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트럼프 대통령은 캘리포니아주의 전기차(EV) 보급 확대 계획을 저지하기 위한 3건의 의회 결의안에 서명
» 이 결의안들은 바이든 정부 시절 추진된 주(州) 차원의 EV 의무화 정책을 철회하고 무효화하는 내용과 연결
» 특히 캘리포니아주의 디젤 엔진 퇴출 및 가솔린 차량 판매 중단 계획을 직접적으로 겨냥
» 이 결의안들은 바이든 정부 시절 추진된 주(州) 차원의 EV 의무화 정책을 철회하고 무효화하는 내용과 연결
» 특히 캘리포니아주의 디젤 엔진 퇴출 및 가솔린 차량 판매 중단 계획을 직접적으로 겨냥
Forwarded from [한투증권 이동연] 글로벌 기업(IT S/W)
테슬라 주가가 금일 -2.2% 하락한 여러 이유 중 하나
—————————————————————
트럼프,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금지하고 전기차 판매를 촉진한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계획을 저지하는 결의안에 서명. 캘리포니아 주의 규정을 "국가적 재앙이자 미친 짓"이라고 비판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2205031?sid=104
—————————————————————
트럼프,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금지하고 전기차 판매를 촉진한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계획을 저지하는 결의안에 서명. 캘리포니아 주의 규정을 "국가적 재앙이자 미친 짓"이라고 비판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2205031?sid=104
Naver
트럼프, 캘리포니아 전기차 계획 저지 결의안 서명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금지하고 전기차 판매를 촉진한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계획을 저지하는 결의안에 서명했습니다. 트럼프는 2035년부터 신차의 경우 전기차만 판매할 수 있다
Forwarded from 서화백의 그림놀이 🚀
"Future of Energy: Powering AI in the US"
📌 주요 투자 인사이트 요약 (한글 요약)
1. AI 데이터센터 수요 폭증: 전력 섹터에 미치는 영향
* AI 학습/추론용 컴퓨팅 수요 급증 → 미국 내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2024\~2028년 매년 수 GW 증가 추세.
* Morgan Stanley는 AI가 \*\*비선형적(non-linear)\*\*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AI 모델의 성능/파워 요구량은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고 분석.
2. 수혜 예상 산업
* 최대 수혜:
* Merchant Power (자유전력공급)
* 천연가스 발전 관련주
* 소형 모듈 원자로(SMR)를 포함한 원자력
* 전력 장비 (특히 가스터빈)
* \*\*Bloom Energy (BE)\*\*의 연료전지: 데이터센터 기업들과의 전력 계약 확대 예상.
* 비트코인 채굴장 → 데이터센터 전환: 저평가된 arbitrage 기회로 주목받는 중.
🔎 주요 질문과 Morgan Stanley의 답변 요약
Q1. 데이터센터 전력 계약 급증에 따른 투자처는?
* 중간·상류 에너지(Midstream/Upstream), 가스터빈, 원자력 중심으로 관심 증가.
* 반면, 탄소포집, 재생에너지, 전력망 인프라**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 → **오히려 저점매수 기회로 해석 가능.
Q2. AI 전력 수요 지속 가능성은?
* AI 컴퓨팅 수요는 급격히 증가 중, Nvidia 실적도 이를 지지.
* DeepSeek 사례 등으로 미뤄볼 때, 2026\~2027년까지 인간 수준 이상 AI 모델 개발 위해 수백억 달러와 수백만 개의 AI 칩 필요 예상.
Q3. Hyperscaler 기업들이 원전과 계약하는 이유는?
* 마이크로소프트: Three Mile Island 원전 재가동 비용 지원
* 메타: Clinton 원전 재인가 비용 지원
* 정치·환경적 효과 노림수이며, 장기적으로는 **원전 부지 내 데이터센터 구축의 포석**일 가능성 있음.
Q4. 미국 정부가 전력망 병목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는?
* **FERC 명령, 국방물자생산법(DPA) 활용, 승인 프로세스 간소화 등**의 정책 기대.
* 수혜 예상: PJM 지역 merchant power, 전력 송전 밸류체인 기업들.
Q5. 미국 내 AI 학습용 데이터센터의 규모 추세는?
* Epoch AI 분석에 따르면:
* AI 슈퍼컴퓨터의 파워 수요는 13개월마다 2배
* 2030년 선도 슈퍼컴퓨터는 2백만 AI 칩, \$200bn, 9GW 전력 요구 예상.
Q6. 미중 무역전쟁과 공급망 리스크?
* 데이터센터 성장 자체에는 리스크 적음.
* 리스크가 큰 영역: 희귀 광물·소재 공급망 (중국 의존도가 높음)
📌 결론 및 투자 전략 제안
*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은 이미 merchant power, nuclear 중심으로 쏠림 → 일부 주가는 과열 조짐 (ex: GEV)
*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영역 (ex: 전력망, 탄소포집, 연료전지 등) 은 **‘미래의 원전’과 같은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
* 주요 수혜 기업: Bloom Energy (BE), Vistra (VST), Constellation Energy (CEG), Talen Energy (TLN) 등
📌 주요 투자 인사이트 요약 (한글 요약)
1. AI 데이터센터 수요 폭증: 전력 섹터에 미치는 영향
* AI 학습/추론용 컴퓨팅 수요 급증 → 미국 내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2024\~2028년 매년 수 GW 증가 추세.
* Morgan Stanley는 AI가 \*\*비선형적(non-linear)\*\*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AI 모델의 성능/파워 요구량은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고 분석.
2. 수혜 예상 산업
* 최대 수혜:
* Merchant Power (자유전력공급)
* 천연가스 발전 관련주
* 소형 모듈 원자로(SMR)를 포함한 원자력
* 전력 장비 (특히 가스터빈)
* \*\*Bloom Energy (BE)\*\*의 연료전지: 데이터센터 기업들과의 전력 계약 확대 예상.
* 비트코인 채굴장 → 데이터센터 전환: 저평가된 arbitrage 기회로 주목받는 중.
🔎 주요 질문과 Morgan Stanley의 답변 요약
Q1. 데이터센터 전력 계약 급증에 따른 투자처는?
* 중간·상류 에너지(Midstream/Upstream), 가스터빈, 원자력 중심으로 관심 증가.
* 반면, 탄소포집, 재생에너지, 전력망 인프라**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 → **오히려 저점매수 기회로 해석 가능.
Q2. AI 전력 수요 지속 가능성은?
* AI 컴퓨팅 수요는 급격히 증가 중, Nvidia 실적도 이를 지지.
* DeepSeek 사례 등으로 미뤄볼 때, 2026\~2027년까지 인간 수준 이상 AI 모델 개발 위해 수백억 달러와 수백만 개의 AI 칩 필요 예상.
Q3. Hyperscaler 기업들이 원전과 계약하는 이유는?
* 마이크로소프트: Three Mile Island 원전 재가동 비용 지원
* 메타: Clinton 원전 재인가 비용 지원
* 정치·환경적 효과 노림수이며, 장기적으로는 **원전 부지 내 데이터센터 구축의 포석**일 가능성 있음.
Q4. 미국 정부가 전력망 병목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는?
* **FERC 명령, 국방물자생산법(DPA) 활용, 승인 프로세스 간소화 등**의 정책 기대.
* 수혜 예상: PJM 지역 merchant power, 전력 송전 밸류체인 기업들.
Q5. 미국 내 AI 학습용 데이터센터의 규모 추세는?
* Epoch AI 분석에 따르면:
* AI 슈퍼컴퓨터의 파워 수요는 13개월마다 2배
* 2030년 선도 슈퍼컴퓨터는 2백만 AI 칩, \$200bn, 9GW 전력 요구 예상.
Q6. 미중 무역전쟁과 공급망 리스크?
* 데이터센터 성장 자체에는 리스크 적음.
* 리스크가 큰 영역: 희귀 광물·소재 공급망 (중국 의존도가 높음)
📌 결론 및 투자 전략 제안
*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은 이미 merchant power, nuclear 중심으로 쏠림 → 일부 주가는 과열 조짐 (ex: GEV)
*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영역 (ex: 전력망, 탄소포집, 연료전지 등) 은 **‘미래의 원전’과 같은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
* 주요 수혜 기업: Bloom Energy (BE), Vistra (VST), Constellation Energy (CEG), Talen Energy (TLN) 등
Forwarded from 루팡
마이크론 & 트럼프 행정부, 미국 반도체 투자 확대 발표
총 투자 규모: 약 2,000억 달러
메모리 제조: 1,500억 달러
R&D(연구개발): 500억 달러
총 일자리 창출 효과: 약 90,000개 (직간접 포함)
주요 투자 지역 및 내용
아이다호 (Idaho)
최첨단 DRAM 생산 팹 2개 건설
첫 번째 팹은 2027년 DRAM 양산 시작 예정
R&D 본부와 공동 위치 → 생산-연구 시너지
버지니아 (Virginia, 매너사스)
기존 생산 시설 현대화 및 확장
CHIPS법 지원금 2억 7,500만 달러 확보
산업·자동차·국방·의료용 DRAM ‘1-alpha 노드’ 생산 온쇼어링
뉴욕 (New York)
최대 4개 팹 건설 예정
환경 심사 완료 후 연내 착공 예정
HBM 고대역폭 메모리
HBM 패키징 기술을 미국으로 이전
AI 수요 대응 및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조 기반 확보
정부 지원 및 세금 혜택
CHIPS Act 직접 지원금: 총 64억 달러
AMIC 세금 공제 적용 대상 (35% 공제 확대안 추진 중)
인재 육성 및 지역사회 기여
3개 주(아이다호·뉴욕·버지니아)에 3억 2,500만 달러 인재 육성 투자
반도체 교육 과정, 커뮤니티 칼리지 인턴십, 대학 협력 등
업계 주요 CEO들의 지지 발언
Satya Nadella (MS): “미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Jensen Huang (NVIDIA): “AI 생태계 핵심 메모리 인프라”
Tim Cook (Apple): “미국 제조 리더십 강화”
Michael Dell (Dell): “AI·범용 컴퓨팅 인프라 강화”
Lisa Su (AMD): “AI·고성능 컴퓨팅 가속화에 핵심”
Cristiano Amon (Qualcomm): “공급망 회복력 확보”
Matt Garman (AWS): “차세대 AI 인프라 기반 확장”
https://investors.micron.com/node/48921/pdf
총 투자 규모: 약 2,000억 달러
메모리 제조: 1,500억 달러
R&D(연구개발): 500억 달러
총 일자리 창출 효과: 약 90,000개 (직간접 포함)
주요 투자 지역 및 내용
아이다호 (Idaho)
최첨단 DRAM 생산 팹 2개 건설
첫 번째 팹은 2027년 DRAM 양산 시작 예정
R&D 본부와 공동 위치 → 생산-연구 시너지
버지니아 (Virginia, 매너사스)
기존 생산 시설 현대화 및 확장
CHIPS법 지원금 2억 7,500만 달러 확보
산업·자동차·국방·의료용 DRAM ‘1-alpha 노드’ 생산 온쇼어링
뉴욕 (New York)
최대 4개 팹 건설 예정
환경 심사 완료 후 연내 착공 예정
HBM 고대역폭 메모리
HBM 패키징 기술을 미국으로 이전
AI 수요 대응 및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조 기반 확보
정부 지원 및 세금 혜택
CHIPS Act 직접 지원금: 총 64억 달러
AMIC 세금 공제 적용 대상 (35% 공제 확대안 추진 중)
인재 육성 및 지역사회 기여
3개 주(아이다호·뉴욕·버지니아)에 3억 2,500만 달러 인재 육성 투자
반도체 교육 과정, 커뮤니티 칼리지 인턴십, 대학 협력 등
업계 주요 CEO들의 지지 발언
Satya Nadella (MS): “미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Jensen Huang (NVIDIA): “AI 생태계 핵심 메모리 인프라”
Tim Cook (Apple): “미국 제조 리더십 강화”
Michael Dell (Dell): “AI·범용 컴퓨팅 인프라 강화”
Lisa Su (AMD): “AI·고성능 컴퓨팅 가속화에 핵심”
Cristiano Amon (Qualcomm): “공급망 회복력 확보”
Matt Garman (AWS): “차세대 AI 인프라 기반 확장”
https://investors.micron.com/node/48921/pdf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마이크론은 미국 내 제조 및 R&D에 2,0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
» 이번 투자에는 약 1,500억 달러가 국내 제조 역량 확대에, 500억 달러가 연구개발에 쓰일 예정이며, 이는 기존 계획보다 300억 달러 늘어난 금액
» 한편 지난주 청문회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미국 정부가 2022년 반도체법(Chips Act) 하에 체결한 계약들을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재협상 중이라고 언급
» 이번 투자에는 약 1,500억 달러가 국내 제조 역량 확대에, 500억 달러가 연구개발에 쓰일 예정이며, 이는 기존 계획보다 300억 달러 늘어난 금액
» 한편 지난주 청문회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미국 정부가 2022년 반도체법(Chips Act) 하에 체결한 계약들을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재협상 중이라고 언급
AMD가 12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클라라에서 진행한 '어드밴싱 AI 2025' 행사에서 차세대 AI GPU 가속기 '인스팅트 MI350' 시리즈 2종과 향후 AI GPU 가속기 로드맵을 공개했다.
AMD는 오픈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고객 중심 전략, 성능 및 TCO 리더십을 핵심 가치로 내세우며,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7대 IT 기업이 인스팅트 GPU를 대규모로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AMD, 차세대 AI 가속 GPU '인스팅트 MI350' 공개
- 단일 GPU로 최대 5천200억 개 매개변수 AI 모델 처리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77978?sid=105
AMD는 오픈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고객 중심 전략, 성능 및 TCO 리더십을 핵심 가치로 내세우며,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7대 IT 기업이 인스팅트 GPU를 대규모로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AMD, 차세대 AI 가속 GPU '인스팅트 MI350' 공개
- 단일 GPU로 최대 5천200억 개 매개변수 AI 모델 처리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77978?sid=105
Naver
AMD, 차세대 AI 가속 GPU '인스팅트 MI350' 공개
AMD가 12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클라라에서 진행한 '어드밴싱 AI 2025' 행사에서 차세대 AI GPU 가속기 '인스팅트 MI350' 시리즈 2종과 향후 AI GPU 가속기 로드맵을 공개했다
Forwarded from 주식창고210
https://naver.me/FtGCnLfi
MI400 시리즈를 통해 엔비디아 중심의 시장 판도를 흔들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현재는 엔비디아가 시장 점유율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Naver
AMD, 샘 알트먼과 함께 차세대 AI칩 발표…“엔비디아보다 더 싸고 더 낫다”
리사수 AMD CEO가 12일(현지시간) 캘리포이나 세네제이 ‘어드밴싱 AI’ 행사에서 엔비디아의 AI칩을 공개하고 있다. (사진=AMD) AMD가 12일(현지시간)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인스팅트(Instin
Forwarded from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 AMD, 2028년까지 AI 칩 시장의 판을 바꾸겠다는 대담한 계획
📌시장 전망 및 전략 개요
AMD CEO 리사 수는 2028년까지 AI 칩 시장 규모가 5,00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측하며, 이는 이전보다 크게 상향된 수치.
NVIDIA가 현재 AI 칩 시장 점유율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AMD는 더 빠르고 저렴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칩과 오픈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통해 격차를 좁히려는 전략을 발표.
글로벌 기업들의 인공지능 인프라 투자 확대 속에서 치열한 경쟁이 예고됨.
📌차세대 칩: MI350 및 MI400 시리즈
MI350 시리즈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
전작 대비 추론 성능 35배 향상.
FP4/FP6 등 신 데이터 포맷 지원.
HBM3E 메모리 최대 288GB 탑재.
Blackwell GPU 대비 AI 토큰 생성 단가 40% 개선.
오픈AI,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주요 고객 확보.
오라클은 13만 GPU 규모의 클러스터로 도입 계획.
MI400 시리즈 (2026년 출시 예정)
CDNA “Next” 아키텍처 기반.
Helios 랙 시스템: MI400 + EPYC CPU + Pensando 네트워킹 통합.
NVIDIA의 Vera Rubin 랙과 경쟁하는 대규모 AI 컴퓨팅 플랫폼.
📌핵심 경쟁 전략: 성능, 비용, 개방성
성능: 추론 속도와 에너지 효율에서 NVIDIA보다 우위.
비용: H100 GPU 대비 운영비 및 소비 전력 감소, 공격적인 가격 전략.
개방성: ROCm 오픈 소프트웨어 스택 → 100만 개 이상 AI 모델 지원, 유연한 개발 환경 제공.
NVIDIA의 CUDA 독점 생태계와 대비되는 오픈 표준 중심 전략.
📌산업 지지 및 고객 반응
OpenAI CEO 샘 알트먼이 직접 무대에서 AMD의 로드맵 지지.
메타,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xAI 등도 채택 확대.
특히 GPT 모델 훈련 및 추론에 AMD Instinct 칩 사용.
📌향후 과제 및 기회
AI 칩 시장은 공급 부족, 높은 가격, 폭발적 수요로 과열 양상.
NVIDIA는 75%의 높은 마진과 성숙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어 도전이 만만치 않음.
AMD는 최근 ZT Systems 인수 및 AI 스타트업 25곳 투자로 풀스택 경쟁력 강화.
연간 제품 출시 전략 전환 (NVIDIA도 유사 전략) → 경쟁 심화 예고.
📌결론
AMD는 2028년까지 AI 칩 시장에서 성능·비용·개방성 중심 전략으로 NVIDIA에 정면 도전.
MI350·MI400 시리즈와 Helios 시스템은 차세대 AI 인프라를 위한 대안으로 부상 중.
AI 칩 시장의 패권 다툼은 앞으로 수년 간 반도체 업계 최대 격전지가 될 것으로 전망.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시장 전망 및 전략 개요
AMD CEO 리사 수는 2028년까지 AI 칩 시장 규모가 5,000억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측하며, 이는 이전보다 크게 상향된 수치.
NVIDIA가 현재 AI 칩 시장 점유율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AMD는 더 빠르고 저렴하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칩과 오픈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통해 격차를 좁히려는 전략을 발표.
글로벌 기업들의 인공지능 인프라 투자 확대 속에서 치열한 경쟁이 예고됨.
📌차세대 칩: MI350 및 MI400 시리즈
MI350 시리즈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
전작 대비 추론 성능 35배 향상.
FP4/FP6 등 신 데이터 포맷 지원.
HBM3E 메모리 최대 288GB 탑재.
Blackwell GPU 대비 AI 토큰 생성 단가 40% 개선.
오픈AI,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주요 고객 확보.
오라클은 13만 GPU 규모의 클러스터로 도입 계획.
MI400 시리즈 (2026년 출시 예정)
CDNA “Next” 아키텍처 기반.
Helios 랙 시스템: MI400 + EPYC CPU + Pensando 네트워킹 통합.
NVIDIA의 Vera Rubin 랙과 경쟁하는 대규모 AI 컴퓨팅 플랫폼.
📌핵심 경쟁 전략: 성능, 비용, 개방성
성능: 추론 속도와 에너지 효율에서 NVIDIA보다 우위.
비용: H100 GPU 대비 운영비 및 소비 전력 감소, 공격적인 가격 전략.
개방성: ROCm 오픈 소프트웨어 스택 → 100만 개 이상 AI 모델 지원, 유연한 개발 환경 제공.
NVIDIA의 CUDA 독점 생태계와 대비되는 오픈 표준 중심 전략.
📌산업 지지 및 고객 반응
OpenAI CEO 샘 알트먼이 직접 무대에서 AMD의 로드맵 지지.
메타,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xAI 등도 채택 확대.
특히 GPT 모델 훈련 및 추론에 AMD Instinct 칩 사용.
📌향후 과제 및 기회
AI 칩 시장은 공급 부족, 높은 가격, 폭발적 수요로 과열 양상.
NVIDIA는 75%의 높은 마진과 성숙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어 도전이 만만치 않음.
AMD는 최근 ZT Systems 인수 및 AI 스타트업 25곳 투자로 풀스택 경쟁력 강화.
연간 제품 출시 전략 전환 (NVIDIA도 유사 전략) → 경쟁 심화 예고.
📌결론
AMD는 2028년까지 AI 칩 시장에서 성능·비용·개방성 중심 전략으로 NVIDIA에 정면 도전.
MI350·MI400 시리즈와 Helios 시스템은 차세대 AI 인프라를 위한 대안으로 부상 중.
AI 칩 시장의 패권 다툼은 앞으로 수년 간 반도체 업계 최대 격전지가 될 것으로 전망.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NVIDIA의 젠슨 황 CEO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향후 실적 전망에서 중국 시장을 제외할 것이라고 언급
» 젠슨 황은 미중 무역 협상 이후 수출 규제 완화 가능성을 기대하지 않는다고 있으며, 만약 규제가 완화된다면 이는 보너스로 생각해야한다고 설명
» 젠슨 황은 미중 무역 협상 이후 수출 규제 완화 가능성을 기대하지 않는다고 있으며, 만약 규제가 완화된다면 이는 보너스로 생각해야한다고 설명
Forwarded from [하나 Global ETF] 박승진 (박승진 하나증권)
💼 Adobe FY25 2분기 실적
🔹 EPS: $5.06 (시장 예상: $4.98) 🟢
🔹 매출: $5.87B (시장 예상: $5.80B, 전년대비: +11%) 🟢
🔹 RPO: $19.69B
📊 3분기 가이던스
🔹 매출: $5.875B~$5.925B (시장 예상: $5.877B) 🟡
🔹 EPS: $5.15~$5.20 (시장 예상: $5.10) 🟢
📈 2025년 회계연도 가이던스 (상향 조정)
🔹 매출: $23.5B~$23.6B (시장 예상: $23.455B) 🟢
🔹 EPS: $20.50~$20.70 (시장 예상: $20.36) 🟢
🔹 Digital Media ARR 성장률: 전년대비 +11%
🧩 2분기 부문별 실적
🔹 Digital Media Revenue: $4.35B (전년대비 +11%)
🔹 Digital Media ARR: $18.09B (전년대비 +12.1%)
🔹 Digital Experience Revenue: $1.46B (전년대비 +10%)
🔹 Digital Experience Subscription Revenue: $1.33B (전년대비 +11%)
💵 2분기 주요 지표
🔹 Operating Income: $2.67B
🔹 Net Income: $2.17B
🔹 Operating Cash Flow: $2.19B
🔹 자사주 매입 규모: 약 860만 주
🗣️ CEO Shantanu Narayen의 Commentary
🧠 CFO Dan Durn의 Commentary
🔹 EPS: $5.06 (시장 예상: $4.98) 🟢
🔹 매출: $5.87B (시장 예상: $5.80B, 전년대비: +11%) 🟢
🔹 RPO: $19.69B
📊 3분기 가이던스
🔹 매출: $5.875B~$5.925B (시장 예상: $5.877B) 🟡
🔹 EPS: $5.15~$5.20 (시장 예상: $5.10) 🟢
📈 2025년 회계연도 가이던스 (상향 조정)
🔹 매출: $23.5B~$23.6B (시장 예상: $23.455B) 🟢
🔹 EPS: $20.50~$20.70 (시장 예상: $20.36) 🟢
🔹 Digital Media ARR 성장률: 전년대비 +11%
🧩 2분기 부문별 실적
🔹 Digital Media Revenue: $4.35B (전년대비 +11%)
🔹 Digital Media ARR: $18.09B (전년대비 +12.1%)
🔹 Digital Experience Revenue: $1.46B (전년대비 +10%)
🔹 Digital Experience Subscription Revenue: $1.33B (전년대비 +11%)
💵 2분기 주요 지표
🔹 Operating Income: $2.67B
🔹 Net Income: $2.17B
🔹 Operating Cash Flow: $2.19B
🔹 자사주 매입 규모: 약 860만 주
🗣️ CEO Shantanu Narayen의 Commentary
“Business Professionals, Consumers, 그리고 Creative 및 Marketing Professionals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제공 전략이 고객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FY25 전체 Revenue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게 되어 기쁩니다.”
🧠 CFO Dan Durn의 Commentary
“우리는 각 고객군에 걸쳐 AI 혁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 가치 실현을 증대시키고 더 많은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Forwarded from 주식 급등일보🚀급등테마·대장주 탐색기 (텔레그램)
✅ [오늘의 국회 에너지 입법 : 신재생에너지 발전 투자 세액 공제 확대 제안]
https://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93973
특히 정부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태양광ㆍ풍력 보급 목표 상향 등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추진 중이며 목표 달성을 위해 민간 투자가 필수적인데 현재 투자 유인책은 부족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에 투자하는 경우 투자 금액의 100분의 20, 중소기업은 100분의 30에 상당하는 금액을 세액공제하는 방안을 주문했다.
https://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93973
www.e-platform.net
[오늘의 국회 에너지 입법 : 신재생에너지 발전 투자 세액 공제 확대 제안] - 에너지플랫폼뉴스
[에너지플랫폼뉴스 김예나 기자]국회 김태년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성남시 수정구)은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투자와 관련해 세액공제 확대를 제안했다.현행법은 내국인...
Forwarded from 루팡
닌텐도 Switch2, 일본 역사상 가장 빠르게 판매된 게임기로 등극 – PS2 기록 돌파
Switch2 일본 출시 첫 주 판매량 100만 대 돌파
Fami통이 발표한 하드웨어 판매량 통계에 따르면, 6월 8일까지의 한 주 동안 Switch2의 일본 판매량은 약 94.8만 대에 달했습니다.
이 수치는 닌텐도 공식 온라인 스토어인 My Nintendo Store의 판매량을 포함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이를 포함하면, Switch2의 일본 출시 첫 주 판매량이 100만 대를 넘은 것으로 거의 확정됩니다.
외신 VGC는 오늘 “Switch2는 일본 게임기 역사상 최대 규모의 론칭”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다수의 통계 출처를 집계한 Game Data Library에 따르면, 이전까지는 PlayStation 2가 약 63만 대의 첫 주 판매량으로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Game Boy Advance: 첫 주 61.1만 대
Nintendo DS: 첫 주 46.8만 대
초대 Switch: 첫 주 33만 대
→ 이는 Switch2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
이번 주 초 닌텐도는 Switch2의 글로벌 출시 4일간 판매량이 350만 대에 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닌텐도 역사상 자체 기록을 경신했을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사상 최대 규모의 게임기 론칭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참고로 PlayStation 5는 출시 후 4주간 누적 출하량 340만 대, 7주간 450만 대를 기록했지만, 당시 심각한 공급 부족에 시달렸던 상황이었습니다.
Switch2의 폭발적인 출발은 닌텐도가 첫 회계연도 목표치인 1,500만 대 판매 달성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이며, 일부 분석가들은 초과 달성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https://t.cj.sina.com.cn/articles/view/1642634100/61e89b7404001irq6
Switch2 일본 출시 첫 주 판매량 100만 대 돌파
Fami통이 발표한 하드웨어 판매량 통계에 따르면, 6월 8일까지의 한 주 동안 Switch2의 일본 판매량은 약 94.8만 대에 달했습니다.
이 수치는 닌텐도 공식 온라인 스토어인 My Nintendo Store의 판매량을 포함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이를 포함하면, Switch2의 일본 출시 첫 주 판매량이 100만 대를 넘은 것으로 거의 확정됩니다.
외신 VGC는 오늘 “Switch2는 일본 게임기 역사상 최대 규모의 론칭”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다수의 통계 출처를 집계한 Game Data Library에 따르면, 이전까지는 PlayStation 2가 약 63만 대의 첫 주 판매량으로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Game Boy Advance: 첫 주 61.1만 대
Nintendo DS: 첫 주 46.8만 대
초대 Switch: 첫 주 33만 대
→ 이는 Switch2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
이번 주 초 닌텐도는 Switch2의 글로벌 출시 4일간 판매량이 350만 대에 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닌텐도 역사상 자체 기록을 경신했을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사상 최대 규모의 게임기 론칭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참고로 PlayStation 5는 출시 후 4주간 누적 출하량 340만 대, 7주간 450만 대를 기록했지만, 당시 심각한 공급 부족에 시달렸던 상황이었습니다.
Switch2의 폭발적인 출발은 닌텐도가 첫 회계연도 목표치인 1,500만 대 판매 달성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이며, 일부 분석가들은 초과 달성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https://t.cj.sina.com.cn/articles/view/1642634100/61e89b7404001irq6
t.cj.sina.com.cn
Switch2成日本史上销售最快游戏机,打破PS2记录
【#Switch2成日本史上销售最快游戏机#,打破PS2记录】#Switch2日本首发销量破百万台# 根据 Fami 通公布的硬件销量数据,...
Forwarded from 루팡
(단독 인터뷰) 가격 추가 상승 예고! 마이크론, DDR4 생산 중단 및 공급 부족 공식화
마이크론(Micron) 최고사업책임자(CBO) 겸 수석부사장 수밋 사다나(Sumit Sadana)는 DIGITIMES와의 인터뷰에서, DDR4 제품이 앞으로 3개 분기 내 출하 중단될 예정이며, 자사의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세계 3대 DRAM 제조사들은 DDR4 규격에서 차세대 공정 기반 제품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확정한 상황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잇따라 DDR4 생산 종료 시점을 밝힌 데 이어, 마이크론도 고객들에게 DDR4 생산 종료(EOL, End of Life) 공지를 발송했다. 출하 중단은 향후 2~3분기 동안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DDR4는 계속 부족, DDR5는 가격 매력 구간 진입
사다나는 “DDR4/LPDDR4는 앞으로도 심각한 공급 부족 상태가 지속될 것”이라며, DDR4 공급은 차량용·산업용·네트워크용 장기 고객에 한해 전략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DDR5/LPDDR5는 가격 매력 구간에 진입 중이라며 시장 전환을 독려했다.
또한 마이크론은 앞으로 수익성이 낮은 시장 분야에 대해 가격 인상 전략을 강화할 계획이며, 특히 모바일(스마트폰) 분야의 가격과 수익성이 타 산업 대비 낮다는 점을 언급하며 향후 수개월 내 가격 인상 조정이 있을 것이라 밝혔다.
PC·데이터센터용 DDR4 생산 종료… 일부 산업만 유지 공급
이번 EOL 조치는 PC 및 데이터센터용 DDR4 제품에 대한 생산 축소 또는 중단을 의미한다.
단, 품질 안정성과 장기 공급이 중요한 차량·산업·통신 장비 분야에는 장기 계약 기반으로 공급을 지속할 계획이다.
사다나는 “최근 시장에서 DDR4/LPDDR4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서 가격이 급등했으며, 일부 경우에는 DDR5/LPDDR5보다도 가격이 높아졌다”고 전했다.
AI·HBM 수요 증가 → DRAM 생산 전환 압박
DDR4 제품은 구형 기술로 마이크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지만, 일부 고객에게는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도 인정했다.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DRAM 웨이퍼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었고, 이는 DDR4 같은 일반 제품의 생산량을 더욱 제한하게 만들었다. 실제로 2025년 2분기부터 DRAM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은 메모리 산업의 대호황 기회” – 사다나
마이크론은 DDR5/LPDDR5가 AI PC, 모바일,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주류 기술로 전환되는 전환점에 있다고 보고 있으며, 공급도 빠르게 타이트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AI 관련 설비투자 증가: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대규모 AI 투자, AI 주권 강화를 위한 각국의 정책 자금 투입.
DRAM은 AI 성능 향상의 병목지점: 메모리 용량 및 대역폭 향상이 시스템 성능의 핵심.
PC·스마트폰 수요 안정적: 출하량은 낮은 한 자릿수 증가 예상, AI 기능 탑재로 DRAM 수요는 증가 (8GB → 12~16GB로 전환 가속화).
메모리 가격과 수익성, 아직 상승 여력 충분
마이크론은 모바일 분야 수익성 제고를 통해 전반적인 가격 책정 능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반도체 산업 전반에 비해 메모리의 마진과 가격 수준이 아직 낮다고 지적했다.
사다나는 마지막으로,
"투자 수익률을 보장해야 한다. 그리고 수익을 연구개발과 신규 투자로 다시 환원함으로써 메모리 산업의 성장 주기에 올라타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www.digitimes.com.tw/tech/dt/n/shwnws.asp?CnlID=1&Cat=40&id=0000724487_CUI302SS9392JH6NF1HE6
마이크론(Micron) 최고사업책임자(CBO) 겸 수석부사장 수밋 사다나(Sumit Sadana)는 DIGITIMES와의 인터뷰에서, DDR4 제품이 앞으로 3개 분기 내 출하 중단될 예정이며, 자사의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세계 3대 DRAM 제조사들은 DDR4 규격에서 차세대 공정 기반 제품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확정한 상황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잇따라 DDR4 생산 종료 시점을 밝힌 데 이어, 마이크론도 고객들에게 DDR4 생산 종료(EOL, End of Life) 공지를 발송했다. 출하 중단은 향후 2~3분기 동안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DDR4는 계속 부족, DDR5는 가격 매력 구간 진입
사다나는 “DDR4/LPDDR4는 앞으로도 심각한 공급 부족 상태가 지속될 것”이라며, DDR4 공급은 차량용·산업용·네트워크용 장기 고객에 한해 전략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DDR5/LPDDR5는 가격 매력 구간에 진입 중이라며 시장 전환을 독려했다.
또한 마이크론은 앞으로 수익성이 낮은 시장 분야에 대해 가격 인상 전략을 강화할 계획이며, 특히 모바일(스마트폰) 분야의 가격과 수익성이 타 산업 대비 낮다는 점을 언급하며 향후 수개월 내 가격 인상 조정이 있을 것이라 밝혔다.
PC·데이터센터용 DDR4 생산 종료… 일부 산업만 유지 공급
이번 EOL 조치는 PC 및 데이터센터용 DDR4 제품에 대한 생산 축소 또는 중단을 의미한다.
단, 품질 안정성과 장기 공급이 중요한 차량·산업·통신 장비 분야에는 장기 계약 기반으로 공급을 지속할 계획이다.
사다나는 “최근 시장에서 DDR4/LPDDR4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서 가격이 급등했으며, 일부 경우에는 DDR5/LPDDR5보다도 가격이 높아졌다”고 전했다.
AI·HBM 수요 증가 → DRAM 생산 전환 압박
DDR4 제품은 구형 기술로 마이크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지만, 일부 고객에게는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도 인정했다.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가 증가하면서, DRAM 웨이퍼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었고, 이는 DDR4 같은 일반 제품의 생산량을 더욱 제한하게 만들었다. 실제로 2025년 2분기부터 DRAM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은 메모리 산업의 대호황 기회” – 사다나
마이크론은 DDR5/LPDDR5가 AI PC, 모바일, 데이터센터 분야에서 주류 기술로 전환되는 전환점에 있다고 보고 있으며, 공급도 빠르게 타이트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AI 관련 설비투자 증가: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대규모 AI 투자, AI 주권 강화를 위한 각국의 정책 자금 투입.
DRAM은 AI 성능 향상의 병목지점: 메모리 용량 및 대역폭 향상이 시스템 성능의 핵심.
PC·스마트폰 수요 안정적: 출하량은 낮은 한 자릿수 증가 예상, AI 기능 탑재로 DRAM 수요는 증가 (8GB → 12~16GB로 전환 가속화).
메모리 가격과 수익성, 아직 상승 여력 충분
마이크론은 모바일 분야 수익성 제고를 통해 전반적인 가격 책정 능력을 강화할 계획이며, 반도체 산업 전반에 비해 메모리의 마진과 가격 수준이 아직 낮다고 지적했다.
사다나는 마지막으로,
"투자 수익률을 보장해야 한다. 그리고 수익을 연구개발과 신규 투자로 다시 환원함으로써 메모리 산업의 성장 주기에 올라타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www.digitimes.com.tw/tech/dt/n/shwnws.asp?CnlID=1&Cat=40&id=0000724487_CUI302SS9392JH6NF1HE6
DIGITIMES 科技網
(專訪)價格再看漲! 美光親證實DDR4將停產大缺貨
全球三大DRAM原廠確定從DDR4規格,轉向先進製程產品。繼韓系兩大記憶體業者先後釋出DDR4停產時程,美光(Micron)確定已向客戶發出信件通知DDR4將停產(EOL,End of Life),預計未來2~3季陸續停止出貨。<br /...
Forwarded from 문서진의 캐시메이커 (메이커 캐시)
https://www.digitimes.com.tw/tech/dt/n/shwnws.asp?CnlID=1&Cat=40&id=0000724487_CUI302SS9392JH6NF1HE6
최근 들어서 메모리 빅3가 모두 ddr4 생산라인을 축소하면서 ddr4 공급부족 사태가 벌어지고 있네요. 당분간 해성디에스 같은 레거시 메모리 기판업체들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질 거 같네요
최근 들어서 메모리 빅3가 모두 ddr4 생산라인을 축소하면서 ddr4 공급부족 사태가 벌어지고 있네요. 당분간 해성디에스 같은 레거시 메모리 기판업체들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질 거 같네요
DIGITIMES 科技網
(專訪)價格再看漲! 美光親證實DDR4將停產大缺貨
全球三大DRAM原廠確定從DDR4規格,轉向先進製程產品。繼韓系兩大記憶體業者先後釋出DDR4停產時程,美光(Micron)確定已向客戶發出信件通知DDR4將停產(EOL,End of Life),預計未來2~3季陸續停止出貨。<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