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4K subscribers
8.01K photos
44 videos
159 files
11.9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루팡
도널드 J. 트럼프

"일본 무역 대표단과 방금 회담을 가진 것은 큰 영광이었습니다. 큰 진전이 있었습니다!"
» 명분만 주어진다면 관세 불확실성을 길게 끌고 가기 싫은 건 비슷한 입장일 것

» 조기 합의 기대는 미국 정부 스탠스에 대한 판단과 상징성 측면에서 충분히 의미있는 부분

日 "미일, 조기 합의에 의견 일치…이달 내 추가 협의키로"
- 美와 첫 관세협상 마쳐…실무급 협의도 이어가기로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35386?sid=104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저성능 AI 반도체 ‘H20’과, 이와 비슷한 성능을 내는 AMD의 ‘MI308’까지 대중(對中) 수출 통제 목록에 포함시켰다.

15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가 H20을 중국에 수출하려면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통보했다”며 “해당 규칙은 무기한 유지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미 정부 당국자들은 H20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될 것이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이번 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워싱턴의 H20 규제는 미국이 어떻게 관세와 무역 장벽을 활용해 베이징에 대한 압력을 높이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희토류를 포함한 가공된 핵심 광물과 그 파생 제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라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또 미국은 중국 제품의 우회 수출 막기,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퇴출 등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의 관세 협상에 자신도 참석한다고 알렸다. 그는 16일 트루스소셜에 “일본이 오늘 관세, 군사 지원 비용, 무역 공정성에 대해 협상하러 온다. 나도 재무·상무장관과 함께 이 회의(일본과의 관세 협상)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썼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628867?sid=104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NVIDIA의 지역별 매출 규모 추이
인텔, 중국 고객에게 AI 칩 수출 시 미국 라이선스 필요

📌인텔은 중국 고객들에게 가우디 시리즈와 같은 특정 메모리 및 I/O 대역폭 기준을 초과하는

고성능 AI 칩을 수출하기 위해 라이선스가 필요하다고 알림.

엔비디아의 H20 프로세서에 부과된 유사한 제한 조치를 따르는 것으로,

중국의 첨단 AI 기술 접근을 제한하려는 미국 정부의 전략

라이선스 요구사항은 트럼프의 국가 안보 의제 일부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 환율 한달내 최저치. 약달러 지속될 시 고환율 수혜주 점검 필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1. 2월 전망 시나리오는 미국 관세정책을 고려하면 낙관적. 그러나 불확실성이 너무 큰 상황인 만큼 5월 전망의 토대도 만들어지지 않았음

2. 금년 성장률은 상당폭 하향 조정될 전망. 관세정책에 1분기 부진도 반영해야하기 때문

3. 정부지출에 대한 재정승수는 0.4~0.5정도. 12조원 추경 편성 시 성장률 0.1%p 제고 효과 예상

4. 환 변동성 완화를 위해서는 1) 미국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감소하고, 2)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성이 조금 명확해져야 하며, 3) 국내 정치상황 개선이 필요

5. 성장률이 낮아진다고 해서 무조건적인 경기 부양정책을 기대해서는 안됨. 잠재성장률이 낮아지고 있는 만큼 합리적인 규모와 대응 정도를 고민해야 함

6. 잠재성장률 이상의 경기 부양은 부작용을 초래할 것

7. 주요국 대비 금리 인하 사이클에 선제적으로 진입했고, 지금까지의 인하 횟수, 앞으로의 인하 가능성 등을 보면 현재 통화정책 기조는 보수적이지 않음

8. 현재 환율 수준은 펀더멘털 대비 절하되어 있는 상황
< 2월 vs 4월 통방문 비교 >

1️⃣ 첫 문단의 경우 "1분기에 성장 하방위험이 확대되었지만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가계대출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동결 배경을 제시

2️⃣ 세계경제 평가 문단은 대동소이. 성장의 하방위험 "확대"를 "증대"로 변경

3️⃣ 국내경기 평가 문단의 경우 내수와 수출이 모두 둔화되어 성장세가 예상보다 약화되었다고 판단 (직전 문구는 내수 부진, 수출 약화였음). 이에 5월 수정경제전망에서 2월 전망치 하향조정을 시사. 단,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힘

▶️ "지난 2월 전망치를 하회할 것으로 보이나" 문구를 감안할 때 성장률 하향조정 폭은 2월의 0.4%p 보다 크지는 않을 전망

4️⃣ 국내 물가 평가 문단은 올해 물가 전망치가 기존 2월 수치에 대체로 부합할 것을 시사. 단, 향후 고려사항에 국내외 경기 흐름을 제일 앞순서로 배치

5️⃣ 마지막 향후 통화정책 점검 문단에서는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물가, 가계부채 및 환율을 면밀히 점검" 하겠다는 문구가 추가되었음

▶️ 2월 기자회견과 전일 법사위 전체회의 발언과 동일
#원자력
- 맥쿼리에서 원자력 발전에 관하여 이닛
- 국내사중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포함
아래는 Macquarie의 2025년 4월 리포트 "New Atomic Age: Asia leads the nuclear renaissance"**의 핵심 내용을 한글로 정리한 요약입니다.

---

**핵심 요약


1. 핵에너지 부활 및 아시아 주도
- 전 세계 원자로 건설 수는 30년 만에 최고치(65기, 70GW 이상).
- 중국이 전 세계 신규 원자로의 약 45%**를 건설 중이며, **한국**은 효율적인 건설 및 SMR 수출 확대 전략 추진.
- **주요 수혜 기업
: Doosan Enerbility, Dongfang Electric, Mitsubishi Heavy, CNNP, CGN Mining, Boss Energy.

2. 핵발전의 투자 매력
- 2024년 원자력 관련 글로벌 투자액은 약 $64B, 10년 만에 최고.
- 발전소 재가동, 수명연장, SMR 개발 등도 활발.
- 핵발전은 탄소중립, 에너지 안보, 전력망 안정성**에 기여하는 핵심 요소로 주목.

**3. SMR(소형모듈원자로)과 차세대 기술

- 중국, 캐나다, 미국**을 중심으로 SMR 상용화 진행 중.
- SMR은 저비용, 짧은 건설기간, 안전성 등의 장점으로 산업체 및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 주요 개발사: **NuScale, GE-Hitachi, TerraPower, CNNC, KHNP, Mitsubishi
.

4. 핵 연료(우라늄) 공급 부족 및 수요 급증
- 신규 원전 건설, 재가동, SMR 수요 증가로 우라늄 수요 급등 예상.
- 공급의 1위는 카자흐스탄(37%), 주요 기업으로 Boss Energy, CGN Mining 언급됨.
- 우라늄 가격은 2024년 급등 후 안정세(장기 계약가는 $80/lb 수준 유지).

5. 주요국 전략 및 전망
- 중국: 2035년까지 150기 신규 원전 목표. 2030년까지 98GW 달성 전망.
- 한국: Shin Hanul 3·4호기 착공, APR1400 해외 수출 강화. SMR 개발 중.
- 일본: 후쿠시마 이후 14기 재가동, 신규 원전도 논의 재개.
- 인도: 700MW급 PHWR 10기 동시 건설, 2047년까지 100GW 목표.
- 미국: 신규 대형 원전은 제한적이나 SMR 및 수명 연장 중심.
- EU: 프랑스는 신규 6기 EPR2 계획, 동유럽도 신규 건설 가속화.

6. 리스크 요인
- 대형 사고 발생 시 여론 반전 우려 (Three Mile Island, 체르노빌, 후쿠시마 사례).
- 발전 수요 둔화, 서방의 고비용 구조 지속, 탄소중립 정책 약화 시 수요 위축 가능.

---

주요 투자 아이디어 요약 (Macquarie 추천주)

| 기업명 | 국가 | 역할 | 특징 |
|--------|------|------|------|
| Doosan Enerbility | 한국 | 장비 제조 | SMR 부품, APR1400 부품 공급 |
| Dongfang Electric | 중국 | 장비 제조 | 중국 내 40% 시장 점유율 |
| Mitsubishi Heavy | 일본 | 장비·설계 | 고부가가치 부품, 자동화 설비 보유 |
| CNNP | 중국 | 발전 운영 | 연평균 8.8% 용량 성장 전망 |
| Boss Energy | 호주 | 우라늄 생산 | Honeymoon ISR 프로젝트 |
| CGN Mining | 홍콩 | 우라늄 개발 | Zhalpak 광산 생산 증가 |

---

필요하시면, 특정 기업별 상세 분석, SMR 발전 시나리오, 우라늄 수급 전망, 또는 국가별 원전 정책만 따로 정리해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