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2K photos
88 videos
185 files
15.4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혜민 허)
#셀트리온

당사는 1) 미국향 수출 의약품 관세 리스크 해소, 2) 미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통한 원가경쟁력 확보 목적으로 미국 원료의약품 cGMP 생산 시설을 보유한 기업 인수 검토를 진행해왔으며, 2025년 7월 29일 미공개 글로벌 기업과 현지 생산 시설을 보유한 기업 인수에 대한 독점 교섭 확약 체결을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당사는 피인수 기업이 보유한 미국 현지 공장에 대한 확정실사(Due Diligence)를 진행할 예정이며, 확정실사 결과에 따라 본계약 체결 여부를 결정할 것입니다. 본 계약을 체결할 경우, 연내 인수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또한, 해당 기업 투자에 따른 향후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수 후 증설 통해 생산 capacity 확대 및 원가 효율화 추진
2) 기존 생산제품 CMO로 즉시 수익 창출
3) 현지공장 내 R&D 기능 강화 통해 선진기술 도입 시너지 극대화

(유가)셀트리온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미국 원료의약품 시설 보유한 기업 인수에 대한 독점 교섭 확약 체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729800050
2025-07-29
[NH/한승연] 바이오산업

[바이오산업] 하반기 제약바이오 길라잡이

미국 헬스케어 정책 하반기에는 국내 우호적으로 변화 기대. YTD 부진했던 코스피 제약사 2분기 호실적 반등 기대. 코스닥 바이오텍은 기술수출 모멘텀과 글로벌 주요 R&D 트렌드 부합하는 기업들 주목

▶️ 제약바이오 섹터 View: 3분기 우호적인 글로벌 환경 조성 기대

트럼프 2기의 부정적인 헬스케어 정책(의약품 관세, MFN 약가 인하)은 국내 제약바이오 섹터 투심에 부정적이었음. 1)의약품 관세는 7월 말 부과 예정, 유예기간 1년(점진적 상향) 가능성은 오히려 긍정적인 포인트. 한편, 2)MFN 약가 정책은 정부와 글로벌 제약사들간 논의 중이나, 최종적으로 미국 입법부 과반수 동의 얻기 쉽지 않을 것. 오히려 3분기가 지나면서 국내 우호적인 정책(중국 바이오 규제) 부각 기대, 이에 글로벌 정책 측면 섹터 오버행 이슈 점진적 해소 예상

▶️ 하반기 글로벌 R&D 모멘텀 총정리(비만/MASH, 항암, CNS)

7월 16일 기준 코스피 의약품 YTD 수익률 +5%로 코스피(+33%) 대비 크게 하회. 다만, 2분기 코스피 제약사 전반적으로 호실적 예상, 이에 지수 반등 기대

코스닥 주요 바이오텍들 변동성 높은 국면. 다만, 바텀업 관점에서 하반기 다수 기술수출 모멘텀 기대되고 있음. 또한 글로벌 제약사의 주요 파이프라인 데이터 모멘텀 예정되어 있기에, 관련 기업들 위주 주목(글로벌 신약 모멘텀 본문 참고)

①비만/MASH(한미약품, 디앤디파마텍), ②항암 1)PD-(L)1xVEGF(와이바이오로직스, IL-2 개발사, 알테오젠), 2)ADC(리가켐바이오), 3)RPT(셀비온), ③알츠하이머(에이비엘바이오)

▶️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2ggvt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반도체 소부장: 테일러 수혜주 찾기
[대신증권 반도체/류형근]

■ 처음에는 모두가 흥분합니다


- 새로운 변화가 발생 시, 반도체 소부장에서는 Fundamental의 개선 강도를 상회하는 주가 상승이 매번 발생해왔습니다. 전일 나타난 반도체 소부장 Rally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시장의 흥분이 가라앉기 시작하면, 후행할 것은 Reality Check입니다.

- 테슬라향 수주가 가져올 실질적인 Fundamental의 개선 강도에 대해 시장은 고민하기 시작할 것이고, 옥석 가리기는 머지 않아 시작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 어떻게 봐야할까?

- 실질 수혜 강도가 높은 기업으로는 원익IPS, 솔브레인, 에스앤에스텍, 에프에스티, 코미코 등을 제시합니다.

- OSAT와 Fabless의 경우, 단기 실질 수혜 강도는 낮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테일러에서 전공정을 진행하는 만큼 국내로 전공정을 마친 웨이퍼를 재차 이송하여 후공정을 진행하는 것은 비용 단에서 보면 경제성이 떨어지는 선택지입니다. 전체적인 파운드리 영업 환경 개선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될 수 있으나, 단순 테일러 투자 재개에 따른 수혜 가능성을 단언하긴 어려운 시점이라 생각합니다.

📎PDF | ➡️보고서원문| 📝요약/해설
250729 증권사 선정 삼성전자-테슬라(TSLA) 파운드리 계약 체결 관련 수혜 밸류체인

-NH투자증권 :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솔브레인

-DS투자증권 : 에스앤에스텍(Top-picks), 코미코(Top-picks), 동진쎄미켐, 솔브레인, 두산테스나

-대신증권 : 원익IPS, 테스, 피에스케이, HPSP, 이오테크닉스, 파크시스템스, 에스티아이, 유니셈,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에스앤에스텍, 에프에스티, 코미코

-유안타증권 : 코미코, 이엔에프테크놀로지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로 K-뷰티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에이피알이 홈케어 기기를 넘어 전문 의료기기 출시를 준비하는 모양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에이피알은 최근 '맥스트리', 'MAXTRI' 등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상품 분류는 의료기기, 의료용 고주파 피부미용기, LED광을 이용한 피부 개선용 의료기기, 전기자극을 이용한 의료용 피부미용기, 미용 마사지장치 등으로 등록됐다.

이를 근거로 업계에서는 에이피알이 뷰티 디바이스 라인을 의료기기 제품군으로까지 확장하려는 것으로 예상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397758
[한화투자증권 반도체 김광진]

한화비전 주가 상승 코멘트

- 금일 한화비전 주가 강세입니다
- 한화비전 CCTV 부문과 세미텍 모두 재평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 CCTV는 AI 비중 상승(2Q25 20% 중반)을 반영한 리레이팅 필요,
세미텍은 2Q25 BEP 근접, 3Q25 흑자전환을 앞두고 있습니다
- 특히 세미텍은 여전히 TC본더에 한정되어 디레이팅 되고 있으나, 하이브리드 본더와 전공정 ALD가 향후 성장동력입니다
- 두 장비 모두 27년부터 매출 반영 예상합니다
- 7/21 발간된 한화비전 리포트 재공유 드립니다
- 리포트 link: https://buly.kr/GZxrpbd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정부와 여당이 주식 양도세를 내는 대주주 기준을 기존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되돌리기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이 기준을 강화해도 주식시장에 영향은 크지 않다고 주장했다. 진 위원장은 자본시장연구원이 2020년 펴낸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이같이 주장했다.

하지만 정작 해당 보고서에는 대주주 양도세 대상을 확대하면 주식시장에 불필요한 변동성을 초래하고 과세 비효율성도 커진다는 내용이 담겼다. 진 의장이 전문가의 분석을 오독(誤讀)했거나, 보고서의 일부 문구만 인용해 본래 내용을 왜곡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10월 APEC 앞두고 한한령 해제 기대감…증권가 "中관광객·소비 관련주 주목"
이에 그는 스테이블코인 관련주가 수혜를 입을 가능성도 거론했다. 김 연구원은 “중국 관광객이 한국에 돌아오면 면세점 결제에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여지가 생긴다”며 “중국 결제 시장의 95%를 점유한 알리페이·위챗페이와 제휴한 호텔신라와 카카오페이 등은 투자 매력이 높다”고 분석했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7/29/AKNAJS2N3VALPJ2LKGIOYWXHQ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하나증권 국내외 시황 김두언
[Web발신]
하나증권 국내외 시황 김두언
[Doo It Now] 8월부터 ‘한한령(限韓令)’ 해제를 준비하세요
자료: https://bit.ly/4lRXY2O

*(결론적으로) 한 단계 도약을 준비해야 할 8월은 한한령(限韓令) 해제를 준비할 적기이다.
*스웨덴에서 미중 관세 합의가 막바지 조율 중이다. 10월 말 경주(APEC)에서 주요국 정상들의 만남이 예상된다. 장기전으로 접어든 미중 패권 경쟁 속에 각국은 바뀐 상황들을 공유하고 새로운 규칙을 마련할 유인이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한한령 해제 가능성이 있다. 엔터, 화장품, 면세점 등 한한령 해제로 수혜 받을 업종들이 예상된다.
*한편 새롭게 변화된 상황에 방점을 두고 생각해 보면 한국으로 입국할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스테이블코인 활용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아직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지 않았지만 미국을 필두로 이미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매김 했다. APEC 회담까지 100일 남짓 남았다.
*한한령 해제를 서서히 준비해 볼 시기이다. 선점해야 생존한다.
Forwarded from 루팡
한한령 타임라인

- 10월 APEC 회의로 해제 기대감 점증

한한령 해제 시, 수혜 업종

(25.7.29 하나)
아마존 프라임데이 Top 10 뷰티 브랜드

Top 10 중 4개 브랜드만 전년 아마존 프라임데이 대비 점유율 상승

> 4개중 3개가 K뷰티 브랜드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관세협상 대미투자 규모 비교,

한국은 140조원 수준으로 대화시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