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4K subscribers
8.4K photos
49 videos
164 files
12.4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루팡
중국, 미중 무역 해빙 가능성 시사 – 증시에 긍정적 신호

위험 자산은 소폭 반등할 수 있음


중국 고위 당국자의 발언은 미국과 중국이 관세 완화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할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암시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를 즉각적인 합의는 아니더라도, 글로벌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것입니다.

🔸 중국: 미국과의 무역 협상 가능성 평가 중
🔸 중국: 미국은 관세 관련 '실수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촉구
🔸 중국: 미중 간 협상에 대한 평가 진행 중
🔸 중국: 미국이 무역 협상을 원한다면 진정성을 보여야
60일 지정생존자
Forwarded from 선수촌
씨뱅

코리아 중립으로 UP
2024년 독일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시간당 평균 임금은 €43.40로 EU에서 7번째로 높았음. 이는 EU 평균 €33.50보다 약 30% 높은 수치이며, 2022년 이후 이 격차는 거의 변하지 않았음

시간당 인건비가 가장 높은 EU 국가는 룩셈부르크(€55.20), 덴마크(€50.10), 벨기에 (€48.20) 순이며, 인건비가 가장 낮은 국가는 불가리아(€10.60), 루마니아(€12.50), 헝가리(€14.10) 순
라인메탈 신고가
Forward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경훈 김)
# 글로벌 반미 연대 강화 영향? 🚨

👉 미국채 10년물 상단 타겟 mid-4% 돌파 수순??
🇪🇺 4월 헤드라인 CPI 전년비 증가율은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2.2%를 유지. 반면, 근원 CPI는 2.7%로 상승했고, 서비스 물가도 3.9%까지 상승
“Microsoft, ‘Grok’ AI 모델 Azure에 탑재 계획”

Microsoft가 일론 머스크의 xAI가 만든 'Grok' AI를 Azure에 탑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며,

이는 OpenAI 의존도를 줄이고 AI 생태계를 다변화

📌핵심 요약
Microsoft는 엘론 머스크의 xAI가 개발한 Grok AI 모델을 Azure 클라우드에 탑재하려는 계획을 추진 중.

Azure AI Foundry를 통해 개발자 및 마이크로소프트 내부 팀이 Grok 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협의가 진행되고 있음.

이번 협업은 xAI 모델을 호스팅(운영)만 하며, 미래 모델 훈련(training)에는 관여하지 않을 예정.

🧠 배경 및 맥락
Grok은 머스크의 AI 스타트업 xAI가 개발한 언어모델로, OpenAI의 ChatGPT에 대한 경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음.

머스크와 오픈AI CEO 샘 알트먼 간의 갈등이 심화됨:
머스크는 오픈AI가 “인류를 위한 AI 개발”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상업적 이익으로 전환했다고 비판하며 소송을 제기.

이에 오픈AI도 최근 맞소송을 제기함.

☁️ Microsoft의 AI 전략 방향
Microsoft는 OpenAI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대안 모델 테스트 중:

일론 머스크의 xAI 모델
- Meta의 모델
- 중국 DeepSeek의 모델 등
- 실제로 DeepSeek의 R1 모델은 이미 Azure와 GitHub에 탑재됨.

향후 변수
Microsoft가 Grok의 독점 호스팅권을 가질지 여부는 아직 미정.

Amazon AWS 등 다른 클라우드 업체가 함께 호스팅할 가능성도 열려 있음.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트럼프의 ‘2026 예산안’

📌 핵심 제안 내용
- 국내 지출 23% 감축, 국방예산 13% 증액

- 비국방 지출: 2025년 대비 1,630억 달러 삭감, 총 5,570억 달러

🔥국방 및 국가안보 예산: 기존 8,923억 달러 → 1조 100억 달러, 사상 최대 규모

📌국방 지출 주요 항목
- 아이언 돔 미사일 방어체계
- 핵무기 현대화, 함정 건조, 국경 보안
- 군인 급여 3.8% 인상

📌국내 지출 대폭 삭감 항목
환경보호청(EPA) 및 에너지부(재생에너지 관련) 예산 대폭 감축

인종 격차 해소, 다양성과 포용(D&I) 프로그램 축소 또는 폐지

📌완전 폐지 대상
- 미국 평화연구소(USIP)
- 소수기업개발청(MBDA)
- 지역금융지원기금(CDFI Fund)

복지 예산 관련
사회보장 및 메디케이드 등 복지제도는 직접 삭감하지 않겠다고 공언

다만 부정 수급 단속과 낭비 제거 명목으로 일부 정비 예상

📌일론 머스크의 정부 구조조정 역할
수천 건의 계약 해지, 연방 공무원 정리, 기관 통합 및 폐지

초기 2조 달러 감축 계획 → 1,500억 달러 감축 목표로 조정

일부 조치는 의회 승인 없이 단행, 법적 소송 진행 중

🔥국방·안보 예산 사상 최고로 증액🔥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중국, 미국산 수입품 400억 달러 규모 ‘조용한 관세 면제’ 시행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 중 약 400억 달러 규모(2024년 기준 전체 수입의 약 24%)에 대해 조용히 관세를 면제하고 있음

대상 품목은 131개로, 의약품, 산업용 화학제품, 특수 소재 등이 포함

공식 발표 없이 리스트가 중국 기업·무역업체들 사이에 비공식적으로 유통되며, 이미 6곳 이상 기업이 면세 혜택을 받아 수입 완료.

중국 정부는 자국 산업 보호와 경기 악화를 막기 위해 에탄(ethane, 플라스틱 제조 원료) 등 ‘대체 불가능한 핵심 수입품’ 위주로 면제를 시행.

미국을 향한 협상 신호라기보다는 중국 내부 경제 안정화가 목적이라는 분석.

유사하게 미국도 약 22%의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 면제 중, 양국 모두 전략적 산업 보호를 위한 선택적 조치로 분석됨.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5-02/china-s-stealth-exemptions-may-amount-to-a-quarter-of-us-imports?srnd=homepage-americas
중국, 일부 미국산 제품 비공식 관세 면제 시작

📌1. 약 4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이 대상일 가능성
- 공식 발표 없이 조용히 면제 조치 시행

📌2. 최소 6개 이상 중국 기업, 관세 없이 미국산 제품 수입 성공
- 실제 면제 적용 사례 확인됨

📌3. 면제 목록은 유동적
- 중국의 수요에 따라 항목이 수시로 조정

- 대체품 확보 시 면제 종료 가능성 있음

📌4. 공식 목록·출처는 미공개, 정부 기관도 논평 거부
- 중국 해관총서, 관련 질의에 응답하지 않음

중국은 사실상 ‘비공식 관세 완화’ 조치로, 중국 내 수요 충족과 공급망 안정화가 주요 목적인듯함.

향후 미국과의 협상 여지를 남기면서도 자국 기업 보호를 병행하려는 실리적 접근으로 보임.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4월 미국 고용: 예상치 상회했습니다
< 🇺🇸 4월 고용보고서 컨센 상회 >

▶️ 일자리 증가 (단, 3월 수치 큰 폭 하향조정), 광의실업률 하락, 임금 상승률 컨센 하회

1️⃣ 비농업 고용
실제 177k / 컨센 138k / 이전 228k (수정 185k)
*민간: 실제 167k / 컨센 125k / 이전 209k (수정 170k)

2️⃣ 실업률
실제 4.2% / 컨센 4.2% / 이전 4.2%
*U6: 7.9%➡️7.8%
*U6-U3갭: 3.7%p➡️3.6%p

3️⃣ 시간당 임금 전년비
실제 3.8% / 컨센 3.9% / 이전 3.8%

4️⃣ 시간당 임금 전월비
실제 0.2% / 컨센 0.3% / 이전 0.3%

5️⃣ 평균 주간근로시간
실제 34.3 / 컨센 34.2 / 이전 34.2 (수정 34.3)

6️⃣ 경제활동참가율
실제 62.6% / 컨센 62.5% / 이전 62.5%
1️⃣ 비농업 일자리의 직전 2개월치는 -58k 하향조정

2️⃣ 핵심 연령 인구 (prime working age) 비중은 80.7%로 반등하며 3개월 만에 최고치 경신. 경기 정점 때 80.9%보다 약 0.2%p 낮은 수준

3️⃣ 파트타임 일자리 비중은 3개월 만에 최저인 2.7%를 기록

4️⃣ 가구 대상 조사 일자리도 전월 +201k에서 +436k로 증가

5️⃣ 실업률 소수점 둘째자리 기준으로 보면 4.15%에서 4.19%로 소폭 상승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4.26%대까지 재차 상승. 4.3% 초중반부터 분할매수 전략 여전히 유효하다는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