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2K photos
87 videos
185 files
15.4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살 빼기 어렵네”…암젠·화이자 이어 로슈까지 비만약 포기
로슈, 3.7조원에 인수한 비만약 개발 중단
선두 위고비·마운자로 기술력 넘지 못해
암젠·화이자도 차별화 실패…잇따라 중단
한미약품은 체중↓ 근육↑ 삼중 작용제로 도전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95773
“아직 기회 있다”…시밀러 뛰어드는 K제약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4/0000098795

📌바이오시밀러 개념
• 생물학적 제제를 기반으로 한 오리지널 의약품의 복제약.

• 특허 만료 이후 시장에 진입.

• 복잡한 단백질 구조와 제조 방식 때문에 완벽한 복제는 불가.

• 가격은 보통 오리지널 대비 50~70% 수준.

📌시장 특성
• 진입 장벽이 낮아 경쟁 격화 → 레드오션화.

• 그러나 시장 규모는 여전히 크고, 특허 만료에 따라 새로운 진입 기회 지속.

📌국내 제약사들의 바이오시밀러 진출 확대
• 최근 진입 제약사
동아ST
삼천당제약
대웅제약 (최신 진입 선언)

📌진출 배경
•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확대

• 국내 제약사의 글로벌 경험 증가, 생산기술력 향상.

• 미국·유럽 등 규제기관의 승인 시스템이 안정화되며 상업화 기회 확대.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바쁘신 분들을 위한 3줄 요약:
(일본의 굴욕적 손해라고 보도되었지만 실제로는 타격이 거의 없는 '그레이 존' 부분)

1. 대미투자

5,500억 달러는 기존 계획 재확인 수준. 추가 희생은 없음.

2. 쌀 개방
기존 의무수입량 내 비중 조정, 쿼터 확대는 아니고 실질 영향 미미.

3. 자동차 관세
최대 가능성보다 낮은 15%로 협상 타결, 엔저로 부담 상쇄되어 실질 피해 없음.
Forwarded from 루팡
중국, 희토류로 일본 압박… 미국에 주는 교훈

미국은 올해 중국이 희토류 광물에 대한 수출 통제를 단행하면서, 중국이 이를 강압적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몸소 체감했다. 일본 입장에선 이 모든 일이 데자뷔처럼 느껴졌다. 15년 전, 일본은 이미 비슷한 피해를 경험했던 것이다.

2010년, 도쿄는 다음 사태에 대비하겠다고 다짐했고, 그 이후 수년 동안 호주산 희토류 공급망에 수억 달러를 투자해 왔다.

실제로 일본은 호주의 희토류 생산업체인 라이너스(Lynas Rare Earths)와 계약을 체결했고, 현재 서호주 칼굴리(Kalgoorlie)에는 이 회사의 가공 공장이 운영 중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중국이 다시 희토류 수출을 무기화하자, 일본도 완전히 대비되어 있지는 못했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는 미국에도 중요한 교훈을 남긴다. 중국은 여전히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으며, 이것이 외교·경제적 협상에서 실질적 압력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https://www.wsj.com/world/asia/china-strong-armed-japan-over-rare-earths-its-a-lesson-for-the-u-s-230f8379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이차전지, 전기차서 美 ESS로 갈아탈까…데이터센터 수혜주로 부각 [투자360]
ESS 점유율 90% 中, 미국 시장 퇴출 가능성 ↑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반사이익 기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505340
숏은,,,
전통적인 주인공인 2차전지들이 많이 사라진 느낌?
하지만 대차는 많이 해놓고 언제든 칠수 있게 준비중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ESS쪽도 요즘 분위기 괜찮아서 계속 팔로잉 필요하다 싶습니다. (신성에스티가 요즘 폼이 좋았고요. )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는 신재생에너지 확대,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 전기차 캐즘 대응 등으로 주목받는 키워드

-ESS는 이재명 정책인 RE100(재생에너지) 산업단지, 에너지 고속도로에서 의미있는 역할.
국내 첫 '스테이블코인法' - 매일경제

스테이블코인에 특화한 법 제정이 국내 처음으로 추진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국내에서도 스테이블코인 정의와 발행·감독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는 게 법 제정 취지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이번주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관련된 법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디지털자산 기본법'에 스테이블코인 관련 내용이 일부 담겨 있지만 스테이블코인에 집중한 법안은 이번이 처음이다.

https://m.mk.co.kr/news/stock/11378648
ㅇ 김은혜, 스테이블코인법 국내 최초 발의한다
-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은 오는 28일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과 관련된 법안을 발의할 예정.
- 해당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을 '가치고정형 디지털자산'으로 정의하고 발행자와 감독 체계, 이용자보호 등을 규율.
-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디지털자산 기본법'에 스테이블코인 관련 내용이 일부 담겨있지만 스테이블코인에 집중한 법안은 이번이 처음.

(💵 가치고정형 디지털자산=스테이블코인)
- '가치고정형 디지털자산'이란 법정통화 또는 가치가 안정적인 자산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산의 가치에 연동되어 분산원장을 기반으로 발행되고 그 연동된 자산의 가치로 상환이 보장되는 디지털자산으로 스테이블코인으로 불림.
- 기본적으로 국내에서 발행된 스테이블코인으로 적용범위를 정했지만 국외에서 발행돼 국내에 영향을 미치는 스테이블코인에도 적용하도록 함.

(📇 자기자본 50억원, 국내 영업소 전제 인가제)
-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인가제로 정한 것도 특징. 금융위의 인가를 받아야하며, 발행업자는 이용자 보호 장치, 준비자산 등 이용자보호방침까지 폭넓게 금융위에 보고해야함.
- 신청자격은 국내기업은 주식회사, 금융기관, 50억원 이상 자기자본 등의 기준을 갖추거나 외국기업의 경우 국내에 영업소를 설치해야함.
- 준비자산의 경우 100% 이상 담보가 유지돼야하며 현금, 요구불예금, 만기 1년 이내 국채 또는 외국채 등으로 한정.

(👮 금융위, 한은 감독 권한 규율)
- 특히 이용자 보호를 위한 규정을 정한게 이 법안의 특징. 발행자는 선관의무를 가지며, 합병, 분할, 해산, 영업 양도 등을 할떄 모두 금융위 승인을 받아야함.
- 한은의 권한도 규정했는데, 한은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인에 대해 자료제출을 요구할수 있고, 금감원에 검사를 요구할 수 있음.
- 김 의원은 "스테이블 코인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말함.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Forwarded from 요약하는 고잉
금요일 가장 강했던 테마는 스테이블 코인이었고,
李정부 첫 세제 개편안 사실상 확정…“배당소득 분리과세도입”

27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빠르면 이번주 ‘2025년 세제개편안’을 발표한다.

상장주식 양도세가 부과되는 대주주 기준은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다시 강화된다.

금투세 도입 조건부로 인하된 증권거래세율은 현재의 0.15%에서 0.18%로 복원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고배당을 유도하기 위해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도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배당소득 2000만원 이하에는 14.0%, 2000만원~3억원 구간에는 20%, 3억원 초과분에는 25%를 각각 부과하는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의원의 입법안을 준용하되, 세율과 과세요건의 수위를 상당폭 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가증권시장의 평균 배당수익률 약 2%를 적용하면 150억원어치 주식을 보유해야만 3억원 배당소득이 가능하다.

다만 초부자감세 논란이 불가피한 현실을 감안해 최고 구간에는 35% 세율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531891?sid=101https://naver.me/5Xp9jHnF
블룸버그. 외국인에게 한국은 매력적인 투자처로. 시황맨

이미 세계 주요 증시 중 최고인 한국 시장. 매력적 투자처
밸류에이션 높이고 소액 주주들에게 힘 실리는 개혁
이사회 개편. 자사주 소각 등 견제 정책 추진
9개월 연속 매도하던 해외 펀드 다시 진입 중
골드만삭스, JP모건, 씨티, 모건스탠리 등 전망 상향
새정부의 목표가 증시 부양. 낙관론 커져
자사주, 배당 정책은 좋은 글로벌 환경 없이 오른 배경
자사주 소각 등은 독일식 등 다양한 방안 검토 중
독일 모델은 매입 후 3년 내 자본금 10% 초과하는 것 소각
정책 추진이 시행되지 않으면 시장은 실망할 것

https://finance.yahoo.com/news/global-money-chases-world-hottest-000000870.html
Forwarded from 사제콩이_서상영
07/28 미-EU, 미-중 무역 협상 및 반도체 조사 등

27일(일) 미국과 EU는 새로운 무역협정에 최종 합의. 양측 모두 타협을 통해 전면적인 무역전쟁을 피하는 데 성공했음. 여기에 미국과 중국 협상에 대해서도 중국 언론에서는 90일 유예로 합의될 것이라고 보도.


미-EU 무역협상
미국은 EU에서 수입되는 대부분의 제품에 대해 15%의 단일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했음. 다만 철강과 알루미늄은 여전히 50% 관세 유지. 이와 함께 미국 내 직접투자도 약 6,000억 달러 수준으로 확대. 향후 3년간 미국으로부터 약 7,50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를 수입하기로 했음. 이는 EU의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산 LNG 의존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추정돼 미국산 천연가스 가격 상승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 특히 미국 내 LNG 약화 설비와 수출 터미널 증설이 아직은 한계가 있어 공급 병목 현상이 단기간 해소되지 않을 수 있어 가격 급등 가능성도 존재.


미-중 무역협상
중국과 협상(28~29일)이 진행. 그런 가운데 27일(일) 중국 언론을 통해 미국과 중국은 무역 협상에서 상호 관세 부과를 90일간 추가로 유예하기로 합의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기존 만료일 8월 12일 이후 90일 추가 연장되며 신규 관세 부과나 무역 충돌 행위 없이 균형적 관계 유지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고 보도. 결국 근본적 타결이 어려운 상태에서 미국과 중국은 관세 연장을 중심으로 합의됨을 의미.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로는 중국의 과잉생산 문제, 펜타닐 문제, AI,반도체 통제, 관세 부과 경로(사전 통지 협약) 등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재선 이후 첫 실질적 대중 무역협상이며, 중국은 2025년 하반기 성장률 방어에 외부 변수 완화를 희망하고 있어 이러한 연기가 최선일 것으로 판단


반도체 조사
미 상무부는 대만 등 외국에서 수입되는 반도체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약 2주 내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지난 주 발표. 이번 조사는 1962년 무역확장법에 근거해 진행되었으며, 반도체 수입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지 여부가 핵심 쟁점. 미-EU 협상 타결 후 루트닉 상무장관은 이 조사가 EU가 미국과의 15% 관세 합의를 추진하게 된 중요한 계기 중 하나였다고 언급. 결국 이번 조사는 미국과 EU 간의 무역협상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향후 반도체 산업과 공급망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큼.


금융시장
미-EU 협상 결과는 유로존 GDP 성장률을 기존 1.0%에서 0.7% 내외 수준으로 둔화시킬 것으로 시장은 전망. 이를 감안 ECB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질 수 있음. 주식시장은 EU, 중국 협상으로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매수세 유입. 이에 시간 외로 0.4% 내외 상승 중이나 많은 부분 반영돼 왔던 점을 감안 상승폭은 제한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트럼프 대통령, EU와의 중대 무역 및 에너지 협정 발표.

• EU, 미국산 에너지 7,500억 달러어치 구매

• 무역 관세는 0%로 개방. EU는 미국 수출품에 대해 15% 관세를 부과받고, 반대로 EU는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함

• EU, 미국산 군사장비 수천억 달러어치 구매

• EU, 미국에 6,000억 달러 규모 투자

• 미국산 에너지 1,500억 달러 추가 구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