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 🇪🇺미국-EU와의 무역 협의 완료
자동차를 포함한 대부분의 품목에 15% 관세 적용 예정. 하지만 각자 기자회견에서 의약품 관세 적용 여부에 대한 내용은 엇갈렸음
미국: 자동차 포함한 대부분에 15% 적용. 단, 의약품과 금속은 기존 관세를 적용. 마약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음
EU: 15% 관세율이 모든 품목에 적용될 것. 의약품 관세도 15%. 하지만 트럼프가 나중에 다른 결정을 한다면 다르게 적용될 것
여기에 EU는 7,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고, 미국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하며, 각국의 시장을 무관세로 개방하고, "막대한 규모"의 군사 장비를 구매하기로 합의
자동차를 포함한 대부분의 품목에 15% 관세 적용 예정. 하지만 각자 기자회견에서 의약품 관세 적용 여부에 대한 내용은 엇갈렸음
미국: 자동차 포함한 대부분에 15% 적용. 단, 의약품과 금속은 기존 관세를 적용. 마약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음
EU: 15% 관세율이 모든 품목에 적용될 것. 의약품 관세도 15%. 하지만 트럼프가 나중에 다른 결정을 한다면 다르게 적용될 것
여기에 EU는 7,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고, 미국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하며, 각국의 시장을 무관세로 개방하고, "막대한 규모"의 군사 장비를 구매하기로 합의
Forwarded from [하나증권 해외채권] 허성우
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르면 미중 무역 관세 유예 기간이 3개월 더 연장될 수 있다고 보도. 현재 관세 유예 기간은 8/12
월요일에 스톡홀름에서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와 중국 부총리 허리펑 간의 무역 회담에 앞서 발표
월요일에 스톡홀름에서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와 중국 부총리 허리펑 간의 무역 회담에 앞서 발표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미중 3차 무역협상이 오늘부터 스톡홀름에서 개최될 예정
» 중국에 대한 유예 기간인 8월 12일까지 2주 정도의 시간이 남아있는 상황. 합의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글로벌 공급망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이벤트
» 중국에 대한 유예 기간인 8월 12일까지 2주 정도의 시간이 남아있는 상황. 합의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글로벌 공급망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이벤트
Forwarded from 루팡
단독 | 중국, 미국과의 스웨덴 회담에서 관세 유예 조치 90일 추가 연장 합의 예정
“베이징과 워싱턴은 오는 월요일 시작되는 스톡홀름 무역 회담에서 관세 휴전(truce)을 추가로 3개월 연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추가적인 갈등 고조는 예상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당초 관세 유예 조치는 8월 12일에 만료될 예정이었습니다.
“베이징과 워싱턴은 오는 월요일 시작되는 스톡홀름 무역 회담에서 관세 휴전(truce)을 추가로 3개월 연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추가적인 갈등 고조는 예상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당초 관세 유예 조치는 8월 12일에 만료될 예정이었습니다.
[속보]구윤철, 美 재무장관 31일 관세 담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재무장관의 일정 변경 통보에 방미를 직전에 취소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이번 주 미국을 방문한다. 한미 관세 협상의 막판 반전이 가능할지 이목이 쏠린다.
구 부총리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미국에서 31일(현지시간) 1 대 1 통상협의를 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날의 경우 상호관세 유예 마지막 날이다.
앞서 미국 측이 '한미 2+2 통상협의' 취소를 통보해 구 총리는 인천공항에서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구 부총리는 이번 회담에서 베선트 장관과 그간 이어져 온 양국간 통상 논의를 최종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조해온 조선산업 협력 강화를 포함한 다양한 카드를 준비하고 있다.
대통령실이 지난 26일 '협상 품목 안에 농산물이 포함돼있다'고 밝히자 그간 '레드라인'으로 여겨진 쌀·소고기 수입도 협상 테이블에 오르내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또 기존의 '1천억달러+α' 규모의 투자계획을 더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이 관세 인하의 대가로 약 5천500억달러(약 760조원)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자 미국의 기대치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정부 안팎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1천억원 규모의 투자계획과 별개로 정책금융기관 등을 활용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 예산 비율 조정, 환율 문제 등도 협상 테이블에서 논의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7285206b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재무장관의 일정 변경 통보에 방미를 직전에 취소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이번 주 미국을 방문한다. 한미 관세 협상의 막판 반전이 가능할지 이목이 쏠린다.
구 부총리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미국에서 31일(현지시간) 1 대 1 통상협의를 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날의 경우 상호관세 유예 마지막 날이다.
앞서 미국 측이 '한미 2+2 통상협의' 취소를 통보해 구 총리는 인천공항에서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구 부총리는 이번 회담에서 베선트 장관과 그간 이어져 온 양국간 통상 논의를 최종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조해온 조선산업 협력 강화를 포함한 다양한 카드를 준비하고 있다.
대통령실이 지난 26일 '협상 품목 안에 농산물이 포함돼있다'고 밝히자 그간 '레드라인'으로 여겨진 쌀·소고기 수입도 협상 테이블에 오르내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또 기존의 '1천억달러+α' 규모의 투자계획을 더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이 관세 인하의 대가로 약 5천500억달러(약 760조원)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자 미국의 기대치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정부 안팎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1천억원 규모의 투자계획과 별개로 정책금융기관 등을 활용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 예산 비율 조정, 환율 문제 등도 협상 테이블에서 논의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7285206b
매거진한경
한국, 운명의 한주 시작...구윤철, 31일 美 재무장관과 관세 담판
한국, 운명의 한주 시작...구윤철, 31일 美 재무장관과 관세 담판, 김정우 기자, 한경BUSINESS
Forwarded from Risk & Return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7285206b
트럼프는 EU 담판 후 3~4개 국가와 협정을 모색한다는 말을 했고 한국이 포함된 것으로 보임
한국의 경우 긍정적인 조건일지는 불분명하나 일본이 워낙 좋은 조건이었기에 이보다 좋은 조건은 쉽지 않아보임
미국 내 조선 등에서 증설 등이 논의되고 있고 워낙 평소 대미투자액이 많다 보니 명시적인 껍데기를 제시하기는 쉬움
다만 한국이 실질적으로 그다지 줄게 없는 것으로 보이고 그나마 최근 대통령실의 삼성전자와의 회담에서 새로운 제안이 나올 가능성이 생겼음
일시적이라도 관세를 실제로 부과받을 상황을 대비해야 하고 이 경우 약 30~35% 정도가 될 것으로 생각함
최근 KRW, JPY 모두 환율협정 이야기가 나올 때보다 절하된 상태. Fed도 그다지 매파적인 편은 아니고, US10Y 레벨이 그리 높지 않은 상황임을 감안해야. EUR 등 타 커런시에 비하면 특이한 상황
어쨌든 환율의 전반적인 키는 KRW가 아닌 USD와 USD/KRW의 절대적 레벨에 달린 셈
Source : Risk & Return
트럼프는 EU 담판 후 3~4개 국가와 협정을 모색한다는 말을 했고 한국이 포함된 것으로 보임
한국의 경우 긍정적인 조건일지는 불분명하나 일본이 워낙 좋은 조건이었기에 이보다 좋은 조건은 쉽지 않아보임
미국 내 조선 등에서 증설 등이 논의되고 있고 워낙 평소 대미투자액이 많다 보니 명시적인 껍데기를 제시하기는 쉬움
다만 한국이 실질적으로 그다지 줄게 없는 것으로 보이고 그나마 최근 대통령실의 삼성전자와의 회담에서 새로운 제안이 나올 가능성이 생겼음
일시적이라도 관세를 실제로 부과받을 상황을 대비해야 하고 이 경우 약 30~35% 정도가 될 것으로 생각함
최근 KRW, JPY 모두 환율협정 이야기가 나올 때보다 절하된 상태. Fed도 그다지 매파적인 편은 아니고, US10Y 레벨이 그리 높지 않은 상황임을 감안해야. EUR 등 타 커런시에 비하면 특이한 상황
어쨌든 환율의 전반적인 키는 KRW가 아닌 USD와 USD/KRW의 절대적 레벨에 달린 셈
Source : Risk & Return
매거진한경
한국, 운명의 한주 시작...구윤철, 31일 美 재무장관과 관세 담판
한국, 운명의 한주 시작...구윤철, 31일 美 재무장관과 관세 담판, 김정우 기자, 한경BUSINESS
Forwarded from 루팡
미국, 반도체 수입 관련 조사 결과 2주 내 발표 예정
트럼프 행정부는 향후 2주 내로 반도체 수입에 대한 국가안보 조사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이 일요일에 밝혔습니다.
루트닉 장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간의 회담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 조사가 "EU가 보다 포괄적인 무역 협상을 원하게 된 핵심적인 이유 중 하나"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이 협상이 “모든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려는 시도”라고 설명했습니다.
---
트럼프: 반도체 투자 확대 예고, 대만 포함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반도체 제조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대만 및 기타 국가의 기업들도 새로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이 예정된 칩 관세를 “훨씬 더 나은 방식”으로 회피했다고 덧붙였습니다.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us-release-result-probe-into-chip-imports-two-weeks-2025-07-27/
트럼프 행정부는 향후 2주 내로 반도체 수입에 대한 국가안보 조사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이 일요일에 밝혔습니다.
루트닉 장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간의 회담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 조사가 "EU가 보다 포괄적인 무역 협상을 원하게 된 핵심적인 이유 중 하나"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이 협상이 “모든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려는 시도”라고 설명했습니다.
---
트럼프: 반도체 투자 확대 예고, 대만 포함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반도체 제조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대만 및 기타 국가의 기업들도 새로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이 예정된 칩 관세를 “훨씬 더 나은 방식”으로 회피했다고 덧붙였습니다.
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us-release-result-probe-into-chip-imports-two-weeks-2025-07-27/
2025.07.28 08:45:24
기업명: 삼성전자(시가총액: 390조 1,041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글로벌 대형기업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계약
공급지역 : -
계약금액 : 227,648억
계약시작 : 2025-07-24
계약종료 : 2033-12-31
계약기간 : 8년 5개월
매출대비 : 7.6%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728800035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0593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기업명: 삼성전자(시가총액: 390조 1,041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글로벌 대형기업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계약
공급지역 : -
계약금액 : 227,648억
계약시작 : 2025-07-24
계약종료 : 2033-12-31
계약기간 : 8년 5개월
매출대비 : 7.6%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728800035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0593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Naver
삼성전자 - 네이버페이 증권 : 네이버페이 증권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삼성전자, 22조7648억 규모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계약
삼성전자는 글로벌 대형기업과 22조7648억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액 대비 7.6%에 해당하는 규모로 계약기간은 오는 2033년 12월 31일까지다.
계약 상대방은 경영상 비밀유지에 따라 공개하지 않았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8_0003268305
삼성전자는 글로벌 대형기업과 22조7648억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액 대비 7.6%에 해당하는 규모로 계약기간은 오는 2033년 12월 31일까지다.
계약 상대방은 경영상 비밀유지에 따라 공개하지 않았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8_0003268305
뉴시스
삼성전자, 22조7648억 규모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계약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삼성전자는 글로벌 대형기업과 22조7648억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시했다.이는 지난해 매출액 대비 7.6%에 해당하는 규모로 계약기간은 오는 2033년 12월 31일까지다.계약 상대방은 경영상 비밀유지에 따라 공개하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mrkt@newsis.com
Forwarded from DS Tech 이수림, 김진형
삼성파운드리 관련주 장전에 한번 점검하고 가시죠
두산테스나 - 테스트
에스앤에스텍 - 블랭크마스크
이오테크닉스 - 장비
HPSP - 장비
파크시스템스 - 장비
네패스 - 패키징
하나마이크론 - 패키징 및 테스트
두산테스나 - 테스트
에스앤에스텍 - 블랭크마스크
이오테크닉스 - 장비
HPSP - 장비
파크시스템스 - 장비
네패스 - 패키징
하나마이크론 - 패키징 및 테스트
Forwarded from 🗽엄브렐라(Umbrella Research) 리서치+ 유튭 옆집부자형 since 2020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연초대비 수익률 spread
연초대비 수익률 29%p 차이나는 두종목
연초대비 수익률 29%p 차이나는 두종목
Forwarded from 영리한 동물원
📌 [삼성전자 8nm 파운드리 신규 독일 고객사 유력 후보 분석]
🧩 질문 요약
"독일에 본사를 둔, HPC용 SoC를 설계하는 팹리스 중 삼성전자 8nm 공정에 위탁할 가능성이 높은 회사는?"
🔍 후보 조건
1. 독일 본사
2. 팹리스 (반도체 설계 중심 기업)
3. HPC용 SoC 개발 역량 보유
4. DSP 통한 턴키 방식 설계 진행
5. 삼성 8nm에 적합한 고객 (수율 안정성+적당한 고성능)
🏅 가장 유력한 후보: Semidynamics
📍 베를린 본사
🔧 RISC-V 기반 커스터마이즈 SoC 설계 전문
💻 HPC·AI 연산용 칩 설계 수행
🤝 삼성 DSP와 턴키 협업 구조에 가장 적합
✅ 스타트업형 구조 + 파운드리 경험 부족 → DSP 설계 지원 필요
⚠️ 다른 후보들
Think Silicon (GPU IP 위주, 가능성 낮음)
Cognitronics (너무 초기 단계)
인피니온 (대형 IDM, 자체 팹·경험 많아 가능성 낮음)
📈 정리
삼성전자의 8nm 파운드리 수요 확대 전략에서, DSP와 협업 가능한 독일 HPC 팹리스 중에서는 Semidynamics가 가장 유력한 신규 고객으로 판단됨.
🧩 질문 요약
"독일에 본사를 둔, HPC용 SoC를 설계하는 팹리스 중 삼성전자 8nm 공정에 위탁할 가능성이 높은 회사는?"
🔍 후보 조건
1. 독일 본사
2. 팹리스 (반도체 설계 중심 기업)
3. HPC용 SoC 개발 역량 보유
4. DSP 통한 턴키 방식 설계 진행
5. 삼성 8nm에 적합한 고객 (수율 안정성+적당한 고성능)
🏅 가장 유력한 후보: Semidynamics
📍 베를린 본사
🔧 RISC-V 기반 커스터마이즈 SoC 설계 전문
💻 HPC·AI 연산용 칩 설계 수행
🤝 삼성 DSP와 턴키 협업 구조에 가장 적합
✅ 스타트업형 구조 + 파운드리 경험 부족 → DSP 설계 지원 필요
⚠️ 다른 후보들
Think Silicon (GPU IP 위주, 가능성 낮음)
Cognitronics (너무 초기 단계)
인피니온 (대형 IDM, 자체 팹·경험 많아 가능성 낮음)
📈 정리
삼성전자의 8nm 파운드리 수요 확대 전략에서, DSP와 협업 가능한 독일 HPC 팹리스 중에서는 Semidynamics가 가장 유력한 신규 고객으로 판단됨.
Forwarded from 🗽엄브렐라(Umbrella Research) 리서치+ 유튭 옆집부자형 since 2020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연초대비 수익률 spread
연초대비 수익률 29%p 차이나는 두종목
연초대비 수익률 29%p 차이나는 두종목
Forwarded from 영리한 동물원
삼성전자가 미국 테슬라의 신규 인공지능(AI) 칩을 최첨단 2나노 공정으로 생산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는 최근 테슬라의 AI 슈퍼컴퓨터용 차세대 '도조' 칩과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에 탑재될 시스템온칩(SoC)을 2나노 공정으로 생산하기로 하고 초기 작업에 들어갔다.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0q6Li94
» 관리자가 검토 중인 기사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0q6Li94
» 관리자가 검토 중인 기사
www.thelec.kr
삼성, 美테일러 팹서 테슬라 '도조' 칩 2나노 생산 추진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삼성전자가 미국 테슬라의 신규 인공지능(AI) 칩을 최첨단 2나노 공정으로 생산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는 최근 테슬라의 AI 슈퍼컴퓨터용 차세대 '도조' 칩과 휴머노...
Forwarded from 🗽엄브렐라(Umbrella Research) 리서치+ 유튭 옆집부자형 since 2020
테슬라, 삼성 파운드리 재차 방문...2나노 파운드리 수주할 듯 (KIPOST 기자)24p
"사실상 계약 성사 단계"
코너 몰린 파운드리 사업에 활력
연초 삼성전자 파운드리, 삼성디스플레이와의 패키지 딜을 위해 방문했던 테슬라 관계자들이 이달 초 다시금 삼성전자와 계약을 협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가동일정을 미뤄왔던 미국 테일러 팹 공사가 최근 재개되는 등 침체일로였던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사업에 활기를 불어넣을지 주목된다.
https://measurelabs.kr/dkpt-media/2025-7-14%EC%9B%94-%ED%97%A4%EB%93%9C%EB%9D%BC%EC%9D%B8-%EB%89%B4%EC%8A%A4/
"사실상 계약 성사 단계"
코너 몰린 파운드리 사업에 활력
연초 삼성전자 파운드리, 삼성디스플레이와의 패키지 딜을 위해 방문했던 테슬라 관계자들이 이달 초 다시금 삼성전자와 계약을 협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가동일정을 미뤄왔던 미국 테일러 팹 공사가 최근 재개되는 등 침체일로였던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사업에 활기를 불어넣을지 주목된다.
https://measurelabs.kr/dkpt-media/2025-7-14%EC%9B%94-%ED%97%A4%EB%93%9C%EB%9D%BC%EC%9D%B8-%EB%89%B4%EC%8A%A4/
Forwarded from 한화 Research 금융 김도하
(의견) 기사 내용대로라면 확정된 법안에서의 배당소득세율은 현재보다는 낮아지지만 기대(원안)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실망스러울 수는 있습니다. 다만 2Q25 Preview에 기재한 대로, 이것이 은행에게 기대로 작용하는 본질은 "세율이 낮아진 만큼 투자자가 늘어난다"보다 "이걸 기준 삼아 은행들이 배당성향을 올릴 유인이 생긴다"였습니다. 따라서 은행에게 분리과세 이슈에서 최종법안의 세율 결정보다 중요한 건 배당성향 확대의 구실이 생기는가의 여부라는 게 제 관점입니다.
더불어 여전히, 그 구실을 좀 더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건 "자사주 매입이 배당보다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할 수만은 없다"의 암묵적인 기준인 PBR 0.8배에 근접한 회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슈가 넘칠 때야말로 더더욱, 껍데기 말고 내용을 보는 게 중요합니다.
실망스러울 수는 있습니다. 다만 2Q25 Preview에 기재한 대로, 이것이 은행에게 기대로 작용하는 본질은 "세율이 낮아진 만큼 투자자가 늘어난다"보다 "이걸 기준 삼아 은행들이 배당성향을 올릴 유인이 생긴다"였습니다. 따라서 은행에게 분리과세 이슈에서 최종법안의 세율 결정보다 중요한 건 배당성향 확대의 구실이 생기는가의 여부라는 게 제 관점입니다.
더불어 여전히, 그 구실을 좀 더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건 "자사주 매입이 배당보다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할 수만은 없다"의 암묵적인 기준인 PBR 0.8배에 근접한 회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슈가 넘칠 때야말로 더더욱, 껍데기 말고 내용을 보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