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man Sachs: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최적의 투자 영역"
- 공급망 부품 부문 가장 유망한 투자 기회가 존재: 기술 장벽이 높고 제품 채택 확률이 높은 유성 감속기(하모닉 드라이브) 공급업체와 액추에이터(구동기, 하이엔드 로봇 공급망 채택) 조립업체 선호 (HDS, Sanhua, Tuopu)
- 주요 로봇 제조업체들은 대부분 비상장 기업이거나 대기업 내 R&D 프로젝트 형태(Tesla, Nvidia, Apple, BYD, Xiaomi, Xpeng)이며 로봇 AI 모델 개발사들도 대기업의 연구 프로젝트 형태 (OpenAI, Google, Meta, Nvidia)
- Tesla는 설계 최적화 및 규모의 경제를 통해 빠른 양산과 비용 절감을 목표
- 따라서 아시아/중국 부품 공급업체와 협력할 가능성: 다양한 부품 공급업체와의 관계를 관리할 중간 액추에이터 조립업체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 (LeaderDrive와 Best Precision이 Sanhua 또는 Tesla에 제품 샘플을 보냈다고 발표)
- 액추에이터 조립업체는 하드웨어 구성 변경 위험이 낮은 편
- 시장 점유율 예상: Sanhua 70% / Tuopu 30% (기존 전망: 50% / 50%) 이는 Tesla의 전기차(EV) 열 관리 모듈 조립 글로벌 점유율에서 Sanhua가 우위를 점한 사례 반영
- 로봇 스타트업과의 차이점: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기존 자동차 공급망을 활용하여 로봇을 개발할 수 있지만 로봇 스타트업들은 규모가 작아 별도의 액추에이터 조립업체가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 휴머노이드 로봇 공급망 관련 주식들은 연초 대비 평균 48% 상승(CSI 300은 보합세)하였으며 이는 시장이 2027년까지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출하량 50만 대를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 (P/E x40: AI 기반 신체구현 기술과 출하량 전망)
- 시장 컨센서스: 100만 대. 그러나 달성 시점에 대한 시장 기대치는 다름:1) 베이스 케이스: 2034~2035년/2) 강세 시나리오: 2030~2031년/3) 최강세 시나리오: 2028~2029년
- 최근 기술 시연 결과: 2024년 4분기 ~ 2025년 1분기: Tesla Optimus ‘We, Robot’ 이벤트/Unitree H1 춘제 갈라쇼 공개
개선된 하드웨어 기술력과 내구성은 입증됐으나, 산업 및 소비자 시장에서 대량 보급될 만큼 정확성/일관성/비용 절감이 충분치 않음
AI의 일반화 및 자율성 부족이 핵심 장애물
- P/E 멀티플: 고성장(연평균 성장률 30% 이상) 주식: 40배/2009~2012년 초기 전기차 산업 주식: 최대 120배
- 기술 변곡점이 도래하는 조건: 다양한 일반화된 작업 수행 능력
- 기존 산업용 로봇과 차별화되는 핵심 요소는 "일반화 능력". 최소 5~10개의 일반적인 작업을 높은 성공률로 수행 가능해야
1) 2024년: 15개 신규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진입/17개 신형 로봇 프로토타입 출시 (2023년 10개 대비 증가)/ HUAWEI, BYD, CATL 등 대기업도 R&D 프로젝트 개시/기술 선두 업체(Agility, Unitree, AGIBOT 등)가 공장 테스트 및 초기 상업화 단계 진입
2) 2025년: 산업이 연구개발(R&D) 중심에서 "대량 생산" 단계로 전환될 가능성/NVIDIA의 물리적 AI(Physical AI) R&D 생태계 가속화
- 로봇 AI의 주요 장애물: 원천 데이터 부족. AI 로봇 모델 훈련에는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 (Force/Torque/Movement 데이터)
1) Harmonic Drive Systems (TP: 5,800, Buy): 소형 정밀 감속기 시장에서 80%의 점유율을 보유한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특히 산업용 로봇 애플리케이션에서 강한 입지를 구축
- 단기적인 수주 동향에 의해 주가 변동성이 크나 현재 수주 사이클이 바닥을 다지고 있으며, 실적 개선의 신호가 감지 (P/B 최저)
목표주가, 리스크 및 방법론:
- 리스크: 기술 업종(스마트폰, 반도체 등)의 설비투자 감소/저수익 자동차 부품 사업에 대한 높은 투자/주주환원 정책 및 자본시장 소통 부족
2) Sanhua (TP 36.5, Buy): HVAC 제어 및 열관리 부품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
- 자동차/전기차 열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부품의 탑재 가치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
- HVAC 부문에서는 EEV 보급 확대뿐만 아니라, 에너지저장장치(ESS) 및 유럽 주택용 히트펌프 시장 진출을 새로운 성장 동력 (원자재 가격 부담 완화 및 규모의 경제 효과로 GPM 개선이 기대
- EV 열관리 시장 내 경쟁 심화/테슬라 전기차 판매 부진/중국 부동산 완공 감소로 인한 HVAC 수요 둔화
3) Tuopu Tuopu (TP: 77, Buy): 중국의 주요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 2024~26년 매출 연평균성장률 29% 전망: Seres, Li Auto, Xiaomi가 2024~26년 신규 매출의 60~75% 차지 예상4) Best (TP 28.2, 중립): 휴머노이드 로봇용 유성 PRS 공급업체로 도약 중이며, 기존 자동차 부품 사업과 함께 성장할 것
- 업계 가격 압박 속에서도 안정적인 마진 유지: 업계 선도업체
- FCF: 2023년 처음으로 + FCF 기록, 2024~2026년 동안 총 Rmb6.3bn 생성 전망
- 리스크: 주요 고객사(Seres, Li Auto, Xiaomi 등)의 실적 부진/해외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마진 압박 증가
- 2024~2035년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출하량 CAGR 80% 예상/2027년부터 PRS 시장 점유율 10% 확보 예상: 정밀 제조 경험 및 장비 투자로 생산 역량 확보
- 기계공구 부품(볼스크루, 리니어 가이드)도 2024년부터 채택 확대 전망
- 리스크: 휴머노이드 로봇 전송 부품 개발 속도/EV 부품 생산능력 확대 속도/터보차저 채택률 증가 속도/경쟁 심화로 인한 마진 하락
5) LeaderDrive (TP 134.6, 중립): 중국의 대표적인 하모닉 감속기 제조업체
- 산업용 로봇, 협동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등 다양한 시장으로 TAM(총주소시장) 확장 중/2024년부터 글로벌 로봇 4대 브랜드 중 최소 2곳에 감속기 공급 시작
- 리스크: 로봇 생산 속도/주요 고객사(특히 글로벌 로봇 브랜드) 확보 속도/국내 산업용 로봇 수요 둔화/해외/로컬 브랜드 간 경쟁 심화
6) Hengli Hydraulic (TP: 50, 중립): Hengli Hydraulic은 중국 최대의 유압 부품 제조업체(판매량 기준)로, 모바일 기계 및 일반 산업용 응용 분야에서 구동 시스템의 핵심 요소를 공급하는 고진입장벽 산업 기업
- 유압 부품의 non-excavator 응용 분야 확장과 linear actuator 시장 진출을 통한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
- 그러나 2023년 매출의 47%를 차지한 굴착기 시장의 침체가 과거보다 비교적 완만한 성장세
- 리스크: 글로벌 건설 기계 수요의 강세/신제품 개발 속도/Hengli의 첫 해외 공장(멕시코) 설립과 관련된 해외 사업 확장 리스크
7) Moons’ Electric (TP: 53.3, 중립): 중국 내 모터 및 구동 솔루션 부문에서 선도적인 기업. coreless motor 공급망에서 주요 업체가 될 것
- 2027년까지 고사양, 중사양, 저사양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보이며, Taicang 신공장을 통해 생산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비용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6🔥2🥰2
Goldman Sachs Trader Note: 개인투자자들로 인해 3월과 4월은 어려운 시기
1️⃣ [그림 1] 개인 투자자들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3월에는 세금을 납부해야 함
2️⃣ 테마별: 개인 투자자들 참여로 대부분 올랐던 테마 1) Non-Profitable Tech, 2) 공매도 비율 높은 (Most Short), 3) Bitcoin Sensitive Equities, 4) Unprofitable Russell 등은 개인 투자자들이 자본 이득세 납부를 위해 주식을 매도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위험에 처할 가능성 ([그림 2] 3-4월 평균 성과)
- 투기 심리와 개인 투자자 열기가 축소되는 것이 예상됨에 따라 Quality 주식으로 자금을 이동하는 것이 합리적인 전략
3️⃣ 1) 잔여 변동성과 2) 공매도 잔고 요인 매년 -5% 이상의 하락, 대부분의 해에서는 -10% 이상의 손실을 기록
- [그림 3] 잔여 변동성과 공매도 잔고 요인을 제외하면, 개인투자자 투자 열기가 얼마나 성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더욱 분명
* 잔여 변동성 (Res Vol)은 시장 변동성을 제외한 개별 주식 고유의 변동성을 의미하며, 따라서 잔여 변동성과 공매도 잔고 요인이 높을 수록 위험 수준이 높은 개별 주식을 의미
#INDEX
- 투기 심리와 개인 투자자 열기가 축소되는 것이 예상됨에 따라 Quality 주식으로 자금을 이동하는 것이 합리적인 전략
- [그림 3] 잔여 변동성과 공매도 잔고 요인을 제외하면, 개인투자자 투자 열기가 얼마나 성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더욱 분명
* 잔여 변동성 (Res Vol)은 시장 변동성을 제외한 개별 주식 고유의 변동성을 의미하며, 따라서 잔여 변동성과 공매도 잔고 요인이 높을 수록 위험 수준이 높은 개별 주식을 의미
#INDEX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2
이번에도 엔비디아 = 구세주? (2월 단기 트레이드)
1️⃣ 나스닥 100 조정: [그림 1] 지난주 금요일 나스닥 100 조정 시(-2%), 기관 트레이더들이 적극 매수하였으며 이외 개인 투자자 등의 자금 유입은 낮아져
2️⃣ Nvidia Play: [그림 2] 자금 흐름을 추적해보니, 엔비디아 실적 (2월 26일)을 앞두고 기관 트레이더들 자금 유입이 큰 덕택
*️⃣ 위 게시물에서 필자가 예상드린 대로 지난주 금요일 옵션만기일부터 변동성 장이 오고 있음: (링크) https://t.me/globalmacro_davidyoon/4699
#FLOW
#FLOW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1
Goldman Sachs Trader Note:"Inflection Points" 3월
1️⃣ 기술적 분석: 美 주식은 double top 형성
2️⃣ Macro/fundamentals: COVID 이후 경기 침체 우려 최고조
이외)
- 미국 내 경기 침체 위험 우려 증대: 성장과 스태그플레이션 조합은 주식에 치명적인 영향
- 주식과 CTA 불안정: 주식이 10% 하락할 경우 한 달 동안 약 2천억 달러 규모의 Systematic 매도가 촉발될 것. 그 중 3분의 1은 미국에서
- Fed put?: 연준이 마법처럼 개입하여 주가를 끌어올리지는 않음. 6월은 가능하겠지만 3월과 5월은 가능성이 낮음
- 스티브 코헨: 미국 경제 성장률이 올해 하반기에 1.5%에 이를 것이라고 말할 때 나는 귀를 기울임
- 장기채 가격 잘못 책정된 듯
#MACRO
[그림 1] 美 TMT 주식: 2024년 7월 이후 가장 큰 de-grossing (기술주 등에 대한 전체 포지션 축소)
이외)
- 미국 내 경기 침체 위험 우려 증대: 성장과 스태그플레이션 조합은 주식에 치명적인 영향
- 주식과 CTA 불안정: 주식이 10% 하락할 경우 한 달 동안 약 2천억 달러 규모의 Systematic 매도가 촉발될 것. 그 중 3분의 1은 미국에서
- Fed put?: 연준이 마법처럼 개입하여 주가를 끌어올리지는 않음. 6월은 가능하겠지만 3월과 5월은 가능성이 낮음
- 스티브 코헨: 미국 경제 성장률이 올해 하반기에 1.5%에 이를 것이라고 말할 때 나는 귀를 기울임
- 장기채 가격 잘못 책정된 듯
#MACRO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3
JP Morgan: Palo Alto Networks - AI 기반 플랫폼과 확장된 FCF 가이던스
1️⃣ 중요 포인트 3가지
➡️ 강력한 성장/우수한 수익성: Next Gen ARR(전년 대비 +37%), 수익 및 영업 마진이 모두 컨센서스 예상치 상회
- AI: 플랫폼 벤더들이 point solutions과 경쟁하고 여러 부문에서 더 나은 결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 (플랫폼 전반에 걸쳐)
- 이번 분기 Cortex Cloud 발표가 Code to Cloud to SOC에 대한 수요와 플랫폼 전반에서 Cortex의 활용 능력을 시사 (강력한 SASE 견인력도 실적 기여)
➡️ Platformization (다양한 보안 기술을 하나의 통합 플랫폼으로 제공): 현재 약 1,150건 이상의 플랫폼화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보수적으로 추정해도 23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 (경영진은 회사가 2030년까지 2,500~3,500건의 ‘플랫폼화’ 거래 목표에 도달할 궤도에 있다고 언급
- 성장 계절적으로 4분기에 집중될 것: 하지만 2025년 전망은 추가적인 영업 레버리지를 통한 더 나은 수익 성장도 가능
➡️ FCF 가이던스 연장: 2027년까지 37% 이상의 FCF가이던스를 확장 (참고로, 소규모 거래/어플라이언스 사업은 일반적으로 선불로 지급. 대규모 거래의 경우 flexible and deferred billings가 가능하도록 협상 구조 조정)
- 이로 인해 현금 흐름 가시성 향상: 2025년 37-38%/2026년 37% 이상 (2027년까지 연장)
2️⃣ 향후 주목할 포인트 3가지
1) Code to Cloud to SOC 모멘텀: Cortex Cloud 플랫폼 출시 발표. Prisma Cloud와 Cortex의 기능을 결합하며 SOC와 통합될 수 있음
- 예를 들어, PANW와 IBM은 이번 분기에 영국 내무부 ESMCP와 협력하는 다년 간 프로젝트를 발표
- 시장 내에서 보다 분리된 클라우드 보안 벤더들과 차별화되는 또 다른 플랫폼 차별화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
2) 제품 견인력: 이익은 2분기에 전년 대비 +8% 증가하여 4억 2,15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소프트웨어는 TTM 기준 전체 제품의 약 40% 차지
- 이번 분기 동안 방화벽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안정적인 수요를 보였으며 경영진은 이 추세가 2025년 내내 지속될 것으로 예상 (어플라이언스 시장은 여전히 +0-5% 성장할 것)
- 소프트웨어 방화벽과 SASE는 전체 방화벽 사업보다 1.5배 빠르게 성장했으며 견고한 소프트웨어 기여도는 올해 후반기에도 두 자릿수의 제품 수익 성장을 뒷받침할 것
3) 재고 전환: 2분기에 재고 및 제품 전환 비용 상승과 함께 총 마진에 영향을 미친 40bp의 일회성 재고 감모손실 경험 (2025년 하반기는 예상되지 않아)
- 주요 계약 제조 시설을 텍사스로 이전 중:이번 전환은 어플라이언스 혁신 및 생산 확장, 그리고 미국 내에서 방화벽 어플라이언스 제품의 조립 및 제조를 통해 관세 위험에 대응한 비용 최적화에 도움
#REPORT
주요 IB TP: $225 (비중 확대)
- AI: 플랫폼 벤더들이 point solutions과 경쟁하고 여러 부문에서 더 나은 결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 (플랫폼 전반에 걸쳐)
- 이번 분기 Cortex Cloud 발표가 Code to Cloud to SOC에 대한 수요와 플랫폼 전반에서 Cortex의 활용 능력을 시사 (강력한 SASE 견인력도 실적 기여)
- 성장 계절적으로 4분기에 집중될 것: 하지만 2025년 전망은 추가적인 영업 레버리지를 통한 더 나은 수익 성장도 가능
- 이로 인해 현금 흐름 가시성 향상: 2025년 37-38%/2026년 37% 이상 (2027년까지 연장)
1) Code to Cloud to SOC 모멘텀: Cortex Cloud 플랫폼 출시 발표. Prisma Cloud와 Cortex의 기능을 결합하며 SOC와 통합될 수 있음
- 예를 들어, PANW와 IBM은 이번 분기에 영국 내무부 ESMCP와 협력하는 다년 간 프로젝트를 발표
- 시장 내에서 보다 분리된 클라우드 보안 벤더들과 차별화되는 또 다른 플랫폼 차별화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
2) 제품 견인력: 이익은 2분기에 전년 대비 +8% 증가하여 4억 2,15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소프트웨어는 TTM 기준 전체 제품의 약 40% 차지
- 이번 분기 동안 방화벽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안정적인 수요를 보였으며 경영진은 이 추세가 2025년 내내 지속될 것으로 예상 (어플라이언스 시장은 여전히 +0-5% 성장할 것)
- 소프트웨어 방화벽과 SASE는 전체 방화벽 사업보다 1.5배 빠르게 성장했으며 견고한 소프트웨어 기여도는 올해 후반기에도 두 자릿수의 제품 수익 성장을 뒷받침할 것
3) 재고 전환: 2분기에 재고 및 제품 전환 비용 상승과 함께 총 마진에 영향을 미친 40bp의 일회성 재고 감모손실 경험 (2025년 하반기는 예상되지 않아)
- 주요 계약 제조 시설을 텍사스로 이전 중:이번 전환은 어플라이언스 혁신 및 생산 확장, 그리고 미국 내에서 방화벽 어플라이언스 제품의 조립 및 제조를 통해 관세 위험에 대응한 비용 최적화에 도움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3🔥1🥰1
해고 확대 추세: 현재 중심 이슈
- [그림 1] 해고/정리해고/일자리 감축 관련 기사 수 최고치
- 최소 12개월 만에 최고치인 15,651건으로 급증 (몇 주만에 2배로 증가)
- 이는 워싱턴 뿐만 아니라 대기업들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INDEX
- [그림 1] 해고/정리해고/일자리 감축 관련 기사 수 최고치
- 최소 12개월 만에 최고치인 15,651건으로 급증 (몇 주만에 2배로 증가)
- 이는 워싱턴 뿐만 아니라 대기업들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INDEX
😱3😢3
Nomura Trader Note: 성장 공포에 대한 포지션
1️⃣ 현재 상황
- Vol Space: 드디어 “활력”을 보이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변동성이 다시 낮아질 시 나타날 기계적 de-leverage 흐름이 작용하여 주식 하방에 “가속화 흐름”을 생성 (기계적으로 포지션을 매도하여 축소하고 이로 인해 하방 압력)
- 1) 시장 조정과 2) 높은 확신을 가진 방향성 Short 거래를 위한 근거는 상당히 다른 문제: "성장 공포" 있어야 Short 유망: 그러나 이는 봄 이후에야 출현
- 만기 셧 다운에 맞추어: 최근 VIX Upside Call/Convexity 주요 매수자들이 다시 적극적으로 움직이며 만기 상 3월 중순 “미국 정부 셧다운” 좌측 꼬리 위험과 일치하는 양상 (3월 24일/25일 VIX 각각 Call 14만 계약 매수)
- 만약 3월에 셧다운 헤드라인과 같은 Risk-Off 촉매제가 발생한다면: Gamma squeeze와 VIX ETN 리밸런싱으로 인해 VIX 딜러/MM에 의해 큰 규모의 Vega supply되며 daisy chain(연쇄작용) 촉발 (시장 요동칠 때 헤지 위해 변동성 수요 증가하는 데 이는 변동성을 더 키운다는 의미)
2️⃣ 내러티브
🔼 긍정적 내러티브: 실적 시즌을 지수 차원에서 별다른 타격 없이 무사히 넘기고, 자사주 매입으로 인한 추가적인 “수요” 흐름으로 재개되며, Mag8에서 로테이션이 지속 (특히 이익 상향 선도하는 금융 섹터 주목)되어 시장 폭이 개선되고 Equal weighted SPX가 좋은 성과를 내며 3월에 데이터가 급락하지 않고 정부 셧다운 상황을 피하게 되면 하방 해지 수요들 해제될 것
🔽 부정적 내러티브: 그러나 만약 투자자들이 높은 레버리지 및 익스포저로 돌아간다면 지속적인 ATM 변동성 공급에도 불구하고 OTM 지수 하방 보호 수요 회복되고 Short downside Gamma로 인해 Skew가 가팔라지면서 딜러들의 헤지 포지션 생길 것
- 결국, 주식 포지션이 극단치에 도달하고 Skew가 급격히 가팔라질 때 [그림 1], 기계적 헤지 플로우와 Systematics (=de-leverage)에 의한 리스크 축소가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Downside Accelerant Flow” 조건 마련 (헤지 수요와 de-leverage가 극단 포지션에 대한 대가를 시작으로 하방 매도 압력을 더 키운다는 의미)
- 특히 이 상황은 늦은 봄, 불안정한 정책 혼합 속에서 美 경제의 첫 번째 본격적 “성장 공포” 신호 시에 나타날 수 있다고 예상
#MACRO
3월 정부 셧다운 위험 (해소되면 오히려 랠리가 될 가능성) 등 사소한 위험보다 봄-초여름 나타날 성장 공포로 인한 하방 및 Vol Squeeze 연쇄 작용에 따른 기계적 하방 흐름이 중요
- Vol Space: 드디어 “활력”을 보이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변동성이 다시 낮아질 시 나타날 기계적 de-leverage 흐름이 작용하여 주식 하방에 “가속화 흐름”을 생성 (기계적으로 포지션을 매도하여 축소하고 이로 인해 하방 압력)
- 1) 시장 조정과 2) 높은 확신을 가진 방향성 Short 거래를 위한 근거는 상당히 다른 문제: "성장 공포" 있어야 Short 유망: 그러나 이는 봄 이후에야 출현
- 만기 셧 다운에 맞추어: 최근 VIX Upside Call/Convexity 주요 매수자들이 다시 적극적으로 움직이며 만기 상 3월 중순 “미국 정부 셧다운” 좌측 꼬리 위험과 일치하는 양상 (3월 24일/25일 VIX 각각 Call 14만 계약 매수)
- 만약 3월에 셧다운 헤드라인과 같은 Risk-Off 촉매제가 발생한다면: Gamma squeeze와 VIX ETN 리밸런싱으로 인해 VIX 딜러/MM에 의해 큰 규모의 Vega supply되며 daisy chain(연쇄작용) 촉발 (시장 요동칠 때 헤지 위해 변동성 수요 증가하는 데 이는 변동성을 더 키운다는 의미)
- 결국, 주식 포지션이 극단치에 도달하고 Skew가 급격히 가팔라질 때 [그림 1], 기계적 헤지 플로우와 Systematics (=de-leverage)에 의한 리스크 축소가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Downside Accelerant Flow” 조건 마련 (헤지 수요와 de-leverage가 극단 포지션에 대한 대가를 시작으로 하방 매도 압력을 더 키운다는 의미)
- 특히 이 상황은 늦은 봄, 불안정한 정책 혼합 속에서 美 경제의 첫 번째 본격적 “성장 공포” 신호 시에 나타날 수 있다고 예상
#MACRO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3🔥2
성장 충격 공포가 오히려 AI Adoptor 테마 매력을 이끌 것
1️⃣ 금리 "4.5%"
- 채권 수익률/주식 상관관계 12월 이후 계속해서 음수(-)이다가 최근에 양수(+)로 전환
- [그림 1] "4.5%" 주식 밸류에이션 있어 중요한 임계치: 이 관점은 2024년 4월과 2023년 가을에 10년 수익률이 이 수준을 넘어서면서 주식들이 보였던 금리 민감성에 근거: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 임계치
- 이로 인해 약 S&P500 6,100 강력한 저항선: 하지만 최근 4.50% 이하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수뿐 아니라 성장주들 억제
- 금리는 경제 지표를 약 60일 앞서 이끌어온 경향: 따라서 9월 중순~1월 중순까지 보였던 시장 수익률 상승이 경제 지표와 이익 수정에 시차 두고 영향
2️⃣ 성장 기대치 하락하는 추가적인 이유들
1) 신임 행정부의 즉각적인 정책 변화(이민 단속과 관세): 인플레이션 완화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으며 성장에 부담
2) 수입 미리 땡기자: 작년 말/올해 초 관세 도입 전 상품 수입 pull-forward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구매 충동이 다소 약해질 가능성: 임의 소비재 보수적인 접근 필요 [그림 4]
3) 소비자들: “구매력”의 압박 - 이는 지난달 소매 판매 데이터에서 확인
3️⃣ 투자 아이디어: 성장 충격에 따라 오히려 AI Adopter 테마에 주목
- [그림 2] AI와 연계된 효율성 개선의 구체적인 수치적 예시를 제시한 기업들은 발표 후 5일 만에 +2.8%의 초과 수익률을 기록. 또한, 이러한 기업들의 향후 순이익률 수정도 발표 이후 더 강력하게 나타남(ex) 반도체보다 소프트웨어 overweight 이유)
#REPORT
- 채권 수익률/주식 상관관계 12월 이후 계속해서 음수(-)이다가 최근에 양수(+)로 전환
- [그림 1] "4.5%" 주식 밸류에이션 있어 중요한 임계치: 이 관점은 2024년 4월과 2023년 가을에 10년 수익률이 이 수준을 넘어서면서 주식들이 보였던 금리 민감성에 근거: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 임계치
- 이로 인해 약 S&P500 6,100 강력한 저항선: 하지만 최근 4.50% 이하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수뿐 아니라 성장주들 억제
- 금리는 경제 지표를 약 60일 앞서 이끌어온 경향: 따라서 9월 중순~1월 중순까지 보였던 시장 수익률 상승이 경제 지표와 이익 수정에 시차 두고 영향
1) 신임 행정부의 즉각적인 정책 변화(이민 단속과 관세): 인플레이션 완화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으며 성장에 부담
2) 수입 미리 땡기자: 작년 말/올해 초 관세 도입 전 상품 수입 pull-forward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구매 충동이 다소 약해질 가능성: 임의 소비재 보수적인 접근 필요 [그림 4]
3) 소비자들: “구매력”의 압박 - 이는 지난달 소매 판매 데이터에서 확인
- [그림 2] AI와 연계된 효율성 개선의 구체적인 수치적 예시를 제시한 기업들은 발표 후 5일 만에 +2.8%의 초과 수익률을 기록. 또한, 이러한 기업들의 향후 순이익률 수정도 발표 이후 더 강력하게 나타남(ex) 반도체보다 소프트웨어 overweight 이유)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3❤1
변동성 자의 서막: VIX Call/Put
- 주요 투자자들은 앞으로 2~3월 있을 주요 이벤트 (엔비디아/셧다운/주요 경제지표 등)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배팅 혹으 헤지 중
#INDEX
- 주요 투자자들은 앞으로 2~3월 있을 주요 이벤트 (엔비디아/셧다운/주요 경제지표 등)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배팅 혹으 헤지 중
#INDEX
👍5🥰1
Morgan Stanley: 엔비디아 실적 전망 - 견고한 펀더멘털 그러나 수출 규제 고려해야
1️⃣ 전망
- 이번 분기/전망은 60일 전보다 개선되었으며 이는 Hopper 수요가 탄탄해지고 GB200이 진전을 보였기 때문
- 다만, 추가적인 수출 규제 가능성이 있는 만큼 가이던스는 컨센서스와 대체로 일치하며 전 분기의 성장 흐름과 유사한 수준일 것
- Hopper 수요 둔화되고 Blackwell(특히 GB200 폼팩터) 관련 초기 성장통이 존재했기 때문에 이러한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음. 하지만 현재 두 가지 문제에 대해 더 긍정적인 시각
객들이 경제적 수명 문제를 뒤로 하고 선제적으로 구매를 결정한 것
- H20은 특히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H100과 H200 역시 강세 유지
- H20의 가격 인하 소식이 일부 전해졌으나, 현재 가격 수준은 양호
- 선매수가 이상적인 수요 원천은 아니지만, Hopper 생산이 자연스럽게 종료되는 과정에서 Blackwell의 강한 성장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다리 역할
- 한편, 경영진이 언급한 Blackwell 시스템의 "전례 없는 복잡성"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지만 일부 핵심 문제가 해결. GB200 시스템은 매우 복잡한 구축 과정을 거치며, 6~8주 전까지만 해도 상당한 어려움과 중기적인 일정 불확실성이 존재.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지만, GB200의 주요 이슈들은 어느 정도 정리된 것으로 보이며, rack 수량 전망도 상향 조정될 가능성-
- 최근 MSFT의 지출 관련 우려: 이는 GPU 수요 변화와는 무관한 것. 몇 개월 동안 일부 하이퍼스케일러의 시설 지연에 대한 보고: 주말 동안 업계 관계자들과 논의한 결과 부지 확보 등 장기적인 변화가 있을 가능성은 있지만, MSFT의 GPU 수요 자체는 변화는 없음 단기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고객은 아니지만, 수요 축소도 감지되지 않음
2️⃣ 마진 및 가이던스
- 총 마진은 대체로 예상과 일치할 것: 여러 마진 압박 요소가 존재하는데, Blackwell의 초기 수율 저조, Blackwell의 긴급 생산 비용 증가, GB200 보드 초기 문제로 인한 폐기 비용, 수출 규제 우려 속 H20의 높은 비중 등이 포함
- 그러나 이는 회사의 기존 가이던스와 대체로 부합하며, 연내 2H에 걸쳐 75% 이상으로 회복될 것
- 전반적으로 올해 출발은 강하지만, 가이던스가 보수적일 가능성이 높은 주요 이유는 수출 규제 가능성 때문
- 작년 중국을 대상으로 한 연산 성능 제한 규제 이후, 수출 규제는 지속적인 문제였다. 12개월 전 당사의 전망은, 중국 고객들이 AI 투자 의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1) 중국 외 지역에서 훈련을 진행하거나(규제 허용 범위 내), 2) NVIDIA H20과 같이 성능 기준 이하 제품을 구매하거나, 3) 일부 기업들이 2차 시장에서 규제된 제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
- 당사의 분석 범위 내 모든 기업들은 규제를 준수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eBay 등에서 Hopper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 주요 하이퍼스케일러들은 규제를 준수하려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초점은 H20 및 중국 외 지역에서의 AI 훈련에 맞춰져 있음
- DeepSeek R1 모델의 성공 이후, 정부는 규제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있으나,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불확실. 1월 초 제안되었다가 1월 21일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철회된 AAI diffusion 규제는 클러스터 크기 제한을 도입하는 내용이었으며, 이는 중국뿐만 아니라 "2등급 위험국"으로 분류된 여러 국가에 적용될 예정이었음. 해당 규제는 라이선스 승인 절차가 필요해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불확실성을 초래했을 것
- 산업 전반에서는 추가적인 규제 강화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일부 미국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도 이를 요구.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는 미지수이며, 작년과 달리 2H 실적에 유의미한 역풍이 될 가능성
- 이러한 위험을 고려하면, NVIDIA가 최근 실적 발표 패턴(가이던스를 약 20억 달러 초과 달성 후, 20~25억 달러 상향 가이던스 제공)을 변경해 더 공격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할 이유는 없다고 봄. 이 경우 예상 실적은 약 420억 달러 수준이 될 것
3️⃣ 결론: NVIDIA 의견 여전히 다양
- 한 달 전만 해도 GB200의 저조한 도입, DeepSeek 관련 우려, Hopper 약세 등을 이유로 일부 애널리스트들이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
- 하지만 최근에는 4월 분기 가이던스에 대한 매우 낙관적인 전망
- 수출 규제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NVIDIA가 4월 분기에 대한 긍정적인 전환점을 제시할 가능성은 낮다고 봄
- 다만, 420억 달러 가이던스와 함께 작년 말과 같은 CEO의 강한 자신감을 보인다면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
- 이번 분기가 주요 상승 촉매로 작용하지는 않겠지만, 수출 규제 이슈가 해소된 이후 2H에 강한 모멘텀이 형성될 것으로 확신
- 따라서 이번 분기를 과도기적인 시점으로 보고 있으며, Blackwell 사이클이 주도하는 2H의 의미 있는 상승 여력을 고려해 확대 의견 유지
*️⃣ 현재 옵션 내재 변동성 상: (주가 변동폭 -7.7% ~ +7.7%)
#REPORT
그러나 여전히 TP: $152 (비중 확대)
- 이번 분기/전망은 60일 전보다 개선되었으며 이는 Hopper 수요가 탄탄해지고 GB200이 진전을 보였기 때문
- 다만, 추가적인 수출 규제 가능성이 있는 만큼 가이던스는 컨센서스와 대체로 일치하며 전 분기의 성장 흐름과 유사한 수준일 것
- Hopper 수요 둔화되고 Blackwell(특히 GB200 폼팩터) 관련 초기 성장통이 존재했기 때문에 이러한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음. 하지만 현재 두 가지 문제에 대해 더 긍정적인 시각
1) Hopper 수요: 다소 회복되었으나 일부 pull-forward (관세 대비). 2개월 전 감지된 Hopper에 대한 우려는 클라우드 부문에서의 단기적인 수요 부족이 아니라 오히려 공급 부족이 매출 증가를 저해하고 있다는 점. 그러나 경제적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 Blackwell 출시가 임박한 상황에서, 클라우드에서 Hopper 칩의 경제적 수명이 얼마나 될 것인가? 지금 Hopper를 구매하는 것이 더 높은 현재가치를 제공하는가, 아니면 90일 뒤 Blackwell이 더 원활히 공급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나은가? 이에 따라 수요는 견고하지만 전 분기만큼 강하지 않아
2) DeepSeek R1이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이후 수요는 강화: 이는 향후 추가적인 수출 규제 가능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며 이에 따라 일부 해외 고
객들이 경제적 수명 문제를 뒤로 하고 선제적으로 구매를 결정한 것
- H20은 특히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H100과 H200 역시 강세 유지
- H20의 가격 인하 소식이 일부 전해졌으나, 현재 가격 수준은 양호
- 선매수가 이상적인 수요 원천은 아니지만, Hopper 생산이 자연스럽게 종료되는 과정에서 Blackwell의 강한 성장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다리 역할
- 한편, 경영진이 언급한 Blackwell 시스템의 "전례 없는 복잡성"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지만 일부 핵심 문제가 해결. GB200 시스템은 매우 복잡한 구축 과정을 거치며, 6~8주 전까지만 해도 상당한 어려움과 중기적인 일정 불확실성이 존재.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지만, GB200의 주요 이슈들은 어느 정도 정리된 것으로 보이며, rack 수량 전망도 상향 조정될 가능성-
- 최근 MSFT의 지출 관련 우려: 이는 GPU 수요 변화와는 무관한 것. 몇 개월 동안 일부 하이퍼스케일러의 시설 지연에 대한 보고: 주말 동안 업계 관계자들과 논의한 결과 부지 확보 등 장기적인 변화가 있을 가능성은 있지만, MSFT의 GPU 수요 자체는 변화는 없음 단기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고객은 아니지만, 수요 축소도 감지되지 않음
- 총 마진은 대체로 예상과 일치할 것: 여러 마진 압박 요소가 존재하는데, Blackwell의 초기 수율 저조, Blackwell의 긴급 생산 비용 증가, GB200 보드 초기 문제로 인한 폐기 비용, 수출 규제 우려 속 H20의 높은 비중 등이 포함
- 그러나 이는 회사의 기존 가이던스와 대체로 부합하며, 연내 2H에 걸쳐 75% 이상으로 회복될 것
- 전반적으로 올해 출발은 강하지만, 가이던스가 보수적일 가능성이 높은 주요 이유는 수출 규제 가능성 때문
- 작년 중국을 대상으로 한 연산 성능 제한 규제 이후, 수출 규제는 지속적인 문제였다. 12개월 전 당사의 전망은, 중국 고객들이 AI 투자 의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1) 중국 외 지역에서 훈련을 진행하거나(규제 허용 범위 내), 2) NVIDIA H20과 같이 성능 기준 이하 제품을 구매하거나, 3) 일부 기업들이 2차 시장에서 규제된 제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
- 당사의 분석 범위 내 모든 기업들은 규제를 준수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eBay 등에서 Hopper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 주요 하이퍼스케일러들은 규제를 준수하려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초점은 H20 및 중국 외 지역에서의 AI 훈련에 맞춰져 있음
- DeepSeek R1 모델의 성공 이후, 정부는 규제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있으나,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불확실. 1월 초 제안되었다가 1월 21일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철회된 AAI diffusion 규제는 클러스터 크기 제한을 도입하는 내용이었으며, 이는 중국뿐만 아니라 "2등급 위험국"으로 분류된 여러 국가에 적용될 예정이었음. 해당 규제는 라이선스 승인 절차가 필요해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불확실성을 초래했을 것
- 산업 전반에서는 추가적인 규제 강화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일부 미국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도 이를 요구.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는 미지수이며, 작년과 달리 2H 실적에 유의미한 역풍이 될 가능성
- 이러한 위험을 고려하면, NVIDIA가 최근 실적 발표 패턴(가이던스를 약 20억 달러 초과 달성 후, 20~25억 달러 상향 가이던스 제공)을 변경해 더 공격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할 이유는 없다고 봄. 이 경우 예상 실적은 약 420억 달러 수준이 될 것
- 한 달 전만 해도 GB200의 저조한 도입, DeepSeek 관련 우려, Hopper 약세 등을 이유로 일부 애널리스트들이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
- 하지만 최근에는 4월 분기 가이던스에 대한 매우 낙관적인 전망
- 수출 규제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NVIDIA가 4월 분기에 대한 긍정적인 전환점을 제시할 가능성은 낮다고 봄
- 다만, 420억 달러 가이던스와 함께 작년 말과 같은 CEO의 강한 자신감을 보인다면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
- 이번 분기가 주요 상승 촉매로 작용하지는 않겠지만, 수출 규제 이슈가 해소된 이후 2H에 강한 모멘텀이 형성될 것으로 확신
- 따라서 이번 분기를 과도기적인 시점으로 보고 있으며, Blackwell 사이클이 주도하는 2H의 의미 있는 상승 여력을 고려해 확대 의견 유지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3❤2🔥1
JP Morgan: 美 예외주의 약세가 있으나 여전히 유럽과 중국에 대한 투자는 선호하지 않아
1️⃣ 美 예외주의: 어디에 있는가?
- [그림 1] 현재까지 美 증시는 전 세계 증시 대비 -5%: 이에 따라 "US exceptionalism" 거래의 추가적인 해소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 고민
- [그림 2] 美 밸류에이션: 과거 보통 글로벌 평균 대비 약 10% 높은 수준이었지만 현재는 +50% 이상 높음
- 美 실질 GDP 성장률은 올해 약 2.5% 수준 예상
- 반면 유로존은 약 1% 성장에 그칠 가능성이 높으며 중국은 약 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과거보다 약세: 최근 미국과 기타 지역 간 경기 격차는 좁혀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확대 추세 (美 예외주의의 완전 부정은 금지)
- 기술/성장 테마의 탄력성이 여전히 강하기 때문에 美 증시가 글로벌 주식 대비 크게 부진할 것으로 보지 않아
- 美 소형주가 더 좋은 성과를 낼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지역적 rotation과도 연결: 과거 美 증시는 성장주 중심이지만, 국제 시장은 가치주 스타일이 더 강하기 때문
2️⃣ 일부 후발주자들의 출발: 유로존 주식이 대표적
- 그러나 이는 저평가 된 종목 전반으로의 광범위한 로테이션 현상이 아님
- 유로존 작년 1분기에도 유사한 강세를 보였지만 결국 실패한 바 있음
- 현재 시장 주요 동력이 美 예외주의 강세, 특히 달러 방향성, 관세 관련 뉴스, 중국 경기 부양책 그리고 채권 금리 흐름에 의해 좌우 + Mag 7 전망
- 광범위한 로테이션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약달러, 우호적인 관세 환경, 중국 경기 가속화, 안정적 채권 금리, 그리고 Mag-7 주도의 약화가 필요
- 그러나 2017년과 같은 상황이 재현되지 않을 것: 당시에 약달러로 인해 지역별 성장 격차가 급격히 축소되었으나 현재는 해당 조건 충족 X
- 그렇다고 현재 가치주에 대한 비중 확대를 해야 할 시점이라고 보지는 않음
- 중국 및 원자재 관련 우려를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中 반드시 매도 전략 유효하다고 판단
#MACRO
- [그림 1] 현재까지 美 증시는 전 세계 증시 대비 -5%: 이에 따라 "US exceptionalism" 거래의 추가적인 해소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 고민
- [그림 2] 美 밸류에이션: 과거 보통 글로벌 평균 대비 약 10% 높은 수준이었지만 현재는 +50% 이상 높음
- 美 실질 GDP 성장률은 올해 약 2.5% 수준 예상
- 반면 유로존은 약 1% 성장에 그칠 가능성이 높으며 중국은 약 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과거보다 약세: 최근 미국과 기타 지역 간 경기 격차는 좁혀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확대 추세 (美 예외주의의 완전 부정은 금지)
- 기술/성장 테마의 탄력성이 여전히 강하기 때문에 美 증시가 글로벌 주식 대비 크게 부진할 것으로 보지 않아
- 美 소형주가 더 좋은 성과를 낼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지역적 rotation과도 연결: 과거 美 증시는 성장주 중심이지만, 국제 시장은 가치주 스타일이 더 강하기 때문
- 그러나 이는 저평가 된 종목 전반으로의 광범위한 로테이션 현상이 아님
- 유로존 작년 1분기에도 유사한 강세를 보였지만 결국 실패한 바 있음
- 현재 시장 주요 동력이 美 예외주의 강세, 특히 달러 방향성, 관세 관련 뉴스, 중국 경기 부양책 그리고 채권 금리 흐름에 의해 좌우 + Mag 7 전망
- 광범위한 로테이션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약달러, 우호적인 관세 환경, 중국 경기 가속화, 안정적 채권 금리, 그리고 Mag-7 주도의 약화가 필요
- 그러나 2017년과 같은 상황이 재현되지 않을 것: 당시에 약달러로 인해 지역별 성장 격차가 급격히 축소되었으나 현재는 해당 조건 충족 X
- 그렇다고 현재 가치주에 대한 비중 확대를 해야 할 시점이라고 보지는 않음
- 중국 및 원자재 관련 우려를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中 반드시 매도 전략 유효하다고 판단
#MACRO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3
Alibaba Group Holdings: 이익 성장 전망이 다시 업종 내 Tier-1 그룹으로 돌아온 분기별 내러티브 (JP Morgan)
1️⃣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 모멘텀: 2024년 4분기 실적이 지속 가능한 이익 성장 회복으로 전환시킬 것
- 단기적 전자상거래 수익화/중장기적 클라우드 및 AI 이익 창출이 주된 동력(FY25-27E 이익 CAGR 29%)
- 현재 중국 AI 투자 테마에서 중심 종목: 중국 AI 공급망으로의 자본 유입을 지속적으로 견인할 것으로 전망
2️⃣ 🔥 클라우드 & AI: 높은 수준의 자본적 지출은 경영진의 강한 확신을 반영
- 경영진 "향후 3년간 총 Capex가 지난 10년간 총 Capex 초과할 것": 이는 향후 3년간 연평균 Capex가 1,200억 위안으로 FY24 Capex x4배 수준
- 이러한 Capex 증가가 중국 내 생성형 AI의 급속한 도입에 의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DeepSeek의 최신 LLM 제품군 도입이 이를 더욱 촉진할 것
- 수익화 관점: 이러한 변화는 AI 컴퓨팅 파워 제공업체에 큰 혜택을 줄 것이며 이는 실적 발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향후 Cloud Intelligence Group의 매출 성장은 AI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속화될 것"이라는 발언에서 확인
- 국내 전자상거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수익화 확대 및 이익 회복에 대한 투자자 우려 완화 - 국내 전자상거래 사업부는 타오바오 수수료 부과 확대 및 Quanzhantui 채택 증가를 통한 점진적인 수익화로 인해 2024년 12월 분기 실적에서 매출 및 조정 EBITA 측면에서 긍정적인 서프라이즈를 기록
- 향후 몇 년간 국내 전자상거래 사업의 이익 성장이 한 자릿수 중간 수준으로 회복될 것
#REPORT
TP: JP Morgan $170/Morgan Stanley $180
- 모멘텀: 2024년 4분기 실적이 지속 가능한 이익 성장 회복으로 전환시킬 것
- 단기적 전자상거래 수익화/중장기적 클라우드 및 AI 이익 창출이 주된 동력(FY25-27E 이익 CAGR 29%)
- 현재 중국 AI 투자 테마에서 중심 종목: 중국 AI 공급망으로의 자본 유입을 지속적으로 견인할 것으로 전망
- 경영진 "향후 3년간 총 Capex가 지난 10년간 총 Capex 초과할 것": 이는 향후 3년간 연평균 Capex가 1,200억 위안으로 FY24 Capex x4배 수준
- 이러한 Capex 증가가 중국 내 생성형 AI의 급속한 도입에 의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DeepSeek의 최신 LLM 제품군 도입이 이를 더욱 촉진할 것
- 수익화 관점: 이러한 변화는 AI 컴퓨팅 파워 제공업체에 큰 혜택을 줄 것이며 이는 실적 발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향후 Cloud Intelligence Group의 매출 성장은 AI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속화될 것"이라는 발언에서 확인
- 국내 전자상거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수익화 확대 및 이익 회복에 대한 투자자 우려 완화 - 국내 전자상거래 사업부는 타오바오 수수료 부과 확대 및 Quanzhantui 채택 증가를 통한 점진적인 수익화로 인해 2024년 12월 분기 실적에서 매출 및 조정 EBITA 측면에서 긍정적인 서프라이즈를 기록
- 향후 몇 년간 국내 전자상거래 사업의 이익 성장이 한 자릿수 중간 수준으로 회복될 것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4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레이 달리오의 미국에 대한 충격적인 폭로 (Source: TUCKER CARLSON)
1. 미국의 새로운 내전 (영상 1): 우리는 이미 내전에 돌입했으며, 아직 총격전이 벌어지지 않았을 뿐이다. 서로 양보할 수 없는 차이가 있으며, 각 진영은 이를 위해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 정치적 양극화는 1900년 이후 최악의 수준이며, 초당적 협력은 역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2. 60%의 위기: 충격적인 통계 - 미국인의 60%가 초등학교 6학년 이하의 읽기 능력을 갖고 있다. 330만 명(전체 인구 3억 3천만 명 중)만이 모든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격차는 전례 없는 부의 격차를 초래하고 있다.
3. 중국에 대한 현실 점검: 우리 생애 동안 미국이 제조업에서 중국을 따라잡을 일은 없을 것이다. 현재 중국은 전 세계 제조업의 33%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을 합친 것보다 많다. 로봇 산업, 반도체 생산, AI 응용 분야에서도 중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4. 혁신의 역설: 미국의 마지막 강점은 혁신과 대학이다. 하지만 반전이 있다. 미국의 최고 혁신가들 중 절반이 외국인 출신이며, 이들은 미국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 게다가 AI가 박사급 지식을 습득하면서, 이 마지막 강점마저도 흔들리고 있다.
5. 사회 통제 딜레마: AI의 발전은 두 가지 시나리오 중 하나로 귀결될 것이다: 1) 완전한 전체주의적 통제 혹은 2) 완전한 무정부 상태
중간 지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장 두려워 하는 것은 이 전환 과정을 아무도 통제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NEWS
1. 미국의 새로운 내전 (영상 1): 우리는 이미 내전에 돌입했으며, 아직 총격전이 벌어지지 않았을 뿐이다. 서로 양보할 수 없는 차이가 있으며, 각 진영은 이를 위해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 정치적 양극화는 1900년 이후 최악의 수준이며, 초당적 협력은 역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2. 60%의 위기: 충격적인 통계 - 미국인의 60%가 초등학교 6학년 이하의 읽기 능력을 갖고 있다. 330만 명(전체 인구 3억 3천만 명 중)만이 모든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격차는 전례 없는 부의 격차를 초래하고 있다.
3. 중국에 대한 현실 점검: 우리 생애 동안 미국이 제조업에서 중국을 따라잡을 일은 없을 것이다. 현재 중국은 전 세계 제조업의 33%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을 합친 것보다 많다. 로봇 산업, 반도체 생산, AI 응용 분야에서도 중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4. 혁신의 역설: 미국의 마지막 강점은 혁신과 대학이다. 하지만 반전이 있다. 미국의 최고 혁신가들 중 절반이 외국인 출신이며, 이들은 미국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 게다가 AI가 박사급 지식을 습득하면서, 이 마지막 강점마저도 흔들리고 있다.
5. 사회 통제 딜레마: AI의 발전은 두 가지 시나리오 중 하나로 귀결될 것이다: 1) 완전한 전체주의적 통제 혹은 2) 완전한 무정부 상태
중간 지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장 두려워 하는 것은 이 전환 과정을 아무도 통제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NEWS
👍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