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일론 머스크, X를 통해 화성으로 향하는 타임라인에 대해 설명
»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내년 11~12월 중에 옵티머스가 탑승한 Starship의 화성 비행 가능성이 약간 있고, 현실적으로는 무인 비행이 3년 반 정도, 유인 비행은 5년 반 정도 후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
»더불어 화성 도시가 자급자족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지는데에는 20~30년 정도가 걸릴 것이라고 전망
»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내년 11~12월 중에 옵티머스가 탑승한 Starship의 화성 비행 가능성이 약간 있고, 현실적으로는 무인 비행이 3년 반 정도, 유인 비행은 5년 반 정도 후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
»더불어 화성 도시가 자급자족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지는데에는 20~30년 정도가 걸릴 것이라고 전망
Forwarded from 한국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 백악관: 애플은 미국에 1000억달러 추가 투자 약속. 새로운 미국제조 계획 가동
美国白宫:苹果将提高美国投资承诺1000亿美元,苹果将启动新的美国制造计划。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8-06/trump-apple-to-announce-fresh-100-billion-in-us-manufacturing
美国白宫:苹果将提高美国投资承诺1000亿美元,苹果将启动新的美国制造计划。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8-06/trump-apple-to-announce-fresh-100-billion-in-us-manufacturing
Bloomberg.com
Trump, Apple to Announce Fresh $100 Billion US Investment
Apple Inc. committed to spending another $100 billion on domestic manufacturing ahead of an event with President Donald Trump, marking the latest pledge by the tech giant to increase US production as it seeks to avoid punishing tariffs on its flagship iPhones.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트럼프-애플, 미국 내 1,000억 달러 추가 투자 발표
애플이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위해 추가로 1,000억 달러 투자 예정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공식 발표 예정
애플의 기존 5,000억 달러 미국 투자 계획에 더해 누적 총 6,000억 달러 규모로 확대
📌제조 프로그램 내용
iPhone 등 핵심 부품의 미국 내 생산 확대
애플 공급망의 리쇼어링(국내 회귀) 가속화 목적
텍사스 휴스턴의 서버 제조 시설, 미시간의 공급업체 아카데미 등 포함
📌배경 및 정책적 맥락
트럼프는 올해 초 아이폰 미국 생산 전환을 요구하며, 미이행 시 25% 관세 경고
이번 발표는 관세 회피 및 국가 안보 연계 생산 확대 조치로 해석
백악관: “이번 발표는 미국 제조업과 경제 안보의 이중 승리”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애플이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위해 추가로 1,000억 달러 투자 예정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공식 발표 예정
애플의 기존 5,000억 달러 미국 투자 계획에 더해 누적 총 6,000억 달러 규모로 확대
📌제조 프로그램 내용
iPhone 등 핵심 부품의 미국 내 생산 확대
애플 공급망의 리쇼어링(국내 회귀) 가속화 목적
텍사스 휴스턴의 서버 제조 시설, 미시간의 공급업체 아카데미 등 포함
📌배경 및 정책적 맥락
트럼프는 올해 초 아이폰 미국 생산 전환을 요구하며, 미이행 시 25% 관세 경고
이번 발표는 관세 회피 및 국가 안보 연계 생산 확대 조치로 해석
백악관: “이번 발표는 미국 제조업과 경제 안보의 이중 승리”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US Stocks Insider 🇺🇸 (미국 주식 인사이더)
블룸버그: 푸틴, 트럼프와 ‘미니 합의’ 희망.
크렘린에서 열린 블라디미르 푸틴과 미국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의 회담이 약 3시간 동안 진행 후 종료. 협상 내용에 대해 양측은 아직 구체적 언급 없음.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크렘린은 상호 미사일·드론 공격 중단을 포함한 제한적 휴전을 검토 중이나, 푸틴은 지상전은 계속 이어가려는 의도.
허드슨연구소 케네스 와인슈타인 외교정책 전문가: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 이는 완전한 휴전이어야 한다. 트럼프가 가장 못 견디는 건 자신이 바보 취급당하는 상황이다. 러시아가 실제 조치를 취한다면 얘기는 달라질 수 있다.”
인스브루크대 게르하르트 망곳 정치학 교수:
“푸틴은 전쟁을 계속할 충분한 자금이 있고, 조기 종전에는 관심이 없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서 느리지만 확실히 진격 중이다. 지금 휴전은 우크라이나에만 유리하다. 가능한 건 우크라이나가 동부 영토와 나토 가입을 완전히 포기하는 ‘강요된 평화’뿐이다.”
쾰른대 토마스 예거 국제정치학 교수:
“조기 휴전 가능성은 낮다. 러시아를 정치적으로 고립시키거나 자원을 차단하지 못했고, 전쟁은 푸틴에게 권력의 도구가 됐다. 중국은 여전히 푸틴의 국제적 명성을 지탱하고 있다. 러시아 학교에서는 군사 교육이 강화되고, 교육은 점점 더 민족주의적으로 변하며, 단결을 강조하는 선전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 내에 실질적 야당도 없다. 푸틴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최대주의적 요구를 계속 고집할 수 있다.”
출처: BILD
크렘린에서 열린 블라디미르 푸틴과 미국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의 회담이 약 3시간 동안 진행 후 종료. 협상 내용에 대해 양측은 아직 구체적 언급 없음.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크렘린은 상호 미사일·드론 공격 중단을 포함한 제한적 휴전을 검토 중이나, 푸틴은 지상전은 계속 이어가려는 의도.
허드슨연구소 케네스 와인슈타인 외교정책 전문가: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 이는 완전한 휴전이어야 한다. 트럼프가 가장 못 견디는 건 자신이 바보 취급당하는 상황이다. 러시아가 실제 조치를 취한다면 얘기는 달라질 수 있다.”
인스브루크대 게르하르트 망곳 정치학 교수:
“푸틴은 전쟁을 계속할 충분한 자금이 있고, 조기 종전에는 관심이 없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서 느리지만 확실히 진격 중이다. 지금 휴전은 우크라이나에만 유리하다. 가능한 건 우크라이나가 동부 영토와 나토 가입을 완전히 포기하는 ‘강요된 평화’뿐이다.”
쾰른대 토마스 예거 국제정치학 교수:
“조기 휴전 가능성은 낮다. 러시아를 정치적으로 고립시키거나 자원을 차단하지 못했고, 전쟁은 푸틴에게 권력의 도구가 됐다. 중국은 여전히 푸틴의 국제적 명성을 지탱하고 있다. 러시아 학교에서는 군사 교육이 강화되고, 교육은 점점 더 민족주의적으로 변하며, 단결을 강조하는 선전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 내에 실질적 야당도 없다. 푸틴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최대주의적 요구를 계속 고집할 수 있다.”
출처: BILD
Forwarded from [한투 선진국] 최보원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일대비 0.7%, 1.2% 상승.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이 지속됐으나, 미국 대표 업체인 애플이 미국 내 생산을 늘리기 위한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리사 쿡 연준 이사와 수전 콜린스 미국 보스턴 연은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높이는 발언한 점도 투자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
애플은 미국 내 제품 생산을 늘리기 위해 1천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계획을 발표. 기존에도 4년간 5천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음. 미국 대표 업체가 총 6척언달러 투자 계획 밝히는 등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공급망 재편 진행
애플의 주가는 전일대비 5.1% 상승. 아마존과 테슬라도 4.0%, 3.6% 상승. 엔비디아, 브로드컴은 0.65%, 2.98% 상승
경기소비재, 필수소비재 업종이 2.5%, 1.7% 상승했고, IT와 커뮤니케이션 업종도 1.3%, 0.7% 상승. 반면 추가적인 규제 및 관세 영향 크게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는 헬스케어 업종은 전일도 1.5% 하락
애플은 미국 내 제품 생산을 늘리기 위해 1천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계획을 발표. 기존에도 4년간 5천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음. 미국 대표 업체가 총 6척언달러 투자 계획 밝히는 등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공급망 재편 진행
애플의 주가는 전일대비 5.1% 상승. 아마존과 테슬라도 4.0%, 3.6% 상승. 엔비디아, 브로드컴은 0.65%, 2.98% 상승
경기소비재, 필수소비재 업종이 2.5%, 1.7% 상승했고, IT와 커뮤니케이션 업종도 1.3%, 0.7% 상승. 반면 추가적인 규제 및 관세 영향 크게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는 헬스케어 업종은 전일도 1.5% 하락
2025년 8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7월 고용이 정책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Fed 관계자들이 말했습니다.
(2) 미국이 대인도 관세를 50%로 올렸지만 애플은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애플과 AI 밸류체인 주식들이 오르며 미 증시가 역사적 고점에 근접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2.24원 (-3.86원)
테더 1,392.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세줄요약
(1) 7월 고용이 정책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Fed 관계자들이 말했습니다.
(2) 미국이 대인도 관세를 50%로 올렸지만 애플은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애플과 AI 밸류체인 주식들이 오르며 미 증시가 역사적 고점에 근접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2.24원 (-3.86원)
테더 1,392.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Telegram
Rafiki research
Global macro research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8/07 미 증시, 주요 테마주가 부진했지만 애플과 아마존의 힘으로 상승
미 증시는 인도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와 개별 기업들의 실적 발표 영향으로 보합권 출발. 그런 가운데 애플(+5.09%)이 미국 투자 등을 이유로 큰 폭으로 강세를 보이자 지수가 상승 확대. 더불어 연준 위원들의 금리인하 기대를 높이는 발언도 긍정적. 물론, 제약과 주요 테마주는 하락했지만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가 진행되는 등 순환매는 여전. 그런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 완화 기대도 투자심리에 긍정적(다우 +0.18%, 나스닥 +1.21%, S&P500 +0.73%, 러셀2000 -0.18%,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20%)
*변화요인: 카시카리 총재 발언, 인도와 스위스 관세, OpenAI 구주매출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가 점차 둔화되고 있으며, 이 경우 보험성 금리 인하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표명. 특히 고용 시장에 대해서는 임금 상승률 둔화가 노동 수요의 약화를 시사한다고 언급하며, 데이터에 대한 신뢰를 강조함. 이는 트럼프가 고용지표 조작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한 반박으로 해석됨. 해당 발언 이후 주가지수 선물은 상승 전환, 하지만 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는데, 이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관련 이슈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됨. 장중 쿡 이사와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도 고용보고서가 우려스러운데 고용데이터가 크게 수정되는 현상은 경제의 전환점에서 흔히 나타난다고 주장해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를 확대.
트럼프는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대한 대응으로 25%의 추가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 관세는 21일 후 발효 예정이며, 향후 다른 국가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 인도는 미국과 EU도 러시아산 제품을 수입하고 있으나, 인도에만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형평성 문제가 있다는 반발. 이에 인도에서 수입되는 의료기기, 제약, 스마트폰, 귀금속 등 주요 품목에 부담. 스위스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지만 협상은 결렬되었다는 소식도 전해짐. 스위스도 의약품, 백신, 귀금속, 시계 등을 미국에 수출하는 주요 국가로, 미국 제약, 건강관리 업종 전반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다만 인도 내 생산기지를 둔 애플은 직접 타격이 없을 수 있다는 평가가 일부 백악관 관계자 사이에서 제기됨. 또한, 애플이 1,000억 달러 추가 투자 계획 발표도 애플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한편, OpenAI가 약 5,0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구주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보도가 유입. 아직 논의 초기 단계이며 세부 조건은 미확정이나, AI 산업 전반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심리에 긍정적. 대형 기술주들의 클라우드·AI 인프라 투자 확대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신호로도 해석되기 때문. 이처럼 금리 정책, 글로벌 무역 규제, AI 밸류에이션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리며 장 초반에는 불확실성이 혼재, 그러나 기술주 중심으로 투자 심리는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 다만, 대형주가 견조했지만, 테마주는 매물 출회되는 차별화 진행
미 증시는 인도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와 개별 기업들의 실적 발표 영향으로 보합권 출발. 그런 가운데 애플(+5.09%)이 미국 투자 등을 이유로 큰 폭으로 강세를 보이자 지수가 상승 확대. 더불어 연준 위원들의 금리인하 기대를 높이는 발언도 긍정적. 물론, 제약과 주요 테마주는 하락했지만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차별화가 진행되는 등 순환매는 여전. 그런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 완화 기대도 투자심리에 긍정적(다우 +0.18%, 나스닥 +1.21%, S&P500 +0.73%, 러셀2000 -0.18%,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20%)
*변화요인: 카시카리 총재 발언, 인도와 스위스 관세, OpenAI 구주매출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가 점차 둔화되고 있으며, 이 경우 보험성 금리 인하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표명. 특히 고용 시장에 대해서는 임금 상승률 둔화가 노동 수요의 약화를 시사한다고 언급하며, 데이터에 대한 신뢰를 강조함. 이는 트럼프가 고용지표 조작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한 반박으로 해석됨. 해당 발언 이후 주가지수 선물은 상승 전환, 하지만 금리는 상승세를 보였는데, 이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관련 이슈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됨. 장중 쿡 이사와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도 고용보고서가 우려스러운데 고용데이터가 크게 수정되는 현상은 경제의 전환점에서 흔히 나타난다고 주장해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를 확대.
트럼프는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대한 대응으로 25%의 추가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 관세는 21일 후 발효 예정이며, 향후 다른 국가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 인도는 미국과 EU도 러시아산 제품을 수입하고 있으나, 인도에만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형평성 문제가 있다는 반발. 이에 인도에서 수입되는 의료기기, 제약, 스마트폰, 귀금속 등 주요 품목에 부담. 스위스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지만 협상은 결렬되었다는 소식도 전해짐. 스위스도 의약품, 백신, 귀금속, 시계 등을 미국에 수출하는 주요 국가로, 미국 제약, 건강관리 업종 전반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다만 인도 내 생산기지를 둔 애플은 직접 타격이 없을 수 있다는 평가가 일부 백악관 관계자 사이에서 제기됨. 또한, 애플이 1,000억 달러 추가 투자 계획 발표도 애플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한편, OpenAI가 약 5,0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구주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보도가 유입. 아직 논의 초기 단계이며 세부 조건은 미확정이나, AI 산업 전반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심리에 긍정적. 대형 기술주들의 클라우드·AI 인프라 투자 확대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신호로도 해석되기 때문. 이처럼 금리 정책, 글로벌 무역 규제, AI 밸류에이션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리며 장 초반에는 불확실성이 혼재, 그러나 기술주 중심으로 투자 심리는 빠르게 회복되는 모습. 다만, 대형주가 견조했지만, 테마주는 매물 출회되는 차별화 진행
Forwarded from BUYagra
미국증시 상승 마감
-S&P500 +0.73%, Nasdaq +1.21%, DJIA +0.19%
-Apple +5%, 미국제조에 $100bn투자 발표
-빅테크 상승: Tesla +3%, Netflix +2.6%, Amazon +3%
-McDonald’s +3%, 지난 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및 최근 2년내 SSSG 가장 높은 성장률 기록
-Arista Networks +17%, 지난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 ‘25년 EBIT마진 가이던스 43-44%에서 48% 로 상향 / 9월 21일 AI전략관련 애놀리스트데이 개최 전망
-Viasat +30%, 위성통신기업 지난분기 매출 기대치 상회 및 적자 예상되었지만 흑전하면서 급등 (여기도 최근 방산 부분 부각중)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0.21%: AMD -6%
😀😀😀😀😀
-S&P500 +0.73%, Nasdaq +1.21%, DJIA +0.19%
-Apple +5%, 미국제조에 $100bn투자 발표
-빅테크 상승: Tesla +3%, Netflix +2.6%, Amazon +3%
-McDonald’s +3%, 지난 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및 최근 2년내 SSSG 가장 높은 성장률 기록
-Arista Networks +17%, 지난분기 실적 기대치 상회 / ‘25년 EBIT마진 가이던스 43-44%에서 48% 로 상향 / 9월 21일 AI전략관련 애놀리스트데이 개최 전망
-Viasat +30%, 위성통신기업 지난분기 매출 기대치 상회 및 적자 예상되었지만 흑전하면서 급등 (여기도 최근 방산 부분 부각중)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 -0.21%: AMD -6%
😀😀😀😀😀
Forwarded from 한국투자증권/기관영업부/이민근
뉴욕 증시는 하루 만에 반등에 성공하며 다시 상승 흐름을 되찾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산 수입품에 대해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애플의 대규모 미국 투자 발표와 함께 9월 금리인하가 기정사실화되면서 투자심리는 오히려 살아났습니다.
시장 반등의 중심에는 애플이 있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관세 회피를 위해 향후 4년간 미국 내 6,000억달러 투자 계획을 내놓자 주가는 5% 이상 급등했고,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1,600억달러 이상 불어났습니다. 애플이 이끄는 상승 랠리는 M7 기술주 전반으로 확산돼 테슬라(+3.6%), 아마존(+4.0%), 엔비디아(+0.6%) 등 대부분이 강세를 보였고, 아마존은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업부의 규제 통과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만 소폭 하락했고, AMD(-6.4%), 슈퍼마이크로컴퓨터(-18.3%), 스냅(-17.1%)은 실적 이슈로 급락했습니다.
연준 인사들은 일제히 7월 고용지표의 신호를 ‘경제 변곡점’으로 해석하며 비둘기파적 입장을 강화했습니다. 쿡 이사,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등이 인하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강조했고, 금리선물시장은 9월 25bp 인하 가능성을 95% 이상 반영하며 사실상 확정 분위기입니다.
이에 2년물 금리는 소폭 내린 3.714%를 기록했지만 10년물 입찰 에서 응찰률이 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부진에 장기 금리는 상승하하며 10년물은 3.6bp 오른 4.232%, 30년물은 5.4bp 상승한 4.823%를 기록했습니다.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달러인덱스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 이후 98선 초반까지 떨어졌고, 유로/달러는 1.16대를 회복했습니다. 특히 트럼프–푸틴–젤렌스키 3자 회담 가능성이 외교적 긴장 완화 기대를 자극하며 유로화 강세를 이끌었습니다.
국제유가는 장중 러시아 제재 이슈로 한때 WTI 기준으로 66달러를 넘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와 큰 진전" 발언 이후 전쟁 완화 기대가 부각되며 1.24% 내린 배럴당 64.35달러로 5일 연속 하락 마감했습니다.
시장 반등의 중심에는 애플이 있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계를 유지하며 관세 회피를 위해 향후 4년간 미국 내 6,000억달러 투자 계획을 내놓자 주가는 5% 이상 급등했고,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1,600억달러 이상 불어났습니다. 애플이 이끄는 상승 랠리는 M7 기술주 전반으로 확산돼 테슬라(+3.6%), 아마존(+4.0%), 엔비디아(+0.6%) 등 대부분이 강세를 보였고, 아마존은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업부의 규제 통과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만 소폭 하락했고, AMD(-6.4%), 슈퍼마이크로컴퓨터(-18.3%), 스냅(-17.1%)은 실적 이슈로 급락했습니다.
연준 인사들은 일제히 7월 고용지표의 신호를 ‘경제 변곡점’으로 해석하며 비둘기파적 입장을 강화했습니다. 쿡 이사,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등이 인하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강조했고, 금리선물시장은 9월 25bp 인하 가능성을 95% 이상 반영하며 사실상 확정 분위기입니다.
이에 2년물 금리는 소폭 내린 3.714%를 기록했지만 10년물 입찰 에서 응찰률이 1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부진에 장기 금리는 상승하하며 10년물은 3.6bp 오른 4.232%, 30년물은 5.4bp 상승한 4.823%를 기록했습니다.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달러인덱스는 연준 인사들의 발언 이후 98선 초반까지 떨어졌고, 유로/달러는 1.16대를 회복했습니다. 특히 트럼프–푸틴–젤렌스키 3자 회담 가능성이 외교적 긴장 완화 기대를 자극하며 유로화 강세를 이끌었습니다.
국제유가는 장중 러시아 제재 이슈로 한때 WTI 기준으로 66달러를 넘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와 큰 진전" 발언 이후 전쟁 완화 기대가 부각되며 1.24% 내린 배럴당 64.35달러로 5일 연속 하락 마감했습니다.
뉴욕증시, 애플 대규모 투자에 기술주 '화색'…상승 마감 | 연합뉴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애플이 미국에 1천억달러의 추가 투자에 나서기로 하면서 기대감에 강세를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집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애플이 미국 내 제품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1천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할 예정이다.
애플은 트럼프 취임 후 미국에 4년간 5천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발표로 애플의 미국 내 투자액은 총 6천억달러로 늘어나게 된다.
애플의 이번 투자는 관세 혜택을 받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번 투자로 관세 혜택을 받으면 경쟁업체에 비해 경쟁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게 월가의 분석이다.
이 같은 소식에 애플의 주가는 이날 5.09% 뛰었다.
주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가 비둘기파적 공개 발언을 내놓으며 9월 금리인하에 사실상 쐐기를 박은 것도 투자심리를 뒷받침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7006600009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애플이 미국에 1천억달러의 추가 투자에 나서기로 하면서 기대감에 강세를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집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애플이 미국 내 제품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1천억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할 예정이다.
애플은 트럼프 취임 후 미국에 4년간 5천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발표로 애플의 미국 내 투자액은 총 6천억달러로 늘어나게 된다.
애플의 이번 투자는 관세 혜택을 받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번 투자로 관세 혜택을 받으면 경쟁업체에 비해 경쟁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게 월가의 분석이다.
이 같은 소식에 애플의 주가는 이날 5.09% 뛰었다.
주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가 비둘기파적 공개 발언을 내놓으며 9월 금리인하에 사실상 쐐기를 박은 것도 투자심리를 뒷받침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7006600009
연합뉴스
뉴욕증시, 애플 대규모 투자에 기술주 '화색'…상승 마감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뉴욕연은이 발표한 2분기 가계 부채 및 신용보고서에 따르면 90일 이상 연체된 학자금 대출 연체율은 10.2%로 1분기(7.7%)에 이어 큰 폭으로 증가. 2020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
미국 연방정부는 팬데믹 이후 2023년 9월까지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유예했음. 이후 1년간은 유예 기간을 두어 상환 연체에도 신용정보기관에 보고되지 않도록 했음. 유예조치가 작넌 10월 만료됨에 따라 올해 1분기부터 학자금 대출 연체 잔액 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
한편, 신용카드,오토론,모기지 연체율은 1분기 대비 소폭 감소하거나 유사한 수준
미국 연방정부는 팬데믹 이후 2023년 9월까지 학자금 대출 상환을 유예했음. 이후 1년간은 유예 기간을 두어 상환 연체에도 신용정보기관에 보고되지 않도록 했음. 유예조치가 작넌 10월 만료됨에 따라 올해 1분기부터 학자금 대출 연체 잔액 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
한편, 신용카드,오토론,모기지 연체율은 1분기 대비 소폭 감소하거나 유사한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