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홍콩 Hibor 익일물 금리가 사흘째 올라 4월 고점에 근접했습니다.
(2) 주말 잭슨홀을 앞두고 헤지 수요가 몰리며 주가지수가 내렸습니다.
(3) 일본의 공장 자동화 주식들은 52주 최고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90.83원 (-0.62원)
테더 1,400.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세줄요약
(1) 홍콩 Hibor 익일물 금리가 사흘째 올라 4월 고점에 근접했습니다.
(2) 주말 잭슨홀을 앞두고 헤지 수요가 몰리며 주가지수가 내렸습니다.
(3) 일본의 공장 자동화 주식들은 52주 최고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90.83원 (-0.62원)
테더 1,400.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Telegram
Rafiki research
Global macro research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8/20 미 증시, 샘 알트만의 버블 언급과 잭슨홀 컨퍼런스를 기다리며 부진
미 증시는 그동안 경기 둔화 등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을 이어왔지만, 금요일 파월 연준의장의 잭슨홀 컨퍼런스에서 신중한 발언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부각되자 하락. 여기에 전일 샘 알트만이 AI 산업이 과도한 투자 속 거품일 수 있다고 주장하자 AI 관련 기업들 중심으로 하락. 반면, 필수 소비재, 유틸리티, 제약 등 경기 방어주는 강세를 보여 순환매로 다우는 상승하는 등 차별화가 진행. 한편, 최근 지수상승에 대해 풋옵션 거래가 급증하는 등 수급적인 부분도 부담(다우 +0.02%, 나스닥 -1.46%, S&P500 -0.59%, 러셀2000 -0.78%,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81%)
* 변화요인: 잭슨홀 컨퍼런스와 파월 그리고 샘 알트만
최근 금융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왔으나, 잭슨홀 컨퍼런스를 앞두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신중한 발언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 JP모건, 스코샤뱅크, UBS 등 주요 투자은행들은 공통적으로 파월 의장이 9월 금리 인하를 명확히 시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 특히 스코샤뱅크는 파월이 "곧"이나 "조만간"과 같은 모호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으며, 웰스파고는 잭슨홀에서 뚜렷한 신호가 나오지 않는다면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될 수 있다고 지적. 이러한 신중론이 확산되자 달러 강세가 나타났고, 위험 자산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시장 변동성이 확대.
특히 오늘 또 다른 시장 하락 요인 중 하나는 OpenAI CEO 샘 알트만의 발언. 샘 알트만은 현재 AI 시장을 버블이라고 직접적으로 경고하며,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흥분했다고 지적. 현재 상황을 닷컴 버블에 비유. 특히 일부 AI 기업 가치가 미친수준에 도달했다고 경고. 물론 AI 기술 자체의 중요성을 부인하지 않았음. AI가 아주 오랫동안 일어난 일 중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하며, 기술의 잠재력 자체는 매우 크다는 점을 분명히 했음. 이에 반도체, 대형 기술주, AI 테마주가 모두 약세. 더불어 그동안 시장의 화두였던 양자컴퓨터를 비롯해 대부분의 테마주들도 하락. 반면 제약,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등 방어주 중심으로 자금이 이동하며 순환매 현상이 부각.
한편,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풋옵션 거래량은 최근 역대 최대치를 기록. 이는 단순 투기 목적을 넘어 잭슨홀 컨퍼런스 이후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한 헤지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추정. 여기에 개인 투자자들의 공격적인 매수세도 계절적으로 9월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며 수급적인 부분도 불안을 야기. 결국 오늘 시장은 잭슨홀 컨퍼런스에 대한 경계심, 샘 알트만의 AI 버블 경고, 풋옵션 급증으로 인한 변동성 확대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음. 향후 시장은 파월 의장의 발언에 따라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시 살아날지, 아니면 위험 자산 조정이 심화될지를 결정될 듯.
미 증시는 그동안 경기 둔화 등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를 반영하며 상승을 이어왔지만, 금요일 파월 연준의장의 잭슨홀 컨퍼런스에서 신중한 발언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부각되자 하락. 여기에 전일 샘 알트만이 AI 산업이 과도한 투자 속 거품일 수 있다고 주장하자 AI 관련 기업들 중심으로 하락. 반면, 필수 소비재, 유틸리티, 제약 등 경기 방어주는 강세를 보여 순환매로 다우는 상승하는 등 차별화가 진행. 한편, 최근 지수상승에 대해 풋옵션 거래가 급증하는 등 수급적인 부분도 부담(다우 +0.02%, 나스닥 -1.46%, S&P500 -0.59%, 러셀2000 -0.78%,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81%)
* 변화요인: 잭슨홀 컨퍼런스와 파월 그리고 샘 알트만
최근 금융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왔으나, 잭슨홀 컨퍼런스를 앞두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신중한 발언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 JP모건, 스코샤뱅크, UBS 등 주요 투자은행들은 공통적으로 파월 의장이 9월 금리 인하를 명확히 시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 특히 스코샤뱅크는 파월이 "곧"이나 "조만간"과 같은 모호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으며, 웰스파고는 잭슨홀에서 뚜렷한 신호가 나오지 않는다면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될 수 있다고 지적. 이러한 신중론이 확산되자 달러 강세가 나타났고, 위험 자산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시장 변동성이 확대.
특히 오늘 또 다른 시장 하락 요인 중 하나는 OpenAI CEO 샘 알트만의 발언. 샘 알트만은 현재 AI 시장을 버블이라고 직접적으로 경고하며,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흥분했다고 지적. 현재 상황을 닷컴 버블에 비유. 특히 일부 AI 기업 가치가 미친수준에 도달했다고 경고. 물론 AI 기술 자체의 중요성을 부인하지 않았음. AI가 아주 오랫동안 일어난 일 중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하며, 기술의 잠재력 자체는 매우 크다는 점을 분명히 했음. 이에 반도체, 대형 기술주, AI 테마주가 모두 약세. 더불어 그동안 시장의 화두였던 양자컴퓨터를 비롯해 대부분의 테마주들도 하락. 반면 제약,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등 방어주 중심으로 자금이 이동하며 순환매 현상이 부각.
한편,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풋옵션 거래량은 최근 역대 최대치를 기록. 이는 단순 투기 목적을 넘어 잭슨홀 컨퍼런스 이후 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한 헤지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추정. 여기에 개인 투자자들의 공격적인 매수세도 계절적으로 9월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며 수급적인 부분도 불안을 야기. 결국 오늘 시장은 잭슨홀 컨퍼런스에 대한 경계심, 샘 알트만의 AI 버블 경고, 풋옵션 급증으로 인한 변동성 확대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음. 향후 시장은 파월 의장의 발언에 따라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시 살아날지, 아니면 위험 자산 조정이 심화될지를 결정될 듯.
Forwarded from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뉴욕 금융시장은 자산군별로 상반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뉴욕증시 3대 지수는 혼조세로 마감했는데, 다우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강보합으로 마무리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1.46% 급락하며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과 중국의 외국산 칩 사용 제한 소식이 겹치면서 기술주 매도가 촉발된 것이 주된 원인이었습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AI 기업 가치가 통제 불능 수준”이라고 언급한 점도 불안을 더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기술과 통신서비스가 1% 이상 밀렸고, 엔비디아(-3.5%), 브로드컴,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등 M7 종목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팔란티어는 9% 넘게 폭락하며 5거래일 연속 하락, 고평가 논란과 차익 실현 욕구가 맞물리며 15% 이상 급락했습니다. 반면 홈디포는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에도 동일점포 매출 성장에 주목받아 4% 넘게 올랐고, 소프트뱅크의 20억 달러 투자 소식에 인텔이 7% 가까이 급등하며 빅테크 약세 속에서 대조를 이뤘습니다.
채권시장은 장단기물 모두 4거래일 만에 동반 상승했습니다. 10년물 금리는 4.30%로 3.8bp 내렸고, 2년물은 3.75%로 1.9bp 하락했습니다. S&P가 미국 신용등급을 ‘AA+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재정 리스크 우려를 완화한 점과 유가 급락이 금리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선물시장은 9월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을 85% 가까이 반영했고, 연내 두 차례 인하가 확실시되는 분위기입니다.
외환시장에서 달러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달러인덱스는 98.27로 0.15% 상승했고, 달러-캐나다달러 환율은 캐나다 CPI 둔화 여파로 0.4% 뛰었습니다. 달러-엔은 소폭 하락했지만, S&P의 등급 유지가 달러 전반을 지지했습니다.
국제유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젤렌스키와의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밝히면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기대가 유가를 끌어내리며 WTI 기준 1.69% 내린 배럴당 62.3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기술과 통신서비스가 1% 이상 밀렸고, 엔비디아(-3.5%), 브로드컴,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등 M7 종목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팔란티어는 9% 넘게 폭락하며 5거래일 연속 하락, 고평가 논란과 차익 실현 욕구가 맞물리며 15% 이상 급락했습니다. 반면 홈디포는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에도 동일점포 매출 성장에 주목받아 4% 넘게 올랐고, 소프트뱅크의 20억 달러 투자 소식에 인텔이 7% 가까이 급등하며 빅테크 약세 속에서 대조를 이뤘습니다.
채권시장은 장단기물 모두 4거래일 만에 동반 상승했습니다. 10년물 금리는 4.30%로 3.8bp 내렸고, 2년물은 3.75%로 1.9bp 하락했습니다. S&P가 미국 신용등급을 ‘AA+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재정 리스크 우려를 완화한 점과 유가 급락이 금리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선물시장은 9월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을 85% 가까이 반영했고, 연내 두 차례 인하가 확실시되는 분위기입니다.
외환시장에서 달러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달러인덱스는 98.27로 0.15% 상승했고, 달러-캐나다달러 환율은 캐나다 CPI 둔화 여파로 0.4% 뛰었습니다. 달러-엔은 소폭 하락했지만, S&P의 등급 유지가 달러 전반을 지지했습니다.
국제유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젤렌스키와의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밝히면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기대가 유가를 끌어내리며 WTI 기준 1.69% 내린 배럴당 62.3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Forwarded from BUYagra
Nasdaq 급락 마감
-Nasdaq -1.4%, S&P500 -0.6%, DJIA +0.02%
-주요 종목들 하락: Nvidia -3.5%, AMD -5.4%, Broadcom -3.7%, Palantir -9%
-초토화느낌😱
-파월 이번주 경제 김포지엄에서 보수적인 스탠스 전망 쏟아짐
-9월 FOMC 금리인하 전망 84%대로 하락
-빅테크 미 주요 즁소형주들 급락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1.8%, OpenAI 샘알트만 AI 거품설..
-Nvidia, H20보다 강려크한 중국용 전용칩 개발중이라고
-Intel +6%, Softbank의 $2bn투자 소식
-Home Depot +3%, 2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했지만 연간 가이던스 유지
-Palo Alto +3%, 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Viking Therapeutics -42%, 경구용 비만약 임상 2상에서 임상 중도포기자 많게 발펴되자 안정성 이슈로 급락
-Metsera -2%, Corbus Pharma -1% 동반하락
-US10YT -3bps, 4.307%
-US2YT -2bps, 3.754%
😰😰😰😰😰
-Nasdaq -1.4%, S&P500 -0.6%, DJIA +0.02%
-주요 종목들 하락: Nvidia -3.5%, AMD -5.4%, Broadcom -3.7%, Palantir -9%
-초토화느낌😱
-파월 이번주 경제 김포지엄에서 보수적인 스탠스 전망 쏟아짐
-9월 FOMC 금리인하 전망 84%대로 하락
-빅테크 미 주요 즁소형주들 급락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1.8%, OpenAI 샘알트만 AI 거품설..
-Nvidia, H20보다 강려크한 중국용 전용칩 개발중이라고
-Intel +6%, Softbank의 $2bn투자 소식
-Home Depot +3%, 2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했지만 연간 가이던스 유지
-Palo Alto +3%, 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Viking Therapeutics -42%, 경구용 비만약 임상 2상에서 임상 중도포기자 많게 발펴되자 안정성 이슈로 급락
-Metsera -2%, Corbus Pharma -1% 동반하락
-US10YT -3bps, 4.307%
-US2YT -2bps, 3.754%
😰😰😰😰😰
나스닥 1.5% 급락…잭슨홀 미팅 앞두고 AI 관련주 거품 경고[뉴욕마감] - 뉴스1
뉴욕 증시의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가 1% 넘게 급락했다.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연례 회의인 잭슨홀 심포지엄을 앞두고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형 기술주가 매도세에 직면했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특히 엔비디아는 3.5% 급락하며 4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최근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AI 관련 주식이 버블 상태"라고 언급한 것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어떤 발언을 할지에 따라 향후 금리 인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해리스 파이낸셜그룹의 제임스 콕스 애널리스트는 로이터에 "투자자들이 파월 의장이 시장 예상보다 더 매파적일 수 있다는 우려 속에 포지션을 조정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https://www.news1.kr/world/international-economy/5884274
뉴욕 증시의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가 1% 넘게 급락했다.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연례 회의인 잭슨홀 심포지엄을 앞두고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형 기술주가 매도세에 직면했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특히 엔비디아는 3.5% 급락하며 4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최근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AI 관련 주식이 버블 상태"라고 언급한 것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어떤 발언을 할지에 따라 향후 금리 인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해리스 파이낸셜그룹의 제임스 콕스 애널리스트는 로이터에 "투자자들이 파월 의장이 시장 예상보다 더 매파적일 수 있다는 우려 속에 포지션을 조정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https://www.news1.kr/world/international-economy/5884274
뉴스1
나스닥 1.5% 급락…잭슨홀 미팅 앞두고 AI 관련주 거품 경고[뉴욕마감]
엔비디아 3.5% 급락, 4개월래 최대 낙폭 뉴욕 증시의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가 1% 넘게 급락했다.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연례 회의인 잭슨홀 심포지엄을 앞두고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 …
AP 통신은 "전문가들은 파월 의장이 시장이 기대하는 만큼 금리 인하 의지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며 "그는 경제 정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언급하며 신중한 입장을 취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74672?sid=104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74672?sid=104
Naver
엔비디아 3%↓·팔란티어 9%↓…기술주,잭슨홀 경계감에 동반↓
김태종 특파원 = 미국 주요 기술 기업 주가가 경제 정책 심포지엄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19일(현지시간) 동반 하락 마감했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시가총액 1위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보다 3.5% 하락한 175.64달
S&P는 "이번 신용등급 평가는 국내 및 국제 정책의 변화가 미국 경제의 탄력성과 다양성에 부담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우리의 견해를 반영한다"면서 "우리는 세금과 지출의 감축 및 증액을 모두 포함한 최근의 재정 법안으로 인해 재정이 나빠질 수 있다고 보지만 관세 수입을 포함한 전반적인 수익 증가가 이를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S&P, 미국 신용등급 유지…"관세수입 증가가 재정악화 상쇄"
- 향후 전망도 '안정적' 평가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74112?sid=104
S&P, 미국 신용등급 유지…"관세수입 증가가 재정악화 상쇄"
- 향후 전망도 '안정적' 평가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74112?sid=104
Naver
S&P, 미국 신용등급 유지…"관세수입 증가가 재정악화 상쇄"
향후 전망도 '안정적' 평가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현 상태로 유지했다. 향후 전망도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S&P는 18일(현지시간)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현재 S&P 500의 PBR은 5.3배로, 2000년 닷컴 버블 당시 기록했던 5.1배를 상회
» 여전히 풍부한 유동성 환경과 강한 성장 기대가 시장을 이끌고 있지만, 높은 수준의 밸류에이션 리스크가 공존
» 여전히 풍부한 유동성 환경과 강한 성장 기대가 시장을 이끌고 있지만, 높은 수준의 밸류에이션 리스크가 공존
Forwarded from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 Private Equity Firms’ Stocks Are Struggling, Despite Getting into 401(k)s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으로 사모펀드(PE)와 프라이빗 크레딧 운용사들이 12조 달러 규모의 401(k) 퇴직연금 시장에 진출할 길이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이들의 주가는 올해 들어 시장을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투자 회수 지연(Exit Slowdown)
코로나 이후 공격적으로 기업을 인수했지만, 현재는 매각이나 IPO를 통한 출구가 막히며 자금 회수가 더뎌졌습니다. 피치북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PE가 보유한 기업은 3만 개 이상, 현 추세라면 8년은 걸려야 해소됩니다.
2. 신규 펀드레이징 둔화
투자자들이 기존 펀드에서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면 새 펀드 출자 의지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관리보수·성과보수 성장 둔화로 이어집니다.
3. 프라이빗 크레딧 경쟁 심화
신규 딜 감소로 대출 수요가 위축됐고, 아폴로·KKR처럼 보험 자금을 크레딧에 활용하는 운용사들은 수익 스프레드 축소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 차별화 포인트
• 칼라일 그룹(Carlyle)은 예외적으로 강세를 보였는데, 지난 12개월 동안 투자 회수가 2022년 이후 최고 수준에 근접하면서 실적이 뒷받침됐기 때문입니다.
• 반면 블랙스톤, 아폴로, KKR 등은 최근 S&P500 편입 랠리 이후 주가가 조정받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전망
단기적으로는 PE 회수 지연과 신규 펀드레이징 둔화가 부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401(k) 시장 개방이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대형 브랜드와 마케팅 역량을 가진 상위 운용사 중심으로 ‘승자독식’ 구도가 강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으로 사모펀드(PE)와 프라이빗 크레딧 운용사들이 12조 달러 규모의 401(k) 퇴직연금 시장에 진출할 길이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이들의 주가는 올해 들어 시장을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투자 회수 지연(Exit Slowdown)
코로나 이후 공격적으로 기업을 인수했지만, 현재는 매각이나 IPO를 통한 출구가 막히며 자금 회수가 더뎌졌습니다. 피치북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PE가 보유한 기업은 3만 개 이상, 현 추세라면 8년은 걸려야 해소됩니다.
2. 신규 펀드레이징 둔화
투자자들이 기존 펀드에서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면 새 펀드 출자 의지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관리보수·성과보수 성장 둔화로 이어집니다.
3. 프라이빗 크레딧 경쟁 심화
신규 딜 감소로 대출 수요가 위축됐고, 아폴로·KKR처럼 보험 자금을 크레딧에 활용하는 운용사들은 수익 스프레드 축소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 차별화 포인트
• 칼라일 그룹(Carlyle)은 예외적으로 강세를 보였는데, 지난 12개월 동안 투자 회수가 2022년 이후 최고 수준에 근접하면서 실적이 뒷받침됐기 때문입니다.
• 반면 블랙스톤, 아폴로, KKR 등은 최근 S&P500 편입 랠리 이후 주가가 조정받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전망
단기적으로는 PE 회수 지연과 신규 펀드레이징 둔화가 부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401(k) 시장 개방이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대형 브랜드와 마케팅 역량을 가진 상위 운용사 중심으로 ‘승자독식’ 구도가 강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Forwarded from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https://www.theverge.com/ai-artificial-intelligence/759965/sam-altman-openai-ai-bubble-interview?mod=djemCMOToday
📌 AI 버블 논란과 알트먼의 시각
1. 알트먼의 입장
• 버블적 성격 인정: 현재 AI 투자 열풍은 과열 양상이 분명히 존재. 일부 기업은 고평가된 채 사라질 수 있음.
• 그러나 ‘필요한 버블’: 대규모 자본이 몰려야만 데이터센터, 반도체, AI 인프라 같은 장기 성장 기반이 구축됨.
• 핵심 메시지: “버블은 아프지만, 혁신에는 불가피하다.”
⸻
2. 역사적 버블 사례와 교훈
1. 튤립 버블 (1630년대, 네덜란드)
• 순수 투기만 남은 대표적 거품.
• 교훈: 실체 없는 과열은 결국 붕괴.
2. 남해회사 버블 (1720년, 영국)
• 정치·왕실 후원으로 과장된 기대.
• 교훈: 제도·정치와 결합된 거품은 더 위험하다.
3. 철도 버블 (1840년대, 영국)
• 철도망 확장 기대에 대규모 투자 → 투기 붕괴.
• 그러나 남은 철도망은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로 작동.
• 교훈: 버블 후에도 인프라는 살아남아 경제 기반이 된다.
4. 닷컴 버블 (1990년대~2000년대 초, 미국)
• 매출 없는 인터넷 기업들 폭등 후 붕괴.
• 아마존·구글은 살아남아 세계 최강 기업으로 성장.
• 교훈: 버블은 걸러내기 과정, 핵심 기술은 남는다.
5. 주택 버블 (2008 금융위기)
• 부채·레버리지 기반 버블은 붕괴 시 금융 시스템 전체를 흔듦.
• 교훈: 금융 구조 취약성에 기반한 버블은 치명적.
6. 비트코인·가상자산 버블 (2017, 2021)
• 반복되는 과열·조정 사이클.
• 교훈: 혁신 자산은 사이클 속에서 점진적 제도화.
⸻
3. AI 버블과의 연결
• 철도·닷컴 버블과 가장 유사:
• 단기 과열 → 많은 기업이 사라짐.
• 그러나 인프라와 핵심 기술은 살아남아 산업 구조를 바꿔놓음.
• 알트먼의 논리:
• AI 버블도 이런 “역사적 필연의 버블”일 뿐.
• 버블은 기술이 사회와 경제에 뿌리내리게 하는 투자 촉매제 역할.
📌 AI 버블 논란과 알트먼의 시각
1. 알트먼의 입장
• 버블적 성격 인정: 현재 AI 투자 열풍은 과열 양상이 분명히 존재. 일부 기업은 고평가된 채 사라질 수 있음.
• 그러나 ‘필요한 버블’: 대규모 자본이 몰려야만 데이터센터, 반도체, AI 인프라 같은 장기 성장 기반이 구축됨.
• 핵심 메시지: “버블은 아프지만, 혁신에는 불가피하다.”
⸻
2. 역사적 버블 사례와 교훈
1. 튤립 버블 (1630년대, 네덜란드)
• 순수 투기만 남은 대표적 거품.
• 교훈: 실체 없는 과열은 결국 붕괴.
2. 남해회사 버블 (1720년, 영국)
• 정치·왕실 후원으로 과장된 기대.
• 교훈: 제도·정치와 결합된 거품은 더 위험하다.
3. 철도 버블 (1840년대, 영국)
• 철도망 확장 기대에 대규모 투자 → 투기 붕괴.
• 그러나 남은 철도망은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로 작동.
• 교훈: 버블 후에도 인프라는 살아남아 경제 기반이 된다.
4. 닷컴 버블 (1990년대~2000년대 초, 미국)
• 매출 없는 인터넷 기업들 폭등 후 붕괴.
• 아마존·구글은 살아남아 세계 최강 기업으로 성장.
• 교훈: 버블은 걸러내기 과정, 핵심 기술은 남는다.
5. 주택 버블 (2008 금융위기)
• 부채·레버리지 기반 버블은 붕괴 시 금융 시스템 전체를 흔듦.
• 교훈: 금융 구조 취약성에 기반한 버블은 치명적.
6. 비트코인·가상자산 버블 (2017, 2021)
• 반복되는 과열·조정 사이클.
• 교훈: 혁신 자산은 사이클 속에서 점진적 제도화.
⸻
3. AI 버블과의 연결
• 철도·닷컴 버블과 가장 유사:
• 단기 과열 → 많은 기업이 사라짐.
• 그러나 인프라와 핵심 기술은 살아남아 산업 구조를 바꿔놓음.
• 알트먼의 논리:
• AI 버블도 이런 “역사적 필연의 버블”일 뿐.
• 버블은 기술이 사회와 경제에 뿌리내리게 하는 투자 촉매제 역할.
The Verge
Sam Altman says ‘yes,’ AI is in a bubble
Is the bubble about to burst?
Forwarded from Buff
샘 올트먼, "AI 주식들 거품 꼈다“
https://fortune.com/2025/08/19/sam-altman-stock-market-bubble-ai/
* 샘 올트먼의 경고: OpenAI CEO 샘 올트먼은 AI 분야에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흥분"한 상태이며 "거품(bubble)"이라고 언급했으나, 튤립 투기 같은 고전적인 거품과는 다르다고 함
* 펀더멘털 vs. 기술적 과열: AI는 튤립처럼 가치가 없는 것이 아니며, OpenAI는 130억 달러의 실제 수익과 엄청난 사용자 증가를 기록하고 있어 펀더멘털은 견고함. 그러나 주가 평가 측면에서는 S&P 500에서 '매그니피센트 7'이 지나치게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기술적으로 과열된 부분이 존재.
* 잠재적 조정: 이 기사는 AI의 펀더멘털은 튼튼하지만, 주식 시장의 기술적 과열로 인해 단기적인 '거품 붕괴(burst)' 또는 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 즉, AI 자체가 붕괴하는 것이 아니라 과도하게 오른 일부 주식 가치가 현실화될 수 있음을 의미함.
https://fortune.com/2025/08/19/sam-altman-stock-market-bubble-ai/
* 샘 올트먼의 경고: OpenAI CEO 샘 올트먼은 AI 분야에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흥분"한 상태이며 "거품(bubble)"이라고 언급했으나, 튤립 투기 같은 고전적인 거품과는 다르다고 함
* 펀더멘털 vs. 기술적 과열: AI는 튤립처럼 가치가 없는 것이 아니며, OpenAI는 130억 달러의 실제 수익과 엄청난 사용자 증가를 기록하고 있어 펀더멘털은 견고함. 그러나 주가 평가 측면에서는 S&P 500에서 '매그니피센트 7'이 지나치게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기술적으로 과열된 부분이 존재.
* 잠재적 조정: 이 기사는 AI의 펀더멘털은 튼튼하지만, 주식 시장의 기술적 과열로 인해 단기적인 '거품 붕괴(burst)' 또는 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 즉, AI 자체가 붕괴하는 것이 아니라 과도하게 오른 일부 주식 가치가 현실화될 수 있음을 의미함.
Fortune
Sam Altman might be right: He’s not the only one who thinks the stock market is in ‘bubble’ territory
A company with a chatbot that often gets things wrong is somehow about to become the largest unicorn earth has ever seen. That does feel frothy.
Forwarded from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샘 알트먼이 옳을 수도 있다. 그는 주식 시장이 '거품' 영역에 있다고 생각하는 유일한 사람이 아니다.
https://fortune.com/2025/08/19/sam-altman-stock-market-bubble-ai/
샘 알트먼이 AI 투자자들이 "과열됐다"고 말한 것은 맞을지 모르지만 , 이는 튤립 열풍처럼 버블이 아닙니다. OpenAI는 실질 매출(130억 달러)과 엄청난 사용자 증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주, 특히 S&P 500에서 '매그니피센트 세븐'이 차지하는 비중은 과열된 것으로 보이며, 펀더멘털이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더라도 조정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는 옳은가요?
기술적 주식 가치 평가 관점에서는 아마도 그럴 겁니다. 하지만 펀더멘털 관점에서는 아닐 수도 있겠네요.
자산의 가치가 근본적으로 가격만큼의 가치가 없거나(그리고 앞으로도 그럴 일이 없을 때) 기본 가치가 0에 가까울 때 전형적인 버블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1637년 네덜란드에서 일어난 대공황인 '튤립 열풍'을 돌이켜보면 튤립 한 알의 가격이 연봉의 10배에 달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2008년 대공황 당시, 많은 주택담보대출이 그것을 감당할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주어졌다는 사실이 지금 돌이켜보면 분명해졌고, 그 주택담보대출의 가치는 은행 대차대조표에 표시된 것보다 훨씬 낮았습니다.
따라서 AI가 지금 당장 거품인지 아닌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근본적인 관점에서 보면 답은 '아니요'입니다. OpenAI는 말 그대로 아무 가치도 없는 것이 아닙니다. 튤립 구근이나 외딴 시골집 같은 것도 아닙니다. 진정한 사업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기술적인 관점에서는 어떨까요?
특히 기술주 가치 상승이 S&P 500의 나머지 종목을 압도하고 있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블룸버그의 존 오서스는 오늘 아침 "지수 기업 중 2%가 전체 가치의 거의 40%를 차지하는 것은 전례 없는 일입니다."라고 썼습니다.
https://fortune.com/2025/08/19/sam-altman-stock-market-bubble-ai/
Fortune
Sam Altman might be right: He’s not the only one who thinks the stock market is in ‘bubble’ territory
A company with a chatbot that often gets things wrong is somehow about to become the largest unicorn earth has ever seen. That does feel fro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