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관세협상이 마무리돼가면서 미 증시가 올랐습니다.
(2) 약달러로 이머징 캐리 트레이드가 증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습니다.
(3) 헤지펀드들이 태양광 주식 숏 포지션을 청산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6.50원 (-1.50원)
테더 1,373.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세줄요약
(1) 관세협상이 마무리돼가면서 미 증시가 올랐습니다.
(2) 약달러로 이머징 캐리 트레이드가 증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습니다.
(3) 헤지펀드들이 태양광 주식 숏 포지션을 청산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6.50원 (-1.50원)
테더 1,373.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Telegram
Rafiki research
Global macro research
Forwarded from [삼성 전종규] 차이나는 투자전략
트럼프 이번에는 인도?
인도증시와 중국 시총격차 확대
(블룸버그 인용)
인도의 주식 시장은 현재 중국 시장보다 6조 3,000억 달러 뒤처져 있으며, 이는 3월 이후 가장 큰 격차입니다. MSCI 인도 지수는 이번 분기에 중국 지수보다 10% 포인트 뒤처지고 있으며 2017년 이후 가장 큰 연간 실적 부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인도의 대미 수출품에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그 중 절반에는 러시아산 석유 구매에 대한 벌금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수입품에 대해 인도를 겨냥했지만 모스크바에서 훨씬 더 많이 구매하는 중국은 대부분 간과했습니다. 한편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휴전 연장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별적인 타겟팅은 이미 인도의 밸류에이션 상승과 수익 성장 둔화를 경계했던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습니다.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은 인도 주식에서 약 30억 달러를 인출했는데, 이는 2월 이후 가장 많은 금액입니다.
t.me/jkc123
인도증시와 중국 시총격차 확대
(블룸버그 인용)
인도의 주식 시장은 현재 중국 시장보다 6조 3,000억 달러 뒤처져 있으며, 이는 3월 이후 가장 큰 격차입니다. MSCI 인도 지수는 이번 분기에 중국 지수보다 10% 포인트 뒤처지고 있으며 2017년 이후 가장 큰 연간 실적 부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인도의 대미 수출품에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그 중 절반에는 러시아산 석유 구매에 대한 벌금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수입품에 대해 인도를 겨냥했지만 모스크바에서 훨씬 더 많이 구매하는 중국은 대부분 간과했습니다. 한편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휴전 연장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별적인 타겟팅은 이미 인도의 밸류에이션 상승과 수익 성장 둔화를 경계했던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습니다.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은 인도 주식에서 약 30억 달러를 인출했는데, 이는 2월 이후 가장 많은 금액입니다.
t.me/jkc123
'트럼프의 연준' 밑그림 완성…관세 이어 '환율 전쟁' 예고 - 뉴스1
"先관세 後환율" 미란, 연준 이사로…약달러 준비 본격화
동맹국부터 압박 가능성…실효환율 10% 절하된 한국 긴장
https://www.news1.kr/economy/trend/5874603
"先관세 後환율" 미란, 연준 이사로…약달러 준비 본격화
동맹국부터 압박 가능성…실효환율 10% 절하된 한국 긴장
https://www.news1.kr/economy/trend/5874603
뉴스1
'트럼프의 연준' 밑그림 완성…관세 이어 '환율 전쟁' 예고
"先관세 後환율" 미란, 연준 이사로…약달러 준비 본격화 동맹국부터 압박 가능성…실효환율 10% 절하된 한국 긴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에 이어 '환율 전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연준·Fed)에 대한 영향력 …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신흥국 투자자들 사이에서 캐리 트레이드가 재차 인기를 얻고 있음. 미국 9월 인하론으로 달러 약세 및 신흥국 통화에 대한 수요가 강해지는 중
신흥국 채권 펀드에 3년 만에 자금 순유입 기록 중. 최근 한달 간 G10 통화보다 신흥국 통화 변동성이 더 낮은 상황
신흥국 채권 펀드에 3년 만에 자금 순유입 기록 중. 최근 한달 간 G10 통화보다 신흥국 통화 변동성이 더 낮은 상황
Forwarded from [한투증권 이동연] 글로벌 기업(IT S/W)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이끄는 중국 협상단은 최근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미국 협상단에 고대역폭 메모리(HBM) 칩에 대한 수출 제한을 완화해 줄 것을 원한다는 뜻을 전달
—————————————————————
FT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H20 칩의 수출은 허가해 줬다. 그러나 소식통들은 중국이 HBM 수출 통제를 더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HBM 수출 통제가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의 자체 AI 칩 개발을 심각하게 제약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가운데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에 대한 HBM수출 통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에 미국 내에선 중국에 대한 HBM 수출 허가를 반대하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한 미국 정부 관계자는 "HBM 수출 통제를 완화하는 것은 화웨이와 SMIC에 선물을 주는 것"이라며 "중국이 매년 수백만 개의 AI 칩을 생산할 길을 열어줄 수 있으며 미국 내 판매용 칩에서 귀중한 HBM을 빼돌릴 수도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420525?sid=104
—————————————————————
FT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H20 칩의 수출은 허가해 줬다. 그러나 소식통들은 중국이 HBM 수출 통제를 더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HBM 수출 통제가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의 자체 AI 칩 개발을 심각하게 제약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가운데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에 대한 HBM수출 통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에 미국 내에선 중국에 대한 HBM 수출 허가를 반대하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한 미국 정부 관계자는 "HBM 수출 통제를 완화하는 것은 화웨이와 SMIC에 선물을 주는 것"이라며 "중국이 매년 수백만 개의 AI 칩을 생산할 길을 열어줄 수 있으며 미국 내 판매용 칩에서 귀중한 HBM을 빼돌릴 수도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420525?sid=104
Naver
"중국, 미국에 HBM 칩 수출 제한 완화 요구"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인공지능(AI) 칩의 핵심 부품에 대한 수출 통제 완화를 원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이끄는 중국 협
Forwarded from DAOL 시황 김지현 & 경제/전략 조병현
[다올 시황 김지현]
엔비디아·AMD, 중국 내 칩 판매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
중국 시장용 수출 라이선스를 발급받는 조건으로, 엔비디아는 중국 내 H20 칩, AMD는 MI308 칩 판매 매출의 15%를 제공
젠슨황 CEO와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이틀 뒤인 지난주 금요일, 상무부는 엔비디아의 H20 수출 라이선스를 발급하기 시작
트럼프는 4월 초 H20의 중국 수출을 금지하겠다고 발표했으나, 6월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황 CEO를 만난 후 입장을 번복한 것
미국 안보 전문가 등 일각에서는 H20가 중국 군사력 강화에 기여하고 미국의 AI 우위를 약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으나, 엔비디아는 H20가 군사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주장을 부정
👉 미국 기업이 수출 라이선스를 받기 위해 매출의 일부를 지급하는 사례는 없었으며 미국 정부가 직접 민간 매출 지분을 확보하게 된 첫 사례. 8/12 중국 관세 유예 종료 및 시진핑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 통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완화적 제스처로 해석 가능.
미중 긴장 완화 기대 가능, 엔비디아, AMD에게는 중국 시장 재진입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실적에 단기 호재
https://www.ft.com/content/cd1a0729-a8ab-41e1-a4d2-8907f4c01cac
엔비디아·AMD, 중국 내 칩 판매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
중국 시장용 수출 라이선스를 발급받는 조건으로, 엔비디아는 중국 내 H20 칩, AMD는 MI308 칩 판매 매출의 15%를 제공
젠슨황 CEO와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이틀 뒤인 지난주 금요일, 상무부는 엔비디아의 H20 수출 라이선스를 발급하기 시작
트럼프는 4월 초 H20의 중국 수출을 금지하겠다고 발표했으나, 6월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황 CEO를 만난 후 입장을 번복한 것
미국 안보 전문가 등 일각에서는 H20가 중국 군사력 강화에 기여하고 미국의 AI 우위를 약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으나, 엔비디아는 H20가 군사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주장을 부정
👉 미국 기업이 수출 라이선스를 받기 위해 매출의 일부를 지급하는 사례는 없었으며 미국 정부가 직접 민간 매출 지분을 확보하게 된 첫 사례. 8/12 중국 관세 유예 종료 및 시진핑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 통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완화적 제스처로 해석 가능.
미중 긴장 완화 기대 가능, 엔비디아, AMD에게는 중국 시장 재진입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실적에 단기 호재
https://www.ft.com/content/cd1a0729-a8ab-41e1-a4d2-8907f4c01cac
Ft
Nvidia and AMD to pay 15% of China chip sale revenues to US government
Chipmakers agree to unusual arrangement to secure export licences from Trump administration
“엔비디아·AMD, 中AI칩 판매 수익 15% 트럼프에 지급 예정” - 이데일리
엔비디아, 中수출 면허 재개 조건으로 합의
H20 판매 수익 15% 美정부에 지급하기로
FT "관세 빌미로 투자 유도 트럼프式 협상"
https://m.edaily.co.kr/News/Read?mediaCodeNo=257&newsId=01817126642266336&utm_source=
엔비디아, 中수출 면허 재개 조건으로 합의
H20 판매 수익 15% 美정부에 지급하기로
FT "관세 빌미로 투자 유도 트럼프式 협상"
https://m.edaily.co.kr/News/Read?mediaCodeNo=257&newsId=01817126642266336&utm_source=
이데일리
“엔비디아·AMD, 中AI칩 판매 수익 15% 트럼프에 지급 예정”
엔비디아와 AMD가 대중 반도체 판매 수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했다고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사진=AFP)소식통은 두 회사가 ...
Forwarded from 루팡
단독: SK하이닉스 “AI 메모리 시장, 2030년까지 연 30% 성장” 전망
맞춤형 HBM(고대역폭 메모리) 시장, 2030년까지 수백억 달러 규모 전망
SK하이닉스 “기술기업, AI 투자 전망 상향 가능성”
SK하이닉스·삼성, 100% 관세 대상 아님(한국 통상대표 발언)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용 특수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30%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최준용 HBM 사업기획담당이 로이터 인터뷰에서 밝혔다.
HBM(High-Bandwidth Memory)은 2013년 처음 양산된 DRAM 표준의 일종으로, 칩을 수직 적층해 공간을 절약하고 전력 소모를 줄이며, 대규모 AI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인다. SK하이닉스는 맞춤형 HBM 시장이 2030년까지 수십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준용 담당은 “최종 소비자 측 AI 수요가 매우 견조하다”며, 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구글 등 클라우드 기업들의 수십억 달러 규모 AI 투자 계획이 향후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고, 이는 HBM 시장에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AI 인프라 구축과 HBM 수요는 매우 직결돼 있으며, 전망치는 전력 공급 등 제약을 감안한 ‘보수적’ 수치라고 덧붙였다.
---
맞춤형 HBM과 시장 변화
차세대 HBM4부터는 ‘베이스 다이’라 불리는 고객 맞춤형 로직 다이가 포함돼, 경쟁사 제품을 동일한 칩으로 쉽게 대체할 수 없다. SK하이닉스는 향후 고객 맞춤화 요구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는 엔비디아 같은 대형 고객만 개별 맞춤을 받고, 소형 고객은 표준 제품을 사용한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주요 HBM 공급사이며,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은 소규모 물량을 공급한다. 삼성전자는 최근 실적발표에서 HBM3E 공급이 단기적으로 수요를 초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최 담당은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제공할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
100% 관세 관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내 생산 또는 생산 계획이 없는 국가에서 수입하는 반도체에 약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공식 발표는 아니며 구체적 내용도 제시되지 않았다.
여한구 한국 통상교섭본부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 내 생산 투자 계획을 갖고 있어 해당 관세 적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텍사스 오스틴과 테일러에 반도체 공장을,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에 첨단 패키징 공장과 AI 연구개발 시설을 투자·계획 중이다. 2024년 기준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7억 달러(전체 반도체 수출의 7.5%)였으며, 일부 HBM은 패키징을 위해 대만으로 수출됐다(전체의 18%, 전년 대비 127% 증가).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sk-hynix-expects-ai-memory-market-grow-30-year-2030-2025-08-10/
맞춤형 HBM(고대역폭 메모리) 시장, 2030년까지 수백억 달러 규모 전망
SK하이닉스 “기술기업, AI 투자 전망 상향 가능성”
SK하이닉스·삼성, 100% 관세 대상 아님(한국 통상대표 발언)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AI)용 특수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30%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최준용 HBM 사업기획담당이 로이터 인터뷰에서 밝혔다.
HBM(High-Bandwidth Memory)은 2013년 처음 양산된 DRAM 표준의 일종으로, 칩을 수직 적층해 공간을 절약하고 전력 소모를 줄이며, 대규모 AI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인다. SK하이닉스는 맞춤형 HBM 시장이 2030년까지 수십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준용 담당은 “최종 소비자 측 AI 수요가 매우 견조하다”며, 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구글 등 클라우드 기업들의 수십억 달러 규모 AI 투자 계획이 향후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고, 이는 HBM 시장에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AI 인프라 구축과 HBM 수요는 매우 직결돼 있으며, 전망치는 전력 공급 등 제약을 감안한 ‘보수적’ 수치라고 덧붙였다.
---
맞춤형 HBM과 시장 변화
차세대 HBM4부터는 ‘베이스 다이’라 불리는 고객 맞춤형 로직 다이가 포함돼, 경쟁사 제품을 동일한 칩으로 쉽게 대체할 수 없다. SK하이닉스는 향후 고객 맞춤화 요구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는 엔비디아 같은 대형 고객만 개별 맞춤을 받고, 소형 고객은 표준 제품을 사용한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주요 HBM 공급사이며,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은 소규모 물량을 공급한다. 삼성전자는 최근 실적발표에서 HBM3E 공급이 단기적으로 수요를 초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최 담당은 “경쟁력 있는 제품을 제공할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
100% 관세 관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내 생산 또는 생산 계획이 없는 국가에서 수입하는 반도체에 약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공식 발표는 아니며 구체적 내용도 제시되지 않았다.
여한구 한국 통상교섭본부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 내 생산 투자 계획을 갖고 있어 해당 관세 적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텍사스 오스틴과 테일러에 반도체 공장을,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에 첨단 패키징 공장과 AI 연구개발 시설을 투자·계획 중이다. 2024년 기준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7억 달러(전체 반도체 수출의 7.5%)였으며, 일부 HBM은 패키징을 위해 대만으로 수출됐다(전체의 18%, 전년 대비 127% 증가).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sk-hynix-expects-ai-memory-market-grow-30-year-2030-2025-08-10/
Reuters
Exclusive: SK Hynix expects AI memory market to grow 30% a year to 2030
South Korea's SK Hynix forecasts that the market for a specialized form of memory chip design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grow 30% a year until 2030, a senior executive said in an interview with Reuters.
Forwarded from 엄브렐라리서치 Jay의 주식투자교실
2Q 클라우드 Capex review (Bofa)
1. 산업 동향
• 2025/26년 글로벌 클라우드 AI Capex 전망이 각각 전년 대비 +54%/+16%로 상향, 총액 4,320억/5,000억 달러 예상
• Q2 글로벌 하이퍼스케일 Capex 1,120억 달러, 전기 대비 +27%, 전년 대비 +74%로 예상을 상회
• 주요 클라우드사 모두 서버(특히 CPU/GPU) 비중 확대, Capex 강도 23~25% 수준으로 역사적 평균(10~12%) 상회
• 중국 GPU 출하가 AI TAM에 약 10% 추가 기여 가능, 미·중 무역 관련 관세 리스크 완화 가능성
• AI 인프라 수요가 하이퍼스케일 외에 네오클라우드, 기업, 국가 단위로 확대
2. 기업별 AI 투자 동향
• Google: 2025년 Capex 전망 850억 달러로 상향, 서버 비중 2/3 이상
• Microsoft: 서버 등 단기자산 비중 증가, 수요가 공급 초과, 백로그 3,680억 달러
• Meta: 2026년 Capex 1,000억 달러 근접, 서버 중심, 외부자금 조달 가능성 언급
• Amazon: Q2 Capex 전기 대비 +30%, 2025년 Capex +40% YoY 가이던스
• Oracle: 클라우드 확장에 따른 고성장 지속
3. AI TAM 전망
• AI 가속기 시장 2024년 1,260억 달러 → 2030년 6,500억 달러 이상 성장 전망, 2025~2030년 CAGR +26%
• AI 서버가 AI DC 시스템의 85% 비중, 2030년 약 7,000억 달러 예상
• HBM 시장 2024년 170억 달러 → 2030년 870억 달러 성장 전망
• NVIDIA 점유율 80%+ 예상, AMD 5%, ASIC 생태계 10~15%
4. 주요 투자 수혜 기업
• NVIDIA, AMD, Marvell, Broadcom: AI 데이터센터 및 가속기 시장 성장의 핵심 수혜
• 반도체 장비, EDA, 광학부품 업체도 동반 수혜 전망
5. 국가별 대규모 AI 프로젝트
• 미국: Stargate(5,000억 달러, 2028년 본격), Pennsylvania AI Energy Corridor(900억 달러)
• 사우디: HUMAIN AI Factories(300억 달러, 2025~2030)
• UAE: 5GW AI Campus(다단계 확장, 2030까지)
• 프랑스, 말레이시아, 브라질, 이탈리아 등 다수 국가에서 10억 달러 이상 프로젝트 진행
6. 개별 종목 밸류에이션 및 리스크
• AMD: 2026E EPS 대비 33배, AI 성장과 CPU 점유율 상승 기대, 단 Middle East 프로젝트 타이밍·규모 불확실성
• MRVL: 2026E EPS 대비 25배, 커스텀 실리콘·HBM 성장, 단 통합·부채 증가 리스크
• NVDA: 2026E PE 37배, AI 가속기 시장 지배력 유지, 단 게임·중국 수출 제한·전력 공급 제약 등 변수
1. 산업 동향
• 2025/26년 글로벌 클라우드 AI Capex 전망이 각각 전년 대비 +54%/+16%로 상향, 총액 4,320억/5,000억 달러 예상
• Q2 글로벌 하이퍼스케일 Capex 1,120억 달러, 전기 대비 +27%, 전년 대비 +74%로 예상을 상회
• 주요 클라우드사 모두 서버(특히 CPU/GPU) 비중 확대, Capex 강도 23~25% 수준으로 역사적 평균(10~12%) 상회
• 중국 GPU 출하가 AI TAM에 약 10% 추가 기여 가능, 미·중 무역 관련 관세 리스크 완화 가능성
• AI 인프라 수요가 하이퍼스케일 외에 네오클라우드, 기업, 국가 단위로 확대
2. 기업별 AI 투자 동향
• Google: 2025년 Capex 전망 850억 달러로 상향, 서버 비중 2/3 이상
• Microsoft: 서버 등 단기자산 비중 증가, 수요가 공급 초과, 백로그 3,680억 달러
• Meta: 2026년 Capex 1,000억 달러 근접, 서버 중심, 외부자금 조달 가능성 언급
• Amazon: Q2 Capex 전기 대비 +30%, 2025년 Capex +40% YoY 가이던스
• Oracle: 클라우드 확장에 따른 고성장 지속
3. AI TAM 전망
• AI 가속기 시장 2024년 1,260억 달러 → 2030년 6,500억 달러 이상 성장 전망, 2025~2030년 CAGR +26%
• AI 서버가 AI DC 시스템의 85% 비중, 2030년 약 7,000억 달러 예상
• HBM 시장 2024년 170억 달러 → 2030년 870억 달러 성장 전망
• NVIDIA 점유율 80%+ 예상, AMD 5%, ASIC 생태계 10~15%
4. 주요 투자 수혜 기업
• NVIDIA, AMD, Marvell, Broadcom: AI 데이터센터 및 가속기 시장 성장의 핵심 수혜
• 반도체 장비, EDA, 광학부품 업체도 동반 수혜 전망
5. 국가별 대규모 AI 프로젝트
• 미국: Stargate(5,000억 달러, 2028년 본격), Pennsylvania AI Energy Corridor(900억 달러)
• 사우디: HUMAIN AI Factories(300억 달러, 2025~2030)
• UAE: 5GW AI Campus(다단계 확장, 2030까지)
• 프랑스, 말레이시아, 브라질, 이탈리아 등 다수 국가에서 10억 달러 이상 프로젝트 진행
6. 개별 종목 밸류에이션 및 리스크
• AMD: 2026E EPS 대비 33배, AI 성장과 CPU 점유율 상승 기대, 단 Middle East 프로젝트 타이밍·규모 불확실성
• MRVL: 2026E EPS 대비 25배, 커스텀 실리콘·HBM 성장, 단 통합·부채 증가 리스크
• NVDA: 2026E PE 37배, AI 가속기 시장 지배력 유지, 단 게임·중국 수출 제한·전력 공급 제약 등 변수
Forwarded from DS Tech 이수림, 김진형
[DS 반도체 이수림] Dojo 3의 핵심 하드웨어가 AI6일 것
1. Dojo 2 중단 결정
- 머스크는 모든 기술 개발 경로가 AI6 칩으로 수렴한다는 것이 명확해졌다고 말함
- 이 때문에 Dojo 프로젝트(특히 Dojo 2)를 중단하고, 일부 인력 구조조정(“tough personnel choices”)을 단행
- Dojo 2는 더 이상 발전 가능성이 없는 “진화적 막다른 길”(evolutionary dead end)로 판단
2. Dojo 3와 AI6의 관계
- Dojo 3는 사실상 많은 수의 AI6 SoC(System-on-Chip)를 한 보드에 탑재한 형태로 이어질 것
- 즉, Dojo 3라는 별도의 완전히 다른 아키텍처가 아니라, AI6 칩을 대량 병렬로 연결한 보드 구성이 Dojo 3의 실질적인 모습
3. AI6는 삼성전자가 테일러에서 양산
- AI6는 테슬라의 슈퍼컴퓨팅 Dojo 3 보드와 Optimus 로봇, 자율주행 AI를 모두 커버할 계획이라 전력효율·성능 모두 극한의 스펙이 요구
- 2nm 테일러 라인에서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하면, 삼성은 TSMC와의 2nm 신뢰도 경쟁에서 강한 레퍼런스를 확보할 것
1. Dojo 2 중단 결정
- 머스크는 모든 기술 개발 경로가 AI6 칩으로 수렴한다는 것이 명확해졌다고 말함
- 이 때문에 Dojo 프로젝트(특히 Dojo 2)를 중단하고, 일부 인력 구조조정(“tough personnel choices”)을 단행
- Dojo 2는 더 이상 발전 가능성이 없는 “진화적 막다른 길”(evolutionary dead end)로 판단
2. Dojo 3와 AI6의 관계
- Dojo 3는 사실상 많은 수의 AI6 SoC(System-on-Chip)를 한 보드에 탑재한 형태로 이어질 것
- 즉, Dojo 3라는 별도의 완전히 다른 아키텍처가 아니라, AI6 칩을 대량 병렬로 연결한 보드 구성이 Dojo 3의 실질적인 모습
3. AI6는 삼성전자가 테일러에서 양산
- AI6는 테슬라의 슈퍼컴퓨팅 Dojo 3 보드와 Optimus 로봇, 자율주행 AI를 모두 커버할 계획이라 전력효율·성능 모두 극한의 스펙이 요구
- 2nm 테일러 라인에서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하면, 삼성은 TSMC와의 2nm 신뢰도 경쟁에서 강한 레퍼런스를 확보할 것
Forwarded from 루팡
일론 머스크
모든 경로가 AI6로 수렴한다는 것이 명확해지자, 저는 Dojo를 폐쇄하고 어려운 인사 결정을 내려야 했습니다. Dojo 2는 이제 진화적으로 막다른 길이었기 때문입니다.
Dojo 3는 많은 수의 AI6 SoC를 하나의 보드에 탑재한 형태로 계속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경로가 AI6로 수렴한다는 것이 명확해지자, 저는 Dojo를 폐쇄하고 어려운 인사 결정을 내려야 했습니다. Dojo 2는 이제 진화적으로 막다른 길이었기 때문입니다.
Dojo 3는 많은 수의 AI6 SoC를 하나의 보드에 탑재한 형태로 계속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Forwarded from 루팡
샘 알트먼
내일이나 화요일쯤, 앞으로 몇 달 동안 용량(capacity) 관련 우선순위를 어떻게 조정할지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예: ChatGPT vs API, 기존 사용자 vs 신규 사용자, 연구 vs 제품 등)
매일 추론(reasoning) 모델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료 사용자는 1% 미만에서 7%로, Plus 사용자는 7%에서 24%로 늘어났습니다.
저는 추론 모델 사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요청 속도 제한(rate limit)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일이나 화요일쯤, 앞으로 몇 달 동안 용량(capacity) 관련 우선순위를 어떻게 조정할지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예: ChatGPT vs API, 기존 사용자 vs 신규 사용자, 연구 vs 제품 등)
매일 추론(reasoning) 모델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료 사용자는 1% 미만에서 7%로, Plus 사용자는 7%에서 24%로 늘어났습니다.
저는 추론 모델 사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요청 속도 제한(rate limit)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 트럼프, 알래스카 LNG 연내 착공 속도전…1300㎞ 파이프라인 대공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3906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으로 집중 지원을 지시한 유일한 에너지 프로젝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가 올해 말 착공을 목표로 '속도전'을 예고하고 있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이미 개발과 관련한 모든 허가를 취득했으며 올해 말 기본설계(FEED)가 마무리되고 최종투자결정(FID)이 내려지면 건설도 즉각 시작할 수 있다.
특히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세간의 시선에도 불구하고 가스관은 해외의 LNG 구매·투자와 관계없이 일단 건설한다는 것이 프로젝트의 기본 방침이다. 이는 알래스카 내 에너지 수급 상황과 연관이 있다. 현재 알래스카 주민들은 앵커리지 인근의 '쿡만'에서 뽑아낸 가스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지역의 LNG는 조만간 고갈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때문에 가스관 건설은 알래스카 내수를 겨냥해 진행되며 이른 시일 내에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39068
Naver
트럼프, 알래스카 LNG 연내 착공 속도전…1300㎞ 파이프라인 대공사
알래스카 LNG 현장 가보니 사업비 70조원 초대형 사업 목표는 2031년 아시아 수출 알래스카 중부 도시 페어뱅크스에서 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약 15㎞ 떨어진 지점. 길 한편을 바라보니 북쪽 산너머에서 시작된 철제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 [글로벌 오피니언리더] 트럼프, 업계 로비에 대마초 규제 완화 검토
https://www.dt.co.kr/article/12010182
미국 대통령이 대마초를 덜 위험한 약물로 재분류해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고려 중입니다. 대마초 업계의 적극적인 로비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https://www.dt.co.kr/article/12010182
아시아경제
업계 로비 통했나…"트럼프, 대마초 규제 완화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마초를 덜 위험한 약물로 재분류해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 테슬라, 韓서 각형 배터리 첫 조달 추진
👉각형 배터리는 삼성SDI
https://www.etnews.com/20250811000198
테슬라가 한국에서 각형 배터리 조달을 추진한다. 지금까지 중국 CATL에서만 공급받았던 제품으로, 한국을 포함한 신규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의도다. 완성차 업계에서 각형 배터리 채택이 적극 늘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 행보가 국내 배터리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각형 배터리는 삼성SDI
https://www.etnews.com/20250811000198
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테슬라, 중국 의존 탈피…한국 각형 배터리 러브콜
테슬라가 한국에서 각형 배터리 조달을 추진한다. 지금까지 중국 CATL에서만 공급받았던 제품으로, 한국을 포함한 신규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의도다. 완성차 업계에서 각형 배터리 채택이 적극 늘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 행보가 국내 배터리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