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k of America: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의 많은 변화
1) 글로벌 성장 기대치에서 역대 두 번째로 큰 하락
2) 미국 주식 비중 역대 최대 감소 [그림 1]: 글로벌 주식에 대한 3월 자산 배분은 +35%에서 -6%로 급락. 이는 미국 및 기술주 비중 축소에 기인.
- 유로존 주식 배분 비중은 2021년 7월 이후 최고, 필수소비재 비중은 18개월 내 최고, 은행주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선호되는 섹터로 부상
- 한편, 3월 사상 최대 규모의 고배당주 대비 저배당주 로테이션이 발생 [그림 2]
3) 현금 비중에서 2020년 3월 이후 최대 상승이 나타남: 포트폴리오 내 3.5%에서 4.1%
4) Bull Crash: 스태그플레이션, 무역전쟁 및 美 예외주의의 종말이 매니저들의 심리를 "강세장 붕괴"로 몰고 갔으며, 그 속도는 "증시 조정의 끝"과 일치
5) 다만, 경기침체 또는 채권에 대한 롱 포지션은 전무: 매니저들 포지셔닝은 극단적인 약세장(매수를 위한 '눈 감고 사기' 단계)에는 미치지 않음
6) S&P 500 2분기: 6,000 상회하려면 인플레이션 및 무역전쟁 우려가 해소되어야 하며, 반대로 경기침체가 발생할 경우 5,000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
7) 향후 글로벌 성장률 증가 기대치는 -2%에서 -44%로 급락: 이는 중국이나 유럽이 아니라 미국이 주도한 흐름
8) 55%의 응답자가 무역전쟁을 1순위 Tail Risk로 지목: 64%는 연착륙을 예상하고 있으며, 68%는 연준이 2~3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 전망 (단, 경착륙을 예상하는 응답자는 11%에 불과)
9) 69%의 투자자는 "미국 예외주의(US exceptionalism)"가 정점 응답
10) 역발상 트레이드
- 강세론자(Trade war & Stagflation 우려 완화 예상): 주식 롱 – 현금 숏/기술주 롱 – 필수소비재 숏
- 약세론자(미국 경기침체 리스크 증가 예상): 채권 롱 – 은행 및 유럽 주식 숏
#REPORT
1) 글로벌 성장 기대치에서 역대 두 번째로 큰 하락
2) 미국 주식 비중 역대 최대 감소 [그림 1]: 글로벌 주식에 대한 3월 자산 배분은 +35%에서 -6%로 급락. 이는 미국 및 기술주 비중 축소에 기인.
- 유로존 주식 배분 비중은 2021년 7월 이후 최고, 필수소비재 비중은 18개월 내 최고, 은행주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선호되는 섹터로 부상
- 한편, 3월 사상 최대 규모의 고배당주 대비 저배당주 로테이션이 발생 [그림 2]
3) 현금 비중에서 2020년 3월 이후 최대 상승이 나타남: 포트폴리오 내 3.5%에서 4.1%
4) Bull Crash: 스태그플레이션, 무역전쟁 및 美 예외주의의 종말이 매니저들의 심리를 "강세장 붕괴"로 몰고 갔으며, 그 속도는 "증시 조정의 끝"과 일치
5) 다만, 경기침체 또는 채권에 대한 롱 포지션은 전무: 매니저들 포지셔닝은 극단적인 약세장(매수를 위한 '눈 감고 사기' 단계)에는 미치지 않음
6) S&P 500 2분기: 6,000 상회하려면 인플레이션 및 무역전쟁 우려가 해소되어야 하며, 반대로 경기침체가 발생할 경우 5,000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
7) 향후 글로벌 성장률 증가 기대치는 -2%에서 -44%로 급락: 이는 중국이나 유럽이 아니라 미국이 주도한 흐름
8) 55%의 응답자가 무역전쟁을 1순위 Tail Risk로 지목: 64%는 연착륙을 예상하고 있으며, 68%는 연준이 2~3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 전망 (단, 경착륙을 예상하는 응답자는 11%에 불과)
9) 69%의 투자자는 "미국 예외주의(US exceptionalism)"가 정점 응답
10) 역발상 트레이드
- 강세론자(Trade war & Stagflation 우려 완화 예상): 주식 롱 – 현금 숏/기술주 롱 – 필수소비재 숏
- 약세론자(미국 경기침체 리스크 증가 예상): 채권 롱 – 은행 및 유럽 주식 숏
#REPORT
👍8❤4🥰3
ING: Mar-a-Lago Accord: 달러 평가절하에 관한 9가지 질문과 답변
1. 해당 논문의 주요 내용은? 미국의 무역 적자는 美 국채에 대한 비탄력적인 수요 및 무역 상대국의 외환시장 개입으로 인해 달러가 과대평가되면서 심화되었습니다. 대체 준비통화(예: 유로존의 분열, 중국의 자본 통제)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2. 주요 권고 사항은? 두 가지 경로로 진행됩니다: 1) 동맹국과 협력하여 정책적으로 달러 약세를 유도하는 다자 협정. 2) 동맹국이 협력하지 않을 경우, 일방적 조치(관세, 안보 위협 등) 실행.
3. 해당 협정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핵심 참가국(유로존, 중국, 일본)이 보유 외환보유고에서 달러 및 미국 국채를 매도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인센티브로는 낮은 관세 제공, 시장 불안정성 완화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유로존 및 시장 변동성에 대한 준비 자산 관련 우려가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4. 일방적인 접근 방식이란? 1) 준비 자산 manager들이 미국 국채 보유를 줄이도록 “수수료”를 부과. 2) 미국 환율안정기금(Exchange Stabilization Fund) 확대 또는 미국 금 보유량을 매각. 리스크로는 인플레이션 및 시장 교란 가능성이 있습니다.
5. 미국 국채에 미치는 영향은? 강제적인 국채 스왑(장기 채권으로 전환) 도입 시, 채무 불이행(디폴트) 및 신용등급 강등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 자발적 스왑을 허용하면 디폴트를 피할 수 있으나 시장의 회의적 반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국채가 기업 채권 대비 벤치마크 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6. 실행 단계(blueprint)는? 먼저 관세 및 안보 위협 조치를 통해 협상력을 강화한 후, 2025년 4월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부과를 실행할 의도가 있으며, 이후 2026년 이후까지 시장 개입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7. 달러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관세 유발 인플레이션(비용 상승)으로 인해 달러 강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협정이 체결되면 달러가 약세로 전환될 것입니다. 일본 엔화의 가치는 20~25%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엔화가 저평가되어 있고 안전자산 수요가 높기 때문입니다.
8. 유럽에는 어떤 기회가 있을까? 유로화는 달러가 약세로 전환될 경우, 준비통화(reserve status)로서의 지위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유로존이 공동 부채 발행 및 자본시장 통합(Capital Markets Union)을 추진해야 하는 과제가 있습니다.
9. 기타 시사점은?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국가 간 신용 프리미엄(spread)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자금 흐름이 미국 이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국채 시장 불안정 및 달러 강세를 오히려 촉진하는 역효과를 초래할 위험도 존재합니다.
#MACRO
1. 해당 논문의 주요 내용은? 미국의 무역 적자는 美 국채에 대한 비탄력적인 수요 및 무역 상대국의 외환시장 개입으로 인해 달러가 과대평가되면서 심화되었습니다. 대체 준비통화(예: 유로존의 분열, 중국의 자본 통제)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2. 주요 권고 사항은? 두 가지 경로로 진행됩니다: 1) 동맹국과 협력하여 정책적으로 달러 약세를 유도하는 다자 협정. 2) 동맹국이 협력하지 않을 경우, 일방적 조치(관세, 안보 위협 등) 실행.
3. 해당 협정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핵심 참가국(유로존, 중국, 일본)이 보유 외환보유고에서 달러 및 미국 국채를 매도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인센티브로는 낮은 관세 제공, 시장 불안정성 완화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유로존 및 시장 변동성에 대한 준비 자산 관련 우려가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4. 일방적인 접근 방식이란? 1) 준비 자산 manager들이 미국 국채 보유를 줄이도록 “수수료”를 부과. 2) 미국 환율안정기금(Exchange Stabilization Fund) 확대 또는 미국 금 보유량을 매각. 리스크로는 인플레이션 및 시장 교란 가능성이 있습니다.
5. 미국 국채에 미치는 영향은? 강제적인 국채 스왑(장기 채권으로 전환) 도입 시, 채무 불이행(디폴트) 및 신용등급 강등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 자발적 스왑을 허용하면 디폴트를 피할 수 있으나 시장의 회의적 반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국채가 기업 채권 대비 벤치마크 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6. 실행 단계(blueprint)는? 먼저 관세 및 안보 위협 조치를 통해 협상력을 강화한 후, 2025년 4월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부과를 실행할 의도가 있으며, 이후 2026년 이후까지 시장 개입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7. 달러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관세 유발 인플레이션(비용 상승)으로 인해 달러 강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협정이 체결되면 달러가 약세로 전환될 것입니다. 일본 엔화의 가치는 20~25% 상승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엔화가 저평가되어 있고 안전자산 수요가 높기 때문입니다.
8. 유럽에는 어떤 기회가 있을까? 유로화는 달러가 약세로 전환될 경우, 준비통화(reserve status)로서의 지위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유로존이 공동 부채 발행 및 자본시장 통합(Capital Markets Union)을 추진해야 하는 과제가 있습니다.
9. 기타 시사점은?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국가 간 신용 프리미엄(spread)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자금 흐름이 미국 이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국채 시장 불안정 및 달러 강세를 오히려 촉진하는 역효과를 초래할 위험도 존재합니다.
#MACRO
👍5🔥1
- [그림 1] 많은 투자자들 내러티브: S&P 500 역대 최고치 대비 약 8% 하락했으니 연준이 이번에도 구제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함
- 최근 몇 년 불장을 경험한 투자자들이 너무나 공적 자금 지출/투입/정책 완화에 중독되어 있다: 그러나 만약 투자자들 생각보다 실망스러우면 실망 매물로 변동성이 심화될 것
Bessent on Thursday reiterated his view that current levels of government spending are “unsustainable".
#INDEX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6
Goldman Sachs: 이민 감소 규모/무역 정책 불확실성이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
1) 취임 이후 이민 감소 규모
예상보다 빠른 이민 감소를 반영하여 2025년 말까지 美 순이민 규모를 50만 명으로 예상 (이전 전망치 75만 명)하나 불확실성 존재
- 2025년 첫 두 달 동안 미국의 이민 정책이 대폭 강화되면서, 인도적 목적 또는 기타 비자나 영주권을 받지 않는 이민자의 연간 유입 속도가 140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감소
- 추방 건수는 과거 추세와 대체로 일치했으나, 신규 유입 감소로 인해 전체 연간 순이민 규모는 2024년 12월 170만 명에서 2025년 2월 70만 명으로 축소
- 정부 조사를 회파하나? 최근 이민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대체로 변함이 없으며, 실업률은 소폭 하락. 또한 전체 이민자의 구직 성공률은 2월에 소폭 반등. 그러나 이 조사에서 응답한 이민자 수는 2025년 첫 두 달 동안 다소 감소했으며, 이는 강경한 이민 정책이 일부 노동자들에게 정부 조사를 회피하도록 만든 가능성. 만약 이러한 응답 회피자가 근로 참여 역시 꺼리고 있다면, 이들의 실업 상태는 공식 통계에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
2)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 국가별 패널 회귀 분석을 통해, 2018-2019년 수준으로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증가할 경우 선진국가들에서 연간 고용 성장률이 0.1-0.2%포인트 하락하며, 이는 미국과 유로존에서 월간 일자리 증가폭이 약 2만 개 감소하는 효과를 초래함을 추정
- 이러한 고용 감소는 주로 제조업 부문에서 나타나며, 해당 부문의 연간 고용 성장률이 최대 0.5%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
- 지역별 추정치 또한 2018-2019년 수준으로 TPU가 상승할 경우 연간 고용 성장률이 ~0.3%포인트 감소할 가능성을 시사: 현재 TPU 지표가 2018~2019년 수준을 초과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2025년에는 무역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고용 성장률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
#REPORT
1) 취임 이후 이민 감소 규모
예상보다 빠른 이민 감소를 반영하여 2025년 말까지 美 순이민 규모를 50만 명으로 예상 (이전 전망치 75만 명)하나 불확실성 존재
- 2025년 첫 두 달 동안 미국의 이민 정책이 대폭 강화되면서, 인도적 목적 또는 기타 비자나 영주권을 받지 않는 이민자의 연간 유입 속도가 140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감소
- 추방 건수는 과거 추세와 대체로 일치했으나, 신규 유입 감소로 인해 전체 연간 순이민 규모는 2024년 12월 170만 명에서 2025년 2월 70만 명으로 축소
- 정부 조사를 회파하나? 최근 이민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은 대체로 변함이 없으며, 실업률은 소폭 하락. 또한 전체 이민자의 구직 성공률은 2월에 소폭 반등. 그러나 이 조사에서 응답한 이민자 수는 2025년 첫 두 달 동안 다소 감소했으며, 이는 강경한 이민 정책이 일부 노동자들에게 정부 조사를 회피하도록 만든 가능성. 만약 이러한 응답 회피자가 근로 참여 역시 꺼리고 있다면, 이들의 실업 상태는 공식 통계에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
2)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 국가별 패널 회귀 분석을 통해, 2018-2019년 수준으로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증가할 경우 선진국가들에서 연간 고용 성장률이 0.1-0.2%포인트 하락하며, 이는 미국과 유로존에서 월간 일자리 증가폭이 약 2만 개 감소하는 효과를 초래함을 추정
- 이러한 고용 감소는 주로 제조업 부문에서 나타나며, 해당 부문의 연간 고용 성장률이 최대 0.5%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
- 지역별 추정치 또한 2018-2019년 수준으로 TPU가 상승할 경우 연간 고용 성장률이 ~0.3%포인트 감소할 가능성을 시사: 현재 TPU 지표가 2018~2019년 수준을 초과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2025년에는 무역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고용 성장률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
#REPORT
👍8👏1
Bank of America: 中 강세 전망이지만 추격 매수는 신중
1️⃣ 상하이에서 투자자들과의 미팅
- 대체로 구조적 강세 전망에 동의하지만, 현 수준에서 추격 매수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임.
-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한 시장인 H주(HSCEI +22% vs. SHCOMP +3%)가 주요 논의 대상: 많은 온쇼어 공모펀드들이 H주 비중을 크게 확대했기 때문. 투자자들은 “중국 자본이 H주의 가격 결정력을 확보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H주가 A주처럼 단기 변동성과 섹터 로테이션이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내비침
- 주요 논의사항 :1) “글로벌 롱온리자금이 중국 시장으로 돌아오고 있는가?”
2) “중국 보험사들이 계속 매수할 것인가?”
- 일부 온쇼어 롱온리 펀드는 점점 불안감을 느끼고 있음. 고용, 디플레이션, 신용 수요 등의 펀더멘털 개선이 부족하다는 점과, 최근 부정적인 뉴스(예: 관세, 임금 삭감, 지정학적 긴장)가 크게 반영되지 않은 점을 우려.
- 단기 트레이딩 성향의 투자자들은 차익 실현을 준비
- 일부 투자자들은 특정 기술 분야(예: 로봇 공학)에 거품이 형성되었다고 우려: 로봇을 실제로 생산하기도 전에 일부 기업의 주가가 3~5배 급등했기 때문. 현재 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소재, 배당주, 소비재 섹터에서 기회를 찾으려는 움직임이 보임
- 밸류에이션: 또한 일부 투자자들은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이 중국 기술주 대비 급격히 축소되었다는 점을 지적. 올해 1월만 해도 120% 이상이었던 미국 빅테크의 프리미엄이 현재 30% 수준까지 낮아졌으며, 이는 미국 기술주가 중국 기술주보다 매력적으로 보일 가능성을 시사
2️⃣ [그림 1] 역사가 반복된다면, 의미 있는 조정이 올 수도
- 현재 사이클과 10년 전 사이클 간에는 몇 가지 중요한 공통점: 경제 리밸런싱, 정책 부양 및 개혁, 그리고 기술적 돌파구(예: DeepSeek vs. 2014년 알리바바 IPO)가 유사한 측면. 지난 2개월 동안 HSCEI 및 MSCI 중국지수는 28~30% 상승했으며, 이는 2015년 상반기의 랠리와 유사한 흐름. 그러나 멀티플 확장 중심의 랠리는 취약할 수 있으며, 2015년 하반기 중국 시장은 급락했고, 2016년 2월까지 하락세가 이어짐
- 지난 17개월 동안 HSCEI 및 MSCI 중국지수의 움직임은 10년 전과 매우 유사한 경로를 따라가고 있어,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을 우려
#REPORT
- 대체로 구조적 강세 전망에 동의하지만, 현 수준에서 추격 매수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임.
-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한 시장인 H주(HSCEI +22% vs. SHCOMP +3%)가 주요 논의 대상: 많은 온쇼어 공모펀드들이 H주 비중을 크게 확대했기 때문. 투자자들은 “중국 자본이 H주의 가격 결정력을 확보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H주가 A주처럼 단기 변동성과 섹터 로테이션이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내비침
- 주요 논의사항 :1) “글로벌 롱온리자금이 중국 시장으로 돌아오고 있는가?”
2) “중국 보험사들이 계속 매수할 것인가?”
- 일부 온쇼어 롱온리 펀드는 점점 불안감을 느끼고 있음. 고용, 디플레이션, 신용 수요 등의 펀더멘털 개선이 부족하다는 점과, 최근 부정적인 뉴스(예: 관세, 임금 삭감, 지정학적 긴장)가 크게 반영되지 않은 점을 우려.
- 단기 트레이딩 성향의 투자자들은 차익 실현을 준비
- 일부 투자자들은 특정 기술 분야(예: 로봇 공학)에 거품이 형성되었다고 우려: 로봇을 실제로 생산하기도 전에 일부 기업의 주가가 3~5배 급등했기 때문. 현재 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소재, 배당주, 소비재 섹터에서 기회를 찾으려는 움직임이 보임
- 밸류에이션: 또한 일부 투자자들은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이 중국 기술주 대비 급격히 축소되었다는 점을 지적. 올해 1월만 해도 120% 이상이었던 미국 빅테크의 프리미엄이 현재 30% 수준까지 낮아졌으며, 이는 미국 기술주가 중국 기술주보다 매력적으로 보일 가능성을 시사
- 현재 사이클과 10년 전 사이클 간에는 몇 가지 중요한 공통점: 경제 리밸런싱, 정책 부양 및 개혁, 그리고 기술적 돌파구(예: DeepSeek vs. 2014년 알리바바 IPO)가 유사한 측면. 지난 2개월 동안 HSCEI 및 MSCI 중국지수는 28~30% 상승했으며, 이는 2015년 상반기의 랠리와 유사한 흐름. 그러나 멀티플 확장 중심의 랠리는 취약할 수 있으며, 2015년 하반기 중국 시장은 급락했고, 2016년 2월까지 하락세가 이어짐
- 지난 17개월 동안 HSCEI 및 MSCI 중국지수의 움직임은 10년 전과 매우 유사한 경로를 따라가고 있어,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을 우려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8❤2🔥1
Deutsche Bank: 증시 조정을 52주 최고점 대비 -10% 하락한 시점을 시작점으로 정의하며, 이후 30거래일 동안 추가적인 -10% 하락이 없을 때 조정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
- 1928년 이후 총 60번의 조정이 발생했으며, 이번 조정은 역대 11번째로 빠르게 최고점에서 조정 구간으로 진입한 사례에 해당
- S&P 500 지수의 평균 조정 기간은 185일, 중앙값은 52일
- 60번의 조정 중 10번은 단 하루만 조정 구간에 머물렀으며, 추가로 7번은 10일 이내에 종료
- 과거 59번의 조정 중 44%는 경기 침체와 관련: 12%의 경우, 조정이 발생했을 때 이미 미국이 경기 침체 상태/32%의 경우, 조정이 발생한 후 1년 이내에 경기 침체가 발생/56%의 조정은 경기 침체와 관련이 없었음
- [그림 1] 조정 이후 평균 수익률은 정상적인 시장 흐름과 유사하나, 3~6개월 후에는 평균적으로 초과 성과를 기록하는 경향
- 12개월 후 중앙값 수익률은 역사적 평균보다 훨씬 높음
- 다만, 6개월까지는 하락폭이 더 큰 사례도 존재하여 변동성이 클 수 있어
- 59번의 조정 중 17번(약 29%)은 결국 약세장으로 전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0% 이상의 하락을 기록
- 반면, 42번(약 71%)은 -10%에서 -20% 구간에서 멈추고 반등
#REPORT
- 1928년 이후 총 60번의 조정이 발생했으며, 이번 조정은 역대 11번째로 빠르게 최고점에서 조정 구간으로 진입한 사례에 해당
- S&P 500 지수의 평균 조정 기간은 185일, 중앙값은 52일
- 60번의 조정 중 10번은 단 하루만 조정 구간에 머물렀으며, 추가로 7번은 10일 이내에 종료
- 과거 59번의 조정 중 44%는 경기 침체와 관련: 12%의 경우, 조정이 발생했을 때 이미 미국이 경기 침체 상태/32%의 경우, 조정이 발생한 후 1년 이내에 경기 침체가 발생/56%의 조정은 경기 침체와 관련이 없었음
- [그림 1] 조정 이후 평균 수익률은 정상적인 시장 흐름과 유사하나, 3~6개월 후에는 평균적으로 초과 성과를 기록하는 경향
- 12개월 후 중앙값 수익률은 역사적 평균보다 훨씬 높음
- 다만, 6개월까지는 하락폭이 더 큰 사례도 존재하여 변동성이 클 수 있어
- 59번의 조정 중 17번(약 29%)은 결국 약세장으로 전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0% 이상의 하락을 기록
- 반면, 42번(약 71%)은 -10%에서 -20% 구간에서 멈추고 반등
#REPORT
👍7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NVIDIA: GTC 2025 놓쳐서는 안 될 11가지 핵심 하이라이트: 특히 3번 (Source: The AI Colony)
1. (영상 1) NVIDIA, Google DeepMind, Disney Research가 공동 개발한 로보틱스 시뮬레이션을 위한 오픈소스 물리 엔진 ‘Newton’ 발표
2. (영상 2) NVIDIA, 최초의 완전 맞춤형 오픈소스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모델 ‘GR00T N1’ 발표: 범용 로보틱스 기술 발전을 목표로 설계됨
3. (영상 3) NVIDIA, DeepMind 및 Disney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하며 ‘Blue(스타워즈 드로이드)’ 공개
4. (영상 4) NVIDIA CEO 젠슨 황, 세계에서 가장 작은 AI 슈퍼컴퓨터 ‘DGX Spark’ 발표: 128GB 메모리 탑재
5. (영상 5) NVIDIA, General Motors와의 파트너십 발표: 완전 자율주행 기술, AI 기반 제조,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및 차량 내 기술 협력
6. (영상 6) NVIDIA CEO 젠슨 황, 데이터 과학자 및 연구자를 위한 고성능 시스템 ‘DGX Station’ 공개: 20페타플롭스 성능/72개 CPU 코어/칩-투-칩 인터페이스/HBM 및 PCIe 슬롯 지원
7. NVIDIA, GE 헬스케어(GE HealthCare)와 함께 ‘NVIDIA Isaac for Healthcare’를 활용한 자율 진단 영상 기술 개발 가속화: 의료 기기 시뮬레이션 플랫폼으로 활용
8. (영상 7) NEO Gamma 로봇, NVIDIA GTC에서 바닥 청소하는 모습 공개
9. (영상 8) 젠슨 황의 기조연설에서 실제 및 시뮬레이션된 아틀라스(Atlas) 로봇 공개
10. (영상 9) Blackwell Ultra 발표
11. (그림 1) 세계에서 가장 빠른 DeepSeek-R1 추론 성능 달성: Blackwell GPU 8개 (NVL8 구성) 기반 단일 시스템에서 사용자당 253 TPS 또는 시스템 전체 30K TPS 처리량 기록, DeepSeek-R1 모델(6710억 매개변수) 기준
#NEWS
1. (영상 1) NVIDIA, Google DeepMind, Disney Research가 공동 개발한 로보틱스 시뮬레이션을 위한 오픈소스 물리 엔진 ‘Newton’ 발표
2. (영상 2) NVIDIA, 최초의 완전 맞춤형 오픈소스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모델 ‘GR00T N1’ 발표: 범용 로보틱스 기술 발전을 목표로 설계됨
3. (영상 3) NVIDIA, DeepMind 및 Disney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하며 ‘Blue(스타워즈 드로이드)’ 공개
4. (영상 4) NVIDIA CEO 젠슨 황, 세계에서 가장 작은 AI 슈퍼컴퓨터 ‘DGX Spark’ 발표: 128GB 메모리 탑재
5. (영상 5) NVIDIA, General Motors와의 파트너십 발표: 완전 자율주행 기술, AI 기반 제조,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및 차량 내 기술 협력
6. (영상 6) NVIDIA CEO 젠슨 황, 데이터 과학자 및 연구자를 위한 고성능 시스템 ‘DGX Station’ 공개: 20페타플롭스 성능/72개 CPU 코어/칩-투-칩 인터페이스/HBM 및 PCIe 슬롯 지원
7. NVIDIA, GE 헬스케어(GE HealthCare)와 함께 ‘NVIDIA Isaac for Healthcare’를 활용한 자율 진단 영상 기술 개발 가속화: 의료 기기 시뮬레이션 플랫폼으로 활용
8. (영상 7) NEO Gamma 로봇, NVIDIA GTC에서 바닥 청소하는 모습 공개
9. (영상 8) 젠슨 황의 기조연설에서 실제 및 시뮬레이션된 아틀라스(Atlas) 로봇 공개
10. (영상 9) Blackwell Ultra 발표
11. (그림 1) 세계에서 가장 빠른 DeepSeek-R1 추론 성능 달성: Blackwell GPU 8개 (NVL8 구성) 기반 단일 시스템에서 사용자당 253 TPS 또는 시스템 전체 30K TPS 처리량 기록, DeepSeek-R1 모델(6710억 매개변수) 기준
#NEWS
👍9
Financial Times: 테슬라 14억 달러(약 2조 원)가 사라졌다는 기사에 대해
❓ 회계부정 했다는 근거
1️⃣ 2024년 하반기 테슬라의 자본적 지출을 해당 자금이 사용된 자산 평가액과 비교하면 14억 달러가 행방불명
2️⃣ 금융리스 제외, 순매각 후 부동산 및 장비 구입(PP&E)에 63억 달러를 지출했다고 보고했으나, 같은 기간 PP&E 자산은 49억 달러 증가하는 데 그침
3️⃣ 일반적으로 자본적 지출과 총 PP&E 증가액이 거의 일치한다고 설명하지만, 일부 요인(자산 매각, 상각, 환율 변동 등)으로 인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그러나 테슬라는 이러한 차이를 정당화할 만큼 상각을 포함한 충분한 변화 요인을 보고하지 않았음. 특히 이때까지 이렇게 큰 격차가 없다가 이번에 발생했으며 과거 회계 부정 기업들 케이스와 비슷한 특징.
#NEWS
- 이 때까지 공매도론자들 등이 테슬라 회계 부정을 주장해왔으나 이번에는 조금 다른 이유: 기자 Dam McCrum가 쓴 것
- 그는 독일 핀테크 결제 기업 와이어카드의 대규모 회계 부정을 밝혀낸 핵심 인물. 독일 금융 감독 기관의 부실한 대응과 시장 조작 문제까지 조명하며 큰 반향을 일으킴. 한때 독일 증시 DAX 30에 포함될 정도로 성장한 기업이었지만 2020년 19억 유로(약 2.7조 원) 회계 조작이 드러나면서 파산
- 그리고 무엇보다 수많은 죽음의 위협에도 끝까지 추적하는 저널리스트 정신 소유
#NEW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4
Decoded Narratives
Financial Times: 테슬라 14억 달러(약 2조 원)가 사라졌다는 기사에 대해 - 이 때까지 공매도론자들 등이 테슬라 회계 부정을 주장해왔으나 이번에는 조금 다른 이유: 기자 Dam McCrum가 쓴 것 - 그는 독일 핀테크 결제 기업 와이어카드의 대규모 회계 부정을 밝혀낸 핵심 인물. 독일 금융 감독 기관의 부실한 대응과 시장 조작 문제까지 조명하며 큰 반향을 일으킴. 한때 독일 증시 DAX 30에 포함될 정도로 성장한 기업이었지만 2020년…
- 3월 28일 만기 $200 이하 배팅 풋옵션 (하락 배팅) 총 계약 규모는 약 114.3M (약 1,500억 원)..shit
- 이들은 또 질 수도
#INDEX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