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3K photos
90 videos
185 files
15.6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8/8 쿠글러 이사 사임 후 공석은 파월 의장 후임보다는 4개월 임시직을 지명할 가능성이 높아졌음

트럼프는 3명의 후보를 고려 중이며 임시직은 월가 출신일수도 있다고 언급

“Yeah, essentially, we’re all from Wall Street, aren’t we, when you get right down to it?”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미국의 경제 둔화가 단기적으로 기준금리 인하를 정당화할 수 있으며, 연말까지 두 차례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고 주장

» 미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정책금리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해질 수 있다고 언급. 다만 그는 동시에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덧붙이며, 이는 정책 결정에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

» 카시카리는 관세의 효과가 명확해질 때까지 얼마나 기다릴 수 있느냐가 고민이라며, 일단 금리를 인하하고 나중에 필요하면 중단하거나 방향을 되돌리는 것이, 명확한 정보가 나올 때까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기다리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고 언급

» 여전히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지만,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인하 횟수는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8/07 트럼프 장 마감 후 발언: 반도체 100% 관세 부과 발표

장 마감 후 트럼프의 애플 추가 투자 관련 기자 회견이 진행.

미국 내수용 아이폰은 미국에서 생산될 것이며 텍사스, 뉴욕 등에서 반도체 칩을 제조하고 캘리포니아에서는 희토류 재활용을, 디트로이트에는 제조 아카데미를 신설할 것이라고 발표. 애플은 자사 공장에 필요한 전력은 자체적으로 공급할 것이라고 주장. 애플은 시간 외 1% 넘게 상승중

AMAT는 텍사스에서 생산된 장비를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공장에 공급 후 애플 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 만드는 것을 지원할 예정. 이 소식에 AMAT는 시간 외 2%, 텍사스인스트루먼트는 3% 상승 중

반도체에 대한 질문에서 100% 관세를 곧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 다만, 미국에 생산시설 투자 약속할 경우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발표. 관련 소식 후 인텔이 시간 외 3%대 상승 중이고 마이크론도 2% 가까이 상승 중.

우크라이나 전쟁관련해서는 푸틴과 좋은 대화를 했으며, 젤렌스키와 3자회담을 조만간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루비오는 만남은 없지만 전화통화는 할 수 있다고 주장). 인도뿐 아니라 러시아 관련 2차 제재를 더 볼 것이며 러시아 원유를 수입하는 중국에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있다고 언급.
일본, 트럼프에 뒤통수 맞았나…관세 협상 내용에 발칵

미국의 대일(對日) 상호관세가 ‘일괄 15%’가 아닌 ‘기존 관세+15%’로 매겨질 가능성 부각. 유럽연합(EU)과 같은 일괄 15%로 생각했던 일본 정부는 미국에 수정을 요구할 계획

일본은 미국이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기존에 예고됐던 25%에서 15%로 낮추고, 자동차 관세도 총 27.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지난달 합의. 당시 일본 정부는 관세율이 15% 미만인 품목은 상호관세 15%가 적용되고, 기존 관세율이 15%를 넘었던 물품은 상호관세가 별도로 추가되지 않는다고 설명. 세 부담 경감 특별 조치
https://share.google/WGQhj9IQNxwmb9hmH
트럼프 "반도체에 100% 관세 부과할 것…美 생산하면 0%" - 뉴스1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1000억 달러 규모의 애플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행사에서 100% 관세가 "미국으로 들여오는 모든 칩과 반도체에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기로 약속하거나 이미 그렇게 하는 과정에 있다면 관세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0% 관세 부과가 시작되는 구체적 시점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https://www.news1.kr/world/usa-canada/5871833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트럼프 대통령, 반도체에 대한 100% 세율의 품목별 관세 부과 예고

» 구체적 시행 시기(이르면 다음주부터)를 이야기하지 않은 가운데, 애플처럼 미국 내 투자 계획을 제시할 경우 면제 가능성 언급
[다올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금일 트럼프의 반도체 부과 관련 내용에서 나온 기준은 1) 미국 내에서 생산 중이거나, 2) 생산 예정이거나 입니다.

그 이상의 디테일한 기준은 아직 없는 상황인 것으로 파악되며,
이에 따른 국내 업체별 체크 포인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 삼성전자: 미국 내 파운드리 Fab 기보유, 메모리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 부과?
- SK하이닉스: 인디애나에 지을 Fab은 패키징 목적이라, 코어 다이 자체 기준으로 하면 관세 부과?


구체적인 기준이 어떻게 형성될 지 당분간 지켜봐야 하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관련해서 지켜보며 업데이트 되는대로 또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15479
애플 미국 투자 요약
[대신증권 반도체/류형근]

■ 총 투자규모 상향


- 금일 미국에 대한 1,000억 달러의 신규 투자를 발표

- 향후 4년간 미국 내 총 투자액을 6,000억 달러로 대폭 확대할 것

■ Apple 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 (AMP)

- Corning, Coherent, GlobalWafers America (GWA), Applied Materials, Texas Instruments (TI), Samsung, GlobalFoundries, Amkor, Broadcom 등이 포함

- Corning: 켄터키주에 세계 최대 스마트폰용 유리 생산라인 신설 예정. 향후 모든 iPhone 및 Apple Watch의 유리는 이곳에서 생산.

- Coherent: iPhone과 iPad의 Face ID 등 기능을 위한 VCSEL 레이저를 생산하는 텍사스 셔먼 시설과의 다년 계약 체결.

- MP Materials: 포트워스 인디펜던스 시설 확장 및 캘리포니아 마운틴패스에 희토류 재활용 라인 구축 예정.

■ 미국 내 실리콘 공급망 구축 확대

- 웨이퍼 생산: GlobalWafers America (텍사스 셔먼)와 협력하여 미국 내 최초로 300mm 웨이퍼를 생산. 이 웨이퍼는 TSMC(애리조나) 및 TI(셔먼) 등에서 칩으로 가공. 웨이퍼에 사용되는 실리콘은 Corning의 Hemlock Semiconductor 등 미국 공급처에서 조달.

- 장비 생산: Applied Materials (텍사스 오스틴)와 협력하여 첨단 반도체 제조 장비 생산 확대.

- 반도체 제조: TI의 유타 리하이 및 셔먼 신공장에 장비 추가 및 확장 투자. Apple 제품에 사용되는 주요 기초 반도체 생산.

- 신기술 도입: Samsung (오스틴)과 협력하여 전 세계 최초로 새로운 칩 제조 기술 상용화. iPhone에 적용될 성능 최적화 칩 생산 예정.

- 무선/전력 칩: GlobalFoundries와 협력하여 무선통신 및 전력관리 반도체 생산 확대.

- 패키징: Amkor의 애리조나 첨단 패키징 및 테스트 공장에 투자. Apple은 이 공장의 첫 번째 및 최대 고객. 인근 TSMC 공장에서 제조된 Apple 실리콘 칩의 패키징 담당.

- Broadcom 및 GlobalFoundries와 협력하여 5G 통신에 필요한 셀룰러 반도체 부품을 미국에서 개발 및 제조

기사 링크: https://www.apple.com/newsroom/2025/08/apple-increases-us-commitment-to-600-billion-usd-announces-ambitious-program/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애플, 미국 내 생산시설 투자에 1000억달러 투자 예정. 트럼프 정부의 징벌적 조치를 피하기 위한 목적의 의사결정

» 어찌됐든 미국의 리쇼어링 정책은 점진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상황

- 미국 인프라 테마 ETF: PAVE
- 미국 리쇼어링 테마 ETF: RSHO
[DB증권 전기전자 조현지]

Apple increases U.S. commitment to $600 billion, announces 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 (Apple Newsroom)

- Apple은 오늘 미국에 대한 새로운 1,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투자 약속을 발표

- 이는 향후 4년 동안 미국에 총 6,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계획

- 이번 발표에는 Apple의 공급망과 고급 제조 역량을 미국 내로 가져오기 위한 ‘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AMP) 도 포함되어 있음

- AMP를 통해 Apple은 미국 전역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전 세계 기업들이 미국에서 핵심 부품을 더 많이 제조하도록 장려

- Tim cook CEO는 AMP에는 미국 전역의 10개 기업과의 새로운 협력 및 확장이 포함되어 있다고 밝힘

- 미국에서 제조된 Apple 부품의 약 3분의 2는 미국 외 지역의 고객에게 수출됨

- 앞으로 4년 동안 Apple은 미국에서 직접 20,000명을 채용할 계획 (대부분 R&D, 실리콘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분야)

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

- 첫 AMP 파트너로는 Corning, Coherent, GlobalWafers America(GWA), Applied Materials, Texas Instruments (TI), Samsung, GlobalFoundries, Amkor, Broadcom 등이 포함

- Corning과 파트너십을 통해 켄터키주 Harrodsburg에 스마트폰 유리 생산 라인을 확장할 계획, 앞으로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모든 iPhone과 Apple Watch는 켄터키산 커버 유리를 사용하게 될 것

- Coherent와도 새로운 다년 계약을 체결. Face ID 등을 능케 하는 VCSEL 레이저 작업은 텍사스주 셔먼에 위치한 Coherent 시설에서 수행

- 7월에 Apple은 MP Materials로부터 미국산 희토류 자석을 구매하기로 약속. 이를 통해 텍사스주 포트워스에 있는 MP Materials의 주요 시설이 크게 확장될 것. 이 자석은 전 세계에 출하되는 Apple 제품에 사용될 예정

미국 내 실리콘 공급망 확장

- 미국 실리콘 공급망은 2025년에 Apple 제품용으로 190억 개 이상의 칩을 생산할 예정

- 애리조나주에 있는 TSMC가 포함되며, 이곳은 미국에서 가장 진보된 공정 기술을 사용하여 수천만 개의 Apple용 칩을 생산 중. Apple은 이 공장의 첫 번째이자 최대 고객

- 웨이퍼 생산: GWA(GlobalWafers America)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처음으로 미국 기반 반도체 팹에서 사용할 고급 웨이퍼 생산

- 애리조나주 피닉스의 TSMC와 텍사스주 셔먼의 TI 공장 등 미국 반도체 팹들이 iPhone과 iPad용 칩을 생산하기 위해 GWA의 300mm 웨이퍼를 사용할 예정

- GWA는 Corning의 Hemlock Semiconductor에서 공급받은 미국산 실리콘을 사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웨이퍼를 제조

- 제조 장비: Apple은 Applied Materials와 협력하여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장비 생산을 강화

- 칩 제조: Apple과 TI는 파트너십을 확장하여 미래 제품 협력을 확대. 유타주 레히와 텍사스주 셔먼 시설에 추가 장비 설치를 지원. iPhone을 포함한 Apple 제품용 핵심 반도체를 제조할 예정

- 삼성 협력: 텍사스 오스틴에 있는 삼성의 팹과 협력하여 전 세계 최초로 사용되는 새로운 칩 제조 기술을 도입. 이 기술은 iPhone 등 Apple 제품의 전력 효율성과 성능을 최적화할 칩을 생산

- GlobalFoundries 협력: 첨단 무선 기술 및 고급 전력 관리 칩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Apple 제품의 배터리 수명과 연결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 이 협력은 뉴욕주 몰타에 위치한 GlobalFoundries 시설에 새로운 기술, 일자리, 역량을 도입할 것

- 패키징: 애리조나의 Amkor 첨단 칩 패키징 및 테스트 시설에 투자하고 있으며 Amkor의 첫 번째이자 최대 고객이 될 예정. TSMC 공장에서 생산된 칩의 테스트 및 패키징이 여기서 이루어질 예정

- Broadcom 및 GlobalFoundries와 협력하여 미국에서 5G 통신에 필수적인 셀룰러 반도체 구성 요소를 개발 및 제조


미국 전역에서의 새로운 시설 및 확장

- 올해 초, Apple은 휴스턴에서 첨단 Apple 서버 생산을 지원하는 새로운 공장 건설을 시작

- 2026년 대량 생산을 목표로 하며, 7월에 첫 시험 제품을 생산

- 이 서버는 과거 미국 외에서 제조되었으나, 이제 Apple Intelligence의 기반이 될 예정이며, AI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업계 최고 수준의 보안 아키텍처를 적용한 Private Cloud Compute를 지원

- 해당 서버는 Apple의 오랜 연구개발의 결과로, Apple 실리콘의 보안성과 성능을 데이터 센터로 확장

- 디트로이트에서는 2월에 발표된 Apple Manufacturing Academy의 등록이 현재 진행 중

- 노스캐롤라이나주 메이든에서도 Apple은 자사의 데이터 센터 용량을 대폭 확장. 이번 확장은 Apple이 이미 카타우바 카운티에 투자한 50억 달러 이상의 투자 위에 추가되는 것

- 이 외에도 아이오와, 네바다, 오리건 등 미국 전역의 여러 주에서 Apple의 데이터 센터 용량 확장 공사가 진행 중

- 텍사스 오스틴에 건설 중인 Apple의 두 번째 캠퍼스 공사도 계속되고 있음

https://www.apple.com/newsroom/2025/08/apple-increases-us-commitment-to-600-billion-usd-announces-ambitious-program/

[해당 내용은 보도된 자료의 단순요약으로 당사의 조사분석자료가 아닙니다]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애플, 1000억달러 투자 계획과 징벌적 조치 회피 기대에 +6.02% 상승
[다올 시황 김지현]
애플 미국에 1000억달러 추가 투자, 협력 파트너에 삼성전자 포함


향후 4년간 미국에 총 6,000억 달러를 투자, 기존 약 5,000억 달러 투자 계획에 1,000억 달러 추가

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 (AMP)를 발표하고 미국 내 공급망 및 첨단 제조 역량을 더욱 강화할 계획

협력파트너 10개사
: Corning, Coherent, GlobalWafers America (GWA), Applied Materials, Texas Instruments (TI), Samsung, GlobalFoundries, Amkor, and Broadcom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한 삼성전자 파운드리에서, 전 세계에서 한 번도 사용된 적 없는 혁신적인 신규 칩 제조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협력 중. 이 기술을 미국에 최초로 도입함으로써, 해당 시설은 전 세계에 출하되는 iPhone을 포함한 애플 제품의 전력 효율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칩을 공급하게 될 것“


👉 다음주 중 예고된 반도체 관세 100%, 중국과 인도산 아이폰 수입에 대한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함.
추가로 지정학적 리스크, TSMC 단독 의존 리스크 관리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 위한 이원화 전략의 일환으로 삼성전자 활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8065843i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7009900003?input=1195m
삼성전자, 애플 차세대 칩 미국 파운드리 공장서 생산(종합) | 연합뉴스

이미지센서 아이소셀 생산 추정…미국 오스틴 공장서 양산
애플 "삼성과 협력해 혁신적인 새로운 칩 기술 개발"

삼성전자가 애플의 차세대 칩을 미국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7일 애플은 보도자료를 통해 "애플은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위치한 삼성의 반도체 공장에서 삼성과 협력해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용되는 혁신적인 새로운 칩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기술을 미국에 먼저 도입함으로써 이 시설은 전 세계로 출하되는 아이폰을 포함한 애플 제품의 전력 효율성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칩을 공급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이번 삼성전자의 칩을 차세대 아이폰 등에 들어가는 이미지 센서(CIS)로 추정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이미지센서 브랜드 'ISOCELL'(아이소셀)은 시스템LSI 사업부가 설계하고 있으며, 파운드리가 오스틴 공장에서 제조할 예정이다.

아이소셀은 웨이퍼 2장을 접착해 구성되는데, 신기술을 적용한 칩을 오스틴 공장에서 생산할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틴 공장은 1998년 가동을 시작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자사 스마트폰인 갤럭시 모델과 중국 샤오미, 비보와 모토로라에 아이소셀 센서를 공급하고 있다.

애플은 미국 현지화 전략을 위해 삼성전자를 택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공급망 다변화 효과도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애플은 그동안 아이폰용 이미지센서를 일본 소니로부터 전량 공급받아 왔다. 작년 기준 이미지센서 시장은 소니가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해 주도하고 있으며, 삼성은 15.4%의 점유율로 2위에 올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807009901003
미국에 투자를 진행 중이거나 투자를 약속한 반도체 업체에게는 관세 적용되지 않을 것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8-06/trump-plans-100-tariff-on-chips-with-carveout-for-apple-others
“We’re going to be putting a very large tariff on chips and semiconductors, but the good news for companies like Apple is, if you’re building in the United States, or have committed to build, without question, committed to build in the United States, there will be no charge,” Trump told reporters.

“So in other words, we’ll be putting a tariff of approximately 100% on chips and semiconductors. But if you’re building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re’s no charge,” Trump said. “Even though you’re building and you’re not producing yet, in terms of the big numbers of jobs and all of things building, if you’re building, there will be no charge.”

미국에 투자하는 기업은 반도체 관세 0%

TSMC 애리조나, 삼성전자는 테일러/오스틴,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에 투자 약속했으므로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황 CEO는 그동안 자사의 AI 칩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로비를 벌여왔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엔비디아는 칩 대부분을 대만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미국으로 수입되는 반도체에 대한 관세는 엔비디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엔비디아 젠슨 황, 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 앞두고 트럼프 만나
- H20 칩 中판매 재개 위해 백악관 찾은 지 27일만에 다시 회동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52934?sid=104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자국에 부과되는 39%의 고율 관세를 낮추는데 실패하고 미국을 떠나게 된 스위스 대통령
러시아에 휴전 압박 강도를 높이는 가운데 러시아와 거래가 있었던 인도에 대한 제재 조치 예고

트럼프, 對러 2차관세 '칼' 뽑았다…인도 관세, 3주後엔 25→50%
- 행정명령 서명…무역협상 난항 인도와 휴전 거부하는 러 동시 압박
- 러 석유 다른 주요 수입국 중국은 일단 제외…부과 가능성 열어 둬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552826?sid=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