확성을 추구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다만, 본인이 본 채널에서 밝혔던 / 밝히는 견해는 업데이트된 분석, 뉴스 및 향후 전개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 때 별도의 공지 의무를 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Download Telegram
한편, #연준 #역레포 잔고는 어제 4073억 불에서 오늘 3217억 불로 무려 하루만에 -860억 증발

버퍼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다만, 저는 역레포 잔고가 감소하는 것보다는 '증가'하는 것이 더욱 큰 리스크라고 봅니다.
#유동성
Polaristimes
한편, #연준 #역레포 잔고는 어제 4073억 불에서 오늘 3217억 불로 무려 하루만에 -860억 증발 버퍼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다만, 저는 역레포 잔고가 감소하는 것보다는 '증가'하는 것이 더욱 큰 리스크라고 봅니다. #유동성
#역레포 잔고 감소 관련해서는 무조건 과민반응을 하기보다는 MMF 자금 잔고 데이터 확인이 필요합니다.
#미국 재무부 납세를 위해 MMF에서 투자한 자금을 끌어다가 납세를 하면, 머니마켓 파이프라인 관점에서 #은행 지준금 뿐만 아니라 역레포 또한 #유동성 인출 압력을 받게 됩니다.

다만 지금은 작년과는 달리 미국 단기 #국채(T-Bill) 발행량이 순 회수 상황이라는 것이 문제입니다.
만약 오늘 역레포 자금 감소가 MMF 자금 인출로 인한 '일회성' 이벤트였다면, 당장 내일부터라도 역레포 잔고는 계속 '증가'할 수 있습니다.
(T-Bill에 투자하던 자금들이 역레포로 이동하며 유동성 유출 효과)

잘 이해되지 않으시는 분들은 제 블로그에서 머니마켓 파이프라인 관련 일련의 개념을 이해하고 오시기 바랍니다.
(미국 국채 시장과 단기자금시장에 대한 이해는 금융 리스크 분석에 있어 필수불가결합니다.
#매크로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Polaristimes
#미국 20년물 #국채 경매 결과: - 낙찰 #금리: 4.818%로 WI 대비 -2.5bps 스탑스루 - 낙찰 경쟁률: 2.82 - 간접 수요: 74.7% 일전의 10년, 30년물 경매랑은 비교도 할 수 없는 좋은 경매였습니다. 이번 #연준 의 금리 인상 사이클 이래 20년물은 유독 실수요자들의 수요가 좋은 경향이 있기는 했으나(10, 30년물 대비 일드커브상 튀어나와 있어서), 어쨌든 좋은 경매는 좋은 경매
오늘 자 40억 달러 규모의 #미국 4개월물 #국채 경매, 총 발행량의 절반 이상인 52.3%가 프라이머리 딜러(PD) 짬처리 되었으며 38.7%만이 해외 중앙은행 수요를 반영하는 간접 구매자들에 의해 구매됨


일단, 최근 #환율(달러인덱스) 급등을 고려할 때 해외 중앙은행들이 단기채 경매를 포기하고 환율 개입을 대비한 달러 현금을 확보하는 것 같습니다.

다만, 이렇게 되면 가뜩이나 납세 효과로 인해 위태로운 #은행 지준금에 대규모의 단기채 물량 짬처리가 더해지며 단기자금시장 #유동성 상황이 더욱 나빠질 소지가 있습니다.

유동성 리스크는 계속 주의해야 합니다.
#철광석 비축량 23개월만 최대…하반기 철강 수요 회복 기대 탓?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의 1분기 #원자재 수입에서 철광석은 부동산 건설 악화에도 불구하고 ‘깜짝’ 상승세를 기록했다. 지난 12일 발표된 세관 자료를 인용해 중국의 3월 철광석 수입량은 1억72만톤(t)으로 전월 대비 3.3% 증가했다고 통신은 보도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철광석 수입국이다. 중국은 지난 1분기(1~3월) 3억 1013만t을 수입했다. 이는 1년 전 대비 5.5% 증가한 것이다.

중국은 항구에 철광석을 비축하고 있다. 중국의 철광석 비축량은 지난 12일까지 일주일 동안 1억 4360만t으로 23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재고량 역시 지난 10월 27일(7년래 최저치) 대비 37% 증가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철광석 수요를 견조하게 이어가고 있는 것은 중국의 성장세가 탄력을 받으면서 철강 수요가 회복될 것이란 심리에 기반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https://v.daum.net/v/20240417161920435

최근 #벌크 운임도 반등 중인데... 과대낙폭에 따른 반등인지 추세적 경기 확장 국면 모색 중인지 지켜보는 중입니다.

여전히 #미국#유동성 리스크가 우려되는 상황인지라, 그걸 이겨내고 중국이 재반등할 수 있을 지 지켜보는 중
#미국 SOFR 레포 #금리(갈색) & 미국 단기자금시장 스트레스 발생(흑색) 그래프

2018년 12월 말 자금시장 불안은 #연준 파월 의장의 항복을 이끌어냈고, 2019년 9월 단기자금시장 발작 사태는 양적완화의 재개를 불러왔습니다.

과연 이번에는?
#유동성
Polaristimes
시중 #유동성 격리처인 #연준 #역레포 잔고 역시 이번 주 내내 증가를 기록하며 또 다시 기어코 4400억 불 선을 지켰습니다.

양적긴축(QT)이 계속되는 와중, TGA 와 역레포가 줄어들지 않으면 그 양적긴축의 데미지는 #은행 지준금 쪽이 몽땅 덮어쓰게 되어 있습니다.


#금리 리스크는 헷지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유동성 리스크는 헷지가 불가능합니다. 연준의 머니 프린팅 이외에는 말이죠.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오늘 제로헷지 쪽 #미국 재무부 QRA 분석 내용에 보면, 월요일 및 오늘 발표에 있어 몇 가지 포인트를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zerohedge.com/markets/yields-tumble-after-dovish-refunding-reveals-debt-sales-line-expectations-no-coupon-auction

- 3분기 TGA 잔고 목표치, 이전 비 +1000억 불 증가
(즉, 시중 #유동성 이 3분기에 추가적으로 격리될 수 있음)
- #국채 바이백 계획 확정, 일정 발표(A.K.A 오퍼레이션 트위스트(OT) 개시)
- 6주물(1.5개월물) #국채 신규 도입
Polaristimes
한편,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는 반등세 못 보여주는 중 저는 이 시점에서 국채 숏 포지셔닝 완전 청산합니다. 금리가 안 오를 거라고 확신하는 건 아닙니다. 다만 다른 쪽, 특히 #귀금속 쪽이 더 포텐셜이 충분한데 굳이 국채 숏에 매달려 있을 필요가 없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국채 숏 베팅 철회에는 #연준#긴축불가 베팅도 있습니다.

#미국 재무부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OT)를 실시하겠다고 '확정'되었고, 연준의 양적긴축도 이에 발맞춰 둔화될 것으로 저는 예상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이 시점에서 굳이 장기채 #금리 상승에 큰 비중을 실을 이유가 없어 보인다는 판단입니다.

오해하지 말라고 말씀드리는데 절대 국채 매수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적어도 현재까진 말이죠.

만약 일전에 예상했던 대로 월말 경에 #유동성 리스크가 발생하거나, 혹은 어떠한 이유로든 기타 #은행 쪽 문제로 실제로 '발생'한다면 그러한 조짐이 보일 때는 '트레이딩 관점에서' 매수할 '수도' 있겠으나, 지금은 아닙니다.
21년도 초반, #밈 #주식 의 원조인 '게임스탑' 숏스퀴즈를 이끌었던 '로어링 키티'가 복귀하는 가운데 GME 주가 폭등

저는 GME 정신 그 자체는 존중하지만... 그 GME 주가의 흐름 자체를 보면, 숭어가 뛰니 망둥어도 뛴다고 온갖 #유동성 자산들이 난리를 피우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https://www.zerohedge.com/markets/gamestops-roaring-kitty-returns-sends-shares-skyrocketing-million-apes-go-insomniac
#속보
#중국 거래소 개장 직후 #금 &#은 가격 점프
- 금 현물, 2431불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 경신



좀 더 지켜보겠습니다만, 일단 중국은 이번 랠리를 받은 듯 보입니다.

자. 이제 #미국#유동성 통제가 들어올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주식(나스닥)이 오늘, 그리고 이번 주 미장에서 어찌 움직일 지 지켜보겠습니다.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중국 AAA 등급 5년물 회사채(흑색) vs 5년물 #국채 #금리(적색) 및 둘 사이 #크레딧 스프레드(하) 그래프

중국 #채권 시장에는 여전히 #유동성 이 풍부한 모습.
알리바바와 징동의 전환사채 발행은 그래서 더 의문이 들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olaristime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