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2K photos
89 videos
185 files
15.6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루팡
최초의 폴더블 아이폰, 내년 출시

애플의 첫 번째 폴더블 아이폰이 내년에 출시되며, 이는 전례 없는 방식의 런칭이 될 것이다.

애플은 이 폴더블 아이폰을 2026년에 출시할 예정이며, 자체적으로 매우 조심스러운 테스트 및 개발 단계를 거치고 있습니다.

애플은 그동안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술의 내구성 문제와 화면 주름(crease) 등의 요소를 신중히 검토해 왔음

공급망 측면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패널을 사용하며, 애플은 외부 공급업체들과 협력해 주름이 거의 없는 디스플레이 구조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ttps://www.bloomberg.com/news/newsletters/2025-07-20/apple-s-2026-foldable-iphone-samsung-comparison-m5-ipad-pro-dual-front-cameras?taid=687cdac7ae86650001881d24&utm_campaign=trueanthem&utm_content=business&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
Forwarded from 루팡
애플이 폴더블 아이폰을 출시한다면, 애널리스트들은 다음 종목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26년 출시가 예상되는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은 주요 공급업체들에게 큰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주름 없는 7인치 OLED 화면을 공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폭스콘과 럭스셰어는 조립을 담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앰페놀(Amphenol), 히로세(Hirose), TDK, Avary, SDI와 같은 부품 제조업체들은 힌지(경첩), 연결 부품, 외장재 공급 역할을 맡고 있어 주요 수혜주로 평가됩니다.

애플이 초기 생산량을 1,000만~1,500만 대로 계획하고 있어, 이들 기업은 수요 증가와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https://www.cnbc.com/2025/07/20/if-apple-makes-a-foldable-phone-analysts-say-this-stock-will-benefit.html
Forwarded from 루팡
파인엠텍, 폴더블 아이폰용 ‘무주름 금속판’ 80% 이상 공급 예정

파인엠텍, 폴더블 아이폰 금속판 공급의 핵심 업체로 부상

산업 분석가 궈밍치(Ming-Chi Kuo)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파인엠텍(Fine M-Tec)은 애플의 차세대 폴더블 아이폰에 사용될 핵심 부품인 금속판 공급의 80% 이상을 담당하게 된다. 이 금속판은 화면 주름 방지를 위한 핵심 부품으로, 파인엠텍은 애플과 삼성으로부터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고정밀 레이저 가공 및 생산 능력 확충에 약 175억 원(약 1,260만 달러)을 투자하고 있다.


무주름 폴더블 혁신의 중심

애플은 첫 폴더블 아이폰에 삼성디스플레이의 고급 플렉시블 패널을 채택할 예정이며, 대량 생산은 2026년 하반기로 계획돼 있다. 삼성 패널과 파인엠텍의 금속판이 결합돼 디스플레이 전반에 접힘 응력을 분산시켜 주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의 에칭(etching) 방식이 아닌, 파인엠텍은 고정밀 레이저 드릴링(laser drilling) 기술을 활용해 복잡한 미세 구조를 형성, 응력 분산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애플의 엄격한 설계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세부 내용 및 영향

투자 및 확장: 파인엠텍은 한국거래소 공시를 통해 베트남 공장을 확장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이는 애플의 생산 로드맵에 맞춘 조치이다.

공급 일정 및 단가: 2026년 1분기부터 금속판을 출하할 예정이며, 단가는 개당 30~35달러로 추정된다. 2026년 출하 목표는 1,300만~1,500만 개로, 수율 손실 및 A/S용 재고까지 반영한 수치다.


레이저 드릴링 vs. 에칭: 레이저 드릴링 방식은 기존 에칭보다 정밀하고 주름 저항성이 뛰어나며, 단가 또한 높아 양사(애플, 삼성) 모두 이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삼성과의 협력 확대

파인엠텍은 애플뿐 아니라 삼성과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2025년 출시될 Z 폴드 7과 플립 7 모델은 총 700만 대 출하가 예상되며, 이는 관련 부품 수요가 전년 대비 40% 증가함을 의미한다. 2026년 출시될 Z 폴드 8의 경우, 파인엠텍이 독점적으로 금속판을 공급할 가능성이 크다.


주름 없는 설계의 기술적 원리

접힘 부위의 주름은 주로 국소적인 응력 집중 때문에 발생한다. 궈밍치에 따르면, 파인엠텍의 금속판은 이러한 응력을 디스플레이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어, 변형 및 피로 누적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삼성의 최신 무주름 설계에 이미 채택되었으며, 이제 애플도 이를 채택함으로써 업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전망이다.


전망

이번 계약은 폴더블 시장의 전환점을 의미한다. 애플의 무주름 설계가 성공적으로 구현될 경우, 전 세계 폴더블 기술 혁신에 박차를 가하게 되며, 정밀 가공 및 고부가 부품 개발에 대한 투자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파인엠텍은 2027년 1월까지 다년간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이 변화의 최전선에서 가장 큰 수혜 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6년 하반기까지 애플과 삼성의 생산 전략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이지만, 파인엠텍은 이미 ‘무주름 폴더블 시대’의 핵심 공급자로 도약하고 있다.

https://techhounder.com/fine-m-tec-foldable-iphone-metal-plates-2026/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파인엠텍 시나리오별 테이블

base case 기준 per 20배
적정 시총 6800억

bull case 기준 per 20배
적정 시총 1조 8000억

[자료 유진투자증권]


차트 쉴때 계속보긴 해야되는 종목 같아유.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이번 갤럭시Z 폴드7

1) 폴드(옆으로 펼치는거)가 플립(반으로 접는거)보다 선호도가 높은 것은 갤럭시Z 시리즈가 출시된 이래 처음이다.

(폴드7와 플립7의 예약 비중이 6대4, 작년엔 4대6, 재작년은 3대7)

2) 두께가 절반 가까이 슬림해짐

3) 가격은 14만원 올려서 237만원 (플립7은 동결). 그럼에도 폴드가 더 잘팔림

4) 갤럭시 Z폴드·플립7 사전 판매는 전작을 뛰어넘는 분위기
(Z6 시리즈의 사전 판매량은 91만대)

5) 7/22일 폐지되는 단통법도 판매에 긍정적 영향

6) 7/25일(금) 갤럭시 Z 플립7·폴드 7 출시
Forwarded from Risk & Return
엔비디아, 중국 수출재개에도 생산 차질

Thin Information에 따르면 엔비디아 중국 고객사 3곳에서 H20 재고가 한정적이라고 밝힘. 현재로서는 엔비디아가 H20 생산을 재개할 계획이 없다고도 함

지난 4월 미국의 H20 수출제재 조치로 고객이 엔비디아에 주문을 취소하고, 엔비디아는 TSMC에 예약한 생산용량을 취소했음. 문제는 TSMC가 그 취소분을 다른 주문으로 케퍼시티를 풀로 메워버렸다는 것

젠슨황 CEO는 최근 베이징 행사에서 새로운 GPU를 처음부터 제조하는데(From Scratch) 9개월 걸릴 것이라고 말한 바 있음. 즉 H20 생산 자리가 있어도 지금 당장 리드타임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말

https://www.theinformation.com/articles/nvidias-china-restart-faces-production-obstacles?rc=umhpgi
Forwarded from CTT Research
포춘 500대 기업 암호화폐 진출, 코인베이스 CEO 10조달러 규모 스테이블 코인 혁명 예고 - CryptoNinjas

- Coinbase CEO는 Fortune 500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통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언급

- 스테이블코인은 거래 및 구독과 더불어 Coinbase의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

- Shopify, Amazon, Walmart 등은 이미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을 실험중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사용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널리 보급될 예정.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세계 유수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 달러 기반 디지털 자산이 미래에 글로벌 결제의 기축통화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 언급

이건 막연한 예측이 아닙니다.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Fortune 500 Taps into Crypto: Coinbase CEO Teases $10T Stablecoin Revolution - CryptoNinjas

- Coinbase CEO says Fortune 500 companies are actively preparing to integrate stablecoin payments.

- Stablecoins are emerging as a new revenue engine for Coinbase, alongside trading and subscriptions.

- Shopify, Amazon, Walmart, and others are already experimenting with blockchain-based payment rails.

Stablecoins are about to go mainstream and not just among crypto natives. According to Coinbase CEO Brian Armstrong, some of the largest companies in the world are moving toward stablecoin adoption, positioning the U.S. dollar-backed digital assets as a future default for global payments.

This isn’t a vague forecast. It’s already starting.

https://www.cryptoninjas.net/news/fortune-500-taps-into-crypto-coinbase-ceo-teases-10t-stablecoin-revolution/
💰미국 주정부 비트코인 법안 현황 요약 (2025년 7월 기준)

🧾 214건: 비트코인 관련 전체 법안 수

🏦 47건: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Strategic Bitcoin Reserve, SBR) 관련 법안

📌 15건 시행 중: 실제로 운영 중인 SBR 법안

📍 7개 주: 위 15건이 시행되고 있는 주 수

📌의미

미국 내에서 비트코인을 금처럼 전략 자산으로 인식하려는 움직임이 빠르게 확산 중

일부 주에서는 실제로 주 정부 차원의 비트코인 보유 및 투자가 시작됨

향후 연방 차원의 수용 또는 조세정책 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 전망
각 주의 입법 속도를 고려할 때, 연내 20개 주 이상으로 확산 가능성 있음

전략적 준비의 일환으로 디지털 금고 인프라 및 보안 지침도 병행 추진될 것으로 예상됨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이시바, 참의원 선거 참패…정치권 "총리 퇴진 불가피"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가 쓴잔을 들이킴. 정권 명운을 걸고 20일 치른 참의원(상원) 선거에서 과반 의석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출구조사

일본은 임기 6년의 참의원(248명)의 절반을 3년마다 선거로 교체. 총 125명을 선출하는 이번 선거에서 자민당은 27~41석을, 공명당은 5~12석을 얻어 총 32~51석을 얻을 것으로 예상

아사히신문 출구조사에선 자민당은 34석 전후, 공명당은 7석 전후로 얻을 것으로 나타남. 이번 선거 대상이 아닌 기존 의석(75석)과 합쳐도 이시바 총리가 목표로 한 과반 의석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치

https://naver.me/F0A8ckPy
한국 주식전략 (JPM)

1. KOSPI 장기 전망과 밸류에이션

• MSCI Korea 기준으로 향후 2년간 KOSPI 5000 수준까지 상승 가능성을 제시

• 연평균 약 4%의 장부가치 성장과 P/B 1.6배로의 리레이팅을 전제

• P/B 1.6배는 2011년 이후 기록이 없지만 2021년에 1.5배를 기록한 전례가 있음

• 외국인 자금 유입, 개인 자금의 환류, 대미 무역협상 타결, 글로벌 증시 상승이 동반될 경우 오버슈팅도 가능

• 지속적 달성을 위해서는 향후 ROE가 10.5% 수준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자산효율 개선·비핵심자산 매각·자사주 매입 등 주주친화적 행위가 필요

• 상법 개정 등을 통한 주주비우호적 행동 리스크 감소가 전제될 때 일본·유럽·중국·대만과 유사한 ROE에 따른 밸류에이션 적용 가능

2. 시장 내 밸류에이션 구조

• 장부가 이하로 거래되는 종목이 지수의 약 52%를 차지하며, 이 중 절반이 삼성전자

•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저평가 섹터에서만 발생할 필요는 없음

• 한국은 ROE 개선 대비 밸류에이션 상승 기울기가 일본·유럽보다 낮아 고평가 구간으로 보이는 종목들도 실제로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경우가 많음

3. 최근 시장 동향과 주요 이벤트

• KOSPI는 최근 3200선에서 등락

• 2024년 이후 둔화됐던 주주 행동주의 캠페인이 선거 이후 재가동되고 있음

• 2024년에 48건이었던 신규 캠페인은 2025년 상반기에는 9건에 그쳤으나 6월 중순 이후 이미 5건 추가

• 정부는 추가 개혁안을 준비 중이며, 자사주 소각 의무화, 공개매수 의무화, 배당세제 개편 등이 논의 중

4. 대외 변수와 환율 영향

• 달러 강세가 한국 주식의 달러 환산 수익률을 제약

• 단기적으로 달러 강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견해

여름철 관세 우려·성장 둔화·채권시장 변동성 등으로 글로벌·아시아 주식의 단기 변동성이 예상되지만, 조정 시 매수세 유입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

연말까지 KOSPI가 기본 시나리오(3200)와 낙관 시나리오(3500) 사이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

5. 투자자 흐름과 종목별 매매 동향

• 외국인, 기관, 개인 모두에서 총합적인 흐름은 관망세

• 외국인은 금융주(은행·보험)에서 3주 연속 순매도

• 하이닉스도 대규모 매도

• 방산·전력망·조선 등 모멘텀 테마주를 최근 조정시 매수

• 삼성전자는 대규모 매수, 이재용 회장의 대법원 무죄 판결로 법적 불확실성 해소가 긍정적으로 작용

6. 공매도 동향과 팩터 성과

공매도 비중이 주간 기준으로 12%로 증가, 5월 초 이후 최고 수준

배터리 소재 분야에서 공매도가 크게 감소하여 주가 상승에 기여

• 모멘텀 팩터는 주 초 강세를 보이다가 주 후반 보합권으로 마감

7. 시장 기술적 지표와 펀더멘털 변화

• 시장 전반의 상승 종목과 하락 종목 수의 균형이 양호한 편

• 이익추정치 상향 조정 비율이 꾸준히 개선되는 모습

• VKOSPI가 20대 수준으로 하락하며 단기 위험 프리미엄 축소

• RSI, Breadth, 외국인·기관·개인 순매수 추이, 단기 EPS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볼 때 시장 펀더멘털은 우호적인 흐름 유지

8. 투자 전략과 시사점

• 개혁 가속화와 주주친화적 정책 기대가 밸류에이션 개선의 핵심

• 단기적으로 달러 강세와 글로벌 불확실성에 따른 변동성 존재

• 중장기적으로 P/B 1.6배와 ROE 10.5%라는 목표 수준으로 재평가 가능성이 유효

• 모멘텀 테마와 삼성전자 등 대형주 중심의 자금 유입 지속 가능성

• 금융주 등 외국인 순매도 종목군은 단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개별 종목 펀더멘털 점검 필요.
"Korea Equity Strategy Updates amidst volatility (4): Reform progress on track"

📌 KOSPI 5000 ‘블루스카이’ 시나리오 분석
* 2년 내 55% 상승 여력 (KOSPI 4960 목표)
* MSCI Korea 기준 Book Value 연 4% 증가 + P/B 1.6배 리레이팅**이 핵심.
* 10년 평균 Book Value 성장률(4.7%)보다 보수적 가정.
* **리레이팅 조건

1. ROE 10.5% 달성(현재 5년 평균 9.8%)
* 효율성 개선, 비핵심 자산 매각, 자사주 매입 등이 기여.
2. 주주친화적 개혁 안정화
* 상법 개정으로 주주가치 훼손 우려(불리한 합병·분할 등) 완화 필요.
* P/B 1.6배 달성은 2011년 이후 없었으나, 2021년 1.5배 도달 경험 → 2026년 글로벌 랠리·미국과의 무역협상·외국인 유입이 변수.

🔄 시장 자금 흐름 (최근 4주 기준)
* 외국인
* 은행·보험 3주 연속 매도, SK하이닉스 매도
* 삼성전자, 방산, 전력망(Grid), 조선 등 모멘텀 테마 매수
* 삼성전자는 JY 이재용 대법원 무죄 판결로 불확실성 해소.
* 기관 (국내)
* 거래 비중은 평균적이나 KOSDAQ 비중 확대 조짐.
* ETF 매수세는 방산·반도체 장비 중심.
* 리테일
* KOSPI는 중립, KOSDAQ·2차전지·게임 섹터에 단기 순매수 집중.

🏛 한국 자본시장 개혁 모멘텀
* 7월 말 예정 개혁안
1. 자사주 소각 의무화 (주주환원 강화)
2. 의무 공개매수제 (소액주주 보호)
3. 배당소득세 완화 가능성 (배당 매력 제고)
* 활동가 캠페인 회복
* 2025 상반기 9건(2024년 48건 대비 급감)이었으나, 6월 중순 이후 5건 재개.

📊 펀더멘털·밸류에이션 구조
* 지수의 52%가 Book Value 이하 거래 (삼성전자 포함).
* ROE 대비 P/B 확장률**이 일본·유럽보다 **완만
* 고밸류 섹터도 상대적으로 저평가 상태.
* EPS 전망 상향 지속 & Breadth(상승 종목 비율) 양호 → 펀더멘털 안정적.

⚠️ 리스크 요인
1. 달러 강세
* USD/KRW 상승 →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
* 여름철 글로벌 변동성(관세, 성장 둔화, 채권시장 불안) → 단기 조정 가능.
2. 공매도 확대 (12%, 5월 이후 최고)
* 다만 2차전지 소재주 공매도 감소로 섹터별 차별화.

📌 투자자 전략 가이드 (요약)
* 단기 (3~6개월):
* 삼성전자, 방산, 전력망, 조선 테마주 중심으로 외국인 추세 추종.
* 2차전지 소재주**는 공매도 감소+EPS 상향 기조로 반등 여지.
* **중기 (6~18개월):

* ROE 개선 수혜주 (자사주 매입·자산 매각 기업)
* 주주환원정책 강화(배당, 소각) 기대 기업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 지수 전략:
* 기본 시나리오 KOSPI 3200\~3500 범위 →
* 개혁안 발표·외국인 유입시 **KOSPI 4000+ 가능성**을 헤지 관점으로 고려.
코스피/코스닥 상대강도에서 단기로 보면 코스닥 강세가 밴드 하단에 도착 (좌상)
단기 상대 강도도 2std 안쪽으로 들어왔음 (좌하)
장이 빠르다 빨라
2025년 7월 2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트럼프가 퇴직연금에 대체자산을 투자할 수 있는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 월러 Fed 이사가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띄우면서 금리가 내렸습니다.

(3) 메타가 초지능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8.66원 (-1.99원)
테더 1,368.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뉴욕 증시는 지난 금요일 혼조세로 마감하며 관망 심리를 드러냈습니다. 나스닥은 닷새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기술주의 견조한 흐름을 재확인했으나, 다우지수는 142포인트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고 S&P500도 사실상 보합권에 머물렀습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EU에 최소 15~20% 관세를 요구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무역 갈등 우려가 고개를 들었고, 이는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섹터별로는 유틸리티와 소비재가 강세를 보인 반면, 에너지는 1% 가까이 하락하며 부진했습니다. M7 중에서는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가 소폭 밀렸고, 넷플릭스는 실적 서프라이즈에도 불구하고 콘텐츠 비용 부담 우려로 5% 넘게 급락했습니다. 반면 테슬라는 3% 넘게 반등하며 주간 기준 5% 이상 상승했습니다. 인베스코는 QQQ ETF 구조 개편 기대에 15% 급등했고, 인터랙티브 브로커스와 찰스슈왑도 호실적에 강세를 보였습니다.

경제지표 측면에서는 6월 신규주택 착공이 예상을 웃돌았고,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며 회복세를 이어갔습니다. 1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두 달 연속 하락하며 물가 안정 기대를 키웠습니다.

채권시장에서는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이달 금리인하를 강하게 주장하며 단기물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고, 이에 따라 수익률곡선은 불 스티프닝 형태를 나타냈습니다. 10년물 금리는 4.43%로 하락했고, 2년물은 3.88%까지 떨어졌습니다. 연내 2차례 인하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에서 선물시장은 점진적 인하 기대를 반영했습니다.

외환시장에서 달러는 장중 월러 발언에 약세 압력을 받았으나, 트럼프 관세 이슈가 다시 고개를 들며 낙폭을 일부 만회했습니다. 달러인덱스는 98대 중반에서 마감했고, 유로와 파운드는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국제유가는 EU의 러시아산 정제유 금수 조치에도 불구하고 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소폭 하락하며 WTI기준으로 0.3% 내린 배럴당 67.34달러로 마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