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루팡
Microsoft의 2025 회계연도 4분기 실적 (시간외 +7.4%)
매출: 764억 4천만 달러 (예상치: 738억 9천만 달러); 전년 대비 +18% 증가
주당순이익(EPS): 3.65달러 (예상치: 3.37달러); 전년 대비 +24% 증가
인텔리전트 클라우드 부문 매출: 298억 8천만 달러 (예상치: 291억 달러); 전년 대비 +26% 증가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성장률: 전년 대비 +39% (예상치: +34.2%)
생산성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매출: 331억 1천만 달러; 전년 대비 +16% 증가
Microsoft 365 커머셜: +16% 증가
Microsoft 365 컨슈머: +21% 증가
다이나믹스(Dynamics): +18% 증가
링크드인(LinkedIn): +9% 증가
모어 퍼스널 컴퓨팅
매출: 134억 5천만 달러; 전년 대비 +9% 증가
Windows OEM 및 디바이스: +3% 증가
Xbox 콘텐츠 및 서비스: +13% 증가
검색 및 뉴스 광고 (트래픽획득비용 제외): +21% 증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총 매출
467억 달러; 전년 대비 +27% 증가
자본 환원
배당금 및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에게 94억 달러 환원
CEO 사티아 나델라 발언
“클라우드와 AI는 모든 산업과 분야에서 비즈니스 전환의 핵심 동력입니다.”
“Azure는 연간 매출 75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모든 워크로드에서의 성장에 힘입어 34% 증가했습니다.”
CFO 에이미 후드 발언
“회계연도 마지막 분기를 강하게 마무리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매출이 전년 대비 27% 증가한 467억 달러에 도달한 것이 하이라이트였습니다.”
매출: 764억 4천만 달러 (예상치: 738억 9천만 달러); 전년 대비 +18% 증가
주당순이익(EPS): 3.65달러 (예상치: 3.37달러); 전년 대비 +24% 증가
인텔리전트 클라우드 부문 매출: 298억 8천만 달러 (예상치: 291억 달러); 전년 대비 +26% 증가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성장률: 전년 대비 +39% (예상치: +34.2%)
생산성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매출: 331억 1천만 달러; 전년 대비 +16% 증가
Microsoft 365 커머셜: +16% 증가
Microsoft 365 컨슈머: +21% 증가
다이나믹스(Dynamics): +18% 증가
링크드인(LinkedIn): +9% 증가
모어 퍼스널 컴퓨팅
매출: 134억 5천만 달러; 전년 대비 +9% 증가
Windows OEM 및 디바이스: +3% 증가
Xbox 콘텐츠 및 서비스: +13% 증가
검색 및 뉴스 광고 (트래픽획득비용 제외): +21% 증가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총 매출
467억 달러; 전년 대비 +27% 증가
자본 환원
배당금 및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에게 94억 달러 환원
CEO 사티아 나델라 발언
“클라우드와 AI는 모든 산업과 분야에서 비즈니스 전환의 핵심 동력입니다.”
“Azure는 연간 매출 75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모든 워크로드에서의 성장에 힘입어 34% 증가했습니다.”
CFO 에이미 후드 발언
“회계연도 마지막 분기를 강하게 마무리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매출이 전년 대비 27% 증가한 467억 달러에 도달한 것이 하이라이트였습니다.”
Forwarded from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마이크로소프트 시간 외 +9%
30일 시총 $3.81조
- 시간 외 기준 $4.15조
* 엔비디아에 이어 두 번째 시총 4조 달러 클럽에 들어설 예정
30일 시총 $3.81조
- 시간 외 기준 $4.15조
* 엔비디아에 이어 두 번째 시총 4조 달러 클럽에 들어설 예정
메타, 2·3분기 실적 '호조'…시간외 주가 10% 급등(종합) | 연합뉴스
2분기 매출 21.6%·순이익 18% 증가…자본지출 상향 조정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은 지난 2분기(4∼6월) 475억2천만 달러의 매출과 7.14달러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매출과 주당 순이익 모두 시장조사 업체 LSGE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 448억 달러와 5.92달러를 각각 큰 폭으로 상회했다.
매출은 1년 전 대비 21.6% 늘어났고, 순이익은 183억4천만 달러를 나타내며 18% 증가했다.
메타는 3분기 매출이 475억∼505억 달러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월스트리트 예상치 461억4천만 달러를 웃도는 수치다.
메타는 다만, 올해 4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강한 성장한 영향으로 3분기보다 둔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731014751091
2분기 매출 21.6%·순이익 18% 증가…자본지출 상향 조정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은 지난 2분기(4∼6월) 475억2천만 달러의 매출과 7.14달러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매출과 주당 순이익 모두 시장조사 업체 LSGE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 448억 달러와 5.92달러를 각각 큰 폭으로 상회했다.
매출은 1년 전 대비 21.6% 늘어났고, 순이익은 183억4천만 달러를 나타내며 18% 증가했다.
메타는 3분기 매출이 475억∼505억 달러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월스트리트 예상치 461억4천만 달러를 웃도는 수치다.
메타는 다만, 올해 4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강한 성장한 영향으로 3분기보다 둔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731014751091
연합뉴스
메타, 2·3분기 실적 '호조'…시간외 주가 10% 급등(종합) | 연합뉴스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은 지난 2분기(4∼6월) 475억2천만 달러의 매출과 7.14...
Forwarded from 루팡
Meta Platforms 25년 2분기 어닝콜 중 CapEx 관련
2025년 CapEx 전망:
2025년 자본적 지출(금융리스의 원금 상환 포함)은 660억~720억 달러 범위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기존 전망치인 640억~720억 달러에서 하단이 상향 조정된 것입니다.
이는 중간값 기준으로 전년 대비 약 300억 달러 증가한 수치입니다.
해당 지출은 서버,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주를 이룹니다.
2026년 CapEx 초기 가이던스:
인프라 계획은 매우 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2026년에도 이와 유사한 수준의 CapEx 증가가 예상됩니다.
우리는 AI 역량 확대 및 비즈니스 운영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추가 용량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데 계속 투자할 계획입니다.
CapEx 투자에 대한 ROI(투자수익률) 관점:
Core AI 분야(추천 시스템, 광고 랭킹 등)는 ROI가 매우 뛰어납니다.
우리는 이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그 수치도 매우 긍정적입니다.
반면, 생성형 AI(GenAI) 분야는 아직 수익화 초기 단계이며,
2025년과 2026년에는 GenAI 관련 작업이 실질적인 수익 기여를 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중장기적으로 다음의 5가지 전략 영역에서의 수익화 기회에 대해 매우 낙관적입니다:
-향상된 광고
-더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
-비즈니스 메시징
-Meta AI
-AI 디바이스(예: AI 안경)
이들 영역은 현재 사업 구조와 매우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이 막대한 시장 기회를 수반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CapEx의 유연성(fungibility):
우리는 인프라를 구축할 때 최대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외형(shell), 네트워크 인프라 등 초기 인프라 요소는 선제적으로 구축하지만,
서버 구매는 실제 필요 시점에 맞춰 주문함으로써,
투자 효율성을 최대화하고, 수요 변화에 따른 리소스 재배치 가능성을 열어둡니다.
결론적으로:
Meta는 2025년에 대규모 CapEx 증가를 단행 중이며,
2026년에도 유사하거나 그 이상 수준의 CapEx 증가가 예상됩니다.
이는 모두 AI 인프라 확대와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이며,
ROI는 Core AI에서 이미 입증되고 있으며,
GenAI는 중장기 기회에 대한 신뢰 하에 선제 투자 중입니다.
2025년 CapEx 전망:
2025년 자본적 지출(금융리스의 원금 상환 포함)은 660억~720억 달러 범위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기존 전망치인 640억~720억 달러에서 하단이 상향 조정된 것입니다.
이는 중간값 기준으로 전년 대비 약 300억 달러 증가한 수치입니다.
해당 지출은 서버,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주를 이룹니다.
2026년 CapEx 초기 가이던스:
인프라 계획은 매우 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2026년에도 이와 유사한 수준의 CapEx 증가가 예상됩니다.
우리는 AI 역량 확대 및 비즈니스 운영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추가 용량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데 계속 투자할 계획입니다.
CapEx 투자에 대한 ROI(투자수익률) 관점:
Core AI 분야(추천 시스템, 광고 랭킹 등)는 ROI가 매우 뛰어납니다.
우리는 이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그 수치도 매우 긍정적입니다.
반면, 생성형 AI(GenAI) 분야는 아직 수익화 초기 단계이며,
2025년과 2026년에는 GenAI 관련 작업이 실질적인 수익 기여를 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중장기적으로 다음의 5가지 전략 영역에서의 수익화 기회에 대해 매우 낙관적입니다:
-향상된 광고
-더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
-비즈니스 메시징
-Meta AI
-AI 디바이스(예: AI 안경)
이들 영역은 현재 사업 구조와 매우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이 막대한 시장 기회를 수반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CapEx의 유연성(fungibility):
우리는 인프라를 구축할 때 최대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외형(shell), 네트워크 인프라 등 초기 인프라 요소는 선제적으로 구축하지만,
서버 구매는 실제 필요 시점에 맞춰 주문함으로써,
투자 효율성을 최대화하고, 수요 변화에 따른 리소스 재배치 가능성을 열어둡니다.
결론적으로:
Meta는 2025년에 대규모 CapEx 증가를 단행 중이며,
2026년에도 유사하거나 그 이상 수준의 CapEx 증가가 예상됩니다.
이는 모두 AI 인프라 확대와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이며,
ROI는 Core AI에서 이미 입증되고 있으며,
GenAI는 중장기 기회에 대한 신뢰 하에 선제 투자 중입니다.
Forwarded from 루팡
Pivotal Research, 메타 플랫폼스 ‘매수(Buy)’ 의견 유지, 목표주가 830달러에서 930달러로 상향
Forwarded from 루팡
개인용 초지능 (Personal Superintelligence)
– 마크 저커버그
지난 몇 달 동안 우리는 AI 시스템이 스스로를 개선하기 시작하는 초기 징후를 목격했습니다.
아직은 느리지만 명백한 변화이며, 초지능 개발은 이제 가시권 안에 들어왔습니다.
앞으로 수년 내에 AI는 기존 시스템 전반을 개선하고, 오늘날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새로운 창조와 발견을 가능하게 할 것임이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초지능을 어디에 활용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한편으로는 이는 인류에게 완전히 새로운 시대를 여는 것처럼 보이지만,
또 다른 면에서는 역사적 흐름의 연속이기도 합니다.
불과 200년 전만 해도, 인류의 90%는 생존을 위해 농사를 짓는 농부였습니다.
기술 발전은 지속적으로 인류를 생존 중심의 삶에서 해방시켰고,
그 덕분에 우리는 과학, 건강, 창의성, 문화, 관계, 삶의 즐거움을 더 깊이 추구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초지능이 인류의 발전 속도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매우 낙관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초지능이 개인을 강화시키는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각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AI가 만들어낼 물질적 풍요도 대단하겠지만,
더 근본적인 변화는 아마도 모든 사람이 ‘개인용 초지능’을 갖게 되면서
자신만의 목표를 이루고,
세상에 원하는 것을 만들고,
원하는 모험을 경험하며,
더 나은 친구가 되고,
스스로 바라는 모습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받게 되는 삶의 변화일 것입니다.
Meta의 비전은 모든 사람에게 개인용 초지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 강력한 기술이 각자의 가치와 인생 목표에 따라 활용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이는 업계 내 일부 기업들이 주장하는, 초지능을 중앙에서 통제해 모든 유용한 노동을 자동화하고,
인류가 그 결과물로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관점과는 분명히 다릅니다.
Meta는 각자의 열망을 추구해온 역사야말로 인류가 번영과 과학, 건강, 문화를 확장해온 방식이라 믿습니다.
앞으로도 이는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Meta는 기술과 인간 삶의 접점에 집중해 왔고, 이 접점은 앞으로도 더욱 핵심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흐름이 계속된다면, 사람들은 기존의 생산성 소프트웨어에 시간을 덜 쓰고,
창조와 연결에 더 많은 시간을 쓰게 될 것입니다.
우리를 깊이 이해하고, 우리의 목표를 돕는 개인 맞춤형 초지능이야말로
가장 유용한 기술이 될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보는 것을 보고, 우리가 듣는 것을 들으며, 하루 종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안경 같은 개인용 디바이스가
주요 컴퓨팅 기기가 될 것입니다.
우리는 초지능이 만드는 혜택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공유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물론 초지능은 새로운 안전 문제를 야기할 것이며,
이러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신중한 접근과 오픈소스 범위에 대한 면밀한 판단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사회를 구축하려면 개인의 권한을 최대한 강화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앞으로 남은 2020년대는 이 기술의 진로가 결정되는 결정적 시기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초지능이 개인을 위한 도구가 될지, 아니면 사회 전반을 대체하는 수단이 될지를 좌우하게 될 것입니다.
Meta는 모든 사람을 위한 개인용 초지능 구축을 강력히 지지합니다.
우리는 이를 위한 대규모 인프라를 구축할 자원과 전문성,
그리고 수십억 명에게 신기술을 전달할 실행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Meta의 미래는 이 목표를 향해 집중될 것입니다.
저는 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데 매우 큰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s://www.meta.com/superintelligence/
– 마크 저커버그
지난 몇 달 동안 우리는 AI 시스템이 스스로를 개선하기 시작하는 초기 징후를 목격했습니다.
아직은 느리지만 명백한 변화이며, 초지능 개발은 이제 가시권 안에 들어왔습니다.
앞으로 수년 내에 AI는 기존 시스템 전반을 개선하고, 오늘날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새로운 창조와 발견을 가능하게 할 것임이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초지능을 어디에 활용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한편으로는 이는 인류에게 완전히 새로운 시대를 여는 것처럼 보이지만,
또 다른 면에서는 역사적 흐름의 연속이기도 합니다.
불과 200년 전만 해도, 인류의 90%는 생존을 위해 농사를 짓는 농부였습니다.
기술 발전은 지속적으로 인류를 생존 중심의 삶에서 해방시켰고,
그 덕분에 우리는 과학, 건강, 창의성, 문화, 관계, 삶의 즐거움을 더 깊이 추구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초지능이 인류의 발전 속도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매우 낙관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초지능이 개인을 강화시키는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각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AI가 만들어낼 물질적 풍요도 대단하겠지만,
더 근본적인 변화는 아마도 모든 사람이 ‘개인용 초지능’을 갖게 되면서
자신만의 목표를 이루고,
세상에 원하는 것을 만들고,
원하는 모험을 경험하며,
더 나은 친구가 되고,
스스로 바라는 모습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받게 되는 삶의 변화일 것입니다.
Meta의 비전은 모든 사람에게 개인용 초지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 강력한 기술이 각자의 가치와 인생 목표에 따라 활용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이는 업계 내 일부 기업들이 주장하는, 초지능을 중앙에서 통제해 모든 유용한 노동을 자동화하고,
인류가 그 결과물로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관점과는 분명히 다릅니다.
Meta는 각자의 열망을 추구해온 역사야말로 인류가 번영과 과학, 건강, 문화를 확장해온 방식이라 믿습니다.
앞으로도 이는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Meta는 기술과 인간 삶의 접점에 집중해 왔고, 이 접점은 앞으로도 더욱 핵심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흐름이 계속된다면, 사람들은 기존의 생산성 소프트웨어에 시간을 덜 쓰고,
창조와 연결에 더 많은 시간을 쓰게 될 것입니다.
우리를 깊이 이해하고, 우리의 목표를 돕는 개인 맞춤형 초지능이야말로
가장 유용한 기술이 될 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보는 것을 보고, 우리가 듣는 것을 들으며, 하루 종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안경 같은 개인용 디바이스가
주요 컴퓨팅 기기가 될 것입니다.
우리는 초지능이 만드는 혜택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공유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물론 초지능은 새로운 안전 문제를 야기할 것이며,
이러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신중한 접근과 오픈소스 범위에 대한 면밀한 판단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사회를 구축하려면 개인의 권한을 최대한 강화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앞으로 남은 2020년대는 이 기술의 진로가 결정되는 결정적 시기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초지능이 개인을 위한 도구가 될지, 아니면 사회 전반을 대체하는 수단이 될지를 좌우하게 될 것입니다.
Meta는 모든 사람을 위한 개인용 초지능 구축을 강력히 지지합니다.
우리는 이를 위한 대규모 인프라를 구축할 자원과 전문성,
그리고 수십억 명에게 신기술을 전달할 실행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Meta의 미래는 이 목표를 향해 집중될 것입니다.
저는 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데 매우 큰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s://www.meta.com/superintelligence/
Meta
Personal Superintelligence
Explore Meta's vision of personal superintelligence, where AI empowers individuals to achieve their goals, create, connect, and lead fulfilling lives. Insights from Mark Zuckerberg on the future of AI and human empowerment.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미국 주요 지수 선물 현황
- S&P500: +0.74%
- Dow: +0.19%
- Nasdaq100: +1.06%
- Russell2000: -0.56%
» 파월의장의 매파적 기자회견 내용을 반영하면서 발생했던 약세 흐름이 Microsoft, Meta의 실적과 한미 무역협상 결과 확인 과정을 통해 전환
- S&P500: +0.74%
- Dow: +0.19%
- Nasdaq100: +1.06%
- Russell2000: -0.56%
» 파월의장의 매파적 기자회견 내용을 반영하면서 발생했던 약세 흐름이 Microsoft, Meta의 실적과 한미 무역협상 결과 확인 과정을 통해 전환
Forwarded from 루팡
Robinhood 2025년 2분기 실적(시간외 +0.9%)
매출: 9억 8,900만 달러 (예상: 9억 1,300만 달러); 전년 대비 +45%
주당순이익(EPS): 0.42달러 (예상: 0.31달러); 전년 대비 +100%
조정 EBITDA: 5억 4,900만 달러 (예상: 4억 5,720만 달러); 전년 대비 +82%
조정 영업비용(OpEx): 4억 4,400만 달러 (예상: 4억 6,420만 달러)
부문별 매출
거래 기반 매출: 5억 3,900만 달러 (예상: 5억 2,130만 달러); 전년 대비 +65%
- 옵션: 2억 6,500만 달러; +46%
- 암호화폐: 1억 6,000만 달러; +98%
- 주식: 6,600만 달러 (예상: 7,090만 달러); +65%
순이자수익: 3억 5,700만 달러 (예상: 3억 1,020만 달러); +25%
기타 수익: 9,300만 달러 (예상: 9,220만 달러); +33%
주요 운영 지표
자금 납입 고객 수: 2,650만 명; +10%
투자 계좌 수: 2,740만 개; +10%
순입금: 138억 달러; 연환산 기준 +25% 성장
플랫폼 자산: 2,790억 달러; +99%
고객당 평균 수익(ARPU): 151달러; +34%
Robinhood Gold 가입자 수: 350만 명; +76%
추가 핵심 지표
은퇴 계좌 운용자산(AUC): 190억 달러; +118%
예치금 잔고(Cash Sweep): 327억 달러; +56%
마진 대출 잔액: 95억 달러; +90%
주식 명목 거래액: 5,170억 달러; +112%
옵션 계약 체결 수: 5억 1,500만 건; +32%
앱 기반 암호화폐 거래량: 280억 달러; +32%
Bitstamp 암호화폐 거래량(인수 이후): 70억 달러
자본 및 비용 관련
현금 및 현금성 자산: 42억 달러
자사주 매입: 2분기 중 1억 2,400만 달러
2025년 조정 영업비용 및 주식보상(SBC) 가이던스: 21.5억22.5억 달러 (기존: 20.85억21.85억 달러)
경영진 코멘트
CFO 제이슨 워닉: “2분기는 시장 점유율 확대, Bitstamp 인수 완료, 비용 절제 등에서 또 하나의 훌륭한 분기였습니다.”
CEO 블라드 테네프: “우리는 업계 지난 10년간 최대 혁신인 토큰화를 도입했습니다.”
“3분기도 순입금 60억 달러와 강력한 전 부문 거래 흐름으로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암호화폐 확장: 유럽에 주식 토큰 출시, 30개 EU 국가로 확장, Bitstamp 인수 완료, WonderFi 인수 계약 체결
Gold 카드, 은퇴 자산, 디지털 자문 서비스 모두 강력한 성과 보임
매출: 9억 8,900만 달러 (예상: 9억 1,300만 달러); 전년 대비 +45%
주당순이익(EPS): 0.42달러 (예상: 0.31달러); 전년 대비 +100%
조정 EBITDA: 5억 4,900만 달러 (예상: 4억 5,720만 달러); 전년 대비 +82%
조정 영업비용(OpEx): 4억 4,400만 달러 (예상: 4억 6,420만 달러)
부문별 매출
거래 기반 매출: 5억 3,900만 달러 (예상: 5억 2,130만 달러); 전년 대비 +65%
- 옵션: 2억 6,500만 달러; +46%
- 암호화폐: 1억 6,000만 달러; +98%
- 주식: 6,600만 달러 (예상: 7,090만 달러); +65%
순이자수익: 3억 5,700만 달러 (예상: 3억 1,020만 달러); +25%
기타 수익: 9,300만 달러 (예상: 9,220만 달러); +33%
주요 운영 지표
자금 납입 고객 수: 2,650만 명; +10%
투자 계좌 수: 2,740만 개; +10%
순입금: 138억 달러; 연환산 기준 +25% 성장
플랫폼 자산: 2,790억 달러; +99%
고객당 평균 수익(ARPU): 151달러; +34%
Robinhood Gold 가입자 수: 350만 명; +76%
추가 핵심 지표
은퇴 계좌 운용자산(AUC): 190억 달러; +118%
예치금 잔고(Cash Sweep): 327억 달러; +56%
마진 대출 잔액: 95억 달러; +90%
주식 명목 거래액: 5,170억 달러; +112%
옵션 계약 체결 수: 5억 1,500만 건; +32%
앱 기반 암호화폐 거래량: 280억 달러; +32%
Bitstamp 암호화폐 거래량(인수 이후): 70억 달러
자본 및 비용 관련
현금 및 현금성 자산: 42억 달러
자사주 매입: 2분기 중 1억 2,400만 달러
2025년 조정 영업비용 및 주식보상(SBC) 가이던스: 21.5억22.5억 달러 (기존: 20.85억21.85억 달러)
경영진 코멘트
CFO 제이슨 워닉: “2분기는 시장 점유율 확대, Bitstamp 인수 완료, 비용 절제 등에서 또 하나의 훌륭한 분기였습니다.”
CEO 블라드 테네프: “우리는 업계 지난 10년간 최대 혁신인 토큰화를 도입했습니다.”
“3분기도 순입금 60억 달러와 강력한 전 부문 거래 흐름으로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암호화폐 확장: 유럽에 주식 토큰 출시, 30개 EU 국가로 확장, Bitstamp 인수 완료, WonderFi 인수 계약 체결
Gold 카드, 은퇴 자산, 디지털 자문 서비스 모두 강력한 성과 보임
Forwarded from 루팡
도널드 J. 트럼프
나는 미국이 대한민국과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협정"을 체결하게 되었음을 기쁘게 발표합니다. 이번 협정에 따라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나(대통령)가 직접 선정한 투자에 대해 3,500억 달러를 미국에 제공하게 됩니다. 또한 한국은 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1,000억 달러어치 구매할 것이며, 한국은 투자 목적을 위해 막대한 금액을 추가로 투자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 금액은 앞으로 2주 안에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해 양자 회담을 가질 때 발표될 예정입니다. 나는 또한 새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드리고 싶습니다.
이번 협정을 통해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을 전면 개방하기로 했으며, 미국산 자동차 및 트럭, 농산물 등 다양한 제품을 수용하기로 했습니다. 우리는 한국산 제품에 대해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했으며, 미국에는 어떠한 관세도 부과되지 않을 것입니다. 오늘 협상에 참여해 준 무역대표단에 감사드리며, 여러분의 국가가 이룬 위대한 성공에 대해 이야기 나누게 되어 영광이었습니다!
나는 미국이 대한민국과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협정"을 체결하게 되었음을 기쁘게 발표합니다. 이번 협정에 따라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나(대통령)가 직접 선정한 투자에 대해 3,500억 달러를 미국에 제공하게 됩니다. 또한 한국은 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1,000억 달러어치 구매할 것이며, 한국은 투자 목적을 위해 막대한 금액을 추가로 투자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 금액은 앞으로 2주 안에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해 양자 회담을 가질 때 발표될 예정입니다. 나는 또한 새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드리고 싶습니다.
이번 협정을 통해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을 전면 개방하기로 했으며, 미국산 자동차 및 트럭, 농산물 등 다양한 제품을 수용하기로 했습니다. 우리는 한국산 제품에 대해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했으며, 미국에는 어떠한 관세도 부과되지 않을 것입니다. 오늘 협상에 참여해 준 무역대표단에 감사드리며, 여러분의 국가가 이룬 위대한 성공에 대해 이야기 나누게 되어 영광이었습니다!
Forwarded from 한화투자증권 경제 임혜윤
** 한-미 무역협상 타결 update
1) 관세 15%: 자동차도 포함(대통령실)
2) 3,500억 달러 투자
: 조선 1500억, 반도체/2차전지/바이오/원전 등 2000억 펀드 조성(대통령실)
: 일본과 비슷하다면 실제 출자액은 5% 미만, 나머지는 융자나 보증 형식일 가능성
: 지난해 대미 직접투자(ODI)는 223억 달러
3) LNG 등 에너지 제품 1,000억 달러 수입
: 지난해 대미국 에너지 수입은 LNG 31억, 원유 포함하면 206억 달러
: 미국산 에너지 수입은 꾸준히 늘어날 듯
4) 자동차, 농산물 등 시장 완전 개방(트럼프)
: 쌀과 소고기 추가 개방 없음(대통령실)
: 농업 분야 이미 미국에 99.7% 개방. 0.3%에 포함되는 쌀과 소고기를 지킨 것(대통령실)
: 한국은 이미 미국산 소고기 제1수입국임을 미국이 공감(대통령실)
1) 관세 15%: 자동차도 포함(대통령실)
2) 3,500억 달러 투자
: 조선 1500억, 반도체/2차전지/바이오/원전 등 2000억 펀드 조성(대통령실)
: 일본과 비슷하다면 실제 출자액은 5% 미만, 나머지는 융자나 보증 형식일 가능성
: 지난해 대미 직접투자(ODI)는 223억 달러
3) LNG 등 에너지 제품 1,000억 달러 수입
: 지난해 대미국 에너지 수입은 LNG 31억, 원유 포함하면 206억 달러
: 미국산 에너지 수입은 꾸준히 늘어날 듯
4) 자동차, 농산물 등 시장 완전 개방(트럼프)
: 쌀과 소고기 추가 개방 없음(대통령실)
: 농업 분야 이미 미국에 99.7% 개방. 0.3%에 포함되는 쌀과 소고기를 지킨 것(대통령실)
: 한국은 이미 미국산 소고기 제1수입국임을 미국이 공감(대통령실)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7/31 한-미 무역협상 타결과 영향
트럼프 미 대통령은 오늘, 미국과 한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고 공식 발표. 이번 합의에 따라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선정하는 분야에 총 3,500억 달러의 투자 자금을 제공하기로 했음. 또한, 한국은 미국산 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1,000억 달러 규모로 구매하고, 별도로 한국 측 목적의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도 2주 내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주장. 이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은 2주 후 백악관을 방문해 양자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며, 그 자리에서 추가 투자의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될 것이라고 주장
.
한편, 이번 합의에는 한국의 미국 제품에 대한 완전한 시장 개방도 포함됨. 자동차, 트럭,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이 한국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해 한국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는 15%로 설정되고, 미국 제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음. 트럼프 대통령은 이 협상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며, 협상에 참여한 한국 대표단을 만나 "그들의 국가적 성공에 대해 이야기하게 되어 영광이었다"고 언급.
이번 한·미 무역협정 타결로 인해 한국 주식시장에는 긍정적으로 반응을 보일 것으로 시장은 기대. 물론 그동안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선반영되며 주요 수출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주가가 상승해왔고, 실제 합의가 발표되면서 시장은 무역 리스크 해소와 관세 부담 완화라는 명확한 호재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 특히 미국 시장에 수출 비중이 큰 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의 업종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음
시장에서는 미국이 한국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한 것만으로도 투자 환경이 안정됐다고 평가. 다만, 이번 관세 조치로 한국 무역수지 악화 이슈는 주시할 필요가 있음. 그렇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증시에 긍정적이지만, 상승세가 지속되기 보다는 기업들의 실적, 그리고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 등을 더 주목해야 할 것으로 판단. 현재 미국 주식시장 시간외 흐름을 보면 MS와 메타의 실적 발표 후 두 종목이 각각 8%와 11% 급등. 아마존도 3% 상승하고 있으며 엔비디아도 2%대 상승. 그러나 그 외 종목군은 대부분 0.5% 내외 하락하는 등 극단적인 쏠림 현상이 진행되고 있음.
트럼프 미 대통령은 오늘, 미국과 한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고 공식 발표. 이번 합의에 따라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선정하는 분야에 총 3,500억 달러의 투자 자금을 제공하기로 했음. 또한, 한국은 미국산 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1,000억 달러 규모로 구매하고, 별도로 한국 측 목적의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도 2주 내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주장. 이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은 2주 후 백악관을 방문해 양자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며, 그 자리에서 추가 투자의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될 것이라고 주장
.
한편, 이번 합의에는 한국의 미국 제품에 대한 완전한 시장 개방도 포함됨. 자동차, 트럭,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이 한국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해 한국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는 15%로 설정되고, 미국 제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음. 트럼프 대통령은 이 협상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며, 협상에 참여한 한국 대표단을 만나 "그들의 국가적 성공에 대해 이야기하게 되어 영광이었다"고 언급.
이번 한·미 무역협정 타결로 인해 한국 주식시장에는 긍정적으로 반응을 보일 것으로 시장은 기대. 물론 그동안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선반영되며 주요 수출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주가가 상승해왔고, 실제 합의가 발표되면서 시장은 무역 리스크 해소와 관세 부담 완화라는 명확한 호재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 특히 미국 시장에 수출 비중이 큰 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의 업종이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평가도 있음
시장에서는 미국이 한국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한 것만으로도 투자 환경이 안정됐다고 평가. 다만, 이번 관세 조치로 한국 무역수지 악화 이슈는 주시할 필요가 있음. 그렇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증시에 긍정적이지만, 상승세가 지속되기 보다는 기업들의 실적, 그리고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 등을 더 주목해야 할 것으로 판단. 현재 미국 주식시장 시간외 흐름을 보면 MS와 메타의 실적 발표 후 두 종목이 각각 8%와 11% 급등. 아마존도 3% 상승하고 있으며 엔비디아도 2%대 상승. 그러나 그 외 종목군은 대부분 0.5% 내외 하락하는 등 극단적인 쏠림 현상이 진행되고 있음.
Forwarded from [한국투자증권] 경제/채권/자산배분/크레딧 Macro팀
[한투증권 자산관리전략부] 관세 협상 코멘트
▶ 한국-미국간 무역협상 타결
- 트럼프, 한국시각 7월 31일 오전 7시 16분 TruthSocial에서 한국과 무역협상 타결하기로 하였다고 밝혔음
-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가는 품목에 대한 보편관세율 15% 적용, 미국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품목에는 관세 미적용
- 한국은 이에 대한 댓가로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 수준의 투자 및 1천억달러(약 139조원) 수준의 LNG 및 기타 미국산 에너지 수입
- 세부내용은 2주 후 이재명대통령이 미국 백악관 방문시 나올 것으로 예상하며, 금일(7.31) 오전 8시 정책실장 긴급브리핑이 예정되어 있음
▶ 현재 기준 경제성장률 전망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임
- 반도체 및 의약품 관세율 0%, 자동차 관세율 25%, 철강 및 알루미늄 50% 관세율이 그대로 유지되었다고 할 경우 우리나라의 미 수출 실효관세율은 15.1%에서 17.3%로 상승
- 위의 관세율 상승은 한국은행에서 5월 경제전망 발표시 가정한 바에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으로는 향후 12개월간 우리나라 GDP에 0.2%p가량 추가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2025년 -0.09%p, 2026년 -0.12%p)
▶ 올해 10월 한국은행 25bp 인하 및 연말 기준금리 2.25% 전망 유지
- 구체적인 관세협상 세부내용이 나와야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나, 현재로서는 한국은행은 8월 금통위에서 GDP 성장률 전망을 유의미하게 수정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 관세협상 결과가 최악의 상황을 면한 만큼 한국은행은 금융안정리스크를 주로 고려하여 8월 금통위에서는 동결한 후 10월에 인하할 것으로 예상
- 한국부동산원 기준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전주대비(WoW) 0.1% 이하로 내려와 추세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나, 현재 서울 아파트 거래량 및 거래흐름을 고려해 보았을 때 8월 초 이후 가격상승률은 오히려 반등할 것으로 보임
▶ 한국-미국간 무역협상 타결
- 트럼프, 한국시각 7월 31일 오전 7시 16분 TruthSocial에서 한국과 무역협상 타결하기로 하였다고 밝혔음
-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가는 품목에 대한 보편관세율 15% 적용, 미국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품목에는 관세 미적용
- 한국은 이에 대한 댓가로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 수준의 투자 및 1천억달러(약 139조원) 수준의 LNG 및 기타 미국산 에너지 수입
- 세부내용은 2주 후 이재명대통령이 미국 백악관 방문시 나올 것으로 예상하며, 금일(7.31) 오전 8시 정책실장 긴급브리핑이 예정되어 있음
▶ 현재 기준 경제성장률 전망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임
- 반도체 및 의약품 관세율 0%, 자동차 관세율 25%, 철강 및 알루미늄 50% 관세율이 그대로 유지되었다고 할 경우 우리나라의 미 수출 실효관세율은 15.1%에서 17.3%로 상승
- 위의 관세율 상승은 한국은행에서 5월 경제전망 발표시 가정한 바에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으로는 향후 12개월간 우리나라 GDP에 0.2%p가량 추가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2025년 -0.09%p, 2026년 -0.12%p)
▶ 올해 10월 한국은행 25bp 인하 및 연말 기준금리 2.25% 전망 유지
- 구체적인 관세협상 세부내용이 나와야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나, 현재로서는 한국은행은 8월 금통위에서 GDP 성장률 전망을 유의미하게 수정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 관세협상 결과가 최악의 상황을 면한 만큼 한국은행은 금융안정리스크를 주로 고려하여 8월 금통위에서는 동결한 후 10월에 인하할 것으로 예상
- 한국부동산원 기준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전주대비(WoW) 0.1% 이하로 내려와 추세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나, 현재 서울 아파트 거래량 및 거래흐름을 고려해 보았을 때 8월 초 이후 가격상승률은 오히려 반등할 것으로 보임
[속보]대통령실 “반도체·원전·이차전지·바이오 등 2000억달러 펀드”
https://www.sedaily.com/NewsView/2GVKAIGQBV
[속보] 한미 국방장관 첫 통화…"확장억제 심화, 조선·MRO 협력 확대"
https://www.dailian.co.kr/news/view/1530057/
[속보] 대통령실 "1500억달러 조선협력 전용펀드…美 진출 뒷받침"
https://www.sedaily.com/NewsView/2GVKAIM5Z2
[속보] 정책실장 "자동차 관세 15%로 낮춰 ... 쌀·소고기 시장 추가개방 않기로"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7/31/2025073100048.html
[속보]대통령실 "방위비·미국산 무기구매 추가양보 없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7310809170714
[속보] 미 상무 "한국 반도체·의약품 관세는 타국보다 불리하지 않게"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0731082326251
[속보] 대통령실 "반도체·의약품, 품목관세 있어도 '최혜국 대우' 적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3128337
[속보] 미 상무 "철강·알루미늄·구리 관세는 변동 없어"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0731082438267
[속보] 트럼프 "2주 후 이재명 대통령과 백악관서 정상회담"
https://www.yna.co.kr/view/AKR20250731026500071
[속보] 대통령실 "한미간 온플법 얘기 없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VKA7MNSX
https://www.sedaily.com/NewsView/2GVKAIGQBV
[속보] 한미 국방장관 첫 통화…"확장억제 심화, 조선·MRO 협력 확대"
https://www.dailian.co.kr/news/view/1530057/
[속보] 대통령실 "1500억달러 조선협력 전용펀드…美 진출 뒷받침"
https://www.sedaily.com/NewsView/2GVKAIM5Z2
[속보] 정책실장 "자동차 관세 15%로 낮춰 ... 쌀·소고기 시장 추가개방 않기로"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5/07/31/2025073100048.html
[속보]대통령실 "방위비·미국산 무기구매 추가양보 없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7310809170714
[속보] 미 상무 "한국 반도체·의약품 관세는 타국보다 불리하지 않게"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0731082326251
[속보] 대통령실 "반도체·의약품, 품목관세 있어도 '최혜국 대우' 적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3128337
[속보] 미 상무 "철강·알루미늄·구리 관세는 변동 없어"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0731082438267
[속보] 트럼프 "2주 후 이재명 대통령과 백악관서 정상회담"
https://www.yna.co.kr/view/AKR20250731026500071
[속보] 대통령실 "한미간 온플법 얘기 없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VKA7MNSX
서울경제
[속보]대통령실 “반도체·원전·이차전지·바이오 등 2000억달러 펀드”
정치 > 대통령실 뉴스: [속보]대통령실 “반도체·원전·이차전지·바이오 등 2000억달러 펀드”
Forward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경훈 김)
# 한국 관세 최종합의 : $100bn 👉 $200bn 👉 $450bn
1. 합의 내용
• 미국과 대한민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협정에 합의
• 협정은 미국 대통령이 직접 협상 및 발표
2. 재정적 투자
• $350bn를 미국 투자. 해당 투자는 미국이 소유 및 통제하며, 투자 대상은 미국 대통령이 직접 선정
• $100bn 규모의 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미국에서 구매
• 한국이 자체 투자 목적으로 대규모 추가 투자를 약속. 구체 금액은 2주 내 발표 예정
• 발표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해 양자 회담을 가질 때 진행
3. 무역 조건
•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을 완전 개방
• 자동차, 농산물, 기타 미정 제품들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 수입 허용
4. 관세율
• 미국산 제품의 한국 수출: 관세 0%
• 한국산 제품의 미국 수출: 관세 15%
1. 합의 내용
• 미국과 대한민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 무역 협정에 합의
• 협정은 미국 대통령이 직접 협상 및 발표
2. 재정적 투자
• $350bn를 미국 투자. 해당 투자는 미국이 소유 및 통제하며, 투자 대상은 미국 대통령이 직접 선정
• $100bn 규모의 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미국에서 구매
• 한국이 자체 투자 목적으로 대규모 추가 투자를 약속. 구체 금액은 2주 내 발표 예정
• 발표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해 양자 회담을 가질 때 진행
3. 무역 조건
•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을 완전 개방
• 자동차, 농산물, 기타 미정 제품들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 수입 허용
4. 관세율
• 미국산 제품의 한국 수출: 관세 0%
• 한국산 제품의 미국 수출: 관세 15%
Forwarded from DAOL 시황 김지현 & 경제/전략 조병현
[다올 시황 김지현]
한미 관세 협상 타결 (대통령실 브리핑 기준)
상호관세 25% -> 15%
- 자동차 관세 15%
-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대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예정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
3,500억 달러 규모 펀드
- 한미 조선협력 펀드 1,500억 달러
선박 건조, MRO(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
- 반도체,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 대미 투자펀드 2000억 달러
👉 관세 불확실성 해소. 관세수혜주 조선, 원전 + 관세피해주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순환매 예상. 서해 MRO 유치 시 중국과 관계 우려 심리 선제적으로 유입되며 엔터, 호텔레저 투심에는 단기 악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39982
한미 관세 협상 타결 (대통령실 브리핑 기준)
상호관세 25% -> 15%
- 자동차 관세 15%
-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대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예정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
3,500억 달러 규모 펀드
- 한미 조선협력 펀드 1,500억 달러
선박 건조, MRO(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
- 반도체, 원전, 이차전지, 바이오 등 대미 투자펀드 2000억 달러
👉 관세 불확실성 해소. 관세수혜주 조선, 원전 + 관세피해주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순환매 예상. 서해 MRO 유치 시 중국과 관계 우려 심리 선제적으로 유입되며 엔터, 호텔레저 투심에는 단기 악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39982
Naver
대통령실 "車 관세 15%로…쌀·소고기 시장 추가개방 않기로"
"조선협력 펀드 1천500억…반도체·원전·이차전지·바이오 2천억 달러" 고동욱 황윤기 기자 = 대통령실은 31일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상호관세만이 아니라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도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브라질 50% 관세 부과일 7일 연기. 일부 품목에 대해선 관세를 면제
위 리스트들은 관세 면제 품목들. 단 육류, 커피, 망고 등 모든 과일에 관세가 부과되면서 식량은 여전히 심각한 문제
위 리스트들은 관세 면제 품목들. 단 육류, 커피, 망고 등 모든 과일에 관세가 부과되면서 식량은 여전히 심각한 문제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브라질 7월 Copom 요약
트럼프의 브라질 관세 일부 면제 및 7일 연장 조치 발표 1시간 뒤 BCB는 기준금리를 처음으로 동결
- 기준금리 15.00% 동결 (7차례 연속 인상 후 처음 동결)
- 포워드가이던스도 지난 6월과 크게 바뀌지 않았음
- 성명서에서는 현재 금리 수준이 "매우 장기간" 유지될 경우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수렴할 수 있을지 여부를 평가할 것이라고 밝힘
- 필요하다면 금리 인상을 재개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
트럼프의 브라질 관세 일부 면제 및 7일 연장 조치 발표 1시간 뒤 BCB는 기준금리를 처음으로 동결
- 기준금리 15.00% 동결 (7차례 연속 인상 후 처음 동결)
- 포워드가이던스도 지난 6월과 크게 바뀌지 않았음
- 성명서에서는 현재 금리 수준이 "매우 장기간" 유지될 경우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수렴할 수 있을지 여부를 평가할 것이라고 밝힘
- 필요하다면 금리 인상을 재개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