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PB의 금융시장 생존기
1.52K subscribers
11.3K photos
90 videos
185 files
15.6K links
해외 / 국내 경제, 증시 및 다양한 이슈를 전달합니다!

협업 문의 : yeominyoon1981@gmail.com

Disclaimer

- 본 채널/유튜브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 및 상품은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의사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과 판단하에 진행됨을 알립니다.
Download Telegram
트럼프는 국가별 관세+품목별 관세로 이중 타격을 노리는 중

트럼프는 미국 내 산업을 강화하고 글로벌 무역 관계를 재편하기 위한 관세 부과 계획을 추진 중

국가별 관세와 더불어 구리, 목재, 칩, 중요 광물, 의약품 등 특정 산업별 관세를 부과할 예정

8월 1일 이전에 구리 관세가 발표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수입품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려는 정책의 시작점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면 국가 수입의 30~70%에 적용될 예정이며, 나머지는 국가별 관세가 적용됨. 현재는 주요 품목별 관세를 검토중

- 의약품는 낮은 관세부터 시작해 1년 후 매우 높게 책정할 예정
- 반도체는 올해 초 미국이 별도의 관세를 부과할 시간을 벌기 위해 중국에 대한 관세에서 면제됐음. 자동차, 선박, 암호화폐 기업들까지 관세 부과에 대한 우려 표명 중
- 구리는 자동차, 건축자재, 가전제품 등 여러 제품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소비자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미국 구리 구매자는 더 높은 가격에 직면하게 될 것
- 목재는 캐나다산을 가장 많이 수입. 현재 진행되고 있는 관세 검토는 캐나다산이랑 별개로 진행 중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7-18/trump-aims-tariff-double-whammy-at-industries-nations-by-aug-1
트럼프는 EU와의 무역 협상이 어떻게 되든 최소 15%에서 20%의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입장

EU도 보복 관세를 계획했지만, 8/1까지 관세 부과일을 미뤄왔음. 미국은 EU 최대 단일 시장으로, EU 전체 수출액의 20%를 차지

EU가 고려 중인 보복관세 조치

1️⃣ 닭고기, 청바지를 포함한 연간 21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제품 관세 8/6부터 발효

2️⃣ 협상이 결렬될 경우 보잉 항공기와 위스키를 포함한 연간 72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제품 보복 조치 고려 중

3️⃣ 디지털 서비스와 온라인 광고 수익에 대한 세금 부과도 고려 중

https://on.ft.com/4lN2mzO
트럼프는 관세 얼마를 원하는가?

대 EU 관세 15~20%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에 최소한 15~20% 관세율을 요구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유럽연합과 최근 협상에서 대부분 품목에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는 내용을 논의해 왔지만, 다시 높은 수준의 관세를 요구했다는 겁니다.

EU와 무역협상을 지속하면서도 요구조건을 강화하는 것은 EU가 견딜 수 있는 최대한도까지 관세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의도로 풀이됩니다.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전쟁을 시작할때 투자자들은 의심했지만 보편적 관세 10% + 알파를 진심으로 파악했었습니다. 미국의 재정수입 증가와 적절한 인플레이션 관리를 위한 눈높이가 10% 였던 겁니다.

그런데 시간이 가면서 트럼프 관세정책이 TACO로 조롱당하면서 강도가 올라갑니다. 실제 종료된 관세협상은 베트남 20%, 인도네시아 19%입니다. EU 마저 15% 이상 관세 폭탄을 떨어뜨릴수도 있는데요,

시장 불안감을 올릴수 있겠습니다. 4.2 관세폭탄(liberation day) 주가는 전세계가 다 회복한 상황입니다. 고관세의 최대 피해국가는 미국이 포함되고 중국은 상대적으로 수혜(?)에 가깝습니다.

t.me/jkc123
💬💬💬💬💬💬
미국을 디지털 자산 분야의 선두로 만들겠다는 공약 아래, 도널드 J.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 ‘지니어스법(GENIUS Act)’에 서명함. 이 법은 미국이 글로벌 디지털 화폐 혁명을 주도할 수 있는 길을 열겠다는 목표 아래 제정된 역사적인 입법임.


주요 내용:

1. 소비자 보호와 디지털 시장 규율 강화
사기성 금융 행위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연방 차원의 최초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 도입

모든 스테이블코인은 100% 준비금을 갖춰야 하며, 이 준비금은 미 달러나 단기 국채 등 유동성 자산으로 구성되어야 함

준비금 구성은 매월 공개해야 하며, 연방 정부가 보증하거나 법정화폐처럼 오해하게 만드는 광고는 금지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일치하도록 조율

발행사가 파산할 경우, 스테이블코인 보유자의 권리가 최우선으로 보호됨


2.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 강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미 국채 및 달러 기반 준비금 요구를 통해 미 국채 수요 확대

이는 달러의 국제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명확한 규제 기반 마련으로 미국 내 디지털 자산 시장 활성화와 책임 있는 혁신 유도


3. 불법 디지털 자산 활동 대응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를 은행비밀법(Bank Secrecy Act) 적용 대상으로 명시

자금세탁 방지(AML)와 제재 준수를 위한 내부통제 체계 의무화

법적 명령 시 스테이블코인의 동결, 소각, 압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 확보 의무 부여

재무부의 제재 회피 및 불법 자금 흐름 단속 능력 강화


4. 디지털 자산 초강대국 구상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미국을 세계 디지털 자산의 수도로 만들겠다”고 공언

취임 첫 주에 디지털 자산 주도권 확보를 위한 행정명령 서명

3월에는 ‘비트코인 전략 비축’ 및 ‘미국 디지털 자산 국가 비축계획’을 위한 행정명령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지니어스법을 “미국을 디지털 자산 분야의 확고한 1위로 만들 역사적 입법”이라 평가하며 “이 법은 순수한 천재성의 산물이며, 대규모 투자와 혁신을 미국에 가져올 것”이라 밝힘.


출처: https://www.whitehouse.gov/fact-sheets/2025/07/fact-sheet-president-donald-j-trump-signs-genius-act-into-law/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탈렌에너지가 천연가스 발전소 2곳 인수라는 호재로 24.47% 급등했습니다.

그 외에 뉴스케일파워도 7.30%,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도 4.31%, OKLO도 2.69% 상승하는 등 원전주 전반이 강세 마감했습니다.
NuScale Power, 전략적 개발 속 에너지 혁신 진전

NuScale Power Corporation의 주가는 모듈형 원자로 기술의 상당한 발전에 따라 7.37% 상승했습니다.


주요 내용
이 회사는 독특한 소형 모듈형 반응기 기술을 활용해 깨끗한 물 생산과 수소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 이니셔티브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샤람 가세미안이 새로운 최고법무책임자로 임명되어, 특히 규제 문제에 대한 귀중한 경험을 제공하여 전략적 입지를 강화할 것입니다.

SMR과 같은 혁신적 기업을 타겟으로 하는 ETF와 같은 상품을 활용함으로써, 부문에 대한 신뢰가 유지되면서 강력한 투자 기회가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요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수소 생산 및 에너지 효율 솔루션 분야의 기술적 발전이 촉진되고 있으며, NuScale은 해당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https://stockstotrade.com/news/nuscale-power-corporation-smr-news-2025_07_18/
Saab가 조금 전 2Q 실적 발표 후 11.85% 급등하며 신고가 경신 중입니다.

방산은 30년만에 30년짜리 큰 패러다임의 변화 초입이라는게 새삼 느껴집니다.

앞서거니 뒷서거니 유럽과 한국의 방산주들이 Saab 따라갈 걸로 생각합니다. 아니 기도합니다!
Forwarded from 퀀텀 알고리즘
❤️ NuScale Power 주간 차트 (2025년7월19일)


1) SMR 대장주 NuScale Power가 역사적 고가를 경신하며 $50 돌파

2) 작년 3월 초 $5 아래에서 "중기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언급 후 10 배 이상 상승



❤️ NuScale Power 주간 차트 (2024년3월6일) :
NuScale Power는 작년 11월과 올해 1월에 바닥을 형성하고 중기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

https://t.me/quantum_ALGO/57687


#NuScalePower
⚡️⚡️⚡️⚡️⚡️⚡️
2028 미국 대선 미리보기

공화당: JD vance 유력

민주당: 개빈 뉴섬 유력

그나저나 저거 베팅하고 2028년까지 어떻게 기다리나요 ㅋㅋㅋ


출처: 폴리마켓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앞으로 변수는 많겠지만, JD 밴스가 다음 미국 대통령이 될 가능성은 1위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정작 떡 주는 놈은 별 생각이 없어보임..
차이나 AI 무섭다

KIMI, 딥시크를 넘어서다


중국의 인공지능(AI) 유니콘 기업 문샷이 새로 공개한 모델 ‘키미 K2’가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일부 기능은 미국 오픈AI의 챗 GPT, 구글 제미나이, 중국의 딥시크보다 나은 성능을 보인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전 세계 AI 업계를 흔든 딥시크 모먼트가 또다시 오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온다.

18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문샷이 지난 11일 새롭게 공개한 AI 모델 키미 K2는 다양한 AI 모델 능력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가장 탁월한 것은 코딩 능력이다. AI의 코딩 능력을 평가하는 ‘라이브코드벤치’에서 키미 K2는 ’53.7% 패스@1’ 점수를 받았다. 단 한 번의 시도로 코딩 과제의 53.7%를 정확히 해결했다는 뜻이다. GPT-4.1(44.7%)나, 딥시크-V3(46.9%)를 뛰어넘는 점수다. 수학 문제 500개를 얼마나 논리적으로 푸는지 보는 ‘매스-500’ 능력 평가에선 97.4%의 정답률을 보여 구글 제미나이 2.5프로(95.2%), 앤트로픽의 클로드 3.7 소넷(96.2%)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글쓰기 실력도 뛰어났다. 얼마나 창의적으로 글을 쓰는지를 보는 ‘크리에이티브 라이팅 v3’ 평가에선 10점 만점에 AI 모델 8.56점을 얻어 1위를 기록했다. 제미나이 2.6프로(8.38), GPT-4o(8.18)보다 높은 점수다.

키미 K2는 오픈 소스로 일반에 공개됐고 무료로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받는다. 누구나 키미 K2 모델에 접근해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또 다른 AI 모델 혁신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세계 최대 오픈소스 커뮤니티 허깅페이스 관계자는 “키미 K2는 지금 다른 어떤 AI 모델보다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다”고 했다.

미국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중국이 딥시크에 이어 키미 K2를 내놓으면서 오픈 소스 AI 모델 생태계를 독점할 수도 있다는 걱정이다. 미국 비영리 AI 연구 기관인 앨런 인공지능연구소 관계자는 “키미 K2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오픈 소스 AI 모델”이라면서 “미국도 상업용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넘어 누구나 접근 가능한 AI 모델을 혁신하는 ‘딥시크 프로젝트’를 서두를 때가 됐다”고 했다.

송혜진 기자 enavel@chosun.com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워렌넝구의 주식투자 블로그:

🤖AI 요약:
1. 일진전기, HD현대일렉트릭 등 주요 전력기기 업체들이 과거 담합으로 6개월간 입찰제한 제재를 받았습니다.

2. 공시 직후 이들 종목은 NXT시장에서 -10% 이상 급락하며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3. 그러나 해당 기업들은 수출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기존 수주잔고도 탄탄해 실질 매출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4. 업계 주요 기업들이 제재 대상이라 대체 공급이 어려워 입찰 공백은 장기화되기 어렵습니다.

5. 집행정지 가처분이 인용되면 입찰 참여도 가능해져, 단기 충격에 비해 중장기 실적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입니다.


👉전문 읽기: 전력기기 업체들 대규모 입찰제한 - 일진전기, HD현대일렉트릭, LS일렉트릭 등
https://blog.naver.com/khiro38/223938691771?fromRss=true&trackingCode=rss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