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정리할 만한 것들 **내용은 주가와 별개**
#시장
- 금요일 장 막판에 코스피 밸류업 주식들로 매수세가 집중. 기존 금융/자동차/지주 섹터 외 산업재 섹터에서도 상승.
- 시가총액이 큰 쪽으로 수급이 들어가면서 코스닥 내 반도체/초전도체 등이 약세. 한편, 이러한 수급에도 막판까지 수급이 좋았던 뷰티/원격의료 등은 인상적.
#밸류업
- 상장 공기업은 올해 경영평가부터 주주가치 제고 항목이 반영될 예정. 상장 공기업은 한국전력/한국가스공사/지역난방공사/한전KPS/한전기술/강원랜드/GKL이 있음. 한국전력은 국민주 지위를 되찾겠다고 선언.
- 밸류업 프로그램 일환으로 정부가 자사주 소각 기업에게 세제 혜택 추진을 준비 중. 고배당 기업 투자자에게 배당소득세 저율 분리과세 등의 세제지원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보도되는 중.
- 관련 대책은 2월 26일 발표된다고 함.
#엘티씨
- 엘에스이가 HBM용 TSV 세정장비 SKH에 공급. 초도 물량 2대가 청주캠퍼스에 셋업 중이고 추가 물량 2대.
- 엘에스이는 엘티씨가 무진전자 반도체장비사업부를 460억에 인수하면서 신설한 자회사.
- 무진전자는 SKH 관련 반도체 기술 유출 이슈가 있었지만 엘티씨가 반도체장비사업부 인수 이후 관계 회복 중.
- SKH가 올해 TSV CAPA를 2배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향후 엘티씨 및 자회사의 SKH의 HBM 국산화 띰 가시화 주목.
- 2H24에는 23년 1,000억 PO를 받았다가 지연되었던 세정 장비 출하도 재개될 가능성 존재.
#자화전자
- 4Q23 매출액 2,179억, 영업이익 333억 기록하면서 흑자전환 및 실적 서프 기록. 1) 4Q23이 계절적 성수기인점, 2) 이노텍 수율 이슈로 자화가 물량이 많이 받을 것이라는 점, 3) 애플향 매출반영 첫 분기 등에서 실적 서프를 기대한 사람은 많았던 것으로 추정됨.
- 24~25년 각 450억 설비투자가 계획되어 있고 애플 공급 모델도 2개 이상으로 증가하여 물량 확대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 또한 단기적으로도 이노텍의 물량을 자화가 조금 더 오래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한편, 보유 중인 자사주를 활용하여 EB 발행. 이자율 0%, 교환가액 조정 없음, 10% 할증 발행, 30% 콜옵션 조항 등이 인상적. 교환가능시점이 3월 20일로 가깝다는 점은 체크사항이지만 24.05월부터 가능한 30% 콜옵션, 이자율 0%이라는 점에서 회사에 유리하게 발행되었다는 점에 의미.
- 콜옵션이 창업주 아들에게 부여된다면 사실상 아들의 지분이 창업주 지분을 넘어서게 되면서 승계가 사실상 마무리될 수 있음. 승계가 마무리 되면서 실적이 예쁘게 올라오는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음.
#감성코퍼레이션
- 베인의 스노우피크 피인수 뉴스
- 과거 재계약 리스크 관련해서는 대처를 잘 했는데 이번에는 우려가 있을 수 있음.
- 스노우피크 라이센스 계약 만기가 24.10월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해당 시점과 맞게 베인이 인수 진행.
- 재계약이 진행되더라도 베인이 인수한다면 라이센스 Fee는 이전 대비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지 않을까 생각.
#티로보틱스
- 물류로봇(AGV/AMR)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탑라인이 크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이익은 신규 사업 개발 비용, 파생상품평가손실 등으로 적자 유지하고 있지만 물류로봇으로 인한 매출 성장이 인상적.
#삼성XR
- 삼성이 비전프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XR 헤드셋 개발 중. 100명으로 구성된 독립팀을 중심으로 추진 중.
- 퀄컴 스냅드래곤 XR2+프로세서, 맞춤형 안드로이드 시스템, 1.03인치 OLEDoS 디스플레이, 비전프로 대비 낮은 가격, 다른 삼성기기와 호환 등이 특징.
#중국 스마트폰(궈밍치 코멘트 요약)
- 중국 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낮은 기저 및 프리미엄의 꾸준한 수요로 YoY 지속 성장 유지. 반면, 아이폰은 YoY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음. 가격 인하에도 출하량 영향 제한적.
- 폴더블폰의 글로벌 판매는 주춤. 삼성도 보수적인 목표치 1,200만대(YoY+20%) 계획.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둔화는 화웨이 외 다른 브랜드들이 수익성이 떨어지는 클램쉘 모델에 대한 관심을 잃고있기 때문.
- 삼성의 S24 시리즈 자체는 생성형AI 수혜로 출하량 전망치 5~10% 가량 상향조정. 개인적으로 삼성 갤럭시 부품 업체들하고 소통했을 때도 S24는 수요 체감이 되는 것 같음.
#AMAT
- 매출액 $6.71B, EPS $2.13 기록하면서 컨센 상회. 2분기 가이던스 매출 $6.1B~6.9B, EPS #1.79~$2.15 제시.
- HBM 수요로 D램 매출이 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HBM 생산에는 동일한 양의 칩을 생산하기 위해 2배의 제조 능력이 필요. 당장 24년 HBM 수익이 4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4년 주요 변화로 주목하는 것은 GAA 트랜지스터. 해당 구조는 칩 당 에너지 효율을 30% 이상 향싱시킬 수 있어 고성능 AI 데이터센터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는 설명.
#AI
- 구글 Gemini Ultra를 공개한 지 1주일 만에 Pro 1.5를 공개. 바로 Ultra 성능을 뛰어넘으며 언어 해석 능력에서 강점을 보인 점이 흥미로우며 2월 들어서는 Gemini의 챗봇 성능이 GPT 4.0과 견줄만한 수준으로 올라왔다는 컨센 형성 분위기. 구글이 OpenAI 넘기 위해 진심.
- OpenAI는 Text to video 모델 '소라' 공개.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해석 및 감정 전달 캐릭터 생성 가능. GPT 자체도 엄청난 변화였지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은 또 다른 변화. 언어 및 영상처리에서 많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
- 각 스마트폰 업체들도 자체 AI를 제작하고 있음. HW에 머무는 게 아니라 자체 어플리케이션/SW를 고도화하는 AI모델 내재화가 목적. 삼성/구글/오포/애플/화웨이 등 24년부터 본격적인 AI 스마트폰의 탄생.
#시장
- 금요일 장 막판에 코스피 밸류업 주식들로 매수세가 집중. 기존 금융/자동차/지주 섹터 외 산업재 섹터에서도 상승.
- 시가총액이 큰 쪽으로 수급이 들어가면서 코스닥 내 반도체/초전도체 등이 약세. 한편, 이러한 수급에도 막판까지 수급이 좋았던 뷰티/원격의료 등은 인상적.
#밸류업
- 상장 공기업은 올해 경영평가부터 주주가치 제고 항목이 반영될 예정. 상장 공기업은 한국전력/한국가스공사/지역난방공사/한전KPS/한전기술/강원랜드/GKL이 있음. 한국전력은 국민주 지위를 되찾겠다고 선언.
- 밸류업 프로그램 일환으로 정부가 자사주 소각 기업에게 세제 혜택 추진을 준비 중. 고배당 기업 투자자에게 배당소득세 저율 분리과세 등의 세제지원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보도되는 중.
- 관련 대책은 2월 26일 발표된다고 함.
#엘티씨
- 엘에스이가 HBM용 TSV 세정장비 SKH에 공급. 초도 물량 2대가 청주캠퍼스에 셋업 중이고 추가 물량 2대.
- 엘에스이는 엘티씨가 무진전자 반도체장비사업부를 460억에 인수하면서 신설한 자회사.
- 무진전자는 SKH 관련 반도체 기술 유출 이슈가 있었지만 엘티씨가 반도체장비사업부 인수 이후 관계 회복 중.
- SKH가 올해 TSV CAPA를 2배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향후 엘티씨 및 자회사의 SKH의 HBM 국산화 띰 가시화 주목.
- 2H24에는 23년 1,000억 PO를 받았다가 지연되었던 세정 장비 출하도 재개될 가능성 존재.
#자화전자
- 4Q23 매출액 2,179억, 영업이익 333억 기록하면서 흑자전환 및 실적 서프 기록. 1) 4Q23이 계절적 성수기인점, 2) 이노텍 수율 이슈로 자화가 물량이 많이 받을 것이라는 점, 3) 애플향 매출반영 첫 분기 등에서 실적 서프를 기대한 사람은 많았던 것으로 추정됨.
- 24~25년 각 450억 설비투자가 계획되어 있고 애플 공급 모델도 2개 이상으로 증가하여 물량 확대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 또한 단기적으로도 이노텍의 물량을 자화가 조금 더 오래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한편, 보유 중인 자사주를 활용하여 EB 발행. 이자율 0%, 교환가액 조정 없음, 10% 할증 발행, 30% 콜옵션 조항 등이 인상적. 교환가능시점이 3월 20일로 가깝다는 점은 체크사항이지만 24.05월부터 가능한 30% 콜옵션, 이자율 0%이라는 점에서 회사에 유리하게 발행되었다는 점에 의미.
- 콜옵션이 창업주 아들에게 부여된다면 사실상 아들의 지분이 창업주 지분을 넘어서게 되면서 승계가 사실상 마무리될 수 있음. 승계가 마무리 되면서 실적이 예쁘게 올라오는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음.
#감성코퍼레이션
- 베인의 스노우피크 피인수 뉴스
- 과거 재계약 리스크 관련해서는 대처를 잘 했는데 이번에는 우려가 있을 수 있음.
- 스노우피크 라이센스 계약 만기가 24.10월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해당 시점과 맞게 베인이 인수 진행.
- 재계약이 진행되더라도 베인이 인수한다면 라이센스 Fee는 이전 대비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지 않을까 생각.
#티로보틱스
- 물류로봇(AGV/AMR)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탑라인이 크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이익은 신규 사업 개발 비용, 파생상품평가손실 등으로 적자 유지하고 있지만 물류로봇으로 인한 매출 성장이 인상적.
#삼성XR
- 삼성이 비전프로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XR 헤드셋 개발 중. 100명으로 구성된 독립팀을 중심으로 추진 중.
- 퀄컴 스냅드래곤 XR2+프로세서, 맞춤형 안드로이드 시스템, 1.03인치 OLEDoS 디스플레이, 비전프로 대비 낮은 가격, 다른 삼성기기와 호환 등이 특징.
#중국 스마트폰(궈밍치 코멘트 요약)
- 중국 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낮은 기저 및 프리미엄의 꾸준한 수요로 YoY 지속 성장 유지. 반면, 아이폰은 YoY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음. 가격 인하에도 출하량 영향 제한적.
- 폴더블폰의 글로벌 판매는 주춤. 삼성도 보수적인 목표치 1,200만대(YoY+20%) 계획.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둔화는 화웨이 외 다른 브랜드들이 수익성이 떨어지는 클램쉘 모델에 대한 관심을 잃고있기 때문.
- 삼성의 S24 시리즈 자체는 생성형AI 수혜로 출하량 전망치 5~10% 가량 상향조정. 개인적으로 삼성 갤럭시 부품 업체들하고 소통했을 때도 S24는 수요 체감이 되는 것 같음.
#AMAT
- 매출액 $6.71B, EPS $2.13 기록하면서 컨센 상회. 2분기 가이던스 매출 $6.1B~6.9B, EPS #1.79~$2.15 제시.
- HBM 수요로 D램 매출이 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HBM 생산에는 동일한 양의 칩을 생산하기 위해 2배의 제조 능력이 필요. 당장 24년 HBM 수익이 4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4년 주요 변화로 주목하는 것은 GAA 트랜지스터. 해당 구조는 칩 당 에너지 효율을 30% 이상 향싱시킬 수 있어 고성능 AI 데이터센터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는 설명.
#AI
- 구글 Gemini Ultra를 공개한 지 1주일 만에 Pro 1.5를 공개. 바로 Ultra 성능을 뛰어넘으며 언어 해석 능력에서 강점을 보인 점이 흥미로우며 2월 들어서는 Gemini의 챗봇 성능이 GPT 4.0과 견줄만한 수준으로 올라왔다는 컨센 형성 분위기. 구글이 OpenAI 넘기 위해 진심.
- OpenAI는 Text to video 모델 '소라' 공개.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해석 및 감정 전달 캐릭터 생성 가능. GPT 자체도 엄청난 변화였지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은 또 다른 변화. 언어 및 영상처리에서 많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
- 각 스마트폰 업체들도 자체 AI를 제작하고 있음. HW에 머무는 게 아니라 자체 어플리케이션/SW를 고도화하는 AI모델 내재화가 목적. 삼성/구글/오포/애플/화웨이 등 24년부터 본격적인 AI 스마트폰의 탄생.
👍5❤2🫡1
https://asia.nikkei.com/Business/Technology/Huawei-says-it-will-start-selling-PCs-powered-by-Intel-s-AI-chip
#화웨이 #AI #OS
아직 완벽하지 않을 수 있고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지만 화웨이는 애플의 생태계를 추종하려는 모습을 계속해서 보이고 있음. OS 독립과 함께 자체 소부장 생태계 확립 등.
자사 최초의 AI 기반 PC 공개
#화웨이 #AI #OS
아직 완벽하지 않을 수 있고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지만 화웨이는 애플의 생태계를 추종하려는 모습을 계속해서 보이고 있음. OS 독립과 함께 자체 소부장 생태계 확립 등.
자사 최초의 AI 기반 PC 공개
Nikkei Asia
Huawei says it will start selling PCs powered by Intel's AI chip
MateBook X Pro features HarmonyOS and Pangu LLM, both developed in-house
🥰1
https://wccftech.com/huawei-plans-in-house-hbm-production-for-next-gen-ai-products-targeted-at-china/
#화웨이 #AI #HBM
The Inform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와 기술 성장에 중점을 둔 회사 그룹인 Huawei Technologies는 매력적인 HBM 시장으로 초점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이 동맹은 이제 푸젠 진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사업에 관련된 회사들과 짝을 이룹니다. 화웨이는 HBM 칩을 2026년쯤에 대량 생산할 계획이며, 초기 기술은 상대적으로 오래된 HBM2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HBM4는 2025-2026년까지 배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중국의 기술 한계를 고려하면 여전히 괜찮은 수준입니다.
#화웨이 #AI #HBM
The Informa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와 기술 성장에 중점을 둔 회사 그룹인 Huawei Technologies는 매력적인 HBM 시장으로 초점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이 동맹은 이제 푸젠 진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사업에 관련된 회사들과 짝을 이룹니다. 화웨이는 HBM 칩을 2026년쯤에 대량 생산할 계획이며, 초기 기술은 상대적으로 오래된 HBM2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HBM4는 2025-2026년까지 배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중국의 기술 한계를 고려하면 여전히 괜찮은 수준입니다.
Wccftech
Huawei Plans In-House HBM Production For Next-Gen AI Products Targeted At China
Huawei is gearing up to establish its supply chain of HBM memory, as the manufacturer backs the development of in-house HBM technology.
https://appleinsider.com/articles/24/06/09/apples-ai-catch-up-ends-at-wwdc-and-with-the-iphone-16-says-kuo
#애플 #WWDC #AI
Apple's AI catch-up ends at WWDC and with the iPhone 16, says Kuo
#애플 #WWDC #AI
Apple's AI catch-up ends at WWDC and with the iPhone 16, says Kuo
AppleInsider
Apple's AI catch-up ends at WWDC and with the iPhone 16, says Kuo
Ming-Chi Kuo believes Apple will roll out big AI improvements during its WWDC keynote that will need the iPhone 16, and the bigger features may take some time fully roll out.
https://www.youtube.com/watch?v=r1pDkfntYxo
#반도체 #HBM #레거시
25년 전망: 프리미엄 시장은 계속해서 좋을 것 같고 레거시(DDR4, 로우앤드 DDR5)는 특별한 수요 증가 없이는 쉽지 않을 것. 다만, 25년 하반기부터는 괜찮을 수도.
#반도체 #HBM #레거시
25년 전망: 프리미엄 시장은 계속해서 좋을 것 같고 레거시(DDR4, 로우앤드 DDR5)는 특별한 수요 증가 없이는 쉽지 않을 것. 다만, 25년 하반기부터는 괜찮을 수도.
YouTube
프리미엄 메모리 수요 급증, 레거시 제품은 고전...디커플링 전망
프리미엄 메모리 수요 급증, 레거시 제품은 고전...디커플링 전망
※ 2024년 9월 30일 월요일 방송본입니다.
00:00 인트로
01:38 프리미엄 제품과 레거시 제품의 상황
02:42 DDR4와 DDR5에 대한 질문
04:28 2023년 하반기 시황이 좋아진 이유가 서버 및 AI 가속기 덕분?
07:33 HBM에 대한 질문
09:16 AI와 HBM의 수요가 없었다면 시장 상황
11:52 중국 CXMT의 영향
15:16 D램 시장의 경쟁력
16:18…
※ 2024년 9월 30일 월요일 방송본입니다.
00:00 인트로
01:38 프리미엄 제품과 레거시 제품의 상황
02:42 DDR4와 DDR5에 대한 질문
04:28 2023년 하반기 시황이 좋아진 이유가 서버 및 AI 가속기 덕분?
07:33 HBM에 대한 질문
09:16 AI와 HBM의 수요가 없었다면 시장 상황
11:52 중국 CXMT의 영향
15:16 D램 시장의 경쟁력
16:18…
👍2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미용 방산 전력기기 밸류업
- 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전력기기 우주 밸류업 원전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방산 전력기기 미용 원전
#수출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12
- 3Q+10월 호조: 기초화장, 일본향 미백, 미국향 고용량 변압기, 중국향 건기식, 라면, 미국향 리플로우, 전차/장갑차
- 턴어라운드 후보: 중국향 임플란트
#엄니버스
- 자료참고: https://m.blog.naver.com/goose_pb/223627398961
- 기재된 알테, 리가켐, 한올 외 오늘 언급된 것은 에이비엘, 퓨쳐켐, 펩트론, 셀트리온 등.
#조선(신한)
- 주요 기자재 업체들은 시장 기대치 대비 하회~부합 수준의 실적을 전망. 한화엔진, 세진중공업 TP상향.
- 한화엔진은 QoQ 감익이 예상되나 3Q 수주건만 7,800억 수준으로 연간 신규수주 1.7조 전망. TP 1.7=>2만원 상향
- 세진중공업 3Q 컨센 하회 전망되나 4Q부터 고성장이 시작되며 25년 탱크 3배+고객사 확대. TP 8,600원=>1만원 상향
- 중국의 수주 확대, 3Q 실적 등의 이슈가 있으나 여전한 셀러마켓, 한동안 증익 사이클, 선사들은 3Q가 생각보다 괜찮을 수 있을 것 같음. 이에 당장 오르는 것을 기대하기보다 실적발표 전후로 흐름을 잘 봐보고 싶음.
- 최근 엣지 있는 종목들 중심으로 다시 슬금슬금 오르는 중.
#AI
- 자료참고: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304699
- 네트워크 및 광통신 업체 마벨이 AI 수요 급증으로 25년부터 전제품군 가격 인상 단행.
- 실적 및 전망치가 시장 기대를 크게 웃돌고 있으며 가격 인상은 이것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
- 마벨을 고객사로 보유한 국내 업체를 포함해 TSMC 등 AI에서 상위와 관계된 곳 중심 관심.
#미용
- 자료참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2195451
- 클래시스까지 매각 뉴스 나오면서 미용의료기기 대부분 딜 논의가 나오는 중.
- 이렇게 다 팔려나가는 상황에서 성장성이 향후 부각될 수 있는 곳으로 돈이 몰릴 것으로 전망.
- PE가 매각하는데 대기업(삼성/LG)가 의향자로 나섰다는 점에서 아쉬운 것이 사실이나, 대형 PE 역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이 높은 밸류에도 참여하고자 하는 점에서 섹터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딜 밸류는 현재 나온 뉴스 기준 3조원대(지분 61%) 수준. 향후 딜이 섹터 밸류 및 센티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딜 밸류는 지켜볼 필요.
- 이미 시장가치로 높은 밸류를 받고 있고 25~26년 미국/유럽 본격화 단계라는 점은 고려사항.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미용 방산 전력기기 밸류업
- 상대강도: 바이오 미용 전력기기 우주 밸류업 원전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방산 전력기기 미용 원전
#수출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012
- 3Q+10월 호조: 기초화장, 일본향 미백, 미국향 고용량 변압기, 중국향 건기식, 라면, 미국향 리플로우, 전차/장갑차
- 턴어라운드 후보: 중국향 임플란트
#엄니버스
- 자료참고: https://m.blog.naver.com/goose_pb/223627398961
- 기재된 알테, 리가켐, 한올 외 오늘 언급된 것은 에이비엘, 퓨쳐켐, 펩트론, 셀트리온 등.
#조선(신한)
- 주요 기자재 업체들은 시장 기대치 대비 하회~부합 수준의 실적을 전망. 한화엔진, 세진중공업 TP상향.
- 한화엔진은 QoQ 감익이 예상되나 3Q 수주건만 7,800억 수준으로 연간 신규수주 1.7조 전망. TP 1.7=>2만원 상향
- 세진중공업 3Q 컨센 하회 전망되나 4Q부터 고성장이 시작되며 25년 탱크 3배+고객사 확대. TP 8,600원=>1만원 상향
- 중국의 수주 확대, 3Q 실적 등의 이슈가 있으나 여전한 셀러마켓, 한동안 증익 사이클, 선사들은 3Q가 생각보다 괜찮을 수 있을 것 같음. 이에 당장 오르는 것을 기대하기보다 실적발표 전후로 흐름을 잘 봐보고 싶음.
- 최근 엣지 있는 종목들 중심으로 다시 슬금슬금 오르는 중.
#AI
- 자료참고: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304699
- 네트워크 및 광통신 업체 마벨이 AI 수요 급증으로 25년부터 전제품군 가격 인상 단행.
- 실적 및 전망치가 시장 기대를 크게 웃돌고 있으며 가격 인상은 이것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
- 마벨을 고객사로 보유한 국내 업체를 포함해 TSMC 등 AI에서 상위와 관계된 곳 중심 관심.
#미용
- 자료참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2195451
- 클래시스까지 매각 뉴스 나오면서 미용의료기기 대부분 딜 논의가 나오는 중.
- 이렇게 다 팔려나가는 상황에서 성장성이 향후 부각될 수 있는 곳으로 돈이 몰릴 것으로 전망.
- PE가 매각하는데 대기업(삼성/LG)가 의향자로 나섰다는 점에서 아쉬운 것이 사실이나, 대형 PE 역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이 높은 밸류에도 참여하고자 하는 점에서 섹터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딜 밸류는 현재 나온 뉴스 기준 3조원대(지분 61%) 수준. 향후 딜이 섹터 밸류 및 센티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딜 밸류는 지켜볼 필요.
- 이미 시장가치로 높은 밸류를 받고 있고 25~26년 미국/유럽 본격화 단계라는 점은 고려사항.
❤🔥7👍2🫡2💯1
投資, 아레테
특히 AI쪽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NVDA 이외 후발주자들의 AI 매출 본격 확대 구간이 나올 수 있음. 향후 ASIC 투자포인트로도 연결될 수 있는 지점.
https://v.daum.net/v/20241215165103499
#AI #ASIC #유리기판
- ASIC이 국내에서 워킹할 수 있는 이슈는 유리기판 외 크게 없는 것으로 보임.
- 유리기판은 국내 주요 업체들 내용을 들어보면 수요처가 크게 없는 상황에서 일단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ASIC쪽에서 단기간 내 격차를 줄이기 위해 도입 가능.
- 유리기판은 1) 기판 소재 변화 속 유리가 가지는 강점이 명확하고, 2) AI칩 대면적화에 따른 Net Die 감소의 해결책이 될 수 있고, 3) ASIC 시장 확대에 따라 도입 요인이 커지고 있음.
내용도 도입을 검토한다는 정도이니 내용 업데이트 차원에서 보시길
#AI #ASIC #유리기판
- ASIC이 국내에서 워킹할 수 있는 이슈는 유리기판 외 크게 없는 것으로 보임.
- 유리기판은 국내 주요 업체들 내용을 들어보면 수요처가 크게 없는 상황에서 일단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ASIC쪽에서 단기간 내 격차를 줄이기 위해 도입 가능.
- 유리기판은 1) 기판 소재 변화 속 유리가 가지는 강점이 명확하고, 2) AI칩 대면적화에 따른 Net Die 감소의 해결책이 될 수 있고, 3) ASIC 시장 확대에 따라 도입 요인이 커지고 있음.
내용도 도입을 검토한다는 정도이니 내용 업데이트 차원에서 보시길
다음 - 전자신문
브로드컴, 반도체 유리기판 도입 추진
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이 반도체 유리기판 도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텔·AMD에 이어 주문형반도체(ASIC) 시장 1위인 브로드컴도 차세대 반도체 기판을 준비, 시장 확산이 빨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15dlf 업계에 따르면 브로드컴은 자사 반도체 칩에 유리기판(글래스코어)을 적용하기 위한 성능 평가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술 도입 초기
👍15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8E6NR1G
#방산 #AI
- 팔란티어와 안두릴 등이 스페이스X와 오픈AI 등과 손잡고 미국 국방 예산을 따내기 위해 본격 협의 중. 지금까지는 대부분 록히드 마틴 등 전통 방산업체들에 돌아갔으나, 새로운 세대 방위산업체가 되기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차세대 전장화를 위해 New 방위산업체 컨소시엄이 구성되는 것으로 보임.
- 컨소시엄 구상 협상은 현재 진행 중인 사항으로, 이르면 25년 초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 기존 방위산업체들에게 돌아가던 대부분의 예산을 일부 가져올 수 있을지 관심.
- 일론머스크는 최근 미국 전통 방위산업체에게 피해가 될 만한 발언들을 진행하면서 정부 효율과 계획의 일환으로 새로운 컨소시엄을 합류시키려는 것으로 보임. 그리고 새로운 컨소시엄은 전통 방위산업체가 제공하지 못하는 AI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 및 효율화, 통합체계 등을 선보일 것으로 전망.
- 결론적으로 1) 아직 컨소시업 구성이 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남은 상황이고 2) 한국은 절대 이 트렌드를 따라잡을 수 없는 상황이나, 3) 미국에서 방위산업체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측면에서 관심.
- 국내에서는 1) 미국 외 국가들에서는 이 트렌드를 현재 따라가기에는 무리이기 때문에 전통 방위산업을 보유하면서 2) 미국의 트렌드를 쫓아갈 수 있는 시스템/체계/부품 사업도 확보할 수 있는 곳이 유리할 것.
해당 트렌드는 계속해서 팔로우업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됨.
#방산 #AI
- 팔란티어와 안두릴 등이 스페이스X와 오픈AI 등과 손잡고 미국 국방 예산을 따내기 위해 본격 협의 중. 지금까지는 대부분 록히드 마틴 등 전통 방산업체들에 돌아갔으나, 새로운 세대 방위산업체가 되기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차세대 전장화를 위해 New 방위산업체 컨소시엄이 구성되는 것으로 보임.
- 컨소시엄 구상 협상은 현재 진행 중인 사항으로, 이르면 25년 초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 기존 방위산업체들에게 돌아가던 대부분의 예산을 일부 가져올 수 있을지 관심.
- 일론머스크는 최근 미국 전통 방위산업체에게 피해가 될 만한 발언들을 진행하면서 정부 효율과 계획의 일환으로 새로운 컨소시엄을 합류시키려는 것으로 보임. 그리고 새로운 컨소시엄은 전통 방위산업체가 제공하지 못하는 AI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 및 효율화, 통합체계 등을 선보일 것으로 전망.
- 결론적으로 1) 아직 컨소시업 구성이 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남은 상황이고 2) 한국은 절대 이 트렌드를 따라잡을 수 없는 상황이나, 3) 미국에서 방위산업체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측면에서 관심.
- 국내에서는 1) 미국 외 국가들에서는 이 트렌드를 현재 따라가기에는 무리이기 때문에 전통 방위산업을 보유하면서 2) 미국의 트렌드를 쫓아갈 수 있는 시스템/체계/부품 사업도 확보할 수 있는 곳이 유리할 것.
해당 트렌드는 계속해서 팔로우업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됨.
서울경제
팔란티어·안두릴 등 컨소시엄 맺고 美국방사업 입찰 공략…방산판 뒤흔드나
국제 > 정치·사회 뉴스: 인공지능(AI) 데이터분석기업 팔란티어와 자율드론 제조업체 안두릴 등 IT 기반의 미국 신생 방위산업 기업들이 실리콘밸리 테크...
👍17😁1
https://blogs.microsoft.com/on-the-issues/2025/01/03/the-golden-opportunity-for-american-ai/
#AI #빅테크
MSFT가 올해 CAPEX $80bn으로 제시.
기존에 빅테크의 CAPEX에 대한 우려가 있었는데, 1) 실제 매출액 대비 CAPEX가 20% 전후에서 움직이는데, 일반 제조업체들이 매출액 대비 30~40%를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부담스러운 수준이 아닐 것으로 생각했고, 2) Net Cash를 고려하면 현재 매출액 대비 20% 수준은 더 상향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함.
즉, 빅테크들의 CAPEX 우려에 대해 과장된 면이 그동안 있었다고 생각했고 이번 MSFT의 CAPEX 제시가 이를 해소하는 단적인 장면이 될 것으로 보임.
국내 HBM을 포함해 AI 빅테크들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국내 주식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할 수 있을 것.
#AI #빅테크
MSFT가 올해 CAPEX $80bn으로 제시.
기존에 빅테크의 CAPEX에 대한 우려가 있었는데, 1) 실제 매출액 대비 CAPEX가 20% 전후에서 움직이는데, 일반 제조업체들이 매출액 대비 30~40%를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부담스러운 수준이 아닐 것으로 생각했고, 2) Net Cash를 고려하면 현재 매출액 대비 20% 수준은 더 상향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함.
즉, 빅테크들의 CAPEX 우려에 대해 과장된 면이 그동안 있었다고 생각했고 이번 MSFT의 CAPEX 제시가 이를 해소하는 단적인 장면이 될 것으로 보임.
국내 HBM을 포함해 AI 빅테크들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국내 주식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할 수 있을 것.
Microsoft On the Issues
The Golden Opportunity for American AI
A golden opportunity lies ahead for America to harness the transformative power of AI—today’s electricity—to revolutionize the economy, secure global leadership, and build a foundation for prosperity through innovation, skilling,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5✍2
#천연가스 #변압기 #전력 #데이터센터 #AI
-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크게 증가하고 있음. 특히 미국에 주목. AI데이터센터는 높은 전력 밀도를 필요로 함. 기존 데이터센터의 전력 밀도는 4~6kW인 것 대비 CSP용은 10~14kW, AI는 20~40kW가 필요함. 최근 하이퍼스케일러들은 60kW 용량 확보를 목표하기 때문에 기존 데이터센터가 필요로 하는 전력 공급 대비 10배 이상 필요. 이에 전력 쇼티지가 심해질 수 있음.
- AI의 발달로 HPC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높은 전력이 요구되며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함. 전력은 1년 내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태양광 및 풍력은 일정하지 않고 ESS저장장치를 필요로 함. 현실적인 대안은 천연가스. 트럼프는 천연가스 터미널 프로젝트를 부활시키고자 함. 유럽을 미국 에너지 의존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서도 천연가스는 효과적인 선택지.
- 실제 전망을 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수요에 대응해 천연가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석유의 M/S를 가져오고 있음.
- 전력의 경우 AI 서버 확장 과정에서 초고압 중심의 변압기 쇼티지 발생. 미국의 오래된 전력망과 전기차 태동, AI발전 등에 발전소가 잇어도 송전선로에 쓸 변압기가 쇼티지가 난 것. 전선도 결국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선 역시 호황을 누리고 있음.
https://blog.naver.com/centum_tiger/223723298097
-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크게 증가하고 있음. 특히 미국에 주목. AI데이터센터는 높은 전력 밀도를 필요로 함. 기존 데이터센터의 전력 밀도는 4~6kW인 것 대비 CSP용은 10~14kW, AI는 20~40kW가 필요함. 최근 하이퍼스케일러들은 60kW 용량 확보를 목표하기 때문에 기존 데이터센터가 필요로 하는 전력 공급 대비 10배 이상 필요. 이에 전력 쇼티지가 심해질 수 있음.
- AI의 발달로 HPC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높은 전력이 요구되며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함. 전력은 1년 내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태양광 및 풍력은 일정하지 않고 ESS저장장치를 필요로 함. 현실적인 대안은 천연가스. 트럼프는 천연가스 터미널 프로젝트를 부활시키고자 함. 유럽을 미국 에너지 의존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서도 천연가스는 효과적인 선택지.
- 실제 전망을 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수요에 대응해 천연가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석유의 M/S를 가져오고 있음.
- 전력의 경우 AI 서버 확장 과정에서 초고압 중심의 변압기 쇼티지 발생. 미국의 오래된 전력망과 전기차 태동, AI발전 등에 발전소가 잇어도 송전선로에 쓸 변압기가 쇼티지가 난 것. 전선도 결국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선 역시 호황을 누리고 있음.
https://blog.naver.com/centum_tiger/223723298097
NAVER
AI/Conventional 데이터센터 관련 스터디 1st(Feat. 에너지/전력/소재/Cooling system)
#Centumtiger #센텀호랑이 #centum_tiger #AI데이터센터 #IDC #데이터센터 #에너지 #천연가스 #LNG #저전력 #누설전류차단 #전력쇼티지 #데이터센터열관리 #엔비디아 #NVL72 #반도체
👍22
#AI #딥시크
- 딥시크 충격으로 미장 기존 AI 관련 중심으로 급락.
- 상식적으로 딥시크 나타나서 AI 인프라가 종말된다는 것은 납득되지 않음. 다만, 지금까지 의심없이 올랐던 AI 주식들에게 의심과 기스가 발생했고 주가레벨이 높았기 때문에 주가 급락이 발생한 것. 급락은 합리적.
- 필자가 생각하는 신패권주의 관점에서 생각해본다면, 이번 딥시크 충격은 생산성 향상을 크게 불러올 수 있을 것. 과거 미국과 소련의 냉전은 비용소모적인 기술개발이 선행된 이후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화 시대에서 생산성 향상을 이뤘다면 이번 미국과 중국의 경쟁은 경쟁 과정에서 많은 생산성 향상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
- 트럼프의 딥시크 충격 환영 발언 역시 미국의 생산성 향상을 겨냥한 발언이지 중국 것을 적극 도입해서 미국 산업을 죽이겠다는 것이 아님,
- 경쟁 과정에서 생산성 향상이 크게 발생한다면, AI SW 및 AI를 사용하는 엔드유저의 성장은 이전보다 폭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 한편, AI 인프라 업체들의 경우 현재 충격과 언급되는 비관적 전망과 달리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는 100개 칩>100 성능에서 50개 칩>100 성능을 낼 수 있다면 100개 칩>200 성능을 내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
- 결과적으로 1) 이번 충격으로 급락한 AI 인프라들은 생각보다 양호할 것이며, 2) AI SW와 엔드유저에게는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 애플의 주가는 올랐고 SW 업체의 주가 하락은 상대적으로 낮았음.
- 딥시크 충격으로 AI 인프라 종말이 아니라, AI 단일 벤더를 중심으로 껍데기 성장과 주가가 많이 오른 놈이 단일벤더가 기스가 났으니 패는게 아닐까 생각.
- 아예 중국 인터넷 관련 주식 및 ETF를 사는 것도 상대적 대응이 될 것으로 생각.
- 딥시크 충격으로 미장 기존 AI 관련 중심으로 급락.
- 상식적으로 딥시크 나타나서 AI 인프라가 종말된다는 것은 납득되지 않음. 다만, 지금까지 의심없이 올랐던 AI 주식들에게 의심과 기스가 발생했고 주가레벨이 높았기 때문에 주가 급락이 발생한 것. 급락은 합리적.
- 필자가 생각하는 신패권주의 관점에서 생각해본다면, 이번 딥시크 충격은 생산성 향상을 크게 불러올 수 있을 것. 과거 미국과 소련의 냉전은 비용소모적인 기술개발이 선행된 이후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화 시대에서 생산성 향상을 이뤘다면 이번 미국과 중국의 경쟁은 경쟁 과정에서 많은 생산성 향상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
- 트럼프의 딥시크 충격 환영 발언 역시 미국의 생산성 향상을 겨냥한 발언이지 중국 것을 적극 도입해서 미국 산업을 죽이겠다는 것이 아님,
- 경쟁 과정에서 생산성 향상이 크게 발생한다면, AI SW 및 AI를 사용하는 엔드유저의 성장은 이전보다 폭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 한편, AI 인프라 업체들의 경우 현재 충격과 언급되는 비관적 전망과 달리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는 100개 칩>100 성능에서 50개 칩>100 성능을 낼 수 있다면 100개 칩>200 성능을 내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
- 결과적으로 1) 이번 충격으로 급락한 AI 인프라들은 생각보다 양호할 것이며, 2) AI SW와 엔드유저에게는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 애플의 주가는 올랐고 SW 업체의 주가 하락은 상대적으로 낮았음.
- 딥시크 충격으로 AI 인프라 종말이 아니라, AI 단일 벤더를 중심으로 껍데기 성장과 주가가 많이 오른 놈이 단일벤더가 기스가 났으니 패는게 아닐까 생각.
- 아예 중국 인터넷 관련 주식 및 ETF를 사는 것도 상대적 대응이 될 것으로 생각.
👍35
#AI #SW #CAPEX
- 어드반: AI 수요 증가로 컨센 상회 및 상향 조정. 25년 사업 대부분 데이터센터 주도.
- MSFT: AI 커머디티화, AI사업매출 YoY+175% 기록, AI 인프라 CAPEX 분기별 증가
- META: 25년 AI 및 기술인재 확보 주력. 25년 CAPEX AI 중심 상향 조정.
- IBM: AI 전환 및 생성형 AI 사업 크게 증가.
- 전반적으로 어닝콜을 진행한 테크 업체들은 AI의 커머디티화에 대한 AI 수요 확산을 기대하고 있음. 빅테크 업체들은 딥시크 영향에 대해 파악 중인 정도로 소통하고 있으나 CAPEX가 둔화된 조짐은 보이지 않고 인프라 투자는 상향한다는 입장을 유지중에 있음.
- 어닝콜에서 1) 투자자들이 우려하고 있는 CAPEX 둔화 조짐 및 조정은 나타나지 않았고, 2) 딥시크로 인한 AI커머디티화로 AI 활용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강하게 보이고 있음.
- 기존 내용에서의 우려는 덮었고 AI를 활용한 SW 확대 기대감이라는 새로운 내용을 잘 언급.
- 어드반: AI 수요 증가로 컨센 상회 및 상향 조정. 25년 사업 대부분 데이터센터 주도.
- MSFT: AI 커머디티화, AI사업매출 YoY+175% 기록, AI 인프라 CAPEX 분기별 증가
- META: 25년 AI 및 기술인재 확보 주력. 25년 CAPEX AI 중심 상향 조정.
- IBM: AI 전환 및 생성형 AI 사업 크게 증가.
- 전반적으로 어닝콜을 진행한 테크 업체들은 AI의 커머디티화에 대한 AI 수요 확산을 기대하고 있음. 빅테크 업체들은 딥시크 영향에 대해 파악 중인 정도로 소통하고 있으나 CAPEX가 둔화된 조짐은 보이지 않고 인프라 투자는 상향한다는 입장을 유지중에 있음.
- 어닝콜에서 1) 투자자들이 우려하고 있는 CAPEX 둔화 조짐 및 조정은 나타나지 않았고, 2) 딥시크로 인한 AI커머디티화로 AI 활용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강하게 보이고 있음.
- 기존 내용에서의 우려는 덮었고 AI를 활용한 SW 확대 기대감이라는 새로운 내용을 잘 언급.
👍26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조선/LNG, 방산, 화장품/미용, 전력, 바이오
- 상대강도: 바이오, 테크, 전력, 조선/LNG, 방산, 원전, 우주항공
- 신고가(60일 기준): 전력, 테크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조선/LNG, 방산, 전력, 바이오
#한화오션
- 4Q 실적은 일회성 및영업외 이슈로 실적 효과 발생.
- 상선 부문 생산 안정화 과정에서 이익 확대. LNG 비중 높아지면서 수익성 개선 지속될 것.
- 24년 MRO는 2척, 25년 5~6척 수주를 기대. 현재 CAPA 이슈는 없음.
- 미 MRO사업 하위 티어>상위 티어로 점진적 확대할 계획.
#현대로템
- 기본적으로 유럽 방위 주식들이 NATO 방위비 확대에 따라 매우 우호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PGZ 회장이 그룹 재정 상황이 낙관적이라 향후 수년간 기록적인 금액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힘.
- 한편, 24년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로 현대로템과의 컨소시업 계약을 언급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계약에 대한 가시적 내용이 나타나고 있음.
#경동나비엔
- 4Q24 매출액 성장률이 다소 낮았던 것은 북미향 물량이 상당 이연된 것에 기인. 이익률 역시 1) 북미 신제품 관련 일회성, 2) 환율 상승에 따른 북미 판관비 증가 등으로 하회.
- 1Q25는 경상적인 성장률인 15%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북미향 이연 물량 해소 및 신제품 물량 증가에 기인.
- 25년 매출액 1.6조, 영업이익 1,650억 가이던스 제시. 신제품 물량 확대에 따라 추가 업사이드 존재. 본업 성장을 Base로 깔린 상황에서 신제품에 대한 F/U 필요.
#알테오젠
- 투경해제 이후 유의미한 거래와 함께 구간 돌파하려고 시도 중.
- 미국장 내 테크 파급력과 별개로 헬스케어 내 상황은 상승추세 유지.
- 알테오젠 뿐 아니라 전반적인 바이오도 최근 유동성과 상대강도가 조금씩 잡히는 모습.
#LSELECTRIC
- 전반적으로 기존 내용은 가장 밋밋하고 숫자적으로 두드러지지는 못하지만 4Q 실적으로 단기적인 숫자 해소는 완료한 상황에서 내러티브는 가장 강해질 수 있는 구간이라고 생각.
- 국내에서 유일하게 xAI, 에퀴닉스, 아마존, 버티브 등 글로벌 Top 빅테크와의 공급 및 긍정적 관계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고 있어 동사가 주목받을 수 있는 환경.
- 회사에 따르면 총 데이터센터 비용의 30% 가량이 배전설비에 들어가는데, 동사는 데이터센터쪽 배전반에 집중하고 있어 비용 기준으로 들어갈 수 있는 시장의 규모는 작지는 않은 것으로 보임.
#AI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533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538
- 1) AI 인프라 성장은 동반될 수밖에 없을 것, 2) AI SW와 엔드유저에게는 성장이 촉진될 것, 3) 아예 중국 관련 주식도 유효할 것.
#LNG
- 자료참고: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W9ANCEG?OutLink=telegram
- 미국산 천연가스 최대 700만톤 추가로 들여오는 방안 추진. 카타르와 맺었던 천연가스 장기계약이 지난해 말부터 만기 도래하면서 물량을 미국산 LNG로 대체하겠다는 계획.
- 22년 기준 국내 천연가스 수입량은 4,640만톤 수준이며 24년 미국산 천연가스 수입량은 563만톤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때 꽤 유의미한 물량이 미국산 수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LNG 수입 및 트레이딩 업체에게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조선/LNG, 방산, 화장품/미용, 전력, 바이오
- 상대강도: 바이오, 테크, 전력, 조선/LNG, 방산, 원전, 우주항공
- 신고가(60일 기준): 전력, 테크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조선/LNG, 방산, 전력, 바이오
#한화오션
- 4Q 실적은 일회성 및영업외 이슈로 실적 효과 발생.
- 상선 부문 생산 안정화 과정에서 이익 확대. LNG 비중 높아지면서 수익성 개선 지속될 것.
- 24년 MRO는 2척, 25년 5~6척 수주를 기대. 현재 CAPA 이슈는 없음.
- 미 MRO사업 하위 티어>상위 티어로 점진적 확대할 계획.
#현대로템
- 기본적으로 유럽 방위 주식들이 NATO 방위비 확대에 따라 매우 우호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PGZ 회장이 그룹 재정 상황이 낙관적이라 향후 수년간 기록적인 금액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힘.
- 한편, 24년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로 현대로템과의 컨소시업 계약을 언급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계약에 대한 가시적 내용이 나타나고 있음.
#경동나비엔
- 4Q24 매출액 성장률이 다소 낮았던 것은 북미향 물량이 상당 이연된 것에 기인. 이익률 역시 1) 북미 신제품 관련 일회성, 2) 환율 상승에 따른 북미 판관비 증가 등으로 하회.
- 1Q25는 경상적인 성장률인 15%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북미향 이연 물량 해소 및 신제품 물량 증가에 기인.
- 25년 매출액 1.6조, 영업이익 1,650억 가이던스 제시. 신제품 물량 확대에 따라 추가 업사이드 존재. 본업 성장을 Base로 깔린 상황에서 신제품에 대한 F/U 필요.
#알테오젠
- 투경해제 이후 유의미한 거래와 함께 구간 돌파하려고 시도 중.
- 미국장 내 테크 파급력과 별개로 헬스케어 내 상황은 상승추세 유지.
- 알테오젠 뿐 아니라 전반적인 바이오도 최근 유동성과 상대강도가 조금씩 잡히는 모습.
#LSELECTRIC
- 전반적으로 기존 내용은 가장 밋밋하고 숫자적으로 두드러지지는 못하지만 4Q 실적으로 단기적인 숫자 해소는 완료한 상황에서 내러티브는 가장 강해질 수 있는 구간이라고 생각.
- 국내에서 유일하게 xAI, 에퀴닉스, 아마존, 버티브 등 글로벌 Top 빅테크와의 공급 및 긍정적 관계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고 있어 동사가 주목받을 수 있는 환경.
- 회사에 따르면 총 데이터센터 비용의 30% 가량이 배전설비에 들어가는데, 동사는 데이터센터쪽 배전반에 집중하고 있어 비용 기준으로 들어갈 수 있는 시장의 규모는 작지는 않은 것으로 보임.
#AI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533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538
- 1) AI 인프라 성장은 동반될 수밖에 없을 것, 2) AI SW와 엔드유저에게는 성장이 촉진될 것, 3) 아예 중국 관련 주식도 유효할 것.
#LNG
- 자료참고: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W9ANCEG?OutLink=telegram
- 미국산 천연가스 최대 700만톤 추가로 들여오는 방안 추진. 카타르와 맺었던 천연가스 장기계약이 지난해 말부터 만기 도래하면서 물량을 미국산 LNG로 대체하겠다는 계획.
- 22년 기준 국내 천연가스 수입량은 4,640만톤 수준이며 24년 미국산 천연가스 수입량은 563만톤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때 꽤 유의미한 물량이 미국산 수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LNG 수입 및 트레이딩 업체에게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
👍47😁2
#빅테크 #AI #LNG #CAPEX 4Q 주요 어닝콜
- #MSFT: AI 비용이 낮아질수록 사람들은 더 많이 소비할 것이고,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될 것. 이런 최적화가 진행된다는 것은 AI가 훨씬 보편화되는 것을 의미. 하이퍼스케일러 및 플랫폼 제공업체에게 이것은 전부 좋은 소식이 될 것.
- #ETN: AI 기술이 더 많이 채택될수록 학습용 데이터센터보다 추론 데이터센터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고 생각함. 그러나 이는 제공하는 제품 포트폴리오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슈가 없음. 더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추론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수 있다면 건설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고 전력 업체에게는 매우 긍정적인 요소가 될 것. 딥시크 이후 주요 고객사들과 직접 논의한 결과 투자 계획 및 시장 전망이 변한 부분 없음.
- #META: 글로벌 AI 중심이 미국이 되도록 해야하며, 이것이 우리의 목표. AI 모데링 더 널리 사용될수록 플랫폼 업체들에게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짐.
- #CLS: 데이터센터 업스케일링으로 인해 400G와 800G 네트워크 가속기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800G 매출은 300~400% 증가할 것으로 전망. AI데이터센터는 맞춤형 설계가 필요하며 동사는 이를 지원하고 있음. AI 모델이 확산될수록 고대역폭 네트워크 수요가 증가할 전망.
- #BKR: 당장의 LNG 인허가 중단에서 역대 두번째 높은 주문 수치 기록. 향후 24~26년 사이 글로벌 LNG FID가 100MPTA(23년 기준 글로벌 생산 400MPTA) 가량 이뤄질 것으로 전망. 이 중 25~26년 약 80MPTA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설치된 LNG가스터빈 증가로 서비스 수요 급증. 2030년까지 50% 증가를 전망.
- #MSFT: AI 비용이 낮아질수록 사람들은 더 많이 소비할 것이고,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될 것. 이런 최적화가 진행된다는 것은 AI가 훨씬 보편화되는 것을 의미. 하이퍼스케일러 및 플랫폼 제공업체에게 이것은 전부 좋은 소식이 될 것.
- #ETN: AI 기술이 더 많이 채택될수록 학습용 데이터센터보다 추론 데이터센터 비중이 더 커질 것이라고 생각함. 그러나 이는 제공하는 제품 포트폴리오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슈가 없음. 더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추론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수 있다면 건설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고 전력 업체에게는 매우 긍정적인 요소가 될 것. 딥시크 이후 주요 고객사들과 직접 논의한 결과 투자 계획 및 시장 전망이 변한 부분 없음.
- #META: 글로벌 AI 중심이 미국이 되도록 해야하며, 이것이 우리의 목표. AI 모데링 더 널리 사용될수록 플랫폼 업체들에게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아짐.
- #CLS: 데이터센터 업스케일링으로 인해 400G와 800G 네트워크 가속기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800G 매출은 300~400% 증가할 것으로 전망. AI데이터센터는 맞춤형 설계가 필요하며 동사는 이를 지원하고 있음. AI 모델이 확산될수록 고대역폭 네트워크 수요가 증가할 전망.
- #BKR: 당장의 LNG 인허가 중단에서 역대 두번째 높은 주문 수치 기록. 향후 24~26년 사이 글로벌 LNG FID가 100MPTA(23년 기준 글로벌 생산 400MPTA) 가량 이뤄질 것으로 전망. 이 중 25~26년 약 80MPTA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설치된 LNG가스터빈 증가로 서비스 수요 급증. 2030년까지 50% 증가를 전망.
👍31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조선/LNG, AI SW, 테크, 밸류업, 방산, 화장품/미용, 전력
- 상대강도: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음식료, 전력, 방산, AI SW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음식료, 전력, 방산, AI SW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화장품/미용, 전력, 방산, AI SW, 테크
- 특이적인 유동성: 필옵틱스, 에치에프알, 삼양식품, 한화솔루션, SOOP, HD현대인프라코어
#현대로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578
- 이번 실적과 컨콜에서 확인할 수 있는 3가지 포인트는 1) 일회성 비용 1,400억에도 불구하고 컨센 인라인하는 실적, 2) K2 수주에 대한 자신감, 3) 철도 사업 정상화에 따른 Base 마진 확대.
- 일회성 비용의 경우 20년 이전 철도 사업 리스크에 대한 부분을 일괄적으로 반영하여 비용을 한번에 인식한 결과. 여기서 주목할 것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센서스에 인라인한 실적을 기록했다는 것. 동사의 사업부 중 내수 방산은 4Q 양산 계절성 고려, 철도는 비용 반영 고려, 에코플랜트는 기존과 유사한 수준의 마진을 기록하는 등 평소와 크게 다르지 않은 마진을 기록했다는 가정 하에, 수출 마진이 30% 후반~40% 초반에 이르는 엄청난 마진을 보여줌. 이 숫자는 환율을 제외하더라도 놀라운 수준. 이러한 실적을 우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경험한 바 있으며, 마진이 본격적으로 높아지는 시점에서 기존 K2 수출 마진을 다시 생각해볼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 25년 1조 영업이익 논리가 부담스럽지 않게 되는 그림.
- K2 수주의 자신감의 경우, 실적 발표 직후 IR에서 K2 수주 절벽은 단연코 없다고 반복적으로 강조한 바 있음. 이는 현재 시장에서 잠재 위험으로 생각하고 있고 실제 가장 위협이 될 수 있는 수주 절벽에 따른 실적 하락을 막을 수 있는 요소이며 이러한 수준의 마진과 숫자를 보여준 상황에서 20년대 후반까지 수주를 넓힐 수 있다면 동사의 중요한 리레이팅 요소가 될 것. 실제 여러 정황상으로도 정상적으로 일이 진행되고 있고 머지 않은 것으로 보임.
- 철도 사업 정상화의 경우, 기존 철도 사업은 BEP만 해도 무난한 사업이었음. 그러나 이번에 비용 반영을 대규모로 진행한 이후 회사는 철도 사업 정상화를 공식적으로 언급했으며 수익성을 내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 전체 매출에서 유의미한 비중을 차지하는 규모이기 때문에 완연한 흑자 기조로 돌아서게 된다면 동사의 Base 마진을 높여줄 수 있는 좋은 요소가 될 것.
- 국내외 증권사 TP 10원 이상으로 상향 릴레이. 본인 역시 10만원 가능해보임.
#엠앤씨솔루션
- 현대로템 IR에서 K2 수주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줌. 동사는 현재 K2, K9, 레드백, FA-50 등 주요 수출 품목에 거의 대부분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현재 K2 2차 수주가 확실히 진행된다면 주요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종목. 이미 주요 수출 품목으로 인해 성장이 가파르게 나오고 있는 업체인데, K2 2차가 나온다면 성정 곡선이 향후에도 현재 수준 이상으로 올라올 수 있는 업체.
- 한편, 25년 L-SAM 수출 계약이 LIG넥스원을 통해 기대되는데, 동사는 L-SAM 역시 부품을 공급하기 때문에 수출 계약에 따른 수주 역시 유의미하게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25년 K2 2차, L-SAM 등의 수출 계약이 진행된다면 수출 마진은 더블디짓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동사의 실적 성장 곡선은 더욱 가팔라질 것. 베타주로 관심.
#AI #전력
- HBM 내 추론 수요 증가가 제한될 것이며 ASIC 내 HBM 채택률이 낮다는 내용에 대해 1) 추론 업스케일링이 고도화되면 HBM 수요 증가는 필연적이며, 2) ASIC 커스텀 칩의 경우 칩당 HBM 숫자는 현재 8개 이상에서 12개 이상으로 확대될 것. 이에 따른 증가분도 고려해야 함. 추론 업스케일링이 확대되고 ASIC 수요가 확대되는 전제 하에서 HBM 수요 증가 둔화 단정은 쉽게 할 수 없다고 생각.
- 추론용 데이터센터 증가 및 AI 보편화에 따른 전력 수요 확대 기대감은 현재까지 유효한 것으로 보임. 다만, 빅테크의 CAPEX는 딥시크 이후 단기간 내 수정이 쉽지 않았을 것이기에 차분기 어닝콜에서 CAPEX 내용을 확인해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으로 전망.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조선/LNG, AI SW, 테크, 밸류업, 방산, 화장품/미용, 전력
- 상대강도: 바이오, 테크, 화장품/미용, 음식료, 전력, 방산, AI SW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음식료, 전력, 방산, AI SW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화장품/미용, 전력, 방산, AI SW, 테크
- 특이적인 유동성: 필옵틱스, 에치에프알, 삼양식품, 한화솔루션, SOOP, HD현대인프라코어
#현대로템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578
- 이번 실적과 컨콜에서 확인할 수 있는 3가지 포인트는 1) 일회성 비용 1,400억에도 불구하고 컨센 인라인하는 실적, 2) K2 수주에 대한 자신감, 3) 철도 사업 정상화에 따른 Base 마진 확대.
- 일회성 비용의 경우 20년 이전 철도 사업 리스크에 대한 부분을 일괄적으로 반영하여 비용을 한번에 인식한 결과. 여기서 주목할 것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센서스에 인라인한 실적을 기록했다는 것. 동사의 사업부 중 내수 방산은 4Q 양산 계절성 고려, 철도는 비용 반영 고려, 에코플랜트는 기존과 유사한 수준의 마진을 기록하는 등 평소와 크게 다르지 않은 마진을 기록했다는 가정 하에, 수출 마진이 30% 후반~40% 초반에 이르는 엄청난 마진을 보여줌. 이 숫자는 환율을 제외하더라도 놀라운 수준. 이러한 실적을 우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경험한 바 있으며, 마진이 본격적으로 높아지는 시점에서 기존 K2 수출 마진을 다시 생각해볼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 25년 1조 영업이익 논리가 부담스럽지 않게 되는 그림.
- K2 수주의 자신감의 경우, 실적 발표 직후 IR에서 K2 수주 절벽은 단연코 없다고 반복적으로 강조한 바 있음. 이는 현재 시장에서 잠재 위험으로 생각하고 있고 실제 가장 위협이 될 수 있는 수주 절벽에 따른 실적 하락을 막을 수 있는 요소이며 이러한 수준의 마진과 숫자를 보여준 상황에서 20년대 후반까지 수주를 넓힐 수 있다면 동사의 중요한 리레이팅 요소가 될 것. 실제 여러 정황상으로도 정상적으로 일이 진행되고 있고 머지 않은 것으로 보임.
- 철도 사업 정상화의 경우, 기존 철도 사업은 BEP만 해도 무난한 사업이었음. 그러나 이번에 비용 반영을 대규모로 진행한 이후 회사는 철도 사업 정상화를 공식적으로 언급했으며 수익성을 내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 전체 매출에서 유의미한 비중을 차지하는 규모이기 때문에 완연한 흑자 기조로 돌아서게 된다면 동사의 Base 마진을 높여줄 수 있는 좋은 요소가 될 것.
- 국내외 증권사 TP 10원 이상으로 상향 릴레이. 본인 역시 10만원 가능해보임.
#엠앤씨솔루션
- 현대로템 IR에서 K2 수주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줌. 동사는 현재 K2, K9, 레드백, FA-50 등 주요 수출 품목에 거의 대부분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현재 K2 2차 수주가 확실히 진행된다면 주요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종목. 이미 주요 수출 품목으로 인해 성장이 가파르게 나오고 있는 업체인데, K2 2차가 나온다면 성정 곡선이 향후에도 현재 수준 이상으로 올라올 수 있는 업체.
- 한편, 25년 L-SAM 수출 계약이 LIG넥스원을 통해 기대되는데, 동사는 L-SAM 역시 부품을 공급하기 때문에 수출 계약에 따른 수주 역시 유의미하게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25년 K2 2차, L-SAM 등의 수출 계약이 진행된다면 수출 마진은 더블디짓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동사의 실적 성장 곡선은 더욱 가팔라질 것. 베타주로 관심.
#AI #전력
- HBM 내 추론 수요 증가가 제한될 것이며 ASIC 내 HBM 채택률이 낮다는 내용에 대해 1) 추론 업스케일링이 고도화되면 HBM 수요 증가는 필연적이며, 2) ASIC 커스텀 칩의 경우 칩당 HBM 숫자는 현재 8개 이상에서 12개 이상으로 확대될 것. 이에 따른 증가분도 고려해야 함. 추론 업스케일링이 확대되고 ASIC 수요가 확대되는 전제 하에서 HBM 수요 증가 둔화 단정은 쉽게 할 수 없다고 생각.
- 추론용 데이터센터 증가 및 AI 보편화에 따른 전력 수요 확대 기대감은 현재까지 유효한 것으로 보임. 다만, 빅테크의 CAPEX는 딥시크 이후 단기간 내 수정이 쉽지 않았을 것이기에 차분기 어닝콜에서 CAPEX 내용을 확인해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으로 전망.
👍33✍6😁4
#데이터센터 #AI
WSJ에 따르면 계획이 완성되면 한국에는 전력 사용량만 3기가와트에 이르는 총비용 350억달러(약 50조원)짜리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WSJ은 전세계에 1기가와트 이상의 전력이 필요할 만큼 엄청난 규모의 AI 반도체가 집적된 곳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 투자 그룹 설립자는 LG그룹 창업자 손자인 브라이언 구, 런던과 요르단에 본사들 둔 바드르(BADR) 인베스트먼츠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아민 바드르 엘 딘이다.
-> '브라이언 구' 이러길래 검머외인가 순간 생각했는데 LG그룹 손자&LS그룹 장남이네용
https://naver.me/FdCavQrB
WSJ에 따르면 계획이 완성되면 한국에는 전력 사용량만 3기가와트에 이르는 총비용 350억달러(약 50조원)짜리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WSJ은 전세계에 1기가와트 이상의 전력이 필요할 만큼 엄청난 규모의 AI 반도체가 집적된 곳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 투자 그룹 설립자는 LG그룹 창업자 손자인 브라이언 구, 런던과 요르단에 본사들 둔 바드르(BADR) 인베스트먼츠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아민 바드르 엘 딘이다.
-> '브라이언 구' 이러길래 검머외인가 순간 생각했는데 LG그룹 손자&LS그룹 장남이네용
https://naver.me/FdCavQrB
Naver
“한국에 50조원짜리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 WSJ
한 투자 그룹이 한국에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계획이 완성되면 한국에는 전력 사용량만 3기가와트에 이르는 총
🫡19
#AI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국가전략기술 사업화 시설로 지정돼 각종 세제혜택을 받게 된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한 100조원 규모 지원사업도 속도를 낸다. 현재 추진 중인 50조원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증액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기획재정부는 AI 데이터센터를 국가전략기술 사업화 시설로 분류해 세제 혜택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정부는 반도체·2차전지 등 8개 분야를 국가전략기술 시설로 지정해 투자금액에 대해 15~25%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데, AI 분야까지 지원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다.
---------------------------------
테크 포지션과 함께 지속적으로 체크해야 할 국내 데이터센터 본격화 국면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511121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국가전략기술 사업화 시설로 지정돼 각종 세제혜택을 받게 된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한 100조원 규모 지원사업도 속도를 낸다. 현재 추진 중인 50조원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증액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기획재정부는 AI 데이터센터를 국가전략기술 사업화 시설로 분류해 세제 혜택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정부는 반도체·2차전지 등 8개 분야를 국가전략기술 시설로 지정해 투자금액에 대해 15~25%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데, AI 분야까지 지원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다.
---------------------------------
테크 포지션과 함께 지속적으로 체크해야 할 국내 데이터센터 본격화 국면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511121
Naver
[단독] AI데이터센터도 반도체처럼 稅혜택...국가전략시설 지정해 최대 25% 공제
국정기획委, 부처별 업무보고 100조원 규모 전략투자 구체화 50조 규모서 연기금 등 증액도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국가전략기술 사업화 시설로 지정돼 각종 세제혜택을 받게 된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