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뉴(Snew) : 스타트업/벤처캐피탈 뉴스
3.19K subscribers
273 photos
8 files
6.01K links
스타트업와 벤처캐피탈, 창업 등에 관련된 소식을 공유해드리고 있습니다.
단순한 뉴스보다는 인사이트를 찾으려고 합니다.

snew.insight@gmail.com
Download Telegram
컴퍼니케이는 벤처펀드가 아닌 중소·중견기업 인수·합병(M&A) 목적의 PEF ‘컴퍼니케이플로우제1호’를 조성해 투자액 대부분인 120억원을 조달했다. 이외 컴퍼니케이는 세정학원 구주 및 신주 인수를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으로 30억원 규모의 직접 투자를 유치해 인수 자금을 조달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90214?sid=101
스타트업의 대표님께서는 동의권/협의권 사안들에 대해 반드시 파악하고 계셔야 하는데요. 종종 주주별로 사안이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안건이 누락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하고, 가능하다면 항목을 통일시켜두는 것이 좋습니다.

https://quotabook.com/ko-blog/right-to-consult-and-right-to-consent
네이버 산하 자회사인 스노우가 보유했던 창업투자사인 스프링캠프의 지분 과반 이상을 매각했다. 스프링캠프는 2017년 인수돼 약 7년 간 유망기업 시드 투자에 참여하며 스노우의 컴퍼니빌더 정체성에 일조해왔다.

지분을 매입한 큐파트너스는 스프링캠프 심사역 출신을 수장으로 둔 신생 투자사다. 법인 등기상 스프링캠프와 같은 근거지를 둔 만큼 내부 직원들이 스노우로부터 경영권을 산 형태가 됐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05021845493920107928&lcode=00&page=1&svccode=00
Forwarded from 묻따방
아랍에미레이트(UAE)가 국내 벤처캐피털(VC)과 손잡고 ‘조 단위’ 벤처투자에 나선다. 국내 스타트업에 최대 10억 달러(약 1조3770억원)를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UAE가 우리 정부에 약속한 300억 달러(약 41조3100억원) 투자 약속의 첫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90959?sid=101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늘어난 71억1천400만 달러(9조4천505억원)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천만 달러(531억원)로, 전년 동기 1억677만 달러(1천362억원)와 비교해 61% 줄어들었다. 쿠팡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은 2022년 3분기 첫 분기 영업흑자 전환 이후 처음이다

1분기 당기순손실은 2천400만 달러(318억원)를 기록했다. 쿠팡은 “파페치에서 발생한 손실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쿠팡이 분기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것은 2022년 2분기(-952억원) 이후 처음으로, 7분기 만에 적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30543?sid=105
열매컴퍼니는 최근 150억원 규모로 진행 중인 시리즈C 라운드에서 절반 이상 자금을 모았다. LB인베스트먼트가 앵커 투자자로 참여하고 KT인베스트먼트 팔로우온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목표로 하는 포스트 밸류에이션은 1200억원 수준이다. 직전 밸류에이션은 1020억원 수준이었다. 다운 라운딩 현상이 심심찮게 벌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열매컴퍼니의 기업가치는 밸류업에 성공한 것으로 풀이된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04301729271600102191
배달앱 3사(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의 4월 월간활성이용자(MAU)는 3408만991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배달료 부담 탓에 감소하던 이용자 수는 지난해 12월 반등한 뒤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
배달의민족이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업계 2, 3위 쿠팡이츠와 요기요의 MAU 격차는 3월 56만 명에서 4월 134만 명으로 커졌다. 지난달 쿠팡이츠 MAU는 684만1848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7% 급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80888?sid=101
에어스메디컬은 MRI 가속화 영상 복원 솔루션 ‘스위프트 엠알(SwiftMR)'을 제공하는 의료 AI기업이다. 스위프트 엠알은 MRI 기기에서 보이는 패턴을 학습한 AI를 활용해 MRI의 촬영 품질을 높이고 촬영 시간을 단축시키는 솔루션이다. 이를 활용하면 환자들도 긴 촬영시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병원도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실적에 비해 기업가치가 너무 높다는 시선도 나온다. 현재 에어스메디컬이 추진하고 있는 이번 투자유치에 적용된 기업가치는 5000억원 가량으로 알려졌다.

에어스메디컬은 아직 영업손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에어스메디컬은 지난해 매출 22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 매출 6억4000만원 가량을 거뒀던 것과 비교하면 매출은 크게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영업손실 114억원을 내면서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05021116566720103018
숨고가 매각되었군요
——
아크앤파트너스는 숨고의 지분 60% 안팎을 약 800억 원에 사들이기로 했다. 숨고의 창업자인 김로빈 대표가 경영권을 넘기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된다.

숨고는 2014년 청소 전문 서비스 플랫폼으로 시작한 스타트업이다. 현재 지역 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각 분야의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들을 고객과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6월 기준 누적 이용자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0508/124848016/1
스뉴(Snew) : 스타트업/벤처캐피탈 뉴스
숨고가 매각되었군요 —— 아크앤파트너스는 숨고의 지분 60% 안팎을 약 800억 원에 사들이기로 했다. 숨고의 창업자인 김로빈 대표가 경영권을 넘기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된다. 숨고는 2014년 청소 전문 서비스 플랫폼으로 시작한 스타트업이다. 현재 지역 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각 분야의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들을 고객과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6월 기준 누적 이용자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https://…
아크앤파트너스 김성민 대표의 과거 인터뷰 내용. 흥미롭네요.
———
아크가 내세우는 ‘그로쓰 바이아웃’은 투자가 필요한 성장 단계에 있는 기업에 단순한 소수 지분투자가 아닌 성장을 직접 주도하여 가치를 높이는 투자전략이다. 김 대표는 이 전략을 ‘따뜻한 아이스아메리카노’라고 표현했다. PE들이 통상 그로쓰 단계의 기업을 바이아웃 대신 지분투자 방식으로 투자한다는 점에서 그로쓰 바이아웃은 업계에서 모순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전략이라는 의미다.

남다른 투자전략 덕분에 아크의 엑시트 전략은 명확하다. 아크의 엑시트 전략은 세컨더리 엑시트다. 대형 PE를 잠재적 원매자로 두고 있다. 아크는 펀드 만기가 아닌, 회사의 성장 단계에 맞춰 더 큰 성장이 필요할 때 엑시트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대형 PE에 몸담았던 경험을 통해 그들이 원하는 기업 규모와 특성을 잘 알고 있다”며 “오랜 기간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기 보단 목표 수익률에 도달하면 대형 PE들이 키울 수 있도록 성장성을 남겨 두고 한 박자 빠르게 엑시트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309250807240080105559
DSC인베스트먼트 관계자는 "시리즈 B 이후의 중후기 스타트업들이 최근 크게 저평가 받고 있다는 점도 벤처 세컨더리펀드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스타트업은 통상 투자 라운드 후반으로 갈수록 필요한 금액은 높아지는 반면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자금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심지어는 과거보다 기업가치를 낮춰 투자를 겨우 유치하는 디밸류에이션(Devaluation)도 스타트업 업계에서 종종 목격되는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82392?sid=101
그럼에도 영업 외적으로 각종 대손상각과 손상차손 비용이 추가 발생하면서 순손실은 524억 원에 달했다. 트릿비가 최근 2년간 기록한 누적 순손실만 1128억 원에 달한다. 이에 결손금이 1416억 원으로 불어나면서 트릿비는 자본을 모두 까먹은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됐다. 작년 말 기준 자본총계는 -57억 원이며 부채총계는 2022년보다 100억 원 넘게 증가한 344억 원에 이른다. 회사는 작년 단기차입으로만 100억 원을 조달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356398
그간의 경험을 통해 터득한 유튜브 문법이 있나.

= 솔직히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무슨 무슨 법 같은 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때그때 만드는 사람들이 재밌다고, 멋있다고 여기는 걸 하면 되는 거고, 대중이 운 좋게 공감해주면 그 자체가 엔터테인먼트가 되는 거다. 예전에 유튜브는 10분 넘어가면 안 된다는 말이 진리처럼 떠돌 때가 있었다. 그러나 그 얘긴 잘 알다시피 너무나 쉽게 깨졌다. 침착맨이 <삼국지>에 대해 1시간 동안 설명한 콘텐츠가 몇백만 조회수를 기록한 적도 있다. 다시 말해 유튜브는 타이밍이 잘 맞는 게 핵심이지 이래야 한다는 법칙들은 다 부차적인 문제다. 그래서 메타코미디도 구체적인 레퍼런스가 있지 않았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140/0000052553
매일 100만명이 쓰게 된 커플 앱이 있습니다. 100만명 중 절반 이상은 해외 유저이고요. 매출은 연간 수십억원이 넘어갑니다. 2개월을 내다보고 시작한 작은 프로젝트가 5년 만에 만든 결과입니다. 투자는 한푼도 받지 않았어요.

커플에게 매일 한개의 질문을 던져주는 간단한 앱 서비스는 어떻게 이렇게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을까요?

"제 습관 중에 하나가 앱스토어의 카테고리별 순위 앱들을 다 점검하는 거에요."

"유저 한명이 다른 유저 한명을 데려오는 것이 자연스러운 서비스들을 유심히 봐요. 자연스럽게 바이럴이 일어날 수 있는 서비스들이요."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설계할 때 3가지가 핵심이었어요. 첫번째, 과몰입이 되어야 한다. 두번째, 매일 들어와야 하는 동기가 있어야 한다. 세번째, 공동의 목표가 있어야 한다"

https://maily.so/unsexybusinesskr/posts/1f33ef19
캐롯은 지난 2일(현지 시각) 캐나다에서 가입자 수 1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2022년 캐나다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 지 2년 만에 달성한 성과다.
...
캐롯은 캐나다 가입자 100만 명 돌파를 기점으로 거점 도시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 5년 내 북미 50개 이상 도시로 진출할 계획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669924?sid=105
빅게임스튜디오는 과거 넷마블에서 '일곱 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를 만든 최재영 대표와 주요 개발진이 주축이 돼 2020년 설립된 게임 개발사다.

지난해 첫 작품으로 일본 인기 만화를 게임화한 '블랙클로버 모바일'을 출시했고, 독자 IP로 제작 중인 '브레이커스'는 그 해 도쿄게임쇼(TGS)와 지스타(G-STAR)에 출품하며 인지도를 높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676660?sid=105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퓨처플레이,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IBK기업은행, 하나벤처스 등이 이번 투자에 참여했다. 이에 따라 이 업체는 누적으로 280억 원을 투자 받았다.

정부 출연 연구소인 한국전기연구원에서 내시경 기술을 연구하던 이치원 대표가 2020년 창업한 이 업체는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기존 내시경보다 무게를 50% 줄인 의료용 전동식 내시경을 개발했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4051315210005542?did=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