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7월 고용이 정책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Fed 관계자들이 말했습니다.
(2) 미국이 대인도 관세를 50%로 올렸지만 애플은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애플과 AI 밸류체인 주식들이 오르며 미 증시가 역사적 고점에 근접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2.24원 (-3.86원)
테더 1,392.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세줄요약
(1) 7월 고용이 정책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Fed 관계자들이 말했습니다.
(2) 미국이 대인도 관세를 50%로 올렸지만 애플은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애플과 AI 밸류체인 주식들이 오르며 미 증시가 역사적 고점에 근접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2.24원 (-3.86원)
테더 1,392.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Telegram
Rafiki research
Global macro research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8/07 미 증시, 주요 테마주가 부진했지만 애플과 아마존의 힘으로 상승
미 증시는 인도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와 개별 기업들의 실적 발표 영향으로 보합권 출발. 그런 가운데 애플(+5.09%)이 미국 투자 등을 이유로 큰 폭으로 강세를 보이자 지수가 상승 확대. 더불어 연준 위원들의 금리인하 기대를 높이는 발언도 긍정적. 물론, 제약과 주요 테마주는 하락했지만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가 진행되는 등 순환매는 여전. 그런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 완화 기대도 투자심리에 긍정적(다우 +0.18%, 나스닥 +1.21%, S&P500 +0.73%, 러셀2000 -0.18%,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20%)
*변화요인: 카시카리 총재 발언, 인도와 스위스 관세, OpenAI 구주매출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가 점차 둔화되고 있으며, 이 경우 보험성 금리 인하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표명. 특히 고용 시장에 대해서는 임금 상승률 둔화가 노동 수요의 약화를 시사한다고 언급하며, 데이터에 대한 신뢰를 강조함. 이는 트럼프가 고용지표 조작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한 반박으로 해석됨. 해당 발언 이후 주가지수 선물은 상승 전환, 하지만 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는데, 이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관련 이슈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됨. 장중 쿡 이사와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도 고용보고서가 우려스러운데 고용데이터가 크게 수정되는 현상은 경제의 전환점에서 흔히 나타난다고 주장해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를 확대.
트럼프는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대한 대응으로 25%의 추가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 관세는 21일 후 발효 예정이며, 향후 다른 국가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 인도는 미국과 EU도 러시아산 제품을 수입하고 있으나, 인도에만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형평성 문제가 있다는 반발. 이에 인도에서 수입되는 의료기기, 제약, 스마트폰, 귀금속 등 주요 품목에 부담. 스위스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지만 협상은 결렬되었다는 소식도 전해짐. 스위스도 의약품, 백신, 귀금속, 시계 등을 미국에 수출하는 주요 국가로, 미국 제약, 건강관리 업종 전반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다만 인도 내 생산기지를 둔 애플은 직접 타격이 없을 수 있다는 평가가 일부 백악관 관계자 사이에서 제기됨. 또한, 애플이 1,000억 달러 추가 투자 계획 발표도 애플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한편, OpenAI가 약 5,0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구주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보도가 유입. 아직 논의 초기 단계이며 세부 조건은 미확정이나, AI 산업 전반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심리에 긍정적. 대형 기술주들의 클라우드·AI 인프라 투자 확대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신호로도 해석되기 때문. 이처럼 금리 정책, 글로벌 무역 규제, AI 밸류에이션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리며 장 초반에는 불확실성이 혼재, 그러나 기술주 중심으로 투자 심리는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 다만, 대형주가 견조했지만, 테마주는 매물 출회되는 차별화 진행
미 증시는 인도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와 개별 기업들의 실적 발표 영향으로 보합권 출발. 그런 가운데 애플(+5.09%)이 미국 투자 등을 이유로 큰 폭으로 강세를 보이자 지수가 상승 확대. 더불어 연준 위원들의 금리인하 기대를 높이는 발언도 긍정적. 물론, 제약과 주요 테마주는 하락했지만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가 진행되는 등 순환매는 여전. 그런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 완화 기대도 투자심리에 긍정적(다우 +0.18%, 나스닥 +1.21%, S&P500 +0.73%, 러셀2000 -0.18%,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20%)
*변화요인: 카시카리 총재 발언, 인도와 스위스 관세, OpenAI 구주매출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가 점차 둔화되고 있으며, 이 경우 보험성 금리 인하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표명. 특히 고용 시장에 대해서는 임금 상승률 둔화가 노동 수요의 약화를 시사한다고 언급하며, 데이터에 대한 신뢰를 강조함. 이는 트럼프가 고용지표 조작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한 반박으로 해석됨. 해당 발언 이후 주가지수 선물은 상승 전환, 하지만 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는데, 이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관련 이슈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됨. 장중 쿡 이사와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도 고용보고서가 우려스러운데 고용데이터가 크게 수정되는 현상은 경제의 전환점에서 흔히 나타난다고 주장해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를 확대.
트럼프는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대한 대응으로 25%의 추가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 관세는 21일 후 발효 예정이며, 향후 다른 국가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 인도는 미국과 EU도 러시아산 제품을 수입하고 있으나, 인도에만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형평성 문제가 있다는 반발. 이에 인도에서 수입되는 의료기기, 제약, 스마트폰, 귀금속 등 주요 품목에 부담. 스위스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지만 협상은 결렬되었다는 소식도 전해짐. 스위스도 의약품, 백신, 귀금속, 시계 등을 미국에 수출하는 주요 국가로, 미국 제약, 건강관리 업종 전반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다만 인도 내 생산기지를 둔 애플은 직접 타격이 없을 수 있다는 평가가 일부 백악관 관계자 사이에서 제기됨. 또한, 애플이 1,000억 달러 추가 투자 계획 발표도 애플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한편, OpenAI가 약 5,0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구주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보도가 유입. 아직 논의 초기 단계이며 세부 조건은 미확정이나, AI 산업 전반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심리에 긍정적. 대형 기술주들의 클라우드·AI 인프라 투자 확대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신호로도 해석되기 때문. 이처럼 금리 정책, 글로벌 무역 규제, AI 밸류에이션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리며 장 초반에는 불확실성이 혼재, 그러나 기술주 중심으로 투자 심리는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 다만, 대형주가 견조했지만, 테마주는 매물 출회되는 차별화 진행
Forwarded from BUYagra
미국증시 상승 마감
-S&P500 +0.73%, Nasdaq +1.21%, DJIA +0.19%
-Apple +5%, 미국제조에 $100bn투자 발표
-빅테크 상승: Tesla +3%, Netflix +2.6%, Amazon +3%
-McDonald’s +3%, 지난 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및 최근 2년내 SSSG 가장 높은 성장률 기록
-Arista Networks +17%, 지난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 ‘25년 EBIT마진 가이던스 43-44%에서 48% 로 상향 / 9월 21일 AI전략관련 애놀리스트데이 개최 전망
-Viasat +30%, 위성통신기업 지난분기 매출 기대치 상회 및 적자 예상되었지만 흑전하면서 급등 (여기도 최근 방산 부분 부각중)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0.21%: AMD -6%
😀😀😀😀😀
-S&P500 +0.73%, Nasdaq +1.21%, DJIA +0.19%
-Apple +5%, 미국제조에 $100bn투자 발표
-빅테크 상승: Tesla +3%, Netflix +2.6%, Amazon +3%
-McDonald’s +3%, 지난 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및 최근 2년내 SSSG 가장 높은 성장률 기록
-Arista Networks +17%, 지난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 ‘25년 EBIT마진 가이던스 43-44%에서 48% 로 상향 / 9월 21일 AI전략관련 애놀리스트데이 개최 전망
-Viasat +30%, 위성통신기업 지난분기 매출 기대치 상회 및 적자 예상되었지만 흑전하면서 급등 (여기도 최근 방산 부분 부각중)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0.21%: AMD -6%
😀😀😀😀😀
Forwarded from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뉴욕 증시는 하루 만에 반등에 성공하며 다시 상승 흐름을 되찾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산 수입품에 대해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애플의 대규모 미국 투자 발표와 함께 9월 금리인하가 기정사실화되면서 투자심리는 오히려 살아났습니다.
시장 반등의 중심에는 애플이 있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관세 회피를 위해 향후 4년간 미국 내 6,000억달러 투자 계획을 내놓자 주가는 5% 이상 급등했고,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1,600억달러 이상 불어났습니다. 애플이 이끄는 상승 랠리는 M7 기술주 전반으로 확산돼 테슬라(+3.6%), 아마존(+4.0%), 엔비디아(+0.6%) 등 대부분이 강세를 보였고, 아마존은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업부의 규제 통과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만 소폭 하락했고, AMD(-6.4%), 슈퍼마이크로컴퓨터(-18.3%), 스냅(-17.1%)은 실적 이슈로 급락했습니다.
연준 인사들은 일제히 7월 고용지표의 신호를 ‘경제 변곡점’으로 해석하며 비둘기파적 입장을 강화했습니다. 쿡 이사,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등이 인하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강조했고, 금리선물시장은 9월 25bp 인하 가능성을 95% 이상 반영하며 사실상 확정 분위기입니다.
이에 2년물 금리는 소폭 내린 3.714%를 기록했지만 10년물 입찰 에서 응찰률이 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부진에 장기 금리는 상승하하며 10년물은 3.6bp 오른 4.232%, 30년물은 5.4bp 상승한 4.823%를 기록했습니다.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달러인덱스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 이후 98선 초반까지 떨어졌고, 유로/달러는 1.16대를 회복했습니다. 특히 트럼프–푸틴–젤렌스키 3자 회담 가능성이 외교적 긴장 완화 기대를 자극하며 유로화 강세를 이끌었습니다.
국제유가는 장중 러시아 제재 이슈로 한때 WTI 기준으로 66달러를 넘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와 큰 진전" 발언 이후 전쟁 완화 기대가 부각되며 1.24% 내린 배럴당 64.35달러로 5일 연속 하락 마감했습니다.
시장 반등의 중심에는 애플이 있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관세 회피를 위해 향후 4년간 미국 내 6,000억달러 투자 계획을 내놓자 주가는 5% 이상 급등했고,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1,600억달러 이상 불어났습니다. 애플이 이끄는 상승 랠리는 M7 기술주 전반으로 확산돼 테슬라(+3.6%), 아마존(+4.0%), 엔비디아(+0.6%) 등 대부분이 강세를 보였고, 아마존은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업부의 규제 통과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만 소폭 하락했고, AMD(-6.4%), 슈퍼마이크로컴퓨터(-18.3%), 스냅(-17.1%)은 실적 이슈로 급락했습니다.
연준 인사들은 일제히 7월 고용지표의 신호를 ‘경제 변곡점’으로 해석하며 비둘기파적 입장을 강화했습니다. 쿡 이사,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등이 인하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강조했고, 금리선물시장은 9월 25bp 인하 가능성을 95% 이상 반영하며 사실상 확정 분위기입니다.
이에 2년물 금리는 소폭 내린 3.714%를 기록했지만 10년물 입찰 에서 응찰률이 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부진에 장기 금리는 상승하하며 10년물은 3.6bp 오른 4.232%, 30년물은 5.4bp 상승한 4.823%를 기록했습니다.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달러인덱스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 이후 98선 초반까지 떨어졌고, 유로/달러는 1.16대를 회복했습니다. 특히 트럼프–푸틴–젤렌스키 3자 회담 가능성이 외교적 긴장 완화 기대를 자극하며 유로화 강세를 이끌었습니다.
국제유가는 장중 러시아 제재 이슈로 한때 WTI 기준으로 66달러를 넘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와 큰 진전" 발언 이후 전쟁 완화 기대가 부각되며 1.24% 내린 배럴당 64.35달러로 5일 연속 하락 마감했습니다.
뉴욕증시, 애플 대규모 투자에 기술주 '화색'…상승 마감 | 연합뉴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애플이 미국에 1천억달러의 추가 투자에 나서기로 하면서 기대감에 강세를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집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애플이 미국 내 제품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1천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할 예정이다.
애플은 트럼프 취임 후 미국에 4년간 5천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발표로 애플의 미국 내 투자액은 총 6천억달러로 늘어나게 된다.
애플의 이번 투자는 관세 혜택을 받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번 투자로 관세 혜택을 받으면 경쟁업체에 비해 경쟁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게 월가의 분석이다.
이 같은 소식에 애플의 주가는 이날 5.09% 뛰었다.
주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가 비둘기파적 공개 발언을 내놓으며 9월 금리인하에 사실상 쐐기를 박은 것도 투자심리를 뒷받침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7006600009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애플이 미국에 1천억달러의 추가 투자에 나서기로 하면서 기대감에 강세를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집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애플이 미국 내 제품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1천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할 예정이다.
애플은 트럼프 취임 후 미국에 4년간 5천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발표로 애플의 미국 내 투자액은 총 6천억달러로 늘어나게 된다.
애플의 이번 투자는 관세 혜택을 받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번 투자로 관세 혜택을 받으면 경쟁업체에 비해 경쟁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게 월가의 분석이다.
이 같은 소식에 애플의 주가는 이날 5.09% 뛰었다.
주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가 비둘기파적 공개 발언을 내놓으며 9월 금리인하에 사실상 쐐기를 박은 것도 투자심리를 뒷받침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7006600009
연합뉴스
뉴욕증시, 애플 대규모 투자에 기술주 '화색'…상승 마감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뉴욕연은이 발표한 2분기 가계 부채 및 신용보고서에 따르면 90일 이상 연체된 학자금 대출 연체율은 10.2%로 1분기(7.7%)에 이어 큰 폭으로 증가. 2020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
미국 연방정부는 팬데믹 이후 2023년 9월까지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유예했음. 이후 1년간은 유예 기간을 두어 상환 연체에도 신용정보기관에 보고되지 않도록 했음. 유예조치가 작넌 10월 만료됨에 따라 올해 1분기부터 학자금 대출 연체 잔액 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
한편, 신용카드,오토론,모기지 연체율은 1분기 대비 소폭 감소하거나 유사한 수준
미국 연방정부는 팬데믹 이후 2023년 9월까지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유예했음. 이후 1년간은 유예 기간을 두어 상환 연체에도 신용정보기관에 보고되지 않도록 했음. 유예조치가 작넌 10월 만료됨에 따라 올해 1분기부터 학자금 대출 연체 잔액 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
한편, 신용카드,오토론,모기지 연체율은 1분기 대비 소폭 감소하거나 유사한 수준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8/8 쿠글러 이사 사임 후 공석은 파월 의장 후임보다는 4개월 임시직을 지명할 가능성이 높아졌음
트럼프는 3명의 후보를 고려 중이며 임시직은 월가 출신일수도 있다고 언급
“Yeah, essentially, we’re all from Wall Street, aren’t we, when you get right down to it?”
트럼프는 3명의 후보를 고려 중이며 임시직은 월가 출신일수도 있다고 언급
“Yeah, essentially, we’re all from Wall Street, aren’t we, when you get right down to it?”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미국의 경제 둔화가 단기적으로 기준금리 인하를 정당화할 수 있으며, 연말까지 두 차례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고 주장
» 미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정책금리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해질 수 있다고 언급. 다만 그는 동시에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덧붙이며, 이는 정책 결정에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
» 카시카리는 관세의 효과가 명확해질 때까지 얼마나 기다릴 수 있느냐가 고민이라며, 일단 금리를 인하하고 나중에 필요하면 중단하거나 방향을 되돌리는 것이, 명확한 정보가 나올 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기다리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고 언급
» 여전히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지만,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인하 횟수는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
» 미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정책금리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해질 수 있다고 언급. 다만 그는 동시에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덧붙이며, 이는 정책 결정에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
» 카시카리는 관세의 효과가 명확해질 때까지 얼마나 기다릴 수 있느냐가 고민이라며, 일단 금리를 인하하고 나중에 필요하면 중단하거나 방향을 되돌리는 것이, 명확한 정보가 나올 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기다리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고 언급
» 여전히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지만,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인하 횟수는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8/07 트럼프 장 마감 후 발언: 반도체 100% 관세 부과 발표
장 마감 후 트럼프의 애플 추가 투자 관련 기자 회견이 진행.
미국 내수용 아이폰은 미국에서 생산될 것이며 텍사스, 뉴욕 등에서 반도체 칩을 제조하고 캘리포니아에서는 희토류 재활용을, 디트로이트에는 제조 아카데미를 신설할 것이라고 발표. 애플은 자사 공장에 필요한 전력은 자체적으로 공급할 것이라고 주장. 애플은 시간 외 1% 넘게 상승중
AMAT는 텍사스에서 생산된 장비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공장에 공급 후 애플 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 만드는 것을 지원할 예정. 이 소식에 AMAT는 시간 외 2%, 텍사스인스트루먼트는 3% 상승 중
반도체에 대한 질문에서 100% 관세를 곧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 다만, 미국에 생산시설 투자 약속할 경우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발표. 관련 소식 후 인텔이 시간 외 3%대 상승 중이고 마이크론도 2% 가까이 상승 중.
우크라이나 전쟁관련해서는 푸틴과 좋은 대화를 했으며, 젤렌스키와 3자회담을 조만간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루비오는 만남은 없지만 전화통화는 할 수 있다고 주장). 인도뿐 아니라 러시아 관련 2차 제재를 더 볼 것이며 러시아 원유를 수입하는 중국에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있다고 언급.
장 마감 후 트럼프의 애플 추가 투자 관련 기자 회견이 진행.
미국 내수용 아이폰은 미국에서 생산될 것이며 텍사스, 뉴욕 등에서 반도체 칩을 제조하고 캘리포니아에서는 희토류 재활용을, 디트로이트에는 제조 아카데미를 신설할 것이라고 발표. 애플은 자사 공장에 필요한 전력은 자체적으로 공급할 것이라고 주장. 애플은 시간 외 1% 넘게 상승중
AMAT는 텍사스에서 생산된 장비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공장에 공급 후 애플 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 만드는 것을 지원할 예정. 이 소식에 AMAT는 시간 외 2%, 텍사스인스트루먼트는 3% 상승 중
반도체에 대한 질문에서 100% 관세를 곧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 다만, 미국에 생산시설 투자 약속할 경우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발표. 관련 소식 후 인텔이 시간 외 3%대 상승 중이고 마이크론도 2% 가까이 상승 중.
우크라이나 전쟁관련해서는 푸틴과 좋은 대화를 했으며, 젤렌스키와 3자회담을 조만간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루비오는 만남은 없지만 전화통화는 할 수 있다고 주장). 인도뿐 아니라 러시아 관련 2차 제재를 더 볼 것이며 러시아 원유를 수입하는 중국에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있다고 언급.
일본, 트럼프에 뒤통수 맞았나…관세 협상 내용에 발칵
미국의 대일(對日) 상호관세가 ‘일괄 15%’가 아닌 ‘기존 관세+15%’로 매겨질 가능성 부각. 유럽연합(EU)과 같은 일괄 15%로 생각했던 일본 정부는 미국에 수정을 요구할 계획
일본은 미국이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기존에 예고됐던 25%에서 15%로 낮추고, 자동차 관세도 총 27.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지난달 합의. 당시 일본 정부는 관세율이 15% 미만인 품목은 상호관세 15%가 적용되고, 기존 관세율이 15%를 넘었던 물품은 상호관세가 별도로 추가되지 않는다고 설명. 세 부담 경감 특별 조치
https://share.google/WGQhj9IQNxwmb9hmH
미국의 대일(對日) 상호관세가 ‘일괄 15%’가 아닌 ‘기존 관세+15%’로 매겨질 가능성 부각. 유럽연합(EU)과 같은 일괄 15%로 생각했던 일본 정부는 미국에 수정을 요구할 계획
일본은 미국이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기존에 예고됐던 25%에서 15%로 낮추고, 자동차 관세도 총 27.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지난달 합의. 당시 일본 정부는 관세율이 15% 미만인 품목은 상호관세 15%가 적용되고, 기존 관세율이 15%를 넘었던 물품은 상호관세가 별도로 추가되지 않는다고 설명. 세 부담 경감 특별 조치
https://share.google/WGQhj9IQNxwmb9hmH
한국경제
일본 상호관세 15%, ‘일괄’ 아닌 ‘추가’…미국에 뒷통수 맞았나
일본 상호관세 15%, ‘일괄’ 아닌 ‘추가’…미국에 뒷통수 맞았나, 일본 “미국에 합의와 다른 내용 수정 요구할 것”
트럼프 "반도체에 100% 관세 부과할 것…美 생산하면 0%" - 뉴스1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000억 달러 규모의 애플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행사에서 100% 관세가 "미국으로 들여오는 모든 칩과 반도체에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기로 약속하거나 이미 그렇게 하는 과정에 있다면 관세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0% 관세 부과가 시작되는 구체적 시점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871833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000억 달러 규모의 애플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행사에서 100% 관세가 "미국으로 들여오는 모든 칩과 반도체에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기로 약속하거나 이미 그렇게 하는 과정에 있다면 관세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0% 관세 부과가 시작되는 구체적 시점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871833
뉴스1
트럼프 "반도체에 100% 관세 부과할 것…미국서 생산하면 0%"
관세 부과 시작할 구체적 시점은 언급 안 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하는 반도체 칩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000억 달 …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트럼프 대통령, 반도체에 대한 100% 세율의 품목별 관세 부과 예고
» 구체적 시행 시기(이르면 다음주부터)를 이야기하지 않은 가운데, 애플처럼 미국 내 투자 계획을 제시할 경우 면제 가능성 언급
» 구체적 시행 시기(이르면 다음주부터)를 이야기하지 않은 가운데, 애플처럼 미국 내 투자 계획을 제시할 경우 면제 가능성 언급
Forwarded from DAOL 시황 김지현 & 경제/전략 조병현
[다올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금일 트럼프의 반도체 부과 관련 내용에서 나온 기준은 1) 미국 내에서 생산 중이거나, 2) 생산 예정이거나 입니다.
그 이상의 디테일한 기준은 아직 없는 상황인 것으로 파악되며,
이에 따른 국내 업체별 체크 포인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삼성전자: 미국 내 파운드리 Fab 기보유, 메모리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 부과?
- SK하이닉스: 인디애나에 지을 Fab은 패키징 목적이라, 코어 다이 자체 기준으로 하면 관세 부과?
구체적인 기준이 어떻게 형성될 지 당분간 지켜봐야 하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관련해서 지켜보며 업데이트 되는대로 또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15479
금일 트럼프의 반도체 부과 관련 내용에서 나온 기준은 1) 미국 내에서 생산 중이거나, 2) 생산 예정이거나 입니다.
그 이상의 디테일한 기준은 아직 없는 상황인 것으로 파악되며,
이에 따른 국내 업체별 체크 포인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삼성전자: 미국 내 파운드리 Fab 기보유, 메모리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 부과?
- SK하이닉스: 인디애나에 지을 Fab은 패키징 목적이라, 코어 다이 자체 기준으로 하면 관세 부과?
구체적인 기준이 어떻게 형성될 지 당분간 지켜봐야 하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관련해서 지켜보며 업데이트 되는대로 또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15479
Naver
트럼프 "반도체에 100% 관세 부과할 것…美 생산하면 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반도체 칩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000억 달러 규모의 애플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행사에서 100% 관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