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ded Narratives
3.51K subscribers
3.18K photos
141 videos
17 files
822 links
Explain how narratives can influence the global economy, sharing personal outlook
※ 해당 채널 내 모든 자료/인사이트는 특정 회사/개인과 관계 없는 저의 개인적 정보/의견에 해당합니다. 또한 채널 내 종목 관련 내용은 매수/매도 투자권유가 아니며 만약 거래하여 손실시 거래당사자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Download Telegram
Citi: 2025년 메모리 시장 전망

➡️ 프리미엄 메모리/일반 메모리 간의 지속적인 decoupling 현상 지속 예상: AI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메모리 수요가 점점 집중되는 흐름 때문
➡️ 이에 따라, 일반 메모리의 장기적인 약세로 메모리 공급업체들은 공격적인 설비 투자 계획 자제: 대신, 첨단 공정 노드 확장에 초점을 맞춘 절제 된 설비투자 계획을 실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조는 2025년 제한적인 공급 증가로 이어질 것

1️⃣ DRAM 시장 전망 [그림 1]
- 공급업체들이 1b/1c nm 공정 투자를 확대하여 HBM 및 AI DRAM의 성능 개선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
- DRAM 시장의 전반적인 회복 2025년 2분기 (컨센서스 3분기보다 앞서)
- DRAM 가격이 2025년 2분기(2Q25E)부터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 이러한 회복은 AI 관련 수요 증가(온디바이스 AI 및 AI 기반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 포함), HBM 및 DDR5로의 전환에 따른 다이(Net die) 손실,
차세대 HBM 제품의 프리미엄 가격 형성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2026년 AI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한 데이터센터 고객들의 조기 조달 가속화 및 인벤토리 정상화에 힘입어 서버용 DDR5 수요의 강한 반등이 기대

2️⃣ NAND 시장 전망 [그림 2]
- 공급업체들이 기존 노드를 200단 이상(NAND >200-layer) 고급 NAND 노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투자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
- NAND 가격이 2025년 3분기부터 회복될 것으로 예상 (컨센서스 4분기보다 앞서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2
WAR IS COMING

(WSJ) 중국 대사관: 미국이 전쟁을 원한다면, 그것이 관세 전쟁이든, 무역 전쟁이든, 그 어떤 형태의 전쟁이든 간에 우리는 끝까지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

#NEWS
😢10👏2👍1
Stagflation

- [그림 1] 현재 전 세계 59%의 펀드매니저가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하고 있음
- 그러나 전체 시간 중 95% 스태그플레이션 피해

#INDEX
👍7🔥2
Goldman Sachs: 최신 TMT 관련

1️⃣ Disruptive Technology Symposium (DTS)
- OpenAI CFO, Helsing & Nebius CEO, Wise 공동 창업자 등이 참여하는 기술 컨퍼런스 진행: 30개 이상의 테크 스타트업들이 참여 (해당 컨퍼런스는 웹캐스트로 중계되지 않음)
- 1일 차: 사모펀드들이 AI 투자 방향을 두고 논쟁 중
➡️ 핵심 질문: AI Foundation Models vs. AI Software Layer 중 어디에 투자할 것인가?
1) 첫 번째 패널에서는 FM은 점점 상품화되고 있으므로 피하라는 의견
- 많은 PE 투자자들은 기본 모델 경쟁 심화 및 가격 하락이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고 평가
2) 반대 의견 (FM 선호)
- Lightspeed: 최근 Anthropic의 35억 달러(Series E) 투자 라운드 주도. 기본 모델 계층이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주장. 기본 모델은 2009~2010년의 하이퍼스케일러(AWS, Azure, GCP)와 유사. 당시에도 경쟁 심화와 표준화로 인해 투자 가치가 낮다고 평가되었으나, 결국 클라우드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 기본 모델이 향후 AI 생태계의 기반이 될 것이며, 장기적인 가치를 창출할 것AWS는 5~7년이 걸려 연매출 10억 달러 달성, 하지만 OpenAI는 2년 만에 이를 달성
- Poolside(또 다른 AI 기본 모델 스타트업)의 접근법: 코드 실행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 학습 기반 AI 모델. 기존 모델보다 10배 빠른 코드 자동완성 엔진 제공. 최대 100만 개의 토큰 컨텍스트 윈도우 지원. AGI로 가는 길에 더 많은 연산 자원이 필요할 것 (ex) 현재 10,000개의 GPU가 필요하지만, 향후 같은 성능을 2,000개의 GPU로 구현 가능)
➡️AI 시장 내 또 다른 흐름: OpenAI는 현재 소비자 중심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기업 시장 기회도 주목받고 있음. AI 에이전트 기술이 발전하면서 특정 LLM이나 클라우드 인프라에 종속되지 않는 방향이 중요해질 것

2️⃣ 데이터 위한 M&A & IPO
- 개인 및 기업 데이터 활용 기회 증가: AI 시장이 발전하면서 민간 기업이 소유한 비공개 데이터 활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 Third-party AI 모델과 이 데이터를 결합하는 전략이 부상 중
- M&A 전망: 미국 규제 완화가 예상되면서 기업 간 M&A가 활발해질 것
- IPO 시장도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 다만, 현재 벤처캐피털 투자 밸류에이션을 고려할 때 IPO 시장에서는 ‘Down Round’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유니콘 IPO 전망:향후 5년간 30~35개 유니콘 기업이 IPO 진행 예상 (현재 유니콘 기업의 약 10%)
- 주목할 만한 두 개 기업
1) Pragmatic Semiconductors: 플렉서블 집적회로 (FlexlCs) 기술 개발실리콘 칩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특정 영역에서 강점
- FlexICs: 비용 절감, 유연성,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저전력·저비용 애플리케이션. 적용 가능 분야:스마트 패키징/IoT 기기/기본적인 연산이 필요한 저전력 애플리케이션
2) Vertice: 기업의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비용 절감 지원탈중앙화된 소프트웨어 조달의 비효율성을 해결. SaaS 및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제공
현재 대부분의 SaaS 모델이 가격 인상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비용 절감 솔루션을 보장한다는 점이 흥미로움
3️⃣ 그 외 중요 이슈
- 반도체 및 하드웨어: TSMC 미국에 1,000억 달러 추가 투자: 총 투자 규모 1,650억 달러 투자 내역
1) 반도체 공장(Fab) 3개 건설첨단 패키징 시설 2개
2) 애리조나에 대규모 R&D 센터 건립
3) 투자 목적:대만 생산 집중에 따른 지리적 리스크 분산 미국 고객 수요 충족
4) 재무적 영향: 장기 목표 수익률(Gross Margin) 53% 유지
5) 해외 확장으로 인해 향후 5년간 수익률 2~3% 하락 예상: 인텔과의 합작 투자 가능성 언급 없음 - TSMC의 독립 전략 확인
- DISCO (일본 반도체 장비 기업) CEO 미팅: 생성형 AI 장비 수요 안정적. HBM 부문 일부 둔화주요 성장 동력: PLP(판넬 레벨 패키징), 하이브리드 본딩, 자동화 장비. 단기적 촉매 요인은 제한적이나, 장기 성장 전망 긍정적
- 중국, RISC-V 칩 사용 확대 정책 발표 (관련 기업들의 가격 상승)
- 애플 공급망 관련 소식: iPhone 16e 출시 후, 새로운 'Air' 시리즈 추가 예정TSMC N3E M4 칩 사용: TSMC, Hon Hai, Quanta, Compal, Merry 등 공급업체 수혜 예상
- 트럼프 대통령의 Chips Act 폐지 주장: Chips Act 지원 받은 반도체 기업
1) 인텔: $8.5B 보조금 + 최대 $11B 대출
2) 삼성전자: 최대 $6.4B 지원
3) TSMC: 최대 $6.6B 지원 + $5B 대출
4) 마이크론: $6.1B 지원 + $7.5B 대출
5) 기타: GlobalFoundries, Texas Instruments, Applied Materials, Lam Research (몇 일 전 공유)등
- 트럼프 행정부 이후 주요 경제 변화
1) Stargate 프로젝트: 4년간 $5,000억 투자Apple: 4년간 미국 내 $5,000억 투자 계획
2) TSMC: 미국 내 $1,000억 추가 투자 발표 (일부에서는 인텔과의 경쟁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
3) 중국 정부, RISC-V 아키텍처 도입 장려 및 설계 기업 지원 가능성 제기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5
Nomura Trader Note: The return of "Trump Gamma Shocks"

1️⃣ 트럼프 다시 한 번 Gamma Man으로서의 면모
- [그림 1] 트럼프 1기 과거 사례: 증시 약세에도 불구하고 무역 갈등을 고조시킬 의지가 있음을 보여줌 (비교적 강한 인내력) (2019년 9월 시장에 반응하여 트럼프는 10월 예정된 관세 부과 시점을 연기했고,결국 해당 관세를 철회한 예외 사례 있으나 일관된 대응 경로는 아녔음)
- 독일/유럽을 사실상 역대 수준의 재정 정책 전환으로 몰아넣어: 이는 글로벌 경제에 중대한 영향. 독일 차기 총리로 예상되는 메르츠는 “무엇이든 하겠다”며, 채무제한 완화를 제안하여 GDP 대비 1%를 초과하는 무제한 국방 지출을 허용, 10년 동안 5,000억 유로 규모의 특수목적기구 인프라 재건 기금 조성 등 (긍정적인 점은 유럽 디스인플레이션 Tail risk 확률 축소)
- 이는 트럼프 “의도적인 정책 혼란” 때문: 재정 적자 위기/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정책 변화를 추진했으며 이에 맞춰 유럽이 대응할 수밖에 없게 된 것
- 또한, 수십 년 간 지속된 유럽 제조업 부문의 탈산업화가 과도한 규제/탄소중립 및 기후정책 등의 영향으로 심화되었으나 이제는 대안이 없어 강제적으로 되돌려질 가능성

2️⃣Trump Put은 어디? (주식 시장 하락 시 개입하여 지지)
- [그림 2] Trump Put이 더 깊이 OTM (빨간점: 하락 중에도 더 공격적인 무역 발언)에 위치해 있으며 “부(富)의 역효과”가 트럼프 행정부가 의도적으로 수용하는 요소라고 주장한 부분이 최근 주목 받아: 목표는 정부 지출 과잉 모델에서 민간 주도 성장 추구
- 하지만 이 접근 방식은 매우 위험성이 크다: 시장 충격 속도가 빨라지면 트럼프도 완화적인 톤을 시험적으로 사용할 가능성 (캐나다/멕시코 관세 협상에서 Lutnick이 부드러운 태도를 보인 것과 유사)

#MACRO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3
현재 레벨에서 하락 배팅 확신은 축소되었지만 변동성에 대한 수요는 여전

1. 숏 포지션 확신은 축소: [그림 1] 아래 영역을 보면, S&P500을 포함한 모든 美 증시 지수에 대한 PUT/CALL Ratio (하락 배팅/상승 배팅 비율)가 한 풀 꺾였기 때문

2. 사그라 드지 않는 변동성 수요: 그러나 여전히 변동성 (VIX) 헤지를 위해 콜옵션 수요는 유효 + [그림 1]의 위 영역 내 파란색 선과 같이 현재 레벨에서 변동성이 축소될 거라고 배팅 하는 수요는 거의 존재하지 않아 3월 25일까지 (만기일)는 지속적인 변동성 장이 예상

#INDEX
👍8🥰2
Goldman Sachs: Disruptive Tech Conference – Day 2

1️⃣ OpenAI CFO Sarah Friar의 키노트
- OpenAI는 현재 컴퓨팅 리소스 부족에 직면: 대규모 추가 컴퓨팅이 필요하다고 강조 (같은 내용이 Nebius CEO 및 Poolside에서도 언급)
- 주간 활성 사용자 4억 명을 돌파했으며, 지난 3년간 매출이 매년 3배씩 성장
- "컴퓨팅 리소스 부족을 해결하지 못하면 성장에 한계가 생길 것"
- AI 모델 개발에서 연산량 증가 필수적 → Sora(비디오 생성 모델) 출시 연기 원인도 컴퓨팅 부족 때문
- DeepSeek도 컴퓨팅 부족 문제로 사용자 불만 야기
- O3-mini 모델 최종 학습 비용: 2,000만 달러 예상

2️⃣ Stargate 프로젝트
- 향후 4년간 5,000억 달러 투자, 최대 10GW 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
(참고로 아일랜드 전체 전력 소비가 7GW 수준)
- AGI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가치 창출 업무 대부분을 수행하는 수준
- "우리는 AGI 도달에 근접했지만, 이는 일반 지능(GENERAL intelligence)이며, 슈퍼 지능(Super intelligence)은 아니다.”

3️⃣ Nebius – AI 인프라 기업
- Yandex 출신 인재들이 주축으로 AI 중심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대규모 GPU 클러스터 및 개발자 도구 제공 → AI 컴퓨팅 리소스 수요 대응.
- NVIDIA와 기존 협력 관계 유지, 독자적인 데이터센터 랙 및 소프트웨어 구축.자회사 Avride, 자율주행 기술 개발 중.
- 미국에서 Uber 및 Grub과 협력 중인 3개 업체 중 하나.
- 자체 AI 데이터센터 경쟁력 증명 시, 하이퍼스케일러와 경쟁 가능성 있음.

4️⃣ 로보틱스 및 AI 패널 – 주요 관점
- 참여 기업 모두 "소프트웨어 중심 기업"으로 인식. 하드웨어의 품질 및 견고성이 중요하지만, 차별화 요소는 소프트웨어.
- Helsing(차세대 국방 기술 기업, 드론 분야): 소프트웨어가 핵심 경쟁력 → 고급 드론을 저렴하고 대규모로 생산 가능. 일부 드론은 소프트웨어만으로도 자율 작전 수행 가능.
- ARX Robotics“소프트웨어의 발전 덕분에 한 명의 오퍼레이터가 여러 대의 드론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다.”
- Prosus – 유럽 내 기술 플랫폼 구축 전략: 유럽 내 선도적인 기술 플랫폼으로 성장할 기회 있다고 판단.브라질 iFoods 성공 사례를 유럽 사업에 확장 계획 (규제 리스크 없음 → 시장에서 우려하는 것보다 안정적)
- Helfie AI – 의료 혁신: NHS(영국 국민건강보험) 개선 가능성 제시. 모바일 앱 기반 AI 건강 검사 서비스 제공. 피부암, 대장 검사(배변 사진 분석) 등 다양한 질환 스크리닝 가능. 이미지, 영상, 음성 데이터 분석을 통해 건강 문제 탐지. 소형 언어 모델(SLM) 활용 → 특정 대형 AI 모델에 의존하지 않음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92👏2
JP Morgan: 2025 US Internet 11개 포인트 (3월 기준)

1. AI: 추론, 에이전트, 실행,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전환
- 다양한 작업에 맞춘 여러 형태의 LLM, 텍스트·음성·이미지·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 조합 지원
- 다양한 크기 및 복잡성을 갖춘 모델을 통해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 배포 가능
- 오픈소스 모델(Llama, DeepSeek 등) 및 업계 표준이 혁신, 모델 성능 및 비용 효율성 향상에 기여

2. AI: 하이퍼스케일러의 대규모 자본지출 지속, 감가상각 증가 및 FCF 감소 [그림 1]

3. AI: 클라우드 성장 안정적 유지, 공급망 차질에도 불구하고 생성형 AI 투자 확대
- AWS: Silicon + Bedrock + SageMaker + Anthropic + Data Gravity
- AZURE: OpenAI + Copilots + Corporates
- GOOGLE CLOUD: Gemini + Vertex + TPUs

4. 온라인 광고: 2025년 견조한 성장 지속, 다만 소폭 둔화 전망; 신제품, 성과형 광고, AI 및 마진 확대에 주력

5. 이커머스 성장 및 시장 점유율 확대 가속화 [그림 2]

6. 스트리밍 미디어: 가입자 증가와 수익화 간의 균형 조정; 마진 확대 지속되나 속도 둔화, 광고 기반 비디오 서비스 주목 [그림 3]

7. [그림 4] 차량 공유 및 배달 서비스: 충성 고객층 강세와 효율성 개선 속에서 견조한 성장 지속

8. [그림 5] 자율주행차 도입 확대, 차량 호출 네트워크 이용률 및 수요 검증
- 허들: 기술:
라이다 vs. 카메라 기반 솔루션… 레벨 4/레벨 5 자율주행 도달 여부/규제: 현재는 주 및 시·지방자치단체 수준의 규제 체계 운영, 연방 차원으로 전환될 경우 도입 속도 가속 가능성/자율주행차 비용: 현재 5세대 Waymo Driver의 비용은 라이다, 카메라, 레이더 포함 $100k 이상으로 추정… 6세대 모델은 비용 절감 가능성/운영 효율: 충전, 세척, 유지보수, 수리 등 자율주행차 운영 인프라의 효율성 확보 필요/안전 운영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확장 필요/ 자율주행 비즈니스 모델: 1P(직접 운영), 3P(제3자 운영) 또는 하이브리드 모델?

9. [그림 6] 온라인 여행: 성장 정상화 속에서 운영 효율성 강화에 초점 이동

#REPORT
7🥰1
예측 가능한 트럼프: 사람은 결국 과거 데이터에 어느 정도는 의존한다?

트럼프발 관세전쟁 패턴이 반복되다는 가정

1) 트럼프 행정부가 1.0 당시 행동을 참고하고 2) 정량적 데이터 기반의 AI 트레이더가 과거 트럼프 1.0 기술적 패턴을 데이터로 참고한다면 지금부터 몇 주간 흔드는 장에서 매입 (Buy-the-dip)할 것 (조금씩 LAG 되긴 하지만)

#NARRATIVE
👍102
달러 가치를 일부러 떨어뜨린다는 음모론에 대하여 (with 미란의 주장) (Source: Lombard)

달러 가치를 하락시키려는 계획이 갑자기 월스트리트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계획은 트럼프 행정부의 일부 핵심 인사들, 특히 이를 처음 제안한 Stephen Miran과 “우리는 새로운 브레튼우즈 체제의 문턱에 서 있으며, 나는 그 일부가 되고 싶다”고 말한 스콧 베슨트 등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결함과 대안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1️⃣새로운 플라자 합의?
- 금융 시장은 음모론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이 음모론은 몇 년마다 꾸준히 떠오릅니다. 1985년, 미국을 포함한 G7 국가들은 플라자 합의를 체결했습니다. 이 합의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달러화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한 외환시장 개입/각국 중앙은행 금리 인하 조정 (특히, 연준이 가장 큰 폭으로 금리를 인하)/재정정책 조정 (미국은 재정 긴축을, 유럽과 일본은 경기 부양을 선택)
- 결과적으로 합의는 성공적: 1) 미국 금리가 타국 대비 하락, 2) 미국 달러화 급락, 3) 미국 무역적자 감소

2️⃣ 하지만, 현재도 동일한 정책을 적용할 수 있을까요?
1) 문제 1: 외환시장 개입을 선호하는 국가는 거의 없다: 오늘날, 중앙은행들은 환율이 아닌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정책을 운영합니다.
예외적으로 중국은 환율 개입을 하지만, 현재 중국 경제가 위기에 처해 있으며, 위안화는 오히려 하락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 사례를 보면 외환시장 개입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통화정책과 함께 움직여야 합니다.
2) 문제 2: 하지만 현재 중앙은행들은 정치적 간섭에서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단순히 ‘Global Imbalances’ 해소를 위해 정책을 변경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즉, 과거처럼 미국 연준과 다른 국가들의 중앙은행이 공동 개입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3️⃣ 미란의 대안: 관세 & 부채 스왑(Tariffs & Debt Swap)
미란은 전통적인 외환 개입 대신, 새로운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무역 관세와 부채 스왑을 활용하여 미국 경상수지 적자를 줄이자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에도 문제점이 많습니다.
3) 문제 3: 관세는 경상수지 적자를 줄이지 못한다. 미국이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서 무역수지가 반드시 개선되지는 않습니다.
첫째, 미국 내 생산량 증가 속도가 너무 느립니다. 관세로 인해 수입품 가격이 상승해도, 국내 생산업체가 이를 즉시 대체할 수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 부담이 커질 뿐입니다.
둘째, 다른 나라들도 보복할 것이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면, 다른 나라들도 미국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입니다. 이는 미국 기업들의 해외 수출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셋째, 보편적 관세는 미국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오히려 악화시킨다. 많은 미국 기업들은 해외 부품을 수입하여 최종 제품을 조립합니다.
관세가 부품 가격을 상승시키면, 미국 제품의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결국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것입니다.
4) 넷째, 관세는 달러 가치를 상승시킬 가능성이 크다. 역사적으로 보면, 관세 부과는 미국 달러화 강세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달러 강세는 미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더욱 떨어뜨려, 수출 감소와 함께 결국 무역적자를 유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부채 스왑은 실현 가능할까?
미란 계획에 따르면 미국은 세계 각국이 보유한 미국채를, 시장성이 없는 zero-coupon 100년 만기 국채로 강제 교환하도록 요구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대가로 미국의 군사 보호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계획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의 부채 이자 비용을 절감, 2) 경상수지 적자 축소, 3) 달러화 가치 하락 유도. 그러나 이 계획은 달러화 시스템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기반
- 문제 4: "기축통화 지위"를 지나치게 문자 그대로 해석함: 미란은 "세계 각국이 기축통화(USD) 자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미국이 경상수지 적자를 피할 수 없다"는 논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5️⃣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2000년대에는 중국과 아시아 국가들이 대량의 미국 국채를 매입하며 미국 경상수지 적자에 기여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외국 정부의 미국 국채 매입은 더 이상 주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현재 미국 국채 수요의 핵심은 민간 금융 부문에서 비롯됩니다. 국채는 세계에서 가장 "무위험 자산"에 가까운 자산입니다. 또한, 미국 국채는 위험자산(예: 미국 주식)의 헤징 용도로 필수적입니다.

6️⃣ 문제 5: "미국 보호"를 위한 부채 스왑 중국에 의미가 없음
미란의 계획은 미국의 보호를 대가로 세계 각국)의 미국 국채를 장기 국채로 스왑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중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는 이 제안을 받아들일 이유가 없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보호(NATO 등)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중국은 미국과의 지정학적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이 미란의 부채 스왑 제안을 수락할 가능성은 극히 낮습니다.
- 문제 6: 유럽 정부들은 미국 국채를 많이 보유하지 않음 유럽 각국 정부는 미국 국채 보유량이 많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계획은 사실상 유럽 은행과 자산운용사들에게 부채 스왑을 강요하는 방식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금융기관 입장에서 "시장성이 없는(zero-coupon) 100년 만기 국채"는 매력적인 자산이 아닙니다. 이러한 국채는 거래가 불가능하며, 금융기관이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즉, 유럽 금융기관들도 이 제안을 받아들일 이유가 없습니다.

7️⃣ 결론: "Mar-a-Lago Plan"은 현실성이 없음: 미란이 제안한 "관세 + 부채 스왑" 전략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실행 불가능합니다.
1) 관세는 무역적자를 해소하지 못함 (수입·수출 동반 감소)
2) 부채 스왑은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함
3) 중국은 미국의 군사 보호가 필요하지 않음
4) 유럽 국가들은 미국 국채 보유량이 적고, 금융기관도 비시장성 국채를 원하지 않음

💭 하지만, 미국 무역적자를 해소할 대안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대안: 플라자 합의에서 재현 가능한 요소는? "플라자 합의의 일부 요소는 다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강력한 재정정책 압박
- 트럼프가 세계 각국에 대한 압박을 가하면서, 유럽과 중국이 경기 부양책을 시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EU와 중국이 추가 부양책을 펼친다면, 미국 무역적자 감소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위산업 계약 + 관세 철폐 딜 가능성
- 유럽이 GDP의 1% 이상을 방위산업에 투자한다면, 미국으로부터 대규모 무기 구매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국 방위산업 계약을 확대하고, 무역 긴장을 완화할 협상이 가능할 것입니다. 즉, "마라라고 계획" 자체는 비현실적이지만, 보다 정교한 협상을 통해 미국 무역적자를 줄이는 방법은 존재합니다.

#MACRO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13🔥2
여전히 많은 투자자들은 美 예외주의를 고집

➡️ 최근 시장은 조정을 보였으나 계속해서 시장 내 유동성은 축소 ([그림 1] 위: Vix 아래: 유동성)
1) 과거 일반적으로 조정 시 유동성이 증가
2) 이에 대한 가장 큰 원인 중 1개는 美 증시로 인해 부를 맛봤던 거의 모든 투자자들이 2025년에도 美 증시에 대한 투자 포지션을 고집하고 있기 때문
3) [그림 2] 비슷한 포지션 수준이 2000년대 초 닷컴 버블 정점에 도달하기 직전과 유사한 수준
4) 이는 경마장에서 동일한 유력 승리 후보 말에 배팅금액이 클 수록 승리 시 보상 (기대수익률)이 작아지는 데도 불구하고 타 국가 증시 성과를 상회할 거라는 판단

3월 많은 이벤트들을 지나 시장 유동성이 추가적으로 들어와야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

#INDEX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03
JP Morgan: Metro Connect 2025 Conference

AI/데이터센터 투자 증가가 광섬유, 전력 인프라 및 광전송 네트워크 수요를 확대 (경기 사이클 상 인프라 수요 투자 포지션이 적절)


➡️ 주요 인사이트
1️⃣ 소비자 광섬유(Fiber) 시장에서 M&A 확대 예상
- 시장이 분산 된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통합이 필연적인 흐름: 향후 12개월 이상 동안 소규모 지역 사업자를 중심으로 소비자 광섬유 부문의 M&A가 활성화될 것
- M&A의 주요 동인: 1) 규모의 경제(20만~40만 가구 이상 목표)/2) 우호적인 금융 환경/3)규제 리스크 완화/4)매도/매수 희망 가격 격차 축소(지난 2~3년간 금리 상승과 함께 밸류에이션 하락)
- Land Grab 단계가 종료되면서 신규 시장 진입 기회가 줄어든 것도 M&A 촉진 요인
- 향후 몇 년 동안 40~50개의 M&A 플랫폼이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이는 시장이 여전히 상당히 분산되어 있음을 의미

2️⃣ FTTH 구축 속도 지속 유지, 그러나 인력 및 인허가 문제는 도전 과제
- FTTH 구축은 지속적인 강세를 보일 전망
- 2025년과 2026년에는 매년 신규 1,000만 가구 이상이 광섬유 서비스에 연결될 것으로 예상 (2024년과 유사한 수준)
- 이 속도가 유지된다면, 미국 전체 가구의 75% 이상이 광섬유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
- 한 패널은 최종 보급률이 90%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 다만, 누가 해당 구축 비용을 부담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존재.
- 신규 FTTH 네트워크 구축 시, 시장 선정에 대한 심층적 고려 필요: 기존보다 새로운 시장 개척 기회가 축소
- 기존 사업자(AT&T, Verizon)와의 경쟁을 피하지 않고, 네트워크 밀집도 강화 및 기존 커버리지 내 공백 해소에 초점
- 인력 및 인허가 문제 걸림돌: 1) 노동력 부족/2)인허가 지연: 지방정부, 주정부, 연방정부의 다중 승인 프로세스가 새로운 광섬유 구축 프로젝트를 지연시키는 요인

3️⃣ 데이터센터 전력 문제: 확장에 걸림돌
- 전력 공급 부족이 데이터센터 구축 속도를 제한하는 핵심 문제
- 대형 데이터센터는 Tier 2 및 Tier 3 시장(非주요 대도시)으로 확장 중: 전력 공급이 가능한 지역에 집중
- 에너지 기업과 데이터센터의 직접적인 파트너십 증가(Intersect Power와 Google 간 협력)
- 전력 공급망 병목 현상: 터빈 등의 핵심 부품 공급이 부족하여 공급망 이슈 심각
일부 데이터센터는 임시 터빈을 활용하여 운영
- 전력 인프라 구축까지 6~24개월 소요

4️⃣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광전송 시장도 성장
- 하이퍼스케일러들이 데이터센터 건설 속도를 높이며, 다크파이버(Dark Fiber) 수요 급증
- 기업용 광섬유(Carrier Ethernet) 투자 증가
- 일부 기업들은 망 구축 예산을 대폭 확대
- 2000년대와 달리, 현재 기업들은 비용 대비 수익률을 고려하여 광섬유를 구축
- ROI는 과거보다 단축: 현재는 9개월 미만으로 회수 가능

5️⃣가격 트렌드
- Lit Fiber: 갱신 시 가격 하락 압력 존재: 그러나 낮은 해지율 및 추가 임대 증가로 상쇄 가능
- Dark Fiber: 가격 하락 없음, 특정 경로에서는 가격 협상력 유지.

*️⃣ FTHH(Fiber-to-the-Home): 광섬유 케이블을 가정까지 직접 연결하여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통신 기술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1
하나의 주장: 일부러 경기 침체기

- 2025년 美 전체 부채의 30% (美 정부 채권 등 포함)상환해야: 만기 도래 & 차환
- 차환: 경기 침체기를 유도하여 시장 금리와 금리 인하 환경을 만들고 낮은 금리의 채권으로 차환?

#INDEX
👍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