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ded Narratives
3.51K subscribers
3.18K photos
141 videos
17 files
822 links
Explain how narratives can influence the global economy, sharing personal outlook
※ 해당 채널 내 모든 자료/인사이트는 특정 회사/개인과 관계 없는 저의 개인적 정보/의견에 해당합니다. 또한 채널 내 종목 관련 내용은 매수/매도 투자권유가 아니며 만약 거래하여 손실시 거래당사자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Download Telegram
Goldman Sachs: Asia Equity Strategy

1) AI 투자 기회를 포착하고 2) 美 정책 관세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는 투자 전략

1️⃣ AI 애플리케이션
- [그림 1] 2가지 테마: 1️⃣[그림 3] AI-Generated Content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챗봇/소프트웨어 등) 및 2️⃣ [그림 4] Physical AI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로봇 등)
- 비용 절감 및 AI 개발 가속화에 힘입어 성장 전망이 개선되고 컨센서스 상향 조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단기적으로도 투심이 이러한 테마를 선호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 가능성도 존재)
- 밸류에이션 정당화: 1월 저점 대비 각각 +28%, +40% 상승한 이후, (12m Foward P/E) x18 및 x35로 크게 리레이팅 되었지만, 2026년 예상 EPS 성장률(각각 20%, 60%)을 감안하면 현재 밸류에이션 정당화
- 또한 AI 인프라 기업에 비해 美 수출 비중이 낮고, 방어적인 성장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美 관세 리스크에 대한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 중국 본토, 대만 및 인도 등에서 견고한 기초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며, 해당 바스켓은 지난해 7월 이후 21% 하락한 후 2023년 초 수준의 밸류에이션으로 복귀

2️⃣ 엣지 AI
- [그림 2] 전문가들 스마트폰 및 PC 업그레이드 사이클을 포함한 엣지 AI 기반의 기술 발전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
- [그림 5] 대만 애플 공급업체 바스켓 주목: 아이폰 폼팩터 변화 및 생성형 AI 기능이 교체 사이클 촉진하고 주요 공급업체들에게 수혜를 제공할 것
- 해당 바스켓은 2025/26년 예상 연평균 EPS 성장률 +22%에 비해 12m Foward P/E 14배로 매력적이며, 애플의 12% 성장률 및 32배 P/E 대비 할인된 밸류에이션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1
Lam Research: 웨이퍼 제조 장비 시장 강한 전망
TP: JP Morgan $110
1️⃣ Analyst day 참석 결과
- 향후 몇 년 동안 반도체/웨이퍼 제조 장비 지출 증가를 초과하는 성장을 달성 예상: GAA, 백사이드 파워, 첨단 패키징, EUV 패터닝, 첨단 DRAM(4F2, 3D DRAM, HBM) 및 텅스텐에서 몰리브덴으로의 전환 등 새로운 Technology Inflections으로 인해
- SAM 확대와 Etch 및 Deposition 사업에서 시장 점유율 증가 (반도체 산업 1조 달러 성장 가정하 WFE 시장 점유율 30% 전망), 그리고 설치 기반 사업의 높은 성장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갈 것
- 특히 3D NAND, 수직 확장, EUV 패터닝 및 첨단 패키징 등 다양한 반도체 제품 및 응용 분야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입증했으며, Akara on Sense.i, Vantex, ALTUS Helo 등의 새로운 기술 혁신을 공개하며 기술적 우위의 지속 확장
2️⃣ 2028: 250~270억 달러 매출/non-GAAP EPS $6-7
- WFE 시장: 연평균 한 자릿수 중반 이상 성장률을 기록하는 가운데 동사가 SAM 확장 및 시장 점유율 증가를 통해 초과 달성할 것 ('24년 중반 900억 -> '28년 1200~1300억 기록 예상)
- '28 목표 모델에서는 설치 기반 사업(CSBG)매출이 '24년 대비 1.5배 증가할 것. 반도체 산업 전체 매출이 1조 달러 규모로 성장함에 따라 CSBG 매출이 잠재적으로 두 배 증가할 수 있는 경로도 제시 (전체 매출 41% 차지)
- NAND 스케일링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들이 기존 NAND 용량을 200층 이상으로 전환하는 데 4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웨이퍼당 SAM이 1.8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3️⃣ 주주 환원 정책: FCF 85% 배당 및 자사주 매입
- 기존 최소 75% 환원 목표보다 증가한 수치
- 참고) CY13-CY24 기간 동안 Lam은 실제로 FCF 99%를 주주들에게 환원
4️⃣ WFE 시장 전망 (더 자세히)
- 데이터센터 투자: 향후 5년 간 2.5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동일 기간 동안 약 2,000억 달러의 WFE 투자 발생 예상
- 이는 향후 수년 간 최첨단 WFE 집중도가 50% 증가하는 요인이 될 것이며 동사는 메모리 및 최첨단 파운드리/로직에서 점유율 확대하기 좋은 위치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3🔥2
Goldman Sachs Trader Note: 역대 규모 포지션 및 Unwinding으로 인해 더 폭력적인 조정이 빈번하게 이루어 질 것

1️⃣ 최근 시장 조정
- [그림 1] 헤지펀드: 총/순 포지션 규모는 여전히 최근 3년 내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美 경제 정책 불확실성은 30년 내 최고치
- 이러한 환경을 고려할 때, 앞으로 과거보다 더 자주 더 강한 모멘텀 포지션 청산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확신. 특히, 최근 발생한 조정에서는 실제 자금(Real Money) 투자자들은 거의 관여하지 않았으며 이들의 현금 보유 비율은 사상 최저 수준 유지
- 이러한 조정은 더 폭력적인 형태로 나타날 것이며, 전반적인 포지셔닝이 보다 균형을 찾기 전까지 지속될 가능성

2️⃣ 특이한 자금 흐름
- 반도체, AI 및 모멘텀 매도 압력이 완화되었으며 시장 안정화 조짐을 보이면서 기관 투자자들 매수 수요 증가
- 이러한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는 더욱 강해질 가능성이 높으며, 개인 투자자들도 다시 시장에 매수자로 돌아올 준비가 갖춰진 상태
- 여전히 러셀 2000 지수가 S&P 500 및 나스닥 100을 2분기까지 초과 성과를 낼 것

#INDEX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8
많은 투자자들이 약세를 말하고 있으나 정작 자신의 포지션을 포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조정은 유의미한 매도세가 있어야

1️⃣ [그림 1] 역사상 최고 수준의 비중인 61%의 개인투자자들이 약세를 예상하지만 이에 비해 시장 조정폭 -3% 매우 작은 수준입니다(1990/2008/2022년 과 동일: -10% 이상 조정 보여야). 즉, 모든 투자자들이 Bearish하지만 투자 포지션은 축소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2️⃣ [그림 2] 향후 3개월 -10% 조정 위험 상승: 한편 Goldman Sachs 내부 모델 상 향후 3개월에 걸친 -10% 조정 위험은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해당 모델 정확성은 역사적으로 오렌지 색깔 (S&P 500 연속 조정으로 -10% 이상 빠질 경우)로 증명되었습니다.
3️⃣ [그림 3] Recession은 없지만 Stagflation: 현재 PCE지표는 선행 지표상 증가 추세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위 언급과 같이, 미국 증시 내 포지션 축소는 3월 중순 물가 지표 발표부터, 셧다운 및 3월 말 PCE 지표 (+예상치 못한 관세, 성장 공포는 봄 이후 (분기)에야 출현 예상) 등의 "부정적 연쇄 작용"으로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트레이더들이 헤지 목적으로 3월 24/25일 만기 VIX Call Option을 산 이유).

이로 인해 총 포지션에서 점진적인 매도로 지속적인 조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NARRATIVE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15
Goldman Sachs: 2008년 이후 FCF Yield 최저 수준

- FCF
기업이 창출하는 현금 흐름이 감소하고 있으며 현재는 2가지 요인
1) 현금 흐름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 (성장주 포진)
2) 설비투자를 포함한 자본적 지출 (Capex)

이는 주식 상승 요인이었던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 여력을 향후 떨어뜨릴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에 주의 있게 지켜보는 것이 필요

#INDEX
👍5🥰1
Goldman Sachs Trader Note: 헤지펀드 숏 포지션 증가

- [그림 1] 거시 (ETF 등) 상품 순매도 속도가 지난 1년 중 가장 빠른 수준
- 미국 상장 ETF 숏 포지션 +5.4% 증가, 최근 2개월 중 가장 큰 증가폭 (대형주/소형주 ETF 포함)
- [그림 2] 이번 주 美 주식의 순 숏 포지션 규모는 지난 5년 중 2번째로 큰 규모: 2022년 9월과 비슷한 수준

#INDEX
👍5😱2
Bank of America: 향후 5년은 완전 다른 양상 "2030 8가지 테마"

1️⃣ 기술이 세상을 집어삼키다
- AI: 미국과 중국 간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
- Tech-onomy: 자동화 및 AI 투자가 증가하면서 기술 가격이 하락하고 있음 (예: 지난 20년간 저장 용량은 20,000배 증가했지만 기가바이트당 가격은 99% 이상 하락- AI-enriched Simulations 발전: AI는 양자 물리학과 딥러닝을 결합해 신약 개발 및 첨단 소재 연구에서 획기적인 성과 (AI는 기존보다 45배 많은 새로운 Crystals을 발견했으며, 간암 치료제 후보를 30일 만에 발굴)
- 이외 Embodied AI와 휴머노이드 로봇/양자 컴퓨팅/AGI(이를 최초로 개발한 국가가 군사/경제/연구 등에서 압도적 우위)

2️⃣ Digital Insecurity
- 2030년까지 프라이버시 소멸, 노동시장 변화, 1인당 10개의 딥페이크, 사이버 범죄 GDP 세계 3위 가능성 등이 현실화될 전망
- 사이버 범죄로 인한 글로벌 비용은 2029~2030년까지 15.63조 달러 예상
- 딥페이크 공격이 5분마다 발생. 2018년 이후 딥페이크 영상의 수가 6개월마다 2배씩 증가
- 2030년까지 AI로 인해 78백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 빠른 기술 발전으로 인해 2억 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
- 사이버 보안: 2030년의 "디지털 블랙 스완"
- 해킹 탐지 및 대응에 평균 9개월이 소요. 사이버 범죄 비용은 2025년까지 10.5조 달러 로 증가할 전망. 이는 세계 경제 규모 3위(미국, 중국 다음) 수준 에 해당.
- 딥페이크: 현실인가, AI 판타지인가?딥페이크 기술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으며, 2027년까지 딥페이크로 인한 피해 비용이 400억 달러에 달할 것
- 일자리 대체: 세계경제포럼에서 AI는 전 세계적으로 1억 개 이상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음. 그러나 AI 및 자동화 기술로 인해 세계적으로 10억 명 이상의 근로자가 2030년까지 재교육을 받아야 할 것

3️⃣ "More of… everything"
- 기술 혁신과 인구 증가로 인해 데이터, 컴퓨팅 파워, 에너지, 물, 금속, 인프라 등 모든 자원의 수요가 급증
1) Compute: AI 모델 훈련을 위한 GPU 및 AI 전용 반도체 수요 급증.2) Energy: 기술 발전과 탈탄소화 정책으로 인해 에너지 수요 급증
3) Water: 데이터 센터 냉각용 물 사용 증가로 인해 2030년까지 하루 4.68억 갤런 의 물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4) Metals: 배터리, 반도체 및 방산 산업에서 핵심 원자재 확보 경쟁 심화
5) Bandwidth: AI 기술 확산으로 인터넷 인프라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며 5G 이후 차세대 네트워크 필요성 대두
6) Skills: 2030년까지 전 세계 노동자의 33%가 재교육이 필요
7) Real Estate: 데이터 센터 건설을 위한 토지 수요 급증. 2030년까지 데이터 센터 24,000개 필요

4️⃣ 모든 것을 재건: 그러나 자금 부족 문제가 큰 걸림돌
- 204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94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가 필요/2030년까지 매년 5,000억 달러가 추가로 필요할 것
- 기술, 경제 성장, 인프라 상호 관계
1) Expansion: AI, 데이터 센터 등 인프라 확장 필요
2) Modernization: 기존 전력망, 수도 시스템, 교통망 등을 AI 모니터링 및 센서를 통해 업그레이드해야3) Energy Transition: 탈탄소화, 분산화 및 디지털화된 에너지 시스템
- 전력망 용량을 확대하고 기존 인프라를 업그레이드 필요: 전력망에 필요한 구리 사용량이 2020~2040년 동안 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전기차 배터리보다 더 많은 구리를 필요)
- 노후화된 인프라와 리쇼어링: 미국 내 도로, 댐, 정수 시설 등의 인프라 수명이 초과. 미국 전력망 자산의 50%가 20년 이상 사용
-유럽연합의 30% 전력망이 40년 이상 사용되었으며, 2050년까지 90% 이상이 노후화 전망


5️⃣ Populism
- 2020년대 포퓰리즘 확산: 월가 점령(Occupy Wall Street), Brexit, 트럼프 행정부(2016~2020년) 등은 2010년대 포퓰리즘 부상의 전조
- 2024년 전 세계 인구의 40%, 글로벌 GDP의 60%, 세계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80% 를 차지하는 국가에서 선거가 실시: 2024년 총 32개국에서 선거가 있었으며, 이 중 26개국에서 기존 집권 세력이 퇴출
- Globalization, Immigration, Central Bank Independence 변화 전망
1) 글로벌화 퇴조: 1990~2000년대 초반이 글로벌화의 정점이었다면
2016년 트럼프가 TPP 탈퇴 이후, 2020년대에는 미·중 무역 및 기술 전쟁이 바이든 행정부에서 심화
2) 이민 제한 강화: 노동 공급을 줄여 임금 상승 및 노동 비용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음. 캐나다 외국인 노동자의 비율 7%에서 5%로 축소 법안 도입
3) 중앙은행 독립성 약화 가능성: 포퓰리즘 정당이 중앙은행 정책 개입

6️⃣ War and Peace
- 미국의 IRA 등 미국 내 기술, AI, 에너지 인프라 투자 촉진. 중국의 첨단 반도체 접근 차단: 보호무역 정책 유지 및 강화
- 북극 자원 경쟁: 세계 자원 확보 경쟁이 심화되면서 미국과 러시아가 북극 항로와 미개발 원유 및 천연가스(전 세계 원유의 15%, 천연가스의 30%)를 두고 경쟁할 가능성- Peace: 유럽은 역사적으로 "War Loser, Peace Winner"
사례1) 2차 세계대전 이후(1950년대): 마셜 플랜으로 유럽 주식 시장 191% 상승
2) 소련 붕괴 및 베를린 장벽 붕괴(1980년대): 유럽 주식 시장 164% 상승
- 미국이 “끝없는 전쟁”을 끝내려 할 경우, 유럽이 가장 큰 수혜를 볼 가능성

7️⃣ The Rise of Zoomers… and Boomers: 향후 10년 동안 Z세대와 고령화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 패턴이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 Z세대(1996~2016년생)는 전통적인 경제에서 벗어나 기술 친화적, 지속 가능성 및 뉴미디어 소비를 선호
- 베이비붐 세대(1946~1965년생)는 노령화로 인해 의료, 노인 돌봄, 레저, 금융 부문에 대한 지출 증가 예상
- 2024년 3분기 기준, 미국 베이비붐 세대가 보유한 부(富)는 82조 달러로, 미국 가계 자산의 절반 이상 차지 (전체 인구의 20%에
불과)
- 2030년까지 1,830조 원, 2045년까지 8,400조 원, 2048년까지 105조 달러이 차세대에게 상속될 전망. 2030년까지 65세 이상 인구의 연간 소비 지출은 15조 달러(2020년 8.7조 달러에서 증가)
- Z세대(Gen Z) 부상: 2024년 기준 Z세대가 전 세계 인구의 약 30% 차지하며, 향후 10년간 최대 인구 집단으로 유지될 전망. Z세대의 전 세계 소득은 2023년 9조 달러 → 2030년 36조 달러
- Z세대는 신용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향 (크립토): 가상 세계에서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을 선호(40%)

8️⃣ Health as the New Wealth
- 헬스케어 분야에서 AI 적용은 일반적인 AI 활용보다 훨씬 복잡한 생물학적 데이터 분석을 필요
- 웰니스 산업 규모가 글로벌 IT 및 친환경 경제
보다 큼. 2028년까지 웰니스 시장 9조 달러에 이를 전망(2019년 대비 2배 증가), 글로벌 GDP의 6.8% 차지
- 2019~2023년 동안 가장 높은 연평균 성장률 기록: 웰니스 부동산(18.1%),
공중보건 및 예방 의학(15.2%), 정신 건강(11.6%)
- GLP-1(비만 치료졔): 만능 치료제(The Everything Drug?): 2035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전망.비만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4.3조 달러(전 세계 GDP의 4%)
- 미국에서는 비만으로 인해 연간 1,730억 달러의 의료 비용 발생. 2030년까지 미국에서 GLP-1 사용자가 1,300만 명(성인 인구의 4.8%)에 이를 것. GLP-1은 알츠하이머 및 심혈관 질환 치료에도 적용 가능하며, 식욕 감소 및 중독 행동 완화 등의 효과도 기대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82🥰2
현재 미국 예외주의를 가장 의심하게 하는 지표

- [그림 1] Atlanta Fed GDPNow GDP Forecast: 2022년 7월 이후 처음으로 분기 별 위축을 예상
- [그림 2] 이는 과거 격차를 두고 美 실질 GDP를 선행: 주의 깊게 봐야 ("Growth Shock Proxy")

*️⃣ 위 지표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에서 개발한 GDP 성장률 추정 모델: 실시간으로 분기별 실질 GDP 성장률 예측

#INDEX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32
Goldman Sachs Trader Note: 새로운 S&P500 지지선

- 어제 약세 마감 이후 CTA 매도세가 강해지며 현재 시장 수준에서 이번 주 남은 기간 동안 美 증시에서 390억 달러 규모의 매도 물량이 나올 것
- 다음 지지선으로 200일 이동평균선(S&P500 5725)이 예상되며 해당 지점에서는 실제 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 (개인적으로도 이 수준에서 매수)
- 현재 시장에서는 2025년 기준 금리 인하 3회가 완전히 반영된 상태
- 기업들은 이번 하락장에서 매수 진행: 자사주 매입 데스크의 실행 흐름을 보면, 현재 일평균 거래량이 작년 대비 1.3배 수준으로 증가한 상태
- 美 대형 유통업체 Target의 오늘 오전 매크로 코멘터리는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
"현재 소비자들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으며, 2월 순매출이 소폭 감소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관세 불확실성과 회계연도 내 특정 비용 발생 시점을 감안할 때, 올해 1분기 이익은 연중 다른 분기에 비해 상당한 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오늘 오전 금융주(특히, 은행주)들이 강하게 하락한 이유
1) 포지션 청산 및 리스크 오프 반영: 대형은행들은 금융 섹터 내에서 가장 보유 비중이 높아
2) 금융주는 경기순환주이며 소비 및 기업 활동에 높은 레버리지를 보유: 경제 성장 둔화가 나타나면 가장 직접적인 타격
3) 금리 하락으로 인한 순이자마진 축소 우려: 장기 금리가 하락하면 대형은행들의 내재적 이익 전망이 낮아질 수밖에
#MACRO
6👍6
Goldman Sachs: A Physical AI Ecosystem "4가지 영역"

글로벌 자이언트 테크 기업들: 기계 등이 물리적 세계를 감지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첨단 AI 기술 개발 가속화

1️⃣ 자율주행
1) Uber: 자율주행 차량 산업 영향이 과대평가되었으며 업계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로 전환 중
2) Pony: AI 비용 절감 및 사업 확장을 통해 중국 로보택시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으며 수익성 확보 예상
3) BYD: 글로벌 신에너지차 선두업체로 첨단 스마트 주행 기능 대중화 추진
4) Li Auto: 중국 주요 OEM 중 최고 수준의 순현금 보유량을 기반으로 AI 및 스마트 주행 기술 확대
5) Xiaomi: AI, 운영체제, 칩셋 기술을 기반으로 Human x Car x Home) 생태계 확장
6) Baidu.com: 로보택시 사업 확장 중이며 2025년 손익분기점 도달 가능성
7) Alphabet: 초기 단계에서 Gemini AI 기능을 로봇 공학에 적용 중
8) EHang: 중국 내 자율비행 차량 시장에서 초기 입지를 확보한 제조업체
9) Deere: 자율 경운 및 파종 솔루션 개발
10) Caterpillar: 신형 광산 트럭의 자율주행 또는 자율주행 지원 기능 확장 중
이외) Tesla, Lyft, Rivian Automotive, Paccar, Epiroc

2️⃣ AI 장비 및 하드웨어
1) Horizon Robotics: ADAS 및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BYD 핵심 공급업체
2) Mobileye Global: 서구 OEM을 위한 ADAS 및 AV 기술을 제공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
3) AAC: 렌즈 및 카메라 모듈 포트폴리오를 ADAS 및 로봇 공학 분야에 활용
4) Quanta: ADAS/AV 도메인 컨트롤러 및 로봇 자회사 기회 확대
5) BYDE: 스마트 주행 기술을 통해 자동차 전자 부문 성장을 가속화
6) Ningbo Tuopu Group: 휴머노이드 로봇 부문에서 장기 성장 가능성을 보유한 중국 자동차 부품업체
7) Hesai: NOA 가속화 및 신제품 주기에 따른 성장 기대
8) Desay: ADAS 소프트웨어 개발 트렌드에서 기회를 모색하는 로컬 1위 자동차 부품업체
9) Wistron: 스마트 주행 도메인 컨트롤러 부문에서 AI 서버 성장 기회
이외) Sunny Optical, Chinasoft Intl, Pegatron, Thundersoft, Arcsoft, Innoviz Technologies, Luminar Technologies, Aurora Innovation, Aptiv

3️⃣ 로보틱스 및 자동화
1) Harmonic Drive Systems: 휴머노이드 로봇 성장의 주요 수혜가 예상되는 산업용 로봇 부품업체
2) Yaskawa Electric: 세계 3위 로봇 제조업체로, 자율 로봇 발전에 따른 이익 증가 예상
3) Sanhua Intelligent Controls: 휴머노이드 로봇 부품이 새로운 수익원으로 작용 가능
4) Shenzhen Inovance: 중국 내 "미니-지멘스"로 불리며 로봇 부품 사업 확장 중
5) Siemens: Nvidia 및 Microsoft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AI 기술 강화 중
6) Zhejiang Supcon Technology: 중국의 주요 공정 자동화 공급업체로, 로봇 제품 초기 개발 진행 중
7) Hon Hai (Foxconn): 광범위한 AI 및 전기차 관련 사업 운영 + Nvidia와 함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중
8) Will Semi: 휴머노이드 로봇의 Visual Sensing 기술에서 기회 포착
9) Gigabyte AI: 로봇 컴퓨팅 및 스마트 차량 전자 제어 장치 부문에서 선도적 입지 확보
10) Largan: 머신 비전 활용 확대에 따른 핸드셋 렌즈 기술 강점
11) Keyence: 미국 내 설비투자 증가에 따른 공장 자동화 부문의 수혜 기대
12) Intuitive Surgical: 로봇 보조 수술 분야에서 상당한 성장 여력 보유
이외) ABB, Fanuc, Schneider Electric, Rockwell Automation

4️⃣ AI 인프라 및 지원
1) Belden: 산업 기술 업체로, 고마진 솔루션 매출 증가
2) Flex: 데이터 센터 및 전자 제조 서비스(EMS+) 전략으로 성장 지속
3) Jabil Circuit, TE Connectivity, Amphenol: AI 및 데이터 센터 콘텐츠 성장 수혜
4) Dassault Systemes: AI 기반 제품 수명 주기 관리 툴 수주 증가
5) Prysmian, Legrand: 미국 리쇼어링 트렌드 및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 투자 수혜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4
Citi: 2025년 메모리 시장 전망

➡️ 프리미엄 메모리/일반 메모리 간의 지속적인 decoupling 현상 지속 예상: AI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메모리 수요가 점점 집중되는 흐름 때문
➡️ 이에 따라, 일반 메모리의 장기적인 약세로 메모리 공급업체들은 공격적인 설비 투자 계획 자제: 대신, 첨단 공정 노드 확장에 초점을 맞춘 절제 된 설비투자 계획을 실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조는 2025년 제한적인 공급 증가로 이어질 것

1️⃣ DRAM 시장 전망 [그림 1]
- 공급업체들이 1b/1c nm 공정 투자를 확대하여 HBM 및 AI DRAM의 성능 개선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
- DRAM 시장의 전반적인 회복 2025년 2분기 (컨센서스 3분기보다 앞서)
- DRAM 가격이 2025년 2분기(2Q25E)부터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 이러한 회복은 AI 관련 수요 증가(온디바이스 AI 및 AI 기반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 포함), HBM 및 DDR5로의 전환에 따른 다이(Net die) 손실,
차세대 HBM 제품의 프리미엄 가격 형성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2026년 AI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한 데이터센터 고객들의 조기 조달 가속화 및 인벤토리 정상화에 힘입어 서버용 DDR5 수요의 강한 반등이 기대

2️⃣ NAND 시장 전망 [그림 2]
- 공급업체들이 기존 노드를 200단 이상(NAND >200-layer) 고급 NAND 노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투자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
- NAND 가격이 2025년 3분기부터 회복될 것으로 예상 (컨센서스 4분기보다 앞서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2
WAR IS COMING

(WSJ) 중국 대사관: 미국이 전쟁을 원한다면, 그것이 관세 전쟁이든, 무역 전쟁이든, 그 어떤 형태의 전쟁이든 간에 우리는 끝까지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

#NEWS
😢10👏2👍1
Stagflation

- [그림 1] 현재 전 세계 59%의 펀드매니저가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고 있음
- 그러나 전체 시간 중 95% 스태그플레이션 피해

#INDEX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