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fA 4월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 조사 (FMS) #FMS

설문 조사 기간: 4/4~4/10 강한 반등이 나왔던 4/9 하루 뒤까지

요약
- 과거 25년 중 5번째로 약세인 설문 결과 (차트 2)
- 20년 중 4번째로 높은 경기 침체 예상 (차트 6)
- 미국 주식 비중 축소 의향 역대 최고 (차트 1)
- 현금 보유 비율: 4.8% (역대 "공포 정점" 평균 6% 대비 낮음) (차트 3)
- 단기적으로는 4월 자산 가격 저점 유지 전망, 그러나 큰 상승을 위해서는 관세 완화, Fed 금리 인하, 경제 데이터 회복 필요.

매크로 및 정책
- 응답자의 82%가 글로벌 경기 약화 예상 (30년 최저, 차트 5).
- 42%는 경기 침체 가능성, 49%는 경착륙 전망 (차트4)
- 인플레이션 기대치 2021년 6월 이후 최고 (순 57% 상승 예상, 차트 7).
- 41%는 유동성 악화로 3회 이상 인하 예상 (차트 10)

테일 리스크 및 가장 붐비는 트레이드
- 최대 테일 리스크: 무역 전쟁으로 인한 경기 침체 (80%) (차트 16)
- 가장 붐비는 트레이드: 1위 금 매수 (49%, 2023년 3월 이후 처음으로 "Mag 7" 제치고 1위); 2위: Mag 7 매수 (24%), 3위: 유럽 주식 매수 (10%) (차트 17)
- 자산 선호도: 2025년 최고 성과 자산으로 금 (42%), 현금 (18%), 국채 (18%) (차트 18)

자산 배분
- 주식: 글로벌 주식 배분 비중 2023년 7월 이후 최저 (순 17% 언더웨이트). 미국 주식 비중 2개월 만에 53ppt 감소 (역대 최대 폭) (차트 19)
- 채권: 순 17% OW (2023년 12월 이후 최고)
- 섹터: 방어적 섹터 (유틸리티,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선호. 테크 비중은 2022년 11월 이후 최저 (순 17% 언더웨이트) (차트 21, 22)

개별 그림 설명은 생략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장마감 후 엔비디아 $NVDA 8-K 공시를 통해 미국 정부가 중국 및 D:5 국가들 (중국, 북한, 이란 쿠바 등 미국에 대한 적성국들)에 H20 칩 및 동일한 대역폭을 가진 칩 수출에 대해 라이선스 요구를 통보받았으며 이 조치는 무기한 지속될 것이라고 밝힘. 이에 따라 엔비디아의 회계년도 2026년 1분기 실적에는 H20 제품 관련 최대 $5.5B 규모의 비용이 반영될 것으로 예상.

해당 공시 후 엔비디아는 애프터마켓에서 -6% 하락 중. 덩달아 AMD -7% 등 반도체 기업들 다수 하락 중.
https://d18rn0p25nwr6d.cloudfront.net/CIK-0001045810/9e6e2d94-83a7-465c-8a94-982d82e3e9e7.pdf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3월 소매 판매 코어, 헤드라인 모두 컨센서스 상회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2025-4-15 장마감후 및 2025-4-16 장시작전 주요 실적 발표 기업들 프리마켓 움직임.
$IBKR $UAL $OMC $JBHT $HWC $FULT $EQBK $AREN $KORE $PPSI $GAME $BLNE $BNZI $ASML $SDVKY $ABT $PGR $PLD $USB $TRV $WIT $CFG $FHN $CBSH $ALV $MOV $OMEX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2025-04-16 수요일

- 관세 우려에 3대 지수 + 러셀 2000 큰 폭으로 하락

- 엔비디아 $NVDA 가 H20 칩 수출 제한으로인한 매출 손실을 밝히며 급락하며 시장은 하락 출발. 오후장 파월 의장 발언을 거치며 낙폭 확대

- 반도체 수출 규제로 인한 엔비디아의 $5.5B 손실과 더불어 AMD $AMD 역시 $800M 의 손실을 밝히며 관세로 인한 기업들의 손실 규모가 구체적인 숫자로 나오기 시작

- 파월 의장은 시카고 경제 클럽 연설 및 대담에서 예상보다 높고 폭넓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성장을 둔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이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일 수 있고 연준의 목표는 이 일회성 가격 증가를 일시적인 인플레이션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기존의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입장에 변화. 또한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동시에 증가할 수 있지만 연준의 도구(금리인하)는 한번에 한 문제씩만 대응할 수 있어 연준의 이중책무에 곤란함을 겪을 수 있다고 하며 기존의 관망적인 자세 유지. 더불어 주식과 채권시장 변동성에 대해 시장은 역사적으로 유례없는 이벤트를 소화해가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변동성이 증가할 수 있다고 하며 연준 풋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힘. 연준 자산 축소의 전면적인 중단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

- 전일 장마감 후부터 금일 장시작 전까지 복수의 관세 관련 뉴스들이 나왔음. 모두 부정적인 소식들로 금일 큰 폭 하락에 일조

(1) 트럼프 미국의 핵심 광물 수입에 대한 관세 조사 행정명령에 서명. 이는 새로운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한 조사로 상무부에서 180일 이내 보고서 제출 예정. 중국과의 무역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조치라는 언론의 평가

(2) 중국에서 대미 무역 협상 대표를 왕서우원에서 리청강으로 교체. 리청강은 WTO 대사로 법률적인 접근을 해온 인물로 이는 미-중 협상이 예상보다 오래 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평가

(3) 백악관에서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245%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

- 미 국채 금리 및 달러 지수 하락

- 3월 소매 판매 전망치보다 증가했으나 견고한 소비에 대한 반영보다는 관세 공포에 의한 사재기로 해석되며 금리 및 달러 지수 하락에 일조

- 국제 유가가 상승한 에너지 섹터 제외 전 섹터 하락. 매7 포함 섹터들 모두 -2% 이상 큰 폭으로 하락. 알파벳 $GOOG (-1.98%) 제외 매7 전 종목 -2% 이상 하락. 엔비디아 -7%, 테슬라 $TSLA -5%

- 대형주 위주 하락. 통상 대형주 대비 더 큰 폭으로 하락하는 러셀 2000 상대적으로 더 작은 폭 하락

- 장 막판 30분을 남기고 나스닥으로 큰 폭의 저가 매수세 유입

(본문이 길어져서 오늘은 그림 별도 포스팅)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2025-4-16 장마감후 및 2025-4-17 장시작전 주요 실적 발표 기업들 프리마켓 움직임.
$KMI $CSX $REXR $AA $FR $SNV $HOMB $OZK $FNB $CNS $SLG $SFNC $BANR $LBRT $TFIN $GSBC $MMLP $TSM $UNH $AXP $BX $SCHW $MMC $INFY $TFC $DHI $STT $FITB $HBAN $SNA $RF $KEY $ALLY $BMI $TCBI $MAN $FOR $IIIN $HOFT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내일은 미국 시장이 성금요일 휴장입니다.

개인 사정으로 오늘 시황은 없습니다.

금일장은 현재까지는 다우 지수만 유나이티드헬스 $UNH 가 실적 부진으로 급락하면서 하락이고 나머지 S&P 500, 나스닥, 러셀 2000 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럽, 일본 등과의 관세 협상에 진전이 있는 듯한 보도들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지만 시장은 여전히 조심스러운 모습입니다.
4/17/2025 팩트셋 어닝 인사이트

* 성금요일 관계로 하루 일찍 발표 *
* ~~크로스아웃~~은 지난주 수치 *

어닝 스코어카드: 19개 12% S&P 500 기업이 1분기 실적 발표. 12개 71% 기업 EPS 서프라이즈, 13개 61% 기업 매출 서프라이즈

어닝 증가: S&P500 1분기 EPS 성장율 전망치는 7.3% 7.2%. 이는 7분기 연속 EPS 성장

어닝 리비젼: 3/31자 1분기 EPS 성장율 전망치는 7.2%. 3/31 대비 4개 2개 섹터 상향된 EPS 보고 전망

어닝 가이던스: S&P500 기업들 가운데 2025년 2분기 부정적인 EPS 가이던스를 발표한 기업은 4개, 긍정적 EPS 가이던스를 발표한 기업은 2개

▼ (그림1) S&P500 지수 (하늘색), 12개월 포워드 이익전망치 (곤색)

▼ (그림2) S&P500 포워드 P/E (향후 12개월)는 19.0. 5년 평균 19.9 하회, 10년 평균 18.3 상회

▼ (그림3) S&P500 지수 (하늘색), 12개월 트레일링 EPS (곤색)

▼ (그림4) S&P500 트레일링 P/E (이전 12개월)는 23.7. 5년 평균 24.7 하회, 10년 평균 22.3 상회

================
금주의 토픽 1분기 S&P 500 실적 성장에도 여전히 매7의 기여도가 높을까?

▼ (그림5) 매7과 S&P 493 의 이익 성장률 전망치. 매7 14.8% vs S&P 493 5.1%로 여전히 매7이 높음

▼ (그림6) S&P 500 1분기 이익 증가에 가장 기여도가 높은 5개 기업. 길리어드 사이언스 $GILD, 브로드컴 $AVGO,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 $BMY, 아마존 $AMZN, 엔비디아 $NVDA 순

▼ (그림7) 연도별 매7과 S&P 493 의 이익 성장률. 2024년을 피크로 올해부터는 그 격차가 크게 줄어들 전망
#팩트셋 링크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BofA 불/베어 인디케이터. 지난주 4.5에서 4.1로 하락.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