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4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7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SNT에너지
정정공시를 통해 23년 체결되었던 에어쿨러 공급계약 증액&기간연장 공시. 566억>632억

에어쿨러 2번째 연장/증액 정정공시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16800071
👍12💯5
MZ타뇽 긴축모드 ON
맛있었으면 삼식 샀을텐데
남성투자자 중에
1) 팝마트 인형이 귀엽고 예뻐서
2) 불닭이 너무 맛있어서
3) 티니핑 감성이 너무 공감되어서

주식을 매수한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44👍8💯5❤‍🔥3
#한화비전 #한미반도체
SK하이닉스는 한화비전, 한미반도체 양쪽에게 주는 중.

결국 이번에도 느끼는 쓰는사람이 이원화 하고싶으면 하는 것...
👍27😁3
Stock Trip
남의 자료를 가져다 쓰시면 출처를 다는건 기본 상식 아닌지
이러니까 계속 뭘 올리기가 싫어지지
제발 자료랑 글 가져갈 때는 출처나 포워딩이라는 기본 상식을....
❤‍🔥39👍13😁3
#추정치 #어닝

2Q 추정치 상향
- 철강/비철, 조선/기계, 상사/자본재, 화장품/의류/완구, 유통, 디스플레이, 반도체, 유틸리티

2Q25 이익 모멘텀 상위
- 디스플레이, 조선, 비철금속, 반도체, 유틸리티

25년 추정치 상향
- 조선/기계, 상사/자본재, 화장품/의류/완구, 유통, 증권, 반도체, 디스플레이, 유틸리티

2Q25&25년 추정치 동시 상향
- 조선/기계, 상사/자본재, 화장품/의류/완구, 유통, 반도체, 디스플레이, 유틸리티
👍24😁3
#실적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실적시즌이 마감됨에 따라 1Q25 실적정리 공유드립니다.

위 내용은 정성적인 부분을 고려하지 않은 정량적인 시트임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1Q25 실적시즌은 개인적으로 실적을 정리하기 시작한 이래 서프/쇼크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첫 시즌에 해당됩니다. 향후 실적 추정치 조정이 어떻게 되는지 관심입니다.

서프섹터: 조선/LNG, 반도체, 방산, 건설/기계, IT, 미용/인바운드, 레저/관광, 화학, 전력/유틸, 엔터, 내수/유통

쇼크섹터: 인터넷/미디어, 음식료

혼재섹터: 2차전지, 제약/바이오, 은행/금융, 게임
👍24💯10😁2
#실적시즌 #추정치 #상향
1Q25 실적 서프라이즈, 2Q25 추정치 상향, 25년 추정치 상향 3가지 모두 해당되는 섹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조선/LNG, 반도체, 방산, 건설, 미용/인바운드, 전력/유틸, 내수/유통 등
👍29😁2
#조선 #미국 #USTR
프랑스 CMA CGM, 중국 선박에 대한 미국 항만 수수료 회피 위해 선대 재배치

CMA CGM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라몬 페르난데스는 로이터 통신에 항구 이용료는 미국 관세로 인한 여파에 맞서 싸우는 해운회사들의 또 다른 운영상의 골칫거리이지만, 업계의 반발 이후 워싱턴에서 조정한 덕분에 수수료 제도는 우려했던 것보다 덜 파괴적이라고 말했습니다.

페르난데스는 인터뷰에서 "우리는 이런 상황에 적응하고 요금을 내지 않을 만큼 충분한 선박 용량을 갖추고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CMA CGM의 약 670척의 선박 중 절반도 안 되는 수가 중국에서 건조되었다고 덧붙였습니다.

CMA CGM은 다른 회사들과 마찬가지로 4월 관세 인상으로 인해 중국과 미국 간 무역이 침체되었으나, 이번 주 중미 양국이 관세를 일시적으로 인하하기로 합의하면서 수요가 회복되었다고 밝혔습니다.
https://finance.yahoo.com/news/frances-cma-cgm-redeploy-fleet-151446982.html
💯5😁3
250514_Carroll_Identifying_Pathways.pdf
1.3 MB
#조선 #동맹국 #협력 #군함 #MRO
조선 부문은 생산 능력 부족, 산업 기반 제약, 비용 초과, 인도 지연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미국이 해군력 증강을 위한 대안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한 가지 접근법은 일본과 한국과 같은 긴밀한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협력 방안으로는 동맹국의 정비, 수리 및 정비(MRO) 참여, 동맹국의 미국 조선소 구매 및 활성화, 모듈식 건조를 포함한 다양한 공동 생산 방식, 그리고 미국의 동맹국 건조 함선 구매 등이 있습니다.

중국은 세계 상선 및 군수 조선 시장에서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빠르게 확대하여 2023년 전 세계 선박 인도량의 51%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추세는 해양 세력 균형의 궁극적인 변화를 시사하고 있습니다.

가장 유망하지만, 연구나 지지가 덜 포괄적인 정책 옵션 중 일부는 미국이 아시아 동맹국들과 협력하는 것입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을 비롯한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과 카를로스 델 토로 전 해군장관, 람 이매뉴얼 전 주일 대사를 포함한 바이든 행정부 관계자들의 발언은 미국 정책 입안자들이 해군 조선 산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 및 일본과의 협력을 모색하는 데 관심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전략국제문제연구소, 미국 비영리 정책 연구기관)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