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2K photos
88 videos
185 files
15.5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미국 6월 상품 무역수지

미국 6월 상품 무역적자는 예상보다 큰 폭으로 감소. 관세 부과 전 상품 확보 경쟁이 완화되면서 수입이 전반적으로 감소했기 때문

상품 무역적자는 전월 대비 10.8% 감소한 860억 달러. 수입은 4.2% 감소, 수출은 0.6% 감소

관세 부과 직전 수입 급증으로 순수출은 1분기 GDP를 왜곡시켰음. 2분기 들어서는 수입 경쟁이 완화되면서 순수출이 GDP에 기여할 전망

내일 성장률 발표전 애틀란타 연은의 2분기 전망 최종치는 2.9%

출처: Bloomberg
최근 2개월 간 미국 상품 수출은 6.2% 하락. 이는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

하지만 더 심각한건 상품 수입. 지난 3개월 간 소비재 수입은 43.9% 하락.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감소폭
3차 미중 협상은 "진행형"

유예연장


미국과 중국 고위급 대표단이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3차 무역 협상을 마무리했습니다.

양측은 서로 부과하기로 했던 관세 유예 기한을 추가로 연장하기로 뜻을 모았는데, 미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달렸다고 밝혔습니다.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결정적인 딜이 성공하지 못한것인데요, 디테일면에서는 20% 의 펜타닐 관세 인하와 "시장대개방, 위안화"가 맞설수 있습니다.

시한은 좀 더 뒤로 미루고 가을 미중 정상회담에서 결정지어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t.me/jkc123
美中, 3차 고위급 무역협상서 '관세 휴전 90일 연장' 잠정 합의(종합) | 연합뉴스

美 베선트-中 허리펑, 이틀간 진행한 스톡홀름회담 종료 후 발표

中 "상호관세-보복조치 유예연장 추진"…美 "트럼프가 최종 승인"

https://www.yna.co.kr/view/AKR20250730002751083
일라이 릴리 X 게이트 바이오사이언스 ‘분자 게이트(Molecular Gates)’ 기반 신약 공동개발

총 계약 규모 : 최대 8억 5,600만 달러 (Biobucks)

지급 구조 : 선급금(비공개) + 지분 투자 + 개발 및 상업화 마일스톤 + 매출 기반 로열티

파트너쉽 형태 : 기술이전 + 공동연구 + 전임상 R&D 인프라 지원 (Lilly ExploR&D)

🧬기술 핵심: 분자 게이트(Molecular Gates)
» 기존 약물로 표적화가 어려운 ‘약물 저항성 또는 비접근성 단백질’을 세포 밖으로 분비되기 전에 차단/제거하는 저분자 화합물 플랫폼.

작용 기전상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내 단백질 이동을 제어.

🧬강점 및 특징
경구 투여 가능성.

혈액-뇌 장벽(BBB) 통과 가능성 보유.

질병의 원인 단백질을 근원적으로 제거 가능.

🧬적응증 영역 (계획)
염증성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고형암 등
※ 구체 타깃은 아직 비공개.

🧬Gate의 discovery engine + Lilly의 전임상 인프라 결합
릴리의 Explor&D 프로그램 지원 하에 후보물질 공동 발굴

Catalyze360 포트폴리오 일환
과거 협력 사례: Insitro (siRNA), Oblique (항체 플랫폼)

최근 릴리는 최근 Camurus(비만치료제), Juvena(근육보존), Verve(유전자 편집) 등과의 공격적 협업 진행 → 혁신 플랫폼 선점 전략 지속하고 있음.

🧬Molecular Gate 기술은
기존의 단백질 분해 기술과 달리, 분비 차단이라는 새로운 모달리티를 활용

BBB 투과 경구제라는 점에서 신경계 약물 개발에도 잠재력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미국 주요 IB 애널리스트 투자 의견 요약 [7/29 기준]

🟩 신규 커버리지 / 투자의견 상향 (Upgrade / Initiation)

1. Microsoft (MSFT) – Buy 유지 | Goldman Sachs
• 클라우드 전환기와 유사하게 반복 수익 기반 모델로 전환 중
• 자본 효율성과 마진 구조 개선 기대감 부각

2. IonQ (IONQ) – Buy 신규 | Rosenblatt

• 퀀텀 컴퓨팅 시장 진입 수단으로 매력적
• 차세대 컴퓨팅 시대를 이끄는 대표 종목으로 주목, 목표가 $70

3. Blackline (BL) – Outperform 상향 | Raymond James
• 수익성 개선과 신규 수주 증가 기대
• 내러티브 전환 타이밍 도래 가능성

4. Generac (GNRC) – Buy 상향 | Guggenheim

• 상업용 배터리 중심 성장 기대
• 주택용 태양광·저장장치 사업 철수 가능성 → 수익성 개선

🟨 기존 투자의견 유지 + 목표가 변경


1. Apple (AAPL) – Perform 유지 | Oppenheimer

• F3Q25 실적은 중립적 전망, F4Q25 매출 가이던스 주목
• 서비스 매출 성장과 중국 매출 추이 중요 변수

2. Coinbase (COIN) – Buy 유지 / 목표가 $270 → $505 상향 | Citi

• GENIUS Act, CLARITY Act 통과와 S\&P500 편입 등 주요 모멘텀
• 규제 명확성 확보로 장기 성장 기대감 강화

3. Roblox (RBLX) – Buy 유지 / 목표가 $103 → $133 상향 | Bank of America
• 메타버스 기반 사용자 증가 → 개발자와 브랜드 유입의 선순환 구조
• 중장기 성장률 20%대 중반 지속 전망

4. AMD (AMD) – Buy 유지 / 목표가 $175 → $200 상향 | Bank of America

• 인텔 대비 ASP 프리미엄 확보 (PC +17%, 서버 +64%)
• 실적 발표 앞두고 AI/서버 수요 강세 반영

5. IBM (IBM) – Buy 유지 | Bank of America

• 반복 수익 기반 + 견조한 마진 구조 → 방어적 투자매력
• 비용 절감, 견조한 대차대조표, 점유율 확대 가능성

6. Tesla (TSLA) – Outperform 유지 / 목표가 $319 → $325 상향 | RBC
• 로보택시 오스틴 출시 성과 긍정적
• 장기적으로 자율주행 및 도시 확장 기대

7. Disney (DIS) – Overweight 유지 / 목표가 $130 → $138 상향 | JPMorgan
• 미디어 산업 역풍 속에서도 콘텐츠/스트리밍/파크 부문 경쟁력 주목
• 자본 효율적 배분 가능성으로 업종 내 최선호

8. CoreWeave – Hold 유지 | Deutsche Bank

• 8/12 실적 발표 예정, 또다시 매출 상회 기대
•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 고성장 지속

🟥 투자의견 하향 (Downgrade)

1. Domino’s Pizza (DPZ) – Sector Perform 하향 | RBC
• 2026년 동일점포 매출 성장률 둔화 가능성
• 밸류에이션 확장 여력 제한적

2. Tapestry (TPR) – Neutral 하향 | Bank of America
• Coach 브랜드 성장세는 유지되나, 주가 YTD +66% 급등
• 현 주가는 공정가치 근접 판단

3. Whirlpool (WHR) – Underperform 하향 / 목표가 $100 → $70 하향 | Bank of America

• 2Q 실적과 가이던스 모두 실망
• 배당금 삭감과 다수 부정적 촉매 요인 존재
궈밍치가 본 Tesla-Samsung 협력

=====

# Tesla와 Samsung의 AI6 거래, 칩 산업의 힘의 균형을 뒤흔들 수 있다:

애플 최고 분석가 Ming-Chi Kuo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술 분석가 TF International Securities의 Ming-Chi Kuo는 Tesla와 Samsung 간의 165억 달러 규모의 AI6 거래에 대한 통찰력을 공유했다. 분석가에 따르면, 이 거래는 Tesla가 칩 설계 및 제조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다.
Kuo의 지지 선언은 X에 게시되었으며, 이 거래가 전기차 제조업체의 공급망을 재편하고 반도체 산업에서 Tesla의 입지를 강화할 잠재력을 강조했다. Kuo는 “지구상 최고의 애플 분석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의 놀라울 정도로 정확한 예측으로 유명하다. 그는 Tesla와 Samsung의 파트너십이 게임 체인저(game-changer)라고 언급했다.

Tesla의 전략적 이점
Kuo는 Tesla가 Samsung의 텍사스 파운드리(Fab)에 접근함으로써 EV 제조업체의 칩 설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CEO 엘론 머스크(Elon Musk)가 X에서 “개인적으로 생산 라인을 걷고 시설의 진행 속도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히며 부각되었다.
Kuo는 X 포스트에서 “엘론 머스크와 Tesla에게는 실질적인 파운드리 경험을 매우 낮은 비용으로 얻을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된다. 이는 TSMC가 결코 허용하지 않을 일이다”라고 썼다.
이 거래는 Samsung의 새로운 테일러(Taylor), 텍사스 시설이 Tesla의 AI6 칩을 생산하도록 맡기며, 이 칩은 Cybercab과 Optimus와 같은 대량 생산 제품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Kuo의 분석은 Tesla가 현재 TSMC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을 다변화하는 움직임을 강조했다. TSMC는 지금까지 Tesla의 AI5 칩을 생산하기 위해 계약을 맺어 왔다.

도전 과제와 낙관론
Kuo는 Samsung의 2nm SF2 공정이 TSMC의 2nm N2 노드에 비해 수율(yield)이 낮다는 위험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엘론 머스크의 실행력은 입증된 바 있으며, SF2가 SF3와 동일한 GAA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촉진될 것”이라고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만약 Samsung이 실패하더라도, Kuo는 Tesla가 AI6 거래를 TSMC로 옮길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설계 노하우를 흡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TSMC는 Tesla의 Cybercab 및 Optimus 사업 규모를 고려할 때, Tesla의 사업을 수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Kuo는 “생산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Tesla의 최악의 시나리오는 AI6의 지연을 흡수하며 주문을 TSMC로 되돌리는 것이다. 그러나 Tesla의 실질적인 AI 기술력은 AI6 지연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어찌 되었든 Tesla는 향상된 설계 능력과 더 깊은 칩 제조 노하우를 얻는다”고 썼다.

Samsung에 대한 전망
Kuo는 이 거래를 Samsung에게는 저위험(high-reward) 시나리오로 보았다. Tesla 거래는 한국의 기술 거물인 Samsung의 파운드리 사업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으며, TSMC의 경쟁자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Kuo는 “AI6가 순조롭게 대량 생산에 도달하면, 칩 설계와 제조는 엘론 머스크의 모든 사업에서 핵심 경쟁 우위가 될 수 있다. 이는 더 큰 유연성과 낮은 비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Samsung이 고급 노드에서 TSMC를 완전히 따라잡지 못하더라도, 고객이 제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견한 셈이다”라고 썼다.

🇺🇸급등일보 미국주식 @FastStockNewsUSA
실적 발표 기업 주가 흐름

*스포티파이 본장 -11.6%, after market +0.2%
- 2분기 실적 및 3분기 가이던스 기대치 하회
- 예상보다 높은 마케팅, 서비스 비용 집행하며 2분기 적자 기록

*스타벅스 본장 -0.8%, after market +3.7%
- US 동일매장매출이 -2% 감소했지만 우려보다 나은 결과가 나옴
- 6개 분기 연속으로 핵심 지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CEO Brian Niccol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체질 개선 중
- 중국 동일매장매출은 2% 증가. 신규 음료 출시, 루이싱커피와의 경쟁을 위한 가격 인하 효과
<IMF 수정경제전망 발표>

IMF는 글로벌 성장률을 상향 조정

2025년 세계 GDP 성장률2.8%➡️3.0%

2026년 세계 GDP 성장률 3.0%➡️3.1%

4월 대비 주요국 GDP 성장률 전망치
🟢미국: 1.8%➡️1.9%
🔴한국: 1.0%➡️0.8%
🟢유로존: 0.8%➡️1.0%
🟢중국: 4.0%➡️4.8%
🟢브라질: 2.0%➡️2.3%
🟢일본 0.6%➡️0.7%

성장률 상향조정은 관세 부과에 앞서 기업들이 재고를 미리 쌓아둔점(프론트 로딩), 실효 관세율 하락, 재정 여건 개선을 반영한 결과

세계 물가상승률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의 물가상승률은 목표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 관세 인상 가능성, 불확실성 증가, 그리고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한 하방 위험은 여전히 존재

➡️성장률은 상향조정했지만 하방 리스크가 크다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Issues/2025/07/29/world-economic-outlook-update-july-2025
» 미국에서 관세 수입을 활용해 물가 대응 위한 자금으로 가계에 돈을 나눠주는 법안이 등장

美, 전 세계서 거둬들인 관세로 환급금 쏜다…"1인당 600달러"
- 美 의회서 전 국민 1인당 600달러 '관세 환급금' 지급法 발의…트럼프도 '긍정'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64383?sid=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