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2K photos
88 videos
185 files
15.5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삼성전기 2Q25 실적발표 안내드립니다.

매출액: 2조 7,846억원 (vs 컨센서스 2조 6,906억원)
영업이익: 2,130억원 (vs 컨센서스 2,050억원)
순이익: 1,297억원 (vs 컨센서스 1,754억원)

https://buly.kr/58SfhmU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삼성전자 2025년 2분기 실적
매출: 74조5663억 원 (전년 동기 대비 +0.6%)

영업이익: 4조6761억 원 (전년 동기 대비 -55.23%)

• 실적 쇼크, HBM 부진, 파운드리 적자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
1. HBM(고대역폭메모리) 경쟁력 약화
• AI 반도체 시장의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SK하이닉스 대비 기술 경쟁력 및 수율에서 밀림.

• 주요 고객사로부터의 공급 물량 확보에 실패한 것으로 분석됨.

2. 파운드리 사업 적자
• 수요 위축과 고객사 이탈로 인해 2조 원 이상의 대규모 영업적자 발생.

• TSMC 대비 공정 경쟁력, 안정적인 공급 체계에서 뒤처진 것으로 보임.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슬로바키아, 대규모 원자력 프로젝트에 웨스팅하우스 선정, 입찰 규정 건너뛰어

슬로바키아 정부, 공개 입찰 없이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1,250MW급 원전 건설 추진중. 슬로바키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 프로젝트로 평가.

사코바 경제부 장관은 “체코는 공개입찰에만 4년과 수억 유로를 썼다”며, 폴란드·불가리아처럼 빠르게 추진하기 위해 입찰 생략을 정당화.

미국과의 정부 간 협약은 이미 체결된 상황, 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7년 본계약을 목표로 하고 있음

EU 집행위원회는 유라톰 조약상 해당 협약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중. 7월 말 결론이 예상됨. 정식 투자가 체결되면 추가 심사 예정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단독] K라면 美관세 15% 확정… '불닭' 삼양식품 "미국서 가격 인상"

삼양식품 "美 현지 유통 채널별 협상 통해 가격 조정 검토"
대상 "거래처별 가격 조정 협의 예정…현지 공장 증설도 검토"



한국이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우리 정부는 미국에 3500억 달러(약 488조 원)를 투자하기로 하고 한국에 적용되는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췄다.

식품업계는 관세 인상 여파 등을 분석하며 제품 가격 인상 등 대비책 마련에 나섰다.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삼양식품은 미국 내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관세가 기존 10%에서 15%까지 인상된 것을 고려하면 가격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삼양식품은 그동안 태스트포스(TF)를 구성하고 미국 법인과 관세 부과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대응책을 논의해왔다.

현재 미국 내 주요 거래처들과 협의를 실시할 계획이며 품목별·유통망별로 대응 방식을 달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일부 품목의 가격 인상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며 "구체적인 인상 폭이나 적용 품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월마트, 코스트코, H마트 등 주요 거래선들과 협의를 통해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삼양식품은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 전량을 경남 밀양공장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있다.

삼양식품의 지난해 전체 매출 1조7280억원 중 해외 매출 비중은 77.3%(1조3359억원)이다. 이 중 미국법인 매출은 2억8000만 달러(한화 3868억원)로 28%를 차지한다.

지금까지 삼양식품은 관세 부과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가 개선, 수출 권역 다변화 및 물류 효율화, 프로모션 조정 등 비용 절감을 진행해왔다.

삼양식품은 가격 인상 없이 위기를 넘기겠다는 입장이었지만 관세율이 기존보다 상향 조정되면서 결국 현지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졌다.

종가 브랜드로 미국 시장에 진출한 대상도 간접적인 영향권에 들어섰다. 대상 측도 채널별 가격 조정 등을 검토하고 있다.

대상은 2022년 미국 LA 공장을 완공하고 2023년에는 현지 식품 제조업체 럭키푸즈(Lucky Foods)를 인수하며 생산 기반과 인프라를 강화해왔다. 그러나 현지 생산 물량보다 수출 품목과 물량이 더 많은 구조여서 관세 영향을 받게 됐다.

대상 관계자는 "채널별, 품목별로 관세에 따른 가격 조정은 주요 거래처와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라며 "미국 현지 공장 증설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395379?rc=N&ntype=RANKING&sid=001
[하나증권 IT 김민경]

ISC(095340.KQ/매수): 하반기는 숫자로 증명

링크: https://cutt.ly/JrSk5MPR

■ 2Q25 Review: GPU 테스트 소켓이 실적 견인

25년 2분기 매출 517억원(YoY +4%, QoQ +63%), 영업이익 137억원(YoY -8%, QoQ +96%, OPM 27%)을 기록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하나증권 추정치에 부합

1분기 일부 고객사의 R&D 및 양산 일정 지연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으나 AI 데이터센터 중심으로 수주가 회복. 데이터센터향 테스트 소켓 매출은 전분기대비 95% 증가했는데 GPU 및 ASIC향 매출이 모두 증가한 영향

2분기 원달러 환율하락에 따른 환손실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높은 AI 반도체 비중이 확대되며 믹스 개선 효과로 전분기대비 영업이익률은 5%p 개선

■ 3Q25 Preview: 데이터센터향 매출 성장 지속

25년 3분기 매출 678억원(YoY +35%, QoQ +31%), 영업이익 194억원(YoY +40%, QoQ +41%, OPM 29%)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할 전망

AI 인프라 투자가 견조하게 이어지며 GPU 및 ASIC 향 소켓 매출 성장이 이어지고 고객사 신제품 출시 효과로 AP 매출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이외에도 3분기 중 국내 파운드리 고객사향 자율주행칩 테스트 소켓이 공급되며 전장향 매출 또한 증가할 것으로 기대

하반기에는 아이세미와의 시너지 효과 또한 본격화 될 전망. 아이세미는 기존 소수의 고객사에 모듈 테스터, 세정 케미컬 등을 공급해왔는데 인수 이후 빅테크 고객사와의 협업이 확대된 것으로 파악. 3분기 아이세미 매출은 약 90억원 가량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며 4분기에는 매출 기여가 300억원 이상으로 확대될 전망. 특히 테스트 장비의 경우 ISC 소켓과 턴키 방식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7.6만원 유지

ISC에 대한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7.6만원을 유지.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소폭 하회하며 주가는 하락했으나 하반기 다수의 비메모리 고객사가 양산에 돌입하며 안정적인 실적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최근 글로벌 AI 가속기 업체들의 강한 주가흐름이 이어지고 있는데 AI 가속기 시장 확대는 ISC의 고객사 다변화로 이어지며 수혜가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 아울러 하반기 중 추가적인 M&A로 모멘텀 또한 발생할 수 있다는 판단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ISC는 2분기 실적보다 데이터센터+AI향 매출 비중 증가와 올해 5월 SK엔펄스로부터 인수한 아이세미, Tech Dream 실적이 하반기부터 연결로 반영되는 점이 더 중요한 투자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DB증권 반도체 서승연]

파크시스템스(140860): 하반기에도 실적 성장 전망

■ 2Q25 Preview – 시장 예상에 부합할 실적

- 파크시스템스의 2Q25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19억원(+2% QoQ, +16% YoY), 114억원(-13% QoQ, -10% YoY)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임

- 높은 기초 수주 잔고(890억원)를 기반으로 NX-Wafer 위주 장비 출하가 예상됨

- Hybrid WLI 역시 실적 증가에 일부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다만 수익성은 전분기 대비 비우호적 환율과 산업용 장비 비중 감소로 소폭 하락으로 전망함

■ 하반기에도 NX-Wafer 위주 실적 성장 전망

- 2025년 파크시스템스의 뚜렷한 실적 계절성은 전년 대비 완화될 전망이나 중화권향 계측 장비 수요가 지속되며 하반기에도 분기 실적 성장이 예상됨

- 2025년 매출·영업이익은 2,112억원(+21% YoY), 500억원(+30% YoY). 2026년 매출·영업이익은 2,578억원(+22% YoY), 594억원(+19% YoY)으로 조정함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30,000원으로 상향

- 목표주가는 실적 추정치 조정으로 330,000원으로 상향함

- 탄탄한 NX-Wafer 기초 체력 속 NX-Mask와 NX-Hybrid WLI 등 신규 장비들의 결실이 반도체 미세화와 궤를 함께하고 있음

- 중장기적으로 Accurion과의 기술 콜라보를 통한 신규 제품군 확대 기대감은 유효함. 파크시스템에 대해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함


보고서 링크: https://abit.ly/pz51zl
에스앤에스텍_기업리포트_250731.pdf
797.2 KB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에스앤에스텍 - 지금 대구는 on FIRE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1,000원(상향)
현재주가 : 50,200원(07/30)
Upside : 21.5%

1. 2Q25 Review: 높아진 눈높이를 무난하게 상회
- 영업이익 133억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 당기순이익은 외환차손 반영 영향으로 감소
- 현재 블랭크마스크 수요는 디스플레이/반도체 분야 모두 중국 중심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제품 믹스 역시 개선되며 마진율 상승

2. NDR Key Takeaways
- 1) 중국 시장 전망: 내년 초까지 중국 고객사들의 주문은 Full-book. 또한 하이엔드 어플리케이션용 반도체 투자 증가로 하반기에도 수요 확대 및 고수익성 제품으로의 전환이 지속. 풀캐파 상황에서도 제품 믹스 개선으로 실적 성장
- 2) 고객사 파운드리 투자: 현재 미국 내 공장은 없지만 만약 IDM의 마스크샵이 미국 내 생긴다면 CAPA 증설도 고려할 수 있을 것
- 3) 성장 모멘텀: 용인 신공장은 7/31 완공되며 3분기 중 장비 반입이 시작. EUV 블랭크마스크 시장 진입에 대한 가시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판단

3.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61,000원으로 상향
- 2025년 매출액 2,366억원(+34% YoY)과 영업이익 474억원(+61%, OPM 20%)으로 영업이익 추정치를 4%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 61,000원으로 상향 조정
- 3Q25 영업이익은 132억원 전망,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의 매출이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보수적으로 추정했으나 4분기 회복 전망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2025.07.31 09:22:28
기업명: 한화에어로스페이스(시가총액: 50조 5,32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62,735억(예상치 : 65,536억/ -4%)
영업익 : 8,644억(예상치 : 7,241억/ +19%)
순이익 : 2,006억(예상치 : 4,743억/ -58%)

최근 실적 추이
2025.2Q 62,735억/ 8,644억/ 2,006억
2025.1Q 54,842억/ 5,607억/ 2,093억
2024.4Q 48,250억/ 8,997억/ 20,590억
2024.3Q 26,312억/ 4,772억/ 3,183억
2024.2Q 27,860억/ 3,588억/ 1,59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73180004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245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Q 실적

매출: 62,735억 / 영업이익: 8,644억

[토막 뉴스 관심주] https://t.me/davidstocknew
한화에어로 지상방산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31.3%네요!!!
진짜 한국 기관 특,,, 셀온밖에 모르는,,,
외국인 현물 순매수 전환, 콜옵션 매수 전환
장중 시장 정리. 무역 합의에도 어정쩡한 이유. 시황맨

관세 합의 불구 양시장 반응은 어정쩡.
재료 노출에 따른 매물 출회. 이유 추정해 보면

◎ 자동차 관세 15%
당초 우리는 미국과 무관세. 일본, EU는 2.5%
15% 관세는 사실상 기존 보다 불리해진 것
우리 정부측도 12.5% 기본으로 협상 임했다고
미국측, 15% 주장 고수하면 다른 사안 흔들 것 압박
예상된 수준이나 일부 경쟁력 우려하는 매물

◎ 이미 선반영
일본, EU와의 합의 이어지며 어느 정도 예상
8월 1일 이내 합의 가능성이 이미 높았다는 평가
선반영된 이슈라 오히려 재료 확정에 매물 출회

◎ 공매도 가동
이번주 삼성전자 공매도가 부쩍 늘었음
월요일 이 후 3일간 186만주, 290만주, 243만주
기아의 경우 최근 공매도 비중이 6~9.7%까지 급증
재료 노출일 맞춘 공매도 움직임도 일부 영향 준 듯

◎ 매파적 FOMC
파월의 9월 인하 신중론도 일부 영향
9월 인하 기대감을 낮추는 취지의 발언이 나옴
이 후 9월 인하 보다 동결 확률이 높아짐
달러 강세 유발하면서 수급에 영향

다만 이런 이벤트는 대부분 지나가는 재료와 일정
관세 협상도 예상 혹은 우려 보다는 선방했다는 평가
자동차 관세 등은 이미 어느 정도 예상한 수준
재료 확정에 반응하는 일부 매물 정도로 추정

근본적으로 실적, 정책 효과가 지수 상승 이끌어 왔음
변동성 이용 불확실성 해소 업종
최근 수주 모멘텀 불거진 업종 및 주변주 주목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