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US Stocks Insider 🇺🇸 (미국 주식 인사이더)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제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이를 해내야 할 시점이며 유럽 국가들도 어느 정도 관여해야 함”이라고 발언.
Forwarded from US Stocks Insider 🇺🇸 (미국 주식 인사이더)
2025년 Q2 13F 라인업
드러켄밀러
https://t.me/insidertracking/21887
조지 소로스
https://t.me/insidertracking/21768
켄 피셔
https://t.me/insidertracking/21767
레이 달리오
https://t.me/insidertracking/21766
칼 아이칸
https://t.me/insidertracking/21765
하워드 막스
https://t.me/insidertracking/21764
마이클 버리
https://t.me/insidertracking/21762
빌게이츠
https://t.me/insidertracking/21761
빌 애크먼
https://t.me/insidertracking/21760
타이거 글로벌
https://t.me/insidertracking/21759
워렌버핏
https://t.me/insidertracking/21757
뱅가드 그룹
https://t.me/insidertracking/21649
캘리포니아 연금 기관
https://t.me/insidertracking/21648
아마존
https://t.me/insidertracking/21538
블랙록
https://t.me/insidertracking/21537
한국 국민연금공단
https://t.me/insidertracking/21536
베일리 기포드
https://t.me/insidertracking/21535
하버드 대학교
https://t.me/insidertracking/21534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OpenAI의 샘 알트만, 인프라에 '수조 달러' 투자 예정
새로운 금융 조달 방식을 설계 중
기존 프로젝트 Stargate(손정의·래리 엘리슨과 함께 발표한 5,000억 달러 규모)보다 훨씬 큰 자금 소요 예상
AI 투자 열기 → 닷컴 버블과 유사, 과열이지만 기술 자체는 “진짜(real)”
📌인프라 투자 전략
데이터센터·GPU·에너지 → 향후 초거대 AI 훈련·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반
“경제학자들이 무모하다 하겠지만, 장기적으로 큰 이익을 가져올 것”
📌OpenAI 내부 비전
소비자 기술 회사 (ChatGPT 등 앱)
메가스케일 인프라 운영
AI 연구소
신규 영역 (하드웨어·뇌칩 인터페이스 등)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새로운 금융 조달 방식을 설계 중
기존 프로젝트 Stargate(손정의·래리 엘리슨과 함께 발표한 5,000억 달러 규모)보다 훨씬 큰 자금 소요 예상
AI 투자 열기 → 닷컴 버블과 유사, 과열이지만 기술 자체는 “진짜(real)”
📌인프라 투자 전략
데이터센터·GPU·에너지 → 향후 초거대 AI 훈련·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반
“경제학자들이 무모하다 하겠지만, 장기적으로 큰 이익을 가져올 것”
📌OpenAI 내부 비전
소비자 기술 회사 (ChatGPT 등 앱)
메가스케일 인프라 운영
AI 연구소
신규 영역 (하드웨어·뇌칩 인터페이스 등)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Rafiki research
Sam Altman Brain Chip Venture Is Mulling Gene Therapy Approach
2025-08-15 16:39:55 GMT
By Ike Swetlitz
(Bloomberg) -- The brain chip company that has drawn interest from Sam Altman and his artificial intelligence business OpenAI is exploring the idea of genetically altering brain cells to make better implants.
The company, which has been referred to as Merge Labs, is looking at an approach involving gene therapy that would modify brain cells, according to people familiar with the plans who weren’t authorized to speak publicly on the matter. In addition, an ultrasound device would be implanted in the head that could detect and modulate activity in the modified cells, these people said.
2025-08-15 16:39:55 GMT
By Ike Swetlitz
(Bloomberg) -- The brain chip company that has drawn interest from Sam Altman and his artificial intelligence business OpenAI is exploring the idea of genetically altering brain cells to make better implants.
The company, which has been referred to as Merge Labs, is looking at an approach involving gene therapy that would modify brain cells, according to people familiar with the plans who weren’t authorized to speak publicly on the matter. In addition, an ultrasound device would be implanted in the head that could detect and modulate activity in the modified cells, these people said.
Forwarded from 제약/바이오/미용 원리버 Oneriver
#노보 노디스크 #위고비 #MASH 승인
Novo Nordisk's Wegovy gets accelerated US approval for liver disease MASH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로 가속 승인. GLP-1 계열 약물로는 최초 승인.
1차 지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승인
• 72주 후 결과
◦ 간 섬유화(fibrosis) 개선: 위고비 37% vs 위약 22.4%
◦ 간 염증 해소: 위고비 63% vs 위약 34.3%
현재 유럽·일본 승인 신청 완료(2025년 초). 이후 연구 결과는 2029년 발표 예정.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novo-nordisks-wegovy-gets-accelerated-us-approval-liver-disease-mash-2025-08-15/
Novo Nordisk's Wegovy gets accelerated US approval for liver disease MASH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로 가속 승인. GLP-1 계열 약물로는 최초 승인.
1차 지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승인
• 72주 후 결과
◦ 간 섬유화(fibrosis) 개선: 위고비 37% vs 위약 22.4%
◦ 간 염증 해소: 위고비 63% vs 위약 34.3%
현재 유럽·일본 승인 신청 완료(2025년 초). 이후 연구 결과는 2029년 발표 예정.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novo-nordisks-wegovy-gets-accelerated-us-approval-liver-disease-mash-2025-08-15/
Reuters
Novo Nordisk's Wegovy gets accelerated US approval for liver disease MASH
Novo Nordisk said on Frida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as granted accelerated approval for its weight-loss drug Wegovy to treat a serious liver condition called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hepatitis, strengthening its presence in the…
Forwarded from 루팡
엔비디아 뉴스룸 공식계정
H20 수출 규제는 중국을 늦추지 못했습니다 — 오히려 미국의 경제 및 기술 리더십만 억눌렀습니다.
미국이 AI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미국의 풀스택(full-stack) 플랫폼이 전 세계 표준으로 남아야 합니다.
aginn 의 지적이 옳습니다:
(엔비디아 규제가 중국의 AI 부상을 막지 못했다
https://www.wsj.com/opinion/nvidia-controls-didnt-arrest-chinas-ai-rise-ginn-pottinger-commerce-tobin-trump-15-54ccaf22(
H20 수출 규제는 중국을 늦추지 못했습니다 — 오히려 미국의 경제 및 기술 리더십만 억눌렀습니다.
미국이 AI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미국의 풀스택(full-stack) 플랫폼이 전 세계 표준으로 남아야 합니다.
aginn 의 지적이 옳습니다:
(엔비디아 규제가 중국의 AI 부상을 막지 못했다
https://www.wsj.com/opinion/nvidia-controls-didnt-arrest-chinas-ai-rise-ginn-pottinger-commerce-tobin-trump-15-54ccaf22(
Forwarded from 루팡
다음주 일정
18일: 팔로알토 실적(장후)
19일: 미셸 보먼 부의장 연설, 홈디포, 메드트로닉, VIKING 실적(장전)
20일: 크리스토퍼 윌러 이사 연설, FOMC 회의록 공개, 타겟, 에스티로더, 바이두 실적(장전)
21일: 월마트 실적(장전)
22일: 잭슨홀- 파월 의장 연설
18일: 팔로알토 실적(장후)
19일: 미셸 보먼 부의장 연설, 홈디포, 메드트로닉, VIKING 실적(장전)
20일: 크리스토퍼 윌러 이사 연설, FOMC 회의록 공개, 타겟, 에스티로더, 바이두 실적(장전)
21일: 월마트 실적(장전)
22일: 잭슨홀- 파월 의장 연설
Forwarded from [신한 리서치본부] 제약/바이오
[알테오젠] 맥쿼리증권 Outperform(목표주가 59만원) Initiation 리포트
작성자
alteogen
작성일
2025-08-16 14:10
https://www.alteogen.com/ir_1/?uid=2561&mod=document
어제(8/15) 알테오젠에 대해 Outperform 의견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한 맥쿼리증권의 리포트가 있었습니다. 향후 12개월 목표주가로 59만원(시총 31.5조원)을 제시하며 현주가 대비 35% 상승이 가능하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알테오젠의 피하주사 전환 플랫폼은 환자, 의사, 제약사의 unmet needs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기술임: 짧은 시간과 투약이 쉬운 피하주사(SC)는 정맥투여(IV)에 비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의료진의 부담을 개선시킬 수 있음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으로 검증된 플랫폼: 알테오젠은 MSD, Daiichi Sankyo, AstraZeneca 등 빅파마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으며 플랫폼이 검증됐고 미국 특허가 2043년까지 IP보호가 되어 있음
▶️경쟁사 대비 차별화: 경쟁사와 달리 유연한 라이선스 계약이 가능해 앞으로도 다양한 modalities와 therapeutic area에서 추가 라이선스 기회들이 열려있고 auto-injector 등 의료기기에도 사용될 수 있음
▶️할로자임 대비 프리미엄 가치: 할로자임의 특허가 ‘29~30년에 만료를 앞두고 있는데 반해 알테오젠은 ‘43년까지 긴 특허가 있고, 알테오젠은 outstanding 블록버스터 항암치료제 키트루다 및 엔허투와 파트너십을 맺으며 경쟁사 대비 프리미엄을 받을 자격이 있음
▶️Catalysts: 키트루다SC 출시(10월), 엔허투SC 임상 업데이트(1H26), 코스피 이전, 추가 라이선스 계약
작성자
alteogen
작성일
2025-08-16 14:10
https://www.alteogen.com/ir_1/?uid=2561&mod=document
어제(8/15) 알테오젠에 대해 Outperform 의견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한 맥쿼리증권의 리포트가 있었습니다. 향후 12개월 목표주가로 59만원(시총 31.5조원)을 제시하며 현주가 대비 35% 상승이 가능하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알테오젠의 피하주사 전환 플랫폼은 환자, 의사, 제약사의 unmet needs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기술임: 짧은 시간과 투약이 쉬운 피하주사(SC)는 정맥투여(IV)에 비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의료진의 부담을 개선시킬 수 있음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으로 검증된 플랫폼: 알테오젠은 MSD, Daiichi Sankyo, AstraZeneca 등 빅파마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으며 플랫폼이 검증됐고 미국 특허가 2043년까지 IP보호가 되어 있음
▶️경쟁사 대비 차별화: 경쟁사와 달리 유연한 라이선스 계약이 가능해 앞으로도 다양한 modalities와 therapeutic area에서 추가 라이선스 기회들이 열려있고 auto-injector 등 의료기기에도 사용될 수 있음
▶️할로자임 대비 프리미엄 가치: 할로자임의 특허가 ‘29~30년에 만료를 앞두고 있는데 반해 알테오젠은 ‘43년까지 긴 특허가 있고, 알테오젠은 outstanding 블록버스터 항암치료제 키트루다 및 엔허투와 파트너십을 맺으며 경쟁사 대비 프리미엄을 받을 자격이 있음
▶️Catalysts: 키트루다SC 출시(10월), 엔허투SC 임상 업데이트(1H26), 코스피 이전, 추가 라이선스 계약
알테오젠
뉴스
어제(8/15) 알테오젠에 대해 Outperform 의견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한 맥쿼리증권의 리포트가 있었습니다. 향후 12개월 목표주가로 59만원(시총 31.5조원)을 제시하며 현주가 대비 35% 상승이 가능하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알테오젠의 피하주사 전환 플랫폼은 환자, 의사, 제약사의 unmet needs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기술임: 짧은 시간과 투약이 쉬운 피하주사(SC)는 정맥투여(IV)에 비해 환자의 삶의 질을…
Forwarded from 하나증권 리서치 중국/신흥국 전략 김경환
>로켓 비행 시험 임무 실패, ‘중국판 SpaceX’ LandSpace(蓝箭航天) 사과! 기업가치 200억위안, IPO 보도 진행 중
•중국판 SpaceX로 불리는 민간 우주기업 블루아크 항천이 약 200억위안 기업가치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상해 과창판에 상장하기 위한 IPO 준비 과정을 시작
•로켓 시험 실패 및 사과 : 8월 15일, 블루아크 항천의 개량형 ‘주작(朱雀) 2호’ 원궤도 로켓이 동펑(东风) 상업 우주 실험 발사장에서 발사되었으나, 비행 도중 이상이 발생해 시험이 실패했습니다. 회사는 이에 대해 공식 사과했으며, 현재 실패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언급
•기업 역량 및 IPO 준비 : LandSpace는 설계·제조·시험·발사를 아우르는 자사의 완전한 중국산 우주생산 체인을 구축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민간기. 100톤급 액체 로켓 엔진과 중대형 액화산소-메탄 로켓 기술을 모두 보유
•조달 및 손실 현황 : 올해 6월 발표된 2025 글로벌 유니콘 명단에 따르면, LandSpace는 약 200억 위안의 기업가치로 418위 등극. 그러나 상업 우주 분야 전반에 걸친 손실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2023년 및 2024년에 각각 117.7억 위안, 101.5억 위안의 순손실
•지분 매각 및 전략적 변화 : 올해 4월 25일, 모기업 컨크리가든은 LandSpace 지분 약 11.063%를 130.5억 위안에 매각, 해당 기업에 대한 지분을 완전히 처분. 이는 비구원 측의 유동성 압박 해소 차원에서 이루어진 조치로, 회사 측은 이번 거래가 자사에 이익
•기술적 성과 및 미래 전망 LandSpace은 자력 개발한 액체 엔진으로 궤도 진입에 성공한 국내 유일의 민간 운반 로켓 기업. 자사 유니콘 ‘주작 2호’는 국내 최초로 상업용 액체 로켓으로 상업 운용이 가능한 로켓이며, 이미 다섯 번의 발사를 수행. 차세대 재사용형 액화산소-메탄 로켓 ‘주작 3호’는 2025년에 첫 비행을 목표로 개발 중
•회사 연혁 : LandSpace은 2015년에 설립된 국내 최초 민간 우주로켓 기업 중 하나로, 2018년 ‘주작 1호’ 발사를 통해 민간 우주 발사 루트를 마음대로 구축한 첫 사례. 2022년에는 ‘주작 2호’ 첫 비행, 2023년에는 성공적으로 궤도 진입을 수행해 전 세계 최초로 액화산소-메탄 로켓의 궤도 진입에 성공
•중국판 SpaceX로 불리는 민간 우주기업 블루아크 항천이 약 200억위안 기업가치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상해 과창판에 상장하기 위한 IPO 준비 과정을 시작
•로켓 시험 실패 및 사과 : 8월 15일, 블루아크 항천의 개량형 ‘주작(朱雀) 2호’ 원궤도 로켓이 동펑(东风) 상업 우주 실험 발사장에서 발사되었으나, 비행 도중 이상이 발생해 시험이 실패했습니다. 회사는 이에 대해 공식 사과했으며, 현재 실패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언급
•기업 역량 및 IPO 준비 : LandSpace는 설계·제조·시험·발사를 아우르는 자사의 완전한 중국산 우주생산 체인을 구축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민간기. 100톤급 액체 로켓 엔진과 중대형 액화산소-메탄 로켓 기술을 모두 보유
•조달 및 손실 현황 : 올해 6월 발표된 2025 글로벌 유니콘 명단에 따르면, LandSpace는 약 200억 위안의 기업가치로 418위 등극. 그러나 상업 우주 분야 전반에 걸친 손실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2023년 및 2024년에 각각 117.7억 위안, 101.5억 위안의 순손실
•지분 매각 및 전략적 변화 : 올해 4월 25일, 모기업 컨크리가든은 LandSpace 지분 약 11.063%를 130.5억 위안에 매각, 해당 기업에 대한 지분을 완전히 처분. 이는 비구원 측의 유동성 압박 해소 차원에서 이루어진 조치로, 회사 측은 이번 거래가 자사에 이익
•기술적 성과 및 미래 전망 LandSpace은 자력 개발한 액체 엔진으로 궤도 진입에 성공한 국내 유일의 민간 운반 로켓 기업. 자사 유니콘 ‘주작 2호’는 국내 최초로 상업용 액체 로켓으로 상업 운용이 가능한 로켓이며, 이미 다섯 번의 발사를 수행. 차세대 재사용형 액화산소-메탄 로켓 ‘주작 3호’는 2025년에 첫 비행을 목표로 개발 중
•회사 연혁 : LandSpace은 2015년에 설립된 국내 최초 민간 우주로켓 기업 중 하나로, 2018년 ‘주작 1호’ 발사를 통해 민간 우주 발사 루트를 마음대로 구축한 첫 사례. 2022년에는 ‘주작 2호’ 첫 비행, 2023년에는 성공적으로 궤도 진입을 수행해 전 세계 최초로 액화산소-메탄 로켓의 궤도 진입에 성공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미국 연방항공청(FAA)이 스페이스X 스타십(Starship) 10차 시험비행을 승인
발사 예정일은 8월 24일(현지 시간), 오후 6시 30분
이번 승인으로 스페이스X는 지난 비행 중 발생했던 문제들에 대한 FAA 조사와 자체 수정 조치를 마쳤음
⚠️ Flight 9 사고 조사 결과
Flight 9(Booster 14 + Ship 35)에서 비행 중 고도 상승과 엔진 차단까지는 성공했으나,
우주 공간에서 자세 제어 실패 → 대기권 재진입 시 통제 불능 상태 → 기체 소실.
원인: 메탄 탱크 압력 유지용 확산기(diffuser) 부품 고장.
메탄 탱크 상부 돔에 위치한 확산기 손상 → 메탄 가스 누출 → 액체 메탄 유입 → 시스템 급냉 → 자동 안전모드 가동 → 추진제 전량 방출.
스페이스X는 텍사스 맥그리거 기지에서 문제 재현 후, 확산기 설계를 개선하고 구조적 하중 완화 설계 반영. 새 부품은 자격 시험 완료.
🚀Flight 10 계획
조합: Booster 16 + Ship 37.
목표
상단부 비행 데이터 수집 (상승·우주 공간 비행·재진입 과정).
부스터 착륙 재시도 (Flight 9에서 시도했던 항목 재실험).
Ship 37은 최근 테스트를 문제 없이 완료.
이번 비행은 Block 2 버전의 실험 재현 및 데이터 축적에 초점을 맞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발사 예정일은 8월 24일(현지 시간), 오후 6시 30분
이번 승인으로 스페이스X는 지난 비행 중 발생했던 문제들에 대한 FAA 조사와 자체 수정 조치를 마쳤음
⚠️ Flight 9 사고 조사 결과
Flight 9(Booster 14 + Ship 35)에서 비행 중 고도 상승과 엔진 차단까지는 성공했으나,
우주 공간에서 자세 제어 실패 → 대기권 재진입 시 통제 불능 상태 → 기체 소실.
원인: 메탄 탱크 압력 유지용 확산기(diffuser) 부품 고장.
메탄 탱크 상부 돔에 위치한 확산기 손상 → 메탄 가스 누출 → 액체 메탄 유입 → 시스템 급냉 → 자동 안전모드 가동 → 추진제 전량 방출.
스페이스X는 텍사스 맥그리거 기지에서 문제 재현 후, 확산기 설계를 개선하고 구조적 하중 완화 설계 반영. 새 부품은 자격 시험 완료.
🚀Flight 10 계획
조합: Booster 16 + Ship 37.
목표
상단부 비행 데이터 수집 (상승·우주 공간 비행·재진입 과정).
부스터 착륙 재시도 (Flight 9에서 시도했던 항목 재실험).
Ship 37은 최근 테스트를 문제 없이 완료.
이번 비행은 Block 2 버전의 실험 재현 및 데이터 축적에 초점을 맞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유진투자증권 코스닥벤처팀 (병화 한)
미국 OBBBA 재생에너지 보조금 가이드라인 확정
-업계 우려 보다 완화되어 리스크 낮아져
-태양광, 풍력 개발업체들 2026년 7월 4일까지 착공하거나 2027년 12월 31일까지 완공하면 보조금 수령하는데
-이번에 확정된 것은 착공 기준. OBBBA 이전에는 1) 중요한 물리적 작업 또는 2) 총 투자비의 5% 지출 증명하면 되었으나 IRS의 수정안은 2) 5% 룰 삭제하고 의미있는 물리적 작업을 증명해야 함
-조건 강화에도 불구하고 업계가 안도하는 이유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에 대해서 소급 적용이 없기 때문. 또한 1.5MW 이하의 소규모 태양광에 대해서는 5%룰을 유지
-예상보다 완화된 규정이 확정된 이유는 공화 상원의원들이 재무부 관료 인선 동의를 무기로 협상을 벌였기 때문
-트럼프의 재생에너지 죽이기 작업이 일단락되었지만, 오히려 2027년말까지 미국의 태양광, 풍력 설치량은 보조금 수령 위해 급증할 것
-또한 이번 규정 변화에도 ESS는 예외를 인정 받아서 재생에너지와 ESS가 동반되어서 확대
-발표 후 미국 태양광 관련주 일제히 급등
https://www.washingtonpost.com/climate-environment/2025/08/15/tax-credits-renewable-energy-projects/
-업계 우려 보다 완화되어 리스크 낮아져
-태양광, 풍력 개발업체들 2026년 7월 4일까지 착공하거나 2027년 12월 31일까지 완공하면 보조금 수령하는데
-이번에 확정된 것은 착공 기준. OBBBA 이전에는 1) 중요한 물리적 작업 또는 2) 총 투자비의 5% 지출 증명하면 되었으나 IRS의 수정안은 2) 5% 룰 삭제하고 의미있는 물리적 작업을 증명해야 함
-조건 강화에도 불구하고 업계가 안도하는 이유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에 대해서 소급 적용이 없기 때문. 또한 1.5MW 이하의 소규모 태양광에 대해서는 5%룰을 유지
-예상보다 완화된 규정이 확정된 이유는 공화 상원의원들이 재무부 관료 인선 동의를 무기로 협상을 벌였기 때문
-트럼프의 재생에너지 죽이기 작업이 일단락되었지만, 오히려 2027년말까지 미국의 태양광, 풍력 설치량은 보조금 수령 위해 급증할 것
-또한 이번 규정 변화에도 ESS는 예외를 인정 받아서 재생에너지와 ESS가 동반되어서 확대
-발표 후 미국 태양광 관련주 일제히 급등
https://www.washingtonpost.com/climate-environment/2025/08/15/tax-credits-renewable-energy-projects/
The Washington Post
Trump administration limits subsidies for solar, wind projects
The president issued an order last month directing the Treasury Department to rewrite rules for the remaining tax credits available to wind and solar projects.
2025년 8월 1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7월 소매판매 등 실물지표가 양호하게 발표되며 9월 인하 가능성이 다시 내려갔습니다.
(2) 트럼프의 태양광 세제혜택 축소가 우려보다 약하다는 평가로 관련주가 급등했습니다.
(3) 트럼프 푸틴 알래스카 회담이 구체적인 내용없이 종료됐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6.75원 (-3.60원)
테더 1,395.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세줄요약
(1) 미 7월 소매판매 등 실물지표가 양호하게 발표되며 9월 인하 가능성이 다시 내려갔습니다.
(2) 트럼프의 태양광 세제혜택 축소가 우려보다 약하다는 평가로 관련주가 급등했습니다.
(3) 트럼프 푸틴 알래스카 회담이 구체적인 내용없이 종료됐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6.75원 (-3.60원)
테더 1,395.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Telegram
Rafiki research
Global macro research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8/18 주간 이슈 점검: 잭슨홀 컨퍼런스과 FOMC 의사록 공개
이번 주는 잭슨홀에 주목. 월요일(18일)부터 블록체인 심포지엄이 열리는 데 20일 와이오밍 스테이블 코인이 출시되기에 주목. 목요일(21일)부터는 잭슨홀 컨퍼런스가 개최되는데 고용시장과 관련된 주제이기에 금요일(22일) 파월의 발언에서 금리인하 시사하는 내용이 언급될 수 있기 때문. 물론, 수요일(20일) FOMC 의사록 공개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더불어 소매유통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줄줄이 있는데 가이던스가 중요. 생산자물가지수를 감안 소비자들에게 가격 전가가 이어졌음을 보여줬기 때문.
* 잭슨홀 컨퍼런스과 FOMC 의사록 공개
팬데믹 이후 잭슨홀 컨퍼런스 주요 내용을 보면, 2020년에는 파월 연준 의장이 팬데믹 이후 저금리, 저성장 기조가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2021년에는 경기회복의 차별화 문제를 지적. 2022년에는 공급망 병목, 수요 과열, 인플레이션 등을 지적. 2023년에는 ‘장기적인 구조 변화에 주목. 2024년에는 파월 연준 의장이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 2025년에는 ‘전환기의 노동시장: 인구통계, 생산성, 그리고 거시경제 정책’을 주제로 열리며, 고용시장에 대한 논의가 중심
결국 올해 잭슨홀의 주제가 노동시장과 관련된 만큼 최근 미국 고용시장의 불안은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22일)에서 언급될 가능성이 큼. 최근 비농업고용 둔화, 노동참여율 하락 등은 인구 고령화와 구조적 변화와 맞물려 노동시장 불안을 심화시키고 있음. 임금 상승세 둔화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어, 파월 의장이 2024년에 언급했던 ‘고용시장이 인플레 압력의 주요 원인이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음. AI와 자동화 확산은 산업별 고용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어 생산성 논의와 함께 다뤄질 가능성이 큼. 이러한 고용시장 약화는 9월 금리 인하 명분이 될 수 있으며, 시장은 파월 의장이 연설에서 이를 시사하는 발언에 주목할 것으로 판단.
결론적으로, 현재 시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상당 부분 반영했지만, 파월 의장이 발언에서 금리 인하 시점과 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거나 경기 둔화를 강하게 언급하면 단기적으로 금리, 달러, 주식시장에 변화를 촉발할 수 있음. 특히, 금리 인하를 단순히 시사하는 수준인지, 아니면 강한 어조로 확실하게 언급하는지에 따라 시장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어, 파월 연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한편, 지난 7월 FOMC는 금리 인하와 금리 동결을 둘러싼 위원 간 입장 차이가 드러났음. 일부 위원은 경기 둔화와 고용시장 약화를 이유로 금리 인하 필요성을 강조했고, 다른 위원은 인플레이션 안정과 정책 효과성을 이유로 동결을 지지한 것으로 추정. 그렇기 때문에 이번 의사록에서 연준위원들이 어느정도 강도로 관련된 부분을 언급했는지, 그리고 금리 인하나 동결 결정이 어떤 경제 데이터나 지표 변화를 언급했는지 주목할 듯. 따라서 시장은 위원 간 입장 차이, 경제 지표 반영 방식, 조건부 정책 결정의 불확실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향후 금리, 주식, 달러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는 핵심 신호가 될 수 있음.
* 암호화폐 시장
와이오밍 블록체인 심포지엄 2025는 2025년 8월 18일부터 21일까지 개최. 비공개 행사이나 보우만 연준 부의장과 월러 연준이사의 발언이 있어 주목. 이번 행사에서는 디지털 자산과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에 대한 논의가 진행. 특히, 와이오밍주 공식 스테이블코인인 WYST의 메인넷 출시가 8월 20일에 진행. WYST 토큰은 와이오밍주 내 세금 납부, 서비스 결제, 합법적 상품 구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이슈와 암호화페 시장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주목해야 할 듯
*요일별 주목할 이슈
월요일(18일): 미-정상회담 결과, 와이오밍 블록체인 심포지엄
화요일(19일): 주택지표, 홈디포 실적을 통한 경기 전망
수요일(20일): 소매유통업종과 FOMC 의사록 공개
목요일(21일): 월마트 실적 발표등과 경기 전망
금요일(22일): 잭슨홀 컨퍼런스에서의 파월 발언
*주간 주요일정
08/18(월)
유로존: 무역수지
미국: 주택시장지수
보고서: 뉴욕연은 노동시장 서베이
회의: 와이오밍 블록체인 심포지엄(~21일)
장후 실적: 팔로알토(PANW), XP(XP)
08/19(화)
미국: 주택착공, 허가건수
발언: 보우만 부의장(은행시스템과 블록체인)
한국 실적: LS, GS, 이수페타시스, 한전기술, 코스맥스, 리가켐바이오
장전 실적: 홈디포(HD), 메드트로닉스(MDT), 샤오펑(XPEV)
장후 실적: 키사이트 테크(KEYS), SQM(SQM), 툴브라더스(TOL)
08/20(수)
독일: 생산자물가지수
영국: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
은행: 중국 LPR 금리 결정, FOMC 의사록 공개, 뉴질랜드 통화정책회의
채권: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
발언: 월러 이사(결제-블록체인)
장전 실적: TJX(TJX), 로이어스(LOW), 아나로그 디바이스(ADI), 타겟(TGT), 바이두(BIDU), 에스티로더(EL)
장후 실적: 코티(COTY)
08/21(목)
한국: 생산자물가지수
유로존, 영국, 독일: 제조업, 서비스업 PMI
유로존: 소비자 신뢰지수
미국, 제조업, 서비스업 PMI, 기존주택판매건수, 선행지수
회의: 잭슨홀 컨퍼런스(~23일)
발언: 보스틱 총재
장전 실적: 월마트(WMT), 빌리빌리(BILI), 민소그룹(MNSO), 카나디아 솔라(CSIQ)
장후 실적: 인튜이트(INTU), 워크데이(WDAY), 로스스토어(ROST), 줌(ZM)
08/22(금)
일본: 소비자물가지수
발언: 파월 연준의장(경제전망)
장전 실적: RLX(RLX)
이번 주는 잭슨홀에 주목. 월요일(18일)부터 블록체인 심포지엄이 열리는 데 20일 와이오밍 스테이블 코인이 출시되기에 주목. 목요일(21일)부터는 잭슨홀 컨퍼런스가 개최되는데 고용시장과 관련된 주제이기에 금요일(22일) 파월의 발언에서 금리인하 시사하는 내용이 언급될 수 있기 때문. 물론, 수요일(20일) FOMC 의사록 공개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더불어 소매유통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줄줄이 있는데 가이던스가 중요. 생산자물가지수를 감안 소비자들에게 가격 전가가 이어졌음을 보여줬기 때문.
* 잭슨홀 컨퍼런스과 FOMC 의사록 공개
팬데믹 이후 잭슨홀 컨퍼런스 주요 내용을 보면, 2020년에는 파월 연준 의장이 팬데믹 이후 저금리, 저성장 기조가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2021년에는 경기회복의 차별화 문제를 지적. 2022년에는 공급망 병목, 수요 과열, 인플레이션 등을 지적. 2023년에는 ‘장기적인 구조 변화에 주목. 2024년에는 파월 연준 의장이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 2025년에는 ‘전환기의 노동시장: 인구통계, 생산성, 그리고 거시경제 정책’을 주제로 열리며, 고용시장에 대한 논의가 중심
결국 올해 잭슨홀의 주제가 노동시장과 관련된 만큼 최근 미국 고용시장의 불안은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22일)에서 언급될 가능성이 큼. 최근 비농업고용 둔화, 노동참여율 하락 등은 인구 고령화와 구조적 변화와 맞물려 노동시장 불안을 심화시키고 있음. 임금 상승세 둔화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어, 파월 의장이 2024년에 언급했던 ‘고용시장이 인플레 압력의 주요 원인이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음. AI와 자동화 확산은 산업별 고용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어 생산성 논의와 함께 다뤄질 가능성이 큼. 이러한 고용시장 약화는 9월 금리 인하 명분이 될 수 있으며, 시장은 파월 의장이 연설에서 이를 시사하는 발언에 주목할 것으로 판단.
결론적으로, 현재 시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상당 부분 반영했지만, 파월 의장이 발언에서 금리 인하 시점과 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거나 경기 둔화를 강하게 언급하면 단기적으로 금리, 달러, 주식시장에 변화를 촉발할 수 있음. 특히, 금리 인하를 단순히 시사하는 수준인지, 아니면 강한 어조로 확실하게 언급하는지에 따라 시장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어, 파월 연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한편, 지난 7월 FOMC는 금리 인하와 금리 동결을 둘러싼 위원 간 입장 차이가 드러났음. 일부 위원은 경기 둔화와 고용시장 약화를 이유로 금리 인하 필요성을 강조했고, 다른 위원은 인플레이션 안정과 정책 효과성을 이유로 동결을 지지한 것으로 추정. 그렇기 때문에 이번 의사록에서 연준위원들이 어느정도 강도로 관련된 부분을 언급했는지, 그리고 금리 인하나 동결 결정이 어떤 경제 데이터나 지표 변화를 언급했는지 주목할 듯. 따라서 시장은 위원 간 입장 차이, 경제 지표 반영 방식, 조건부 정책 결정의 불확실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향후 금리, 주식, 달러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는 핵심 신호가 될 수 있음.
* 암호화폐 시장
와이오밍 블록체인 심포지엄 2025는 2025년 8월 18일부터 21일까지 개최. 비공개 행사이나 보우만 연준 부의장과 월러 연준이사의 발언이 있어 주목. 이번 행사에서는 디지털 자산과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에 대한 논의가 진행. 특히, 와이오밍주 공식 스테이블코인인 WYST의 메인넷 출시가 8월 20일에 진행. WYST 토큰은 와이오밍주 내 세금 납부, 서비스 결제, 합법적 상품 구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이슈와 암호화페 시장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주목해야 할 듯
*요일별 주목할 이슈
월요일(18일): 미-정상회담 결과, 와이오밍 블록체인 심포지엄
화요일(19일): 주택지표, 홈디포 실적을 통한 경기 전망
수요일(20일): 소매유통업종과 FOMC 의사록 공개
목요일(21일): 월마트 실적 발표등과 경기 전망
금요일(22일): 잭슨홀 컨퍼런스에서의 파월 발언
*주간 주요일정
08/18(월)
유로존: 무역수지
미국: 주택시장지수
보고서: 뉴욕연은 노동시장 서베이
회의: 와이오밍 블록체인 심포지엄(~21일)
장후 실적: 팔로알토(PANW), XP(XP)
08/19(화)
미국: 주택착공, 허가건수
발언: 보우만 부의장(은행시스템과 블록체인)
한국 실적: LS, GS, 이수페타시스, 한전기술, 코스맥스, 리가켐바이오
장전 실적: 홈디포(HD), 메드트로닉스(MDT), 샤오펑(XPEV)
장후 실적: 키사이트 테크(KEYS), SQM(SQM), 툴브라더스(TOL)
08/20(수)
독일: 생산자물가지수
영국: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
은행: 중국 LPR 금리 결정, FOMC 의사록 공개, 뉴질랜드 통화정책회의
채권: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
발언: 월러 이사(결제-블록체인)
장전 실적: TJX(TJX), 로이어스(LOW), 아나로그 디바이스(ADI), 타겟(TGT), 바이두(BIDU), 에스티로더(EL)
장후 실적: 코티(COTY)
08/21(목)
한국: 생산자물가지수
유로존, 영국, 독일: 제조업, 서비스업 PMI
유로존: 소비자 신뢰지수
미국, 제조업, 서비스업 PMI, 기존주택판매건수, 선행지수
회의: 잭슨홀 컨퍼런스(~23일)
발언: 보스틱 총재
장전 실적: 월마트(WMT), 빌리빌리(BILI), 민소그룹(MNSO), 카나디아 솔라(CSIQ)
장후 실적: 인튜이트(INTU), 워크데이(WDAY), 로스스토어(ROST), 줌(ZM)
08/22(금)
일본: 소비자물가지수
발언: 파월 연준의장(경제전망)
장전 실적: RLX(RLX)
Forwarded from 《하나 주식전략》 이재만과 김두언 그리고 이경수 (이재만)
[Web발신]
8/18일 하나증권 전략 이재만
[화수분전략] 장단기금리차 상승,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자료: https://bit.ly/4mrBW7q
*미국 장단기금리차(10년물-2년물)는 상승 전환, 하이일드 신용스프레드(신용위험)는 4월을 정점으로 하락하며 현재 경험적 저점 수준 유지
*현재 인플레이션 논란이 있지만 경기선행지수가 3개월째 YoY -4%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9/17일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높음(과거 YoY -3% 이하에서 기준금리 인하).
*연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어 신용스프레드는 낮은 수준 유지 예상. 또한 기준금리 인하 국면에서 단기가 장기 국채금리보다 하락 폭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장단기금리차는 상승
*다만 ① 2025년 3분기 미국 국채 순발행 예상 금액은 1조 달러(2분기 500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 시중금리 하락이 더디게 진행될 수 있음
*② 한편 기대인플레이션은 향후 관세 영향을 반영할 가능성(7월 CPI 2.7% 전월과 동일↔PPI 3.3% 전월 대비 상승) 남아 있음. 현재 서비스물가와 인건비 상승(이민자 수 감소와 노동생산성 하락세) 등 감안 시 높은 수준 유지 예상. 미국 장기 금리 하락이 단기 대비 보다 더디게 진행. 장단기금리차 상승 추가적 진행 가능성
*미국의 장단기금리차 상승과 하이일드 신용스프레드 하락 시 S&P500지수 내에서 성장주(3.3%)와 가치주(3.3%)의 월 평균 주가 수익률은 차이 없음(가치주 반전 주목)
*한편 러셀2000지수(3.9%)의 주가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점까지 고려 시 중소형주 또는 주가가 부진했던 업종의 반전 환경. 참고로 코스피 보다 코스닥의 월 평균 주가 수익률 다소 높았음
*미국 장단기금리차 상승, 신용위험이 현재와 같이 낮은 수준을 유지했던 국면에서 주가 수익률이 높았던 기업들 공통점 ① 잉여현금 흐름 개선, 특히 유동부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면 비용 절감 효과는 커짐
*② 부채 보유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레버리지 비율(총자산/총자본)이 높아 ROE(ROA*레버리지 비율)를 상승시키는 기업들의 주가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한편 ③ 인건비 상승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인당 매출액 증가 여부도 중요
*미국 기업: 엔비디아, 애플, 비자, 넷플릭스, 마스터카드, 팔란티어, 존슨앤드존슨 등(도표 19). 국내 기업: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HD현대중공업, NAVER, 한화오션 등(도표 24).
(컴플라이언스 승인 득함)
8/18일 하나증권 전략 이재만
[화수분전략] 장단기금리차 상승,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자료: https://bit.ly/4mrBW7q
*미국 장단기금리차(10년물-2년물)는 상승 전환, 하이일드 신용스프레드(신용위험)는 4월을 정점으로 하락하며 현재 경험적 저점 수준 유지
*현재 인플레이션 논란이 있지만 경기선행지수가 3개월째 YoY -4%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9/17일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높음(과거 YoY -3% 이하에서 기준금리 인하).
*연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어 신용스프레드는 낮은 수준 유지 예상. 또한 기준금리 인하 국면에서 단기가 장기 국채금리보다 하락 폭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장단기금리차는 상승
*다만 ① 2025년 3분기 미국 국채 순발행 예상 금액은 1조 달러(2분기 500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 시중금리 하락이 더디게 진행될 수 있음
*② 한편 기대인플레이션은 향후 관세 영향을 반영할 가능성(7월 CPI 2.7% 전월과 동일↔PPI 3.3% 전월 대비 상승) 남아 있음. 현재 서비스물가와 인건비 상승(이민자 수 감소와 노동생산성 하락세) 등 감안 시 높은 수준 유지 예상. 미국 장기 금리 하락이 단기 대비 보다 더디게 진행. 장단기금리차 상승 추가적 진행 가능성
*미국의 장단기금리차 상승과 하이일드 신용스프레드 하락 시 S&P500지수 내에서 성장주(3.3%)와 가치주(3.3%)의 월 평균 주가 수익률은 차이 없음(가치주 반전 주목)
*한편 러셀2000지수(3.9%)의 주가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점까지 고려 시 중소형주 또는 주가가 부진했던 업종의 반전 환경. 참고로 코스피 보다 코스닥의 월 평균 주가 수익률 다소 높았음
*미국 장단기금리차 상승, 신용위험이 현재와 같이 낮은 수준을 유지했던 국면에서 주가 수익률이 높았던 기업들 공통점 ① 잉여현금 흐름 개선, 특히 유동부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면 비용 절감 효과는 커짐
*② 부채 보유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레버리지 비율(총자산/총자본)이 높아 ROE(ROA*레버리지 비율)를 상승시키는 기업들의 주가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한편 ③ 인건비 상승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인당 매출액 증가 여부도 중요
*미국 기업: 엔비디아, 애플, 비자, 넷플릭스, 마스터카드, 팔란티어, 존슨앤드존슨 등(도표 19). 국내 기업: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HD현대중공업, NAVER, 한화오션 등(도표 24).
(컴플라이언스 승인 득함)
❤1
Forwarded from 채권 애널리스트 김성수
Stephen Miran 연준 이사 지명자
(비둘기파, 당연직(입성은 아직))
1. 연준은 독립기관이지만 대통령은 의견을 제시할 권리가 있음
2. 상당히 많은 디스인플레이션 요인(plenty of disinflation in the pipeline)들이 존재
3. 전반적으로 물가는 안정적이고 적절한 수준에 위치
4. 결국에는 다른 나라들이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을 부담할 것
Austan Goolsbee 시카고 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 있음)
1. 물가 경로가 복잡해졌음(mixed). 최근 CPI, PPI 수치들은 둔화세가 주춤하다는 것을 시사
2. 미국이 아직도 골디락스에 있는지 추가적인 물가 데이터들을 통해 확인할 것
3. 한달치 CPI, PPI 지표에 일희일비할 것은 없지만 지금은 우려스러운 상황(an area of concern)이 맞음
4. 기준금리는 영원히 동결된 채로 있지 않을 것
(비둘기파, 당연직(입성은 아직))
1. 연준은 독립기관이지만 대통령은 의견을 제시할 권리가 있음
2. 상당히 많은 디스인플레이션 요인(plenty of disinflation in the pipeline)들이 존재
3. 전반적으로 물가는 안정적이고 적절한 수준에 위치
4. 결국에는 다른 나라들이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을 부담할 것
Austan Goolsbee 시카고 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 있음)
1. 물가 경로가 복잡해졌음(mixed). 최근 CPI, PPI 수치들은 둔화세가 주춤하다는 것을 시사
2. 미국이 아직도 골디락스에 있는지 추가적인 물가 데이터들을 통해 확인할 것
3. 한달치 CPI, PPI 지표에 일희일비할 것은 없지만 지금은 우려스러운 상황(an area of concern)이 맞음
4. 기준금리는 영원히 동결된 채로 있지 않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