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 2020.11.25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0.3%, 2,600선 마감. 상승주 9, 하락주 21, 보합 0
다우 -0.6%, S&P 500 -0.2%, 나스닥 +0.5%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월~화 이틀 연속 상승 후 소폭 조정.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미국 정권 이양 합의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 재닛 옐런의 재무장관 임명에 따른 경기부양책 기대감 확산이 그동안의 지수 상승 견인. 그러나 수요일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환자 수가 사상 최대(88,000명 이상)를 기록하였고, 추수감사절 이후 확진자 증가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불안감에 지수 하락
프로세서 공급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 마감. #엔비디아 +2.1%, #AMD +1.9%, #자일링스 +1.7%. 호재가 작용했다기보다는 그 동안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감에 따른 공정장비 공급사 랠리, 칭화유니그룹발 China Risk 완화에 따른 메모리 공급사 랠리, 5G 확산 기대에 따른 5G 관련 업종 랠리가 이어진 가운데 프로세서 공급사는 상대적으로 소외. 랠리 주도 업종이 조정 국면을 맞은 가운데 프로세서 공급사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
RF 공급사 #Skyworks -2.1%, #Qorvo -2.3%. 양 사의 최대 고객사인 애플이 인하우스 RF FEM 모듈을 개발 검토중이라는 대만 언론보도에 주가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P/E, Trailing 기준 34.6배, FY1 기준 22.9배
52주 장중 최고점 대비 -0.8%, 52주 장중 최저점 대비 +110.7%, YTD 상승률 +40.6%
★ 2020.11.25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0.3%, 2,600선 마감. 상승주 9, 하락주 21, 보합 0
다우 -0.6%, S&P 500 -0.2%, 나스닥 +0.5%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월~화 이틀 연속 상승 후 소폭 조정.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 미국 정권 이양 합의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 재닛 옐런의 재무장관 임명에 따른 경기부양책 기대감 확산이 그동안의 지수 상승 견인. 그러나 수요일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환자 수가 사상 최대(88,000명 이상)를 기록하였고, 추수감사절 이후 확진자 증가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불안감에 지수 하락
프로세서 공급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 마감. #엔비디아 +2.1%, #AMD +1.9%, #자일링스 +1.7%. 호재가 작용했다기보다는 그 동안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감에 따른 공정장비 공급사 랠리, 칭화유니그룹발 China Risk 완화에 따른 메모리 공급사 랠리, 5G 확산 기대에 따른 5G 관련 업종 랠리가 이어진 가운데 프로세서 공급사는 상대적으로 소외. 랠리 주도 업종이 조정 국면을 맞은 가운데 프로세서 공급사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
RF 공급사 #Skyworks -2.1%, #Qorvo -2.3%. 양 사의 최대 고객사인 애플이 인하우스 RF FEM 모듈을 개발 검토중이라는 대만 언론보도에 주가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P/E, Trailing 기준 34.6배, FY1 기준 22.9배
52주 장중 최고점 대비 -0.8%, 52주 장중 최저점 대비 +110.7%, YTD 상승률 +40.6%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 2020.12.04 (금) 필라델피아 반도체 +2.8%, 2,793선 마감. 상승주 27, 하락주 3, 보합 0
다우 +0.8%, S&P 500 +0.9%, 나스닥 +0.7%
금요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목요일 소폭 조정 이후 재차 상승. 미국 경기 부양책 타결 기대감 때문. 52주 신고가 재경신
메모리 강세 지속. #마이크론 대만 Fab 정전 이후 조사기관 DRAMeXchange에서 1Q21 서버 DRAM 가격 전망을 기존 "소폭 하락"에서 "소폭 상승"으로 상향 조정. 마이크론 +4.9%, WDC +6.7%, 실리콘 모션 +5.1%
마이크론 주가는 73.3달러로 70달러 상회하며 마감. 52주 신고가 재경신. DRAM 업황의 조기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NAND Flash 서플라이 체인에 속하는 WDC와 실리콘 모션 주가에도 긍정적 영향
그 외에 상승세 견조했던 업종은 5G 모바일 (Wireless) 수혜주. #퀄컴 +5.1%, #Skyworks +4.5%, #Qorvo +3.9%. 애플의 AiP 내재화 루머 및 RF Front End Module 사업 진출 루머 계기로 주가 조정 이후 유의미한 수준으로 첫 반등
5G 수혜주 중에서 모바일 쪽이 아니라 통신장비 수혜주에 해당되는 #Marvell Technology는 주가 하락. 실적 발표에서 업계 전체적 (industry-wide) 서플라이 체인 공급 부족으로 수요 증가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다고 언급
Marvell Technology의 서플라이 체인 중에 파운드리 서비스 공급사는 TSMC, UMC, 타워재즈 등. Marvell의 공급 부족 발표 계기로 파운드리 공급사 주가 상승. #TSMC ADR +4.3%, #UMC ADR +14.5%, #타워재즈 +4.1% 마감. 3사 중에 #UMC ADR의 경우 뉴욕증시 개시 전부터 전일 대비 +10% 이상 급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P/E, Trailing 기준 37.1배, FY1 기준 24.4배
52주 장중 최고점 대비 0.0%, 52주 장중 최저점 대비 +126.3%, YTD 상승률 +51.0%
★ 2020.12.04 (금) 필라델피아 반도체 +2.8%, 2,793선 마감. 상승주 27, 하락주 3, 보합 0
다우 +0.8%, S&P 500 +0.9%, 나스닥 +0.7%
금요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목요일 소폭 조정 이후 재차 상승. 미국 경기 부양책 타결 기대감 때문. 52주 신고가 재경신
메모리 강세 지속. #마이크론 대만 Fab 정전 이후 조사기관 DRAMeXchange에서 1Q21 서버 DRAM 가격 전망을 기존 "소폭 하락"에서 "소폭 상승"으로 상향 조정. 마이크론 +4.9%, WDC +6.7%, 실리콘 모션 +5.1%
마이크론 주가는 73.3달러로 70달러 상회하며 마감. 52주 신고가 재경신. DRAM 업황의 조기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NAND Flash 서플라이 체인에 속하는 WDC와 실리콘 모션 주가에도 긍정적 영향
그 외에 상승세 견조했던 업종은 5G 모바일 (Wireless) 수혜주. #퀄컴 +5.1%, #Skyworks +4.5%, #Qorvo +3.9%. 애플의 AiP 내재화 루머 및 RF Front End Module 사업 진출 루머 계기로 주가 조정 이후 유의미한 수준으로 첫 반등
5G 수혜주 중에서 모바일 쪽이 아니라 통신장비 수혜주에 해당되는 #Marvell Technology는 주가 하락. 실적 발표에서 업계 전체적 (industry-wide) 서플라이 체인 공급 부족으로 수요 증가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다고 언급
Marvell Technology의 서플라이 체인 중에 파운드리 서비스 공급사는 TSMC, UMC, 타워재즈 등. Marvell의 공급 부족 발표 계기로 파운드리 공급사 주가 상승. #TSMC ADR +4.3%, #UMC ADR +14.5%, #타워재즈 +4.1% 마감. 3사 중에 #UMC ADR의 경우 뉴욕증시 개시 전부터 전일 대비 +10% 이상 급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P/E, Trailing 기준 37.1배, FY1 기준 24.4배
52주 장중 최고점 대비 0.0%, 52주 장중 최저점 대비 +126.3%, YTD 상승률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