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삼성 이영진] 글로벌 AI/SW
오픈AI, 인도에 챗GPT Go 요금제 정식 출시
: 인도 전용 구독 요금제로, 월 ₹399(약 4.6 USD)에 제공. UPI 결제 지원으로 편의성 대폭 향상
: 무료 플랜 대비 최신 모델 GPT‑5에 확장된 접근권, 메시지 한도 10배, 이미지 생성 10배, 파일 업로드 갯수 10배, 메모리 능력 2배
: 인도 전용 구독 요금제로, 월 ₹399(약 4.6 USD)에 제공. UPI 결제 지원으로 편의성 대폭 향상
: 무료 플랜 대비 최신 모델 GPT‑5에 확장된 접근권, 메시지 한도 10배, 이미지 생성 10배, 파일 업로드 갯수 10배, 메모리 능력 2배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혜민 허)
[키움 허혜민] Viking, 경구 비만 치료제 중간 단계 임상 결과 발표 후, 시초가 -32% 급락 중
GLP-1/GIP 이중 작용제인 VK2735의 1일1회 복용 경구제형 중간 단계 임상에서 13주간 최대 12.2% 체중 감소 vs 대조군 1.3%
치료 관련 이상반응 대부분 경증 또는 중등에 그쳤다고 밝혔음
VK2735 투여군이 위약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감소를 보여, 1차 및 2차 평가변수 모두 달성
그러나, VK2735 최고 용량 투여군의 약 38%가 약물 복용 조기 중단. 모든 용량에서 참여자의 28%가 중단 vs 위약군 18% 중단.
체중 감소율은 괜찮았지만, 안전성 문제로 인한 장기 순응도에 대한 의문 제기되며 하락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viking-therapeutics-announces-positive-top-line-results-from-phase-2-venture-oral-dosing-trial-of-vk2735-tablet-formulation-in-patients-with-obesity-302533355.html
불과 몇 시간 전에 아래와 같은 기사도 있었는데, 이번 데이터 발표로 인해서 변화가 생길 수도 있겠습니다. 근데 릴리는 왜 40년 만기 채권을 발행한거지..?
릴리가 매우 이례적으로 40년 만기 채권 발행으로 큰일을 준비하고 있다. 바이킹 테라퓨틱스 인수 고려? https://www.benzinga.com/markets/equities/25/08/47201502/eli-lilly-considering-viking-therapeutics-acquisition-expert-says-theyre-setting-up-for-something-big-as-lly-issues-40-year-bond
GLP-1/GIP 이중 작용제인 VK2735의 1일1회 복용 경구제형 중간 단계 임상에서 13주간 최대 12.2% 체중 감소 vs 대조군 1.3%
치료 관련 이상반응 대부분 경증 또는 중등에 그쳤다고 밝혔음
VK2735 투여군이 위약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감소를 보여, 1차 및 2차 평가변수 모두 달성
그러나, VK2735 최고 용량 투여군의 약 38%가 약물 복용 조기 중단. 모든 용량에서 참여자의 28%가 중단 vs 위약군 18% 중단.
체중 감소율은 괜찮았지만, 안전성 문제로 인한 장기 순응도에 대한 의문 제기되며 하락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viking-therapeutics-announces-positive-top-line-results-from-phase-2-venture-oral-dosing-trial-of-vk2735-tablet-formulation-in-patients-with-obesity-302533355.html
불과 몇 시간 전에 아래와 같은 기사도 있었는데, 이번 데이터 발표로 인해서 변화가 생길 수도 있겠습니다. 근데 릴리는 왜 40년 만기 채권을 발행한거지..?
릴리가 매우 이례적으로 40년 만기 채권 발행으로 큰일을 준비하고 있다. 바이킹 테라퓨틱스 인수 고려? https://www.benzinga.com/markets/equities/25/08/47201502/eli-lilly-considering-viking-therapeutics-acquisition-expert-says-theyre-setting-up-for-something-big-as-lly-issues-40-year-bond
PR Newswire
Viking Therapeutics Announces Positive Top-Line Results from Phase 2 VENTURE-Oral Dosing Trial of VK2735 Tablet Formulation in…
Study Achieves Primary and Secondary Endpoints, Demonstr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in Body Weight with Once-Daily VK2735 Dosing as Compared to...
Forwarded from [신한 리서치본부] 제약/바이오
Viking therapeutics의 VK2735 GLP-1/GIP 경구용 비만 치료제의 13주차 -12.2% 체중 감량 (통계적 유의성 확보 및 1, 2차 지표 충족) 했으나
위장관 및 치료 관련 부작용 발생 99%. 전체 치료 중단이 28%, 그 중 위장관 관련 부작용으로 인한 치료 중단 20%로 높아 Viking 주가 -37% 폭락 중
[비만 경구제 단기 감량률 비교]
바이킹 VK2735 -12.2% (13주차) ▶️ 오늘 발표
릴리 오포글리프론 -12.3% (26주차)
노보 아미크레틴 -10.4% (12주차)
멧세라 MET-097i -11.3% (12주차)
[비만 경구제 치료중단 비율]
바이킹 VK2735 28% ▶️ 오늘 발표
릴리 오포글리프론 10~15%
노보 위고비(경구) 6.9%
화이자 다누글리프론(실패 및 중단) 50% 이상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viking-therapeutics-announces-positive-top-line-results-from-phase-2-venture-oral-dosing-trial-of-vk2735-tablet-formulation-in-patients-with-obesity-302533355.html
위장관 및 치료 관련 부작용 발생 99%. 전체 치료 중단이 28%, 그 중 위장관 관련 부작용으로 인한 치료 중단 20%로 높아 Viking 주가 -37% 폭락 중
[비만 경구제 단기 감량률 비교]
바이킹 VK2735 -12.2% (13주차) ▶️ 오늘 발표
릴리 오포글리프론 -12.3% (26주차)
노보 아미크레틴 -10.4% (12주차)
멧세라 MET-097i -11.3% (12주차)
[비만 경구제 치료중단 비율]
바이킹 VK2735 28% ▶️ 오늘 발표
릴리 오포글리프론 10~15%
노보 위고비(경구) 6.9%
화이자 다누글리프론(실패 및 중단) 50% 이상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viking-therapeutics-announces-positive-top-line-results-from-phase-2-venture-oral-dosing-trial-of-vk2735-tablet-formulation-in-patients-with-obesity-302533355.html
PR Newswire
Viking Therapeutics Announces Positive Top-Line Results from Phase 2 VENTURE-Oral Dosing Trial of VK2735 Tablet Formulation in…
Study Achieves Primary and Secondary Endpoints, Demonstr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in Body Weight with Once-Daily VK2735 Dosing as Compared to...
Forwarded from 루팡
Dylan Patel- GPT-5, OpenAI의 라우터 전략, GPU vs TPU, 데이터센터 인프라, 그리고 빅테크별 전략 조언
1. Nvidia의 압도적 우위
* 네트워킹, HBM, 공정 노드, 램프업 속도, TSMC·SK하이닉스 협상력, 공급망 관리, 원가 효율 등에서 경쟁사가 따라오기 어렵다.
* 단순히 “조금 더 잘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며, 최소 5배(5x) 이상 뛰어난 혁신이 있어야 Nvidia를 이길 수 있다.
2. GPT-5 평가
* 모델 크기는 GPT-4와 비슷, 크게 커지지 않음.
* ‘생각(thinking)’ 모드에서 5\~10초만 연산하는 등 효율성이 올라감.
* OpenAI는 라우터를 통해 질의 가치를 평가해 저가 모델·고성능 모델·에이전트 실행을 구분 적용 → 무료 사용자도 수익화 가능.
* 이는 비용 효율성과 수익 모델 전환(광고 대신 에이전트 기반 커미션 구조)을 위한 전략으로 해석됨.
3. AI 인프라 및 경제성
* 코드 생산성만 놓고 보더라도 3조 달러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 가능.
* 하지만 OpenAI, Anthropic 등은 이미 창출한 가치의 10%도 제대로 수익화하지 못하고 있음 → “가치 창출 vs 가치 포착” 간 괴리.
* CAPEX는 아직도 초기 단계, 소버린 웰스펀드·대형 인프라펀드 진입 여지 큼.
4. Nvidia의 리스크
* Google TPU, Amazon Trainium, Meta ASIC 등 hyperscaler의 맞춤형 칩(custom silicon) 증가.
* 하지만 Nvidia는 여전히 공급망·소프트웨어(CUDA, 라이브러리)·생태계에서 압도적 우위.
* 따라서 신생 AI 반도체 스타트업은 “동일한 게임”으로는 승산이 없으며, 5배 이상의 기술적 도약이 필요.
5. 전력·데이터센터 문제
* 미국은 전력망 연결, 송전, 인력 부족으로 데이터센터 증설 지연.
* 중국은 전력 인프라 여유가 있지만, 정부가 화웨이 육성 정책을 병행.
* 전력 비용은 전체 TCO의 20% 미만 → 핵심은 속도와 입지, 빠른 전력 확보.
6. Intel·TSMC·미래 전략
* Intel은 TSMC 대비 뒤처져 있으나, 삼성보다는 앞섰다는 평가.
* 미국·세계적으로 Intel의 생존 필요성은 크며, 대규모 자본 투입이 필요.
* TSMC는 사실상 독점적 지위에 있으나 가격 인상은 점진적.
7. CEO들에게 줄 조언
* OpenAI: 결제 시스템-에이전트 상거래 즉시 도입해 무료 사용자 수익화.
* Nvidia (Jensen Huang): 축적된 현금을 데이터센터·인프라 레이어에 재투자.
* Google: TPU 외부 판매 개방, 데이터센터 투자 가속.
* Meta (Zuck): 모델·인프라 속도전 가속, 더 많은 소비자 제품 출시.
* Apple: 최소 500억 달러 AI 인프라 투자 필요, AI 인터페이스 전환 위기 인식해야.
* Microsoft: 데이터센터 투자 축소, OpenAI 의존, 자체 모델 실패 → 제품 혁신력 회복 시급.
* Elon Musk: 인재 유지, 제품 실행력 강화. XAI 수익모델(성인 AI 포함)도 긍정적이나 인력 유출 문제 해결 필요.
https://x.com/DrNHJ/status/1957789612715438278
https://youtu.be/xWRPXY8vLY4
1. Nvidia의 압도적 우위
* 네트워킹, HBM, 공정 노드, 램프업 속도, TSMC·SK하이닉스 협상력, 공급망 관리, 원가 효율 등에서 경쟁사가 따라오기 어렵다.
* 단순히 “조금 더 잘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며, 최소 5배(5x) 이상 뛰어난 혁신이 있어야 Nvidia를 이길 수 있다.
2. GPT-5 평가
* 모델 크기는 GPT-4와 비슷, 크게 커지지 않음.
* ‘생각(thinking)’ 모드에서 5\~10초만 연산하는 등 효율성이 올라감.
* OpenAI는 라우터를 통해 질의 가치를 평가해 저가 모델·고성능 모델·에이전트 실행을 구분 적용 → 무료 사용자도 수익화 가능.
* 이는 비용 효율성과 수익 모델 전환(광고 대신 에이전트 기반 커미션 구조)을 위한 전략으로 해석됨.
3. AI 인프라 및 경제성
* 코드 생산성만 놓고 보더라도 3조 달러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 가능.
* 하지만 OpenAI, Anthropic 등은 이미 창출한 가치의 10%도 제대로 수익화하지 못하고 있음 → “가치 창출 vs 가치 포착” 간 괴리.
* CAPEX는 아직도 초기 단계, 소버린 웰스펀드·대형 인프라펀드 진입 여지 큼.
4. Nvidia의 리스크
* Google TPU, Amazon Trainium, Meta ASIC 등 hyperscaler의 맞춤형 칩(custom silicon) 증가.
* 하지만 Nvidia는 여전히 공급망·소프트웨어(CUDA, 라이브러리)·생태계에서 압도적 우위.
* 따라서 신생 AI 반도체 스타트업은 “동일한 게임”으로는 승산이 없으며, 5배 이상의 기술적 도약이 필요.
5. 전력·데이터센터 문제
* 미국은 전력망 연결, 송전, 인력 부족으로 데이터센터 증설 지연.
* 중국은 전력 인프라 여유가 있지만, 정부가 화웨이 육성 정책을 병행.
* 전력 비용은 전체 TCO의 20% 미만 → 핵심은 속도와 입지, 빠른 전력 확보.
6. Intel·TSMC·미래 전략
* Intel은 TSMC 대비 뒤처져 있으나, 삼성보다는 앞섰다는 평가.
* 미국·세계적으로 Intel의 생존 필요성은 크며, 대규모 자본 투입이 필요.
* TSMC는 사실상 독점적 지위에 있으나 가격 인상은 점진적.
7. CEO들에게 줄 조언
* OpenAI: 결제 시스템-에이전트 상거래 즉시 도입해 무료 사용자 수익화.
* Nvidia (Jensen Huang): 축적된 현금을 데이터센터·인프라 레이어에 재투자.
* Google: TPU 외부 판매 개방, 데이터센터 투자 가속.
* Meta (Zuck): 모델·인프라 속도전 가속, 더 많은 소비자 제품 출시.
* Apple: 최소 500억 달러 AI 인프라 투자 필요, AI 인터페이스 전환 위기 인식해야.
* Microsoft: 데이터센터 투자 축소, OpenAI 의존, 자체 모델 실패 → 제품 혁신력 회복 시급.
* Elon Musk: 인재 유지, 제품 실행력 강화. XAI 수익모델(성인 AI 포함)도 긍정적이나 인력 유출 문제 해결 필요.
https://x.com/DrNHJ/status/1957789612715438278
https://youtu.be/xWRPXY8vLY4
YouTube
Dylan Patel on GPT-5’s Router Moment, GPUs vs TPUs, Monetization
The AI hardware race is heating up, and NVIDIA is still far ahead. What will it take to close the gap?
In this episode, Dylan Patel (Founder & CEO, SemiAnalysis) joins Erin Price-Wright (General Partner, a16z), Guido Appenzeller (Partner, a16z), and host…
In this episode, Dylan Patel (Founder & CEO, SemiAnalysis) joins Erin Price-Wright (General Partner, a16z), Guido Appenzeller (Partner, a16z), and host…
Forwarded from 루팡
TD Cowen,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175달러에서 235달러로 상향하면서 매수(Buy) 의견을 유지
실적 발표 전 전망
“NVIDIA는 높은 기대치를 충분히 넘어설 수 있는 최적의 포지션에 있다고 본다. AVGO(브로드컴), MRVL(마벨), CRDO(크레도)에 대해서는 좀 더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고 있지만, NVIDIA에 대해서는 여전히 긍정적이다.”
근거
H20 및 중국 관련 혼란에도 불구하고 Blackwell → Blackwell Ultra 전환이 빠르고 매끄럽게 진행 중.
NVIDIA는 현재 Broadcom 대비 할인된 밸류에이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AI 투자에서 가장 깨끗하고 확실한 플레이라고 판단.
TD Cowen은 10월 분기 매출 550억 달러 전망(Street 컨센서스 대비 훨씬 높은 수치)을 유지, 여기에는 H20 매출은 반영하지 않음(시점·규모 불확실성 때문).
중장기 전망
2026년 전망치 역시 Street 대비 높으며, 단순히 중국 데이터센터 매출 회복분을 더하는 수준을 넘어 추가 상향 가능성을 봄.
주가가 150달러일 때 투자자들은 2026년 예상 EPS 6달러를 기대했으나, 180달러일 때는 7달러에 가까운 숫자를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
향후 2~3개 분기 동안 NVIDIA는 이러한 실적 가시성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
실적 발표 전 전망
“NVIDIA는 높은 기대치를 충분히 넘어설 수 있는 최적의 포지션에 있다고 본다. AVGO(브로드컴), MRVL(마벨), CRDO(크레도)에 대해서는 좀 더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고 있지만, NVIDIA에 대해서는 여전히 긍정적이다.”
근거
H20 및 중국 관련 혼란에도 불구하고 Blackwell → Blackwell Ultra 전환이 빠르고 매끄럽게 진행 중.
NVIDIA는 현재 Broadcom 대비 할인된 밸류에이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AI 투자에서 가장 깨끗하고 확실한 플레이라고 판단.
TD Cowen은 10월 분기 매출 550억 달러 전망(Street 컨센서스 대비 훨씬 높은 수치)을 유지, 여기에는 H20 매출은 반영하지 않음(시점·규모 불확실성 때문).
중장기 전망
2026년 전망치 역시 Street 대비 높으며, 단순히 중국 데이터센터 매출 회복분을 더하는 수준을 넘어 추가 상향 가능성을 봄.
주가가 150달러일 때 투자자들은 2026년 예상 EPS 6달러를 기대했으나, 180달러일 때는 7달러에 가까운 숫자를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
향후 2~3개 분기 동안 NVIDIA는 이러한 실적 가시성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
Forwarded from 루팡
단독: 엔비디아, 중국용 H20보다 성능 높은 신규 AI 칩 개발 중 – 소식통
-소식통: 최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신규 칩 개발 중
-트럼프 “중국에 더 첨단 칩 판매 허용할 수 있다” 발언
-규제 승인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
-엔비디아, 빠르면 내달 샘플 중국 고객사에 제공 목표
엔비디아(NVDA.O)가 최신 블랙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중국 전용 신규 AI 칩을 개발 중이라고 두 명의 소식통이 전했다. 이는 현재 중국 판매가 허용된 H20보다 성능이 뛰어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중국에 더 첨단 칩을 판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그러나 소식통들은 워싱턴이 중국에 미국의 AI 기술 접근을 지나치게 허용할 것에 대한 뿌리 깊은 우려 때문에 미국 규제 승인은 보장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새로운 B30A 칩
신규 칩은 임시로 B30A라 불리며, 단일 다이(single-die) 설계를 채택할 예정이다. 이는 엔비디아의 플래그십 가속기 카드 B300의 이중 다이 구성 대비 약 절반 수준의 연산 성능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단일 다이 설계란 주요 회로를 여러 다이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실리콘 웨이퍼 위에 구현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칩은 H20과 마찬가지로 HBM(고대역폭 메모리)과 NVLink(프로세서 간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을 지원한다.
아직 사양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엔비디아는 내달 중 중국 고객사에 샘플을 제공해 테스트를 시작하길 원한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엔비디아는 성명에서 이렇게 밝혔다:
“우리는 정부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을 평가합니다. 모든 제공 제품은 관련 당국의 승인 하에, 상업적 유익만을 목적으로 설계된 것입니다.”
미 상무부는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미·중 갈등의 핵심
중국은 엔비디아의 지난 회계연도 매출의 13%를 차지했다. 중국의 첨단 AI 칩 접근 범위는 미·중 무역 갈등의 핵심 쟁점 중 하나다.
엔비디아는 지난 7월에야 H20 판매 재개 승인을 받았다. H20은 2023년 수출 제한 이후 중국 전용으로 개발된 칩이지만, 올해 4월 갑작스럽게 판매 중단 명령을 받았었다.
트럼프는 지난주, 차세대 칩의 축소판을 중국에 판매 허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 내 일부 첨단 칩 매출의 15%를 미 정부에 제공하는 전례 없는 합의도 발표했다.
트럼프는 신규 칩이 “성능이 30~50% 축소된 버전”이 될 수 있다고 시사하며, H20은 “이미 구식”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민주·공화 양당 의원들은 축소판이라 하더라도 플래그십 AI 칩을 중국이 확보하면 미국의 AI 기술 우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중국 시장 방어 필요성
엔비디아와 업계는 중국 고객들이 화웨이 같은 대체 업체로 완전히 이동하지 않도록 칩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화웨이는 최근 칩 개발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여 일부 성능 면에서는 엔비디아와 동등한 수준에 도달했으나, 소프트웨어 생태계와 메모리 대역폭 등 핵심 영역에서는 여전히 뒤처져 있다는 평가다.
한편 중국 관영매체는 최근 엔비디아 칩이 보안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도했고, 당국은 중국 기술기업들에게 H20 구매에 신중할 것을 경고했다. 엔비디아는 “백도어 위험은 없다”고 반박했다.
또 다른 중국 전용 칩 – RTX6000D
엔비디아는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의 또 다른 중국 전용 칩도 준비 중이다. 이는 주로 AI 추론(inference) 작업을 위해 설계됐다.
로이터가 5월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 칩은 현재 RTX6000D로 불리며, H20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사양이 약하고 제조 요건이 단순하기 때문이다.
RTX6000D는 GDDR 메모리를 사용하며, 메모리 대역폭은 초당 1,398GB로, 미 정부가 4월에 설정한 1.4TB 제한 기준 바로 아래에 맞춰 설계됐다. 이 기준 때문에 H20은 한때 금지되었다.
엔비디아는 9월부터 RTX6000D를 소량 출하해 중국 고객사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https://www.reuters.com/world/china/nvidia-working-new-ai-chip-china-that-outperforms-h20-sources-say-2025-08-19/
-소식통: 최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신규 칩 개발 중
-트럼프 “중국에 더 첨단 칩 판매 허용할 수 있다” 발언
-규제 승인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
-엔비디아, 빠르면 내달 샘플 중국 고객사에 제공 목표
엔비디아(NVDA.O)가 최신 블랙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중국 전용 신규 AI 칩을 개발 중이라고 두 명의 소식통이 전했다. 이는 현재 중국 판매가 허용된 H20보다 성능이 뛰어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중국에 더 첨단 칩을 판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그러나 소식통들은 워싱턴이 중국에 미국의 AI 기술 접근을 지나치게 허용할 것에 대한 뿌리 깊은 우려 때문에 미국 규제 승인은 보장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새로운 B30A 칩
신규 칩은 임시로 B30A라 불리며, 단일 다이(single-die) 설계를 채택할 예정이다. 이는 엔비디아의 플래그십 가속기 카드 B300의 이중 다이 구성 대비 약 절반 수준의 연산 성능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단일 다이 설계란 주요 회로를 여러 다이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실리콘 웨이퍼 위에 구현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칩은 H20과 마찬가지로 HBM(고대역폭 메모리)과 NVLink(프로세서 간 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을 지원한다.
아직 사양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엔비디아는 내달 중 중국 고객사에 샘플을 제공해 테스트를 시작하길 원한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엔비디아는 성명에서 이렇게 밝혔다:
“우리는 정부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을 평가합니다. 모든 제공 제품은 관련 당국의 승인 하에, 상업적 유익만을 목적으로 설계된 것입니다.”
미 상무부는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미·중 갈등의 핵심
중국은 엔비디아의 지난 회계연도 매출의 13%를 차지했다. 중국의 첨단 AI 칩 접근 범위는 미·중 무역 갈등의 핵심 쟁점 중 하나다.
엔비디아는 지난 7월에야 H20 판매 재개 승인을 받았다. H20은 2023년 수출 제한 이후 중국 전용으로 개발된 칩이지만, 올해 4월 갑작스럽게 판매 중단 명령을 받았었다.
트럼프는 지난주, 차세대 칩의 축소판을 중국에 판매 허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 내 일부 첨단 칩 매출의 15%를 미 정부에 제공하는 전례 없는 합의도 발표했다.
트럼프는 신규 칩이 “성능이 30~50% 축소된 버전”이 될 수 있다고 시사하며, H20은 “이미 구식”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민주·공화 양당 의원들은 축소판이라 하더라도 플래그십 AI 칩을 중국이 확보하면 미국의 AI 기술 우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중국 시장 방어 필요성
엔비디아와 업계는 중국 고객들이 화웨이 같은 대체 업체로 완전히 이동하지 않도록 칩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화웨이는 최근 칩 개발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여 일부 성능 면에서는 엔비디아와 동등한 수준에 도달했으나, 소프트웨어 생태계와 메모리 대역폭 등 핵심 영역에서는 여전히 뒤처져 있다는 평가다.
한편 중국 관영매체는 최근 엔비디아 칩이 보안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도했고, 당국은 중국 기술기업들에게 H20 구매에 신중할 것을 경고했다. 엔비디아는 “백도어 위험은 없다”고 반박했다.
또 다른 중국 전용 칩 – RTX6000D
엔비디아는 블랙웰 아키텍처 기반의 또 다른 중국 전용 칩도 준비 중이다. 이는 주로 AI 추론(inference) 작업을 위해 설계됐다.
로이터가 5월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 칩은 현재 RTX6000D로 불리며, H20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사양이 약하고 제조 요건이 단순하기 때문이다.
RTX6000D는 GDDR 메모리를 사용하며, 메모리 대역폭은 초당 1,398GB로, 미 정부가 4월에 설정한 1.4TB 제한 기준 바로 아래에 맞춰 설계됐다. 이 기준 때문에 H20은 한때 금지되었다.
엔비디아는 9월부터 RTX6000D를 소량 출하해 중국 고객사에 공급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https://www.reuters.com/world/china/nvidia-working-new-ai-chip-china-that-outperforms-h20-sources-say-2025-08-19/
Reuters
Exclusive: Nvidia working on new AI chip for China that outperforms the H20, sources say
Nvidia is developing a new artificial intelligence chip for China based on its latest Blackwell architecture that will be more powerful than the H20 model it is currently allowed to sell there, two people briefed on the matter said.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Nvidia는 현재 중국에 판매가 허용된 H20 모델보다 성능이 뛰어난 새로운 AI 칩을 개발 중. 새로 개발되는 칩은 최신 Blackwell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팔란티어는 Outlier 수준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여전하지만, 실적 상향을 통한 기대감 반영 흐름도 지속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Microsoft의 실적은 AI와 클라우드의 선순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 Azure를 중심으로 한 Intelligent Cloud 매출 성장과 Office, Teams, Copilot 등 생산성 도구의 확대가 결합되면서 실적이 시장 전망치를 상회
» 이러한 흐름은 FY25로 이어지며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으며, AI 투자와 클라우드 전환이 지속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
» 이는 Microsoft가 AWS와 GCP와의 경쟁 구도 속에서 클라우드 선두 주자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음을 의미
» Azure를 중심으로 한 Intelligent Cloud 매출 성장과 Office, Teams, Copilot 등 생산성 도구의 확대가 결합되면서 실적이 시장 전망치를 상회
» 이러한 흐름은 FY25로 이어지며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으며, AI 투자와 클라우드 전환이 지속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
» 이는 Microsoft가 AWS와 GCP와의 경쟁 구도 속에서 클라우드 선두 주자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음을 의미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애플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한편, 미국향 아이폰 생산지 다변화 목적으로 인도 내 공장을 다섯 곳으로 확대. 이 중 두 곳은 최근 새로 가동을 시작
» 다음 달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 시리즈 전 모델이 처음부터 인도에서 생산되어 출하될 예정. 인도가 주요 생산 기지로 자리 잡고 있는 모습
» 애플은 이미 대부분의 미국향 아이폰 제조 공장을 중국에서 인도로 이전했으며, 이번 확장 조치에는 타타그룹의 타밀나두 호수르 공장과 방갈로르 공항 인근 폭스콘의 생산 거점이 포함
» 특히 타타가 운영하는 공장은 향후 2년 내 인도의 아이폰 생산량 절반을 차지할 전망. 이는 애플의 핵심 협력사로서 타타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
» 다음 달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 시리즈 전 모델이 처음부터 인도에서 생산되어 출하될 예정. 인도가 주요 생산 기지로 자리 잡고 있는 모습
» 애플은 이미 대부분의 미국향 아이폰 제조 공장을 중국에서 인도로 이전했으며, 이번 확장 조치에는 타타그룹의 타밀나두 호수르 공장과 방갈로르 공항 인근 폭스콘의 생산 거점이 포함
» 특히 타타가 운영하는 공장은 향후 2년 내 인도의 아이폰 생산량 절반을 차지할 전망. 이는 애플의 핵심 협력사로서 타타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
Forwarded from 루팡
애플, 미국향 신형 모델 위해 인도 아이폰 생산 확대
애플이 미국으로 수출되는 아이폰 신형 모델 생산을 위해 인도 내 5개 공장에서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는 최근 새로 가동을 시작한 2개의 공장도 포함된다. 이는 애플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에 따르면, 애플은 다음 달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 시리즈 전 모델을 인도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는 프로 모델을 포함한 모든 신형 모델이 출시 초기부터 남아시아 국가(인도)에서 출하되는 첫 사례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8-19/apple-expands-iphone-production-in-india-for-us-bound-new-models?taid=68a418c1ad90fd0001a2f191&utm_campaign=trueanthem&utm_content=business&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
애플이 미국으로 수출되는 아이폰 신형 모델 생산을 위해 인도 내 5개 공장에서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는 최근 새로 가동을 시작한 2개의 공장도 포함된다. 이는 애플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에 따르면, 애플은 다음 달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 시리즈 전 모델을 인도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는 프로 모델을 포함한 모든 신형 모델이 출시 초기부터 남아시아 국가(인도)에서 출하되는 첫 사례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8-19/apple-expands-iphone-production-in-india-for-us-bound-new-models?taid=68a418c1ad90fd0001a2f191&utm_campaign=trueanthem&utm_content=business&utm_medium=social&utm_source=twitter
Bloomberg.com
Apple Expands iPhone Production in India for US-Bound New Models
Apple Inc. is expanding iPhone production in India at five factories, including a pair of recently opened plants, as it seeks to lessen its reliance on China for US-bound models.
소식통은 이날 메타가 지난 6월 출범한 ‘메타 초지능 연구소’(Meta Superintelligence Labs, MSL)를 AI 연구, 초지능, AI 제품, AI 인프라 등 4개 그룹으로 분할한다고 내부적으로 발표했다고 전했다. 이는 메타가 초지능을 목표로 삼고 AI 제품을 보다 빠르게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구조조정은 당분간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소식통들은 말했다.
메타의 AI 부서는 최근 몇 년간 수천 명 규모로 불어났는데, 이번 구조조정으로 일부 AI 임원들이 회사를 떠날 것으로 예상된다. 메타는 AI 관련 직무를 줄이거나 인력을 재배치 하는 등 전반적으로 AI 부서를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메타는 지금까지 자사 기술만으로 AI 제품을 개발해 왔지만, 앞으로는 타사의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여기에는 무료로 사용 가능한 오픈소스 AI 모델을 기반하거나 타사의 클로즈드소스 모델을 사들이는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93963
메타의 AI 부서는 최근 몇 년간 수천 명 규모로 불어났는데, 이번 구조조정으로 일부 AI 임원들이 회사를 떠날 것으로 예상된다. 메타는 AI 관련 직무를 줄이거나 인력을 재배치 하는 등 전반적으로 AI 부서를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메타는 지금까지 자사 기술만으로 AI 제품을 개발해 왔지만, 앞으로는 타사의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여기에는 무료로 사용 가능한 오픈소스 AI 모델을 기반하거나 타사의 클로즈드소스 모델을 사들이는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93963
Naver
“초지능 시대 대비해야”…메타, 두달 만에 또 조직개편, 왜?
메타가 인공지능(AI) 조직을 두달 여만에 개편한다고 1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인간을 뛰어넘는 AI 시스템인 초지능(superintelligence) 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함
미국 상무부가 반도체법(칩스법) 보조금을 받는 반도체 제조사들에 대해 지분 참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자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에서 칩스법 자금을 지원받는 기업들에 대해 정부가 일정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는 인텔에 대한 현금 보조금 지원과 맞바꿔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에서 확장된 구상이다.
로이터는 백악관 관계자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러트닉 상무장관이 인텔뿐 아니라 마이크론, 대만 TSMC 및 삼성전자 등에도 칩스법 지원과 지분 참여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https://m.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82007444919743bc914ac71_1/article.html
https://www.reuters.com/article/idUSL1N3UB0PD
로이터통신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자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에서 칩스법 자금을 지원받는 기업들에 대해 정부가 일정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는 인텔에 대한 현금 보조금 지원과 맞바꿔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에서 확장된 구상이다.
로이터는 백악관 관계자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러트닉 상무장관이 인텔뿐 아니라 마이크론, 대만 TSMC 및 삼성전자 등에도 칩스법 지원과 지분 참여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https://m.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82007444919743bc914ac71_1/article.html
https://www.reuters.com/article/idUSL1N3UB0PD
글로벌이코노믹
로이터 “러트닉 美 상무, 인텔 이어 마이크론·삼성전자 등 지분 확보 추진”
미국 상무부가 반도체법(칩스법) 보조금을 받는 반도체 제조사들에 대해 지분 참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로이터통신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자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에서 칩스법 자금을 지원받는 기업들에 대해 정부가 일정 지분을 확보
Forwarded from 시황맨의 주식이야기
삼성전자에 미국 정부 지분 투자? 시황맨
로이터 보도에 의하면 칩스법으로 보조금을 지급 받은 반도체 기업들에 미국 정부가 지분을 갖는 것 검토 중.
상무 장관인 러트닉은 마이크론, TSMC, 삼성전자 등을 대상으로 보조금 지급 대가로 미국이 지분을 받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작년 말 기준 보조금은 삼성 47.5억달러, 마이크론 62억달러, TSMC 66억달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아이디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주요 기업들은 현재 이 사안에 대한 논평은 하지 않고 있음
https://finance.yahoo.com/news/trump-eyes-us-government-stakes-222031411.html
로이터 보도에 의하면 칩스법으로 보조금을 지급 받은 반도체 기업들에 미국 정부가 지분을 갖는 것 검토 중.
상무 장관인 러트닉은 마이크론, TSMC, 삼성전자 등을 대상으로 보조금 지급 대가로 미국이 지분을 받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작년 말 기준 보조금은 삼성 47.5억달러, 마이크론 62억달러, TSMC 66억달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아이디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주요 기업들은 현재 이 사안에 대한 논평은 하지 않고 있음
https://finance.yahoo.com/news/trump-eyes-us-government-stakes-222031411.html
Yahoo Finance
Trump eyes US government stakes in other chip makers that received CHIPS Act funds, sources say
WASHINGTON (Reuters) -U.S. Commerce Secretary Howard Lutnick is looking into the federal government taking equity stakes in computer chip manufacturers that receive CHIPS Act funding to build factories in the country, two sources said. Expanding on a plan…
[제니 존슨 / 프랭클린 템플턴 CEO : 트럼프 대통령은 가상자산을 지지함으로써 이 기술이 금융 서비스 산업에 매우 강한 영향을 미치고 유익할 것이라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비용을 낮춰주고, 더 높은 투명성을 제공하며, 여러 면에서 더 안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이 훨씬 더 많이 융합되는 모습을 보게 될 것입니다. 이는 매우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디지털 자산은 주류가 될 것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58449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58449
Naver
[부자들의 투자노트] 프랭클린템플턴 CEO "디지털자산, 주류 될 것"
■ 모닝벨 '부자들의 투자노트' - 고유미 외신캐스터 금리 불확실성에 위험 선호 심리가 약해지면서 비트코인 가격도 빠지고 있죠. 하지만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의 제니 존슨 CEO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로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