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3K photos
90 videos
185 files
15.6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Waymaker
[두에빌-뉴스케일 수주 임박]

- 10일 업계에 따르면 뉴스케일 파워는 지난 5월 77㎿급 모듈 표준설계인가(SDA)를 획득한 뒤, 미국 내 유틸리티 및 빅테크 업체와 프로젝트 협의 중인 것으로 파악

- 빠르면 올 하반기 뉴스케일 파워와 미국 내 유틸리티 및 빅테크 업체간 계약 체결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두산에너빌리티의 SMR 연내 수주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이유

- 두산에너빌리티는 그동안 불확실성 때문에 주저했던 SMR 전용라인에 대한 설비투자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것

https://www.fnnews.com/news/202508101807051065
Forwarded from DS투자증권 리서치
CJ의 홈플러스 인수 관련 뉴스

- 사측에서 강력히 부인했습니다

- 인수 자금도 없으며, 경영 능력 측면에서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입니다.

- 그 많은 부채를 감당하기에는 재무 여력도 충분하지 않습니다.
미국의 관세 압박이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BRICS 국가들 간 협력이 강화되는 중. 룰라는 러시아 푸틴과 인도 모디와 대화를 통해 파트너쉽을 강화

결국 브라질은 미국 관세에 대응해 BRICS 국가와 동남아시아 등 다른 파트너와의 무역 확대를 모색 중
Forwarded from 가치투자클럽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6699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번 협력을 ‘하이브리드 전성기’의 서막으로 평가했다. 임 연구원은 “트럼프 시대를 맞아 북미 전기차 수요가 둔화되고 하이브리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환경이 조성됐다”며 “현대차가 미국 판매 1위 업체인 GM을 하이브리드 시장으로 끌어들이면서 장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고 분석했다. 미국 하이브리드 판매는 올해 상반기 101만2000대로 전년 대비 42% 급증했지만 전기차는 2.8% 증가에 그쳤다
마이크론 시간 외 급등 이유. 시황맨

25년 회계년도 4분기 실적 상향 조정. 상향 이유는 D램 가격 개선

◎ 기존 가이던스.
매출 107억달러 (+-3억달러) EPS 2.5달러 (+-0.15달러)

◎ 수정 가이던스
매출 112억달러 (+-1억달러) EPS 2.85달러(+-0.07달러)
* 마이크론 DRAM가격 개선으로 4분기 매출 가이던스 상향

• 조정매출 111-113억달러
• 조정EPS 2.78-2.92달러
• 조정 GPM 44-45% (기존 41-43%)

>> 프리마켓 +5%대

美光科技预计第四季度调整后每股收益2.78美元至2.92美元。预计第四季度经调整营收111亿美元至113亿美元。营收预期上调主要因价格改善,尤其是DRAM产品。预计第四季度经调整毛利率44%至45%,此前预计41%至43%。美光科技美股盘前涨近5%。
Forwarded from 루팡
마이크론 분기 가이던스 업데이트

이번 분기 매출 전망을 기존 104억~110억 달러에서 111억~113억 달러로 상향.

이번 분기 EPS 전망을 기존 2.35~2.65달러에서 2.78~2.92달러로 상향.
마이크론 FY4Q25(6~8월) 매출 $10.7bn > $11.2bn, 조정 EPS $2.5 > $2.85(모두 중간값 기준)로 상향조정. 매출은 기존 대비 4.7%, EPS는 14% 상향조정
[ Micron FY25 4분기 가이던스 상향 > 5% 넘게 상승 ]

📌 가이던스 상향

• 매출: $10.7B ± $0.3B → $11.2B ± $0.1B
• 총마진: 42.0% ± 1.0% → 44.5% ± 0.5%
• 영업비용(OpEx): $1.20B ± $0.02B → $1.22B ± $0.015B
• EPS: $2.50 ± $0.15 → $2.85 ± $0.07

🛠 상향 이유
• DRAM 가격 개선이 핵심(특히 서버/AI 수요), 공급 타이트함+믹스 개선 → 마진 레버리지 확대.
• 생산·출하·원가 관리 개선

출처 : 마이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