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조투자가 개인 아카이브:일기장
3.47K subscribers
1.85K photos
6 videos
358 files
7.33K links
지극히 개인적인 개인투자 자료 아카이브 채널입니다.
고정된 메세지를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투자 구호 시작!

매수는 지조있게!
매도는 기조있게!
투자는 곤조있게!
그냥 뇌피셜만 하는 사람입니다.

https://blog.naver.com/twozaga
블로그
Download Telegram
중국 주요 광물의 부존량과 생산량 동향-베이징무역관 2024-06-26
#중국 #광물 #공급망 #원자재
#요약
-구리·코발트·리튬 등은 대외의존도 높아
-갈륨·게르마늄·희토류는 중국이 절대적 우위 차지

2016년 11월 중국 국무원은 국가의 경제 안정, 국방 안전, 전략적 신흥산업의 발전을 위해 ‘전국광물자원계획(2016~2020년)’을 통해 석유, 천연가스, 희토류 등 24종의 광물을 전략적 광물 리스트에 포함했다. 여기서 전략적 광물을 에너지 광물 6종, 금속 광물 6종, 비금속 광물 4종으로 구분했으며, 전략적 광물 자원의 개발 및 보호, 공급망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시사점
중국은 희토류를 비롯한 핵심광물과 관련해 수출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국유 대기업 중심으로 정부가 산업 전반에 대한 관리를 강화 중
중국 골프시뮬레이터 시장동향-베이징무역관 2024-06-27
#중국 #골프 #게임 #인공지능 #레저
#요약
-한국, 중국의 2위 골프시뮬레이터 수입대상국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라 AI 스마트 제품, 소형화 시뮬레이터 제품이 인기

*필드 골프는 자연 속에서 운동하며 네트워킹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도심에서 멀리 나가야 하고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제약이 있다. 반면, 스크린 골프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내에서 편리하게 즐길 수 있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 골프장에 설치되는 골프 시뮬레이터의 판매량과 수요도 증가

#시사점
1. 중국 시장조사기관 즈옌잔산업연구원(智研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골프 시뮬레이터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18년 6800만 위안에서 2022년 3억8100만 위안으로 성장했으며, 2023년에는 전년 대비 43.6% 증가한 5억4700만 위안을 기록

2. 관옌보고망에 따르면 2030년 중국의 골프시뮬레이터 산업규모는 25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 발전과 생활 수준 향상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터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가 예견
반려동물 수제 간식, 중국 내 감성소비의 새로운 트렌드-창사무역관 2024-06-27
#중국 #동물 #펫코노미 #식품
#요약
-중국 반려동물 산업의 세분화·고급화에 따라 감성적 소비 증가
-명절, 기념일 등 특별한 날을 위한 맞춤형 반려동물 케익 인기

*2025년에는 시장 규모가 8114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중국 내 반려동물 산업의 빠른 성장세에는 반려동물을 위한 소비자의 감성적 투자가 반영돼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여기고 자신의 분신으로 생각하는 펫미족(pet=me족, 绚宠派 쉔총파이)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소비도 더욱 감성적이고 다양

#시사점
1. 중국 내 반려동물 수제 간식을 찾는 소비자는 아직 소수에 이르지만, 보호자의 소비심리 자극, 커스터마이징, SNS 마케팅 등 방식을 통해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종류도 케이크, 쿠키, 빵 등으로 다양

2. 중국의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오프라인에서 체험하고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는 경향이 강하고 보호자와 반려동물 간의 공동 체험을 통한 감성적 만족도를 중요하기 때문에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통합 마케팅 전략도 필요

#같이보기
새로운 시장으로 뜨고있는 중국 반려동물 산업 현황-청두무역관 2024-05-16
https://t.me/twozaga/9429
중국 철강 업계 탄소중립 전환 동향-항저우무역관 2024-06-28
#중국 #철강 #탄소 #친환경 #원자재 #공급망 #cbam #수소
#요약
-철강산업 탄소배출량 전체 15%로, 탄소중립 달성의 주요 과제
-중국 기업 대부분 전기로, 수소 기반 기술에 집중
-철스크랩 자원 및 그린수소 확보도 탄소중립 달성 위한 중요 과제

*중국의 철강 생산량은 2020년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감소했으나 중국 정부의 정책적인 움직임으로 수요 및 생산량은 일정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탄소중립을 주요 정책목표로 삼은 중국의 입장에서 철강 산업의 친환경 전환이 절실한 상황이다. 2022년 기준 중국 철강 산업의 탄소 배출량은 약 18억 2,300만 톤으로 중국 전체 탄소배출량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

#시사점
1. 현재 주로 중국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소 제련 기술은 고로 수소 제련, 수소 직접 환원, 수소 융합 환원 세가지 기술이 있다. 그중 고로 수소 제련 기술이 상대적으로 성숙한 기술로 꼽힌다. 고로 수소 제련 기술은 코크스 오븐 가스 또는 천연 가스와 같이 수소가 풍부한 가스를 분사하여 환원 속도를 높이고,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 고로 수소 제련 기술은 중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소 야금 기술로, 저 비용으로 대체가 가능해 중국 철강 제련의 80% 이상이 채택하고 있다.

2. 하지만 고로 수소 제련 기술은 완전한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없어 탄소 기반 생산기술에서 수소 기반 생산기술로 전환하는 과도기적 기술로 평가된다.

3. 수소 기반 기술의 경우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수소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철강업계에서 탈탄소 기술 개발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수소에는 신재생에너지와 전기분해를 결합해 생산한 ‘그린 수소’와 탄소포획 저장장치가 설치된 시설에서 화석연료로 생산하는 ‘블루 수소’가 있다.

#같이복
중국 철근 산업 동향 및 시사점-난징무역관 2024-04-15
https://t.me/twozaga/9000
중국 텅스텐 시장동향-베이징무역관 2024-06-28
#중국 #텅스텐 #원자재 #공급망 #광물
#요약
-2023년 중국 텅스텐 부존량과 생산량은 각각 전 세계의 52.3%, 80.8% 비중 차지
-공급부족으로 텅스텐 정광 및 텅스텐 제품 가격 급등세

* 중국은 전 세계 부존량의 52.3% 비중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텅스텐 보유국

#시사점
1. 중국은 텅스텐 광석의 최대 생산국이기도 하다. 미국지질조사국(USGS)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텅스텐 광석 생산량은 7만 8000톤으로 전년 대비 2.3% 감소했다. 그 중 중국의 생산량은 6만 3000톤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80.8%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베트남, 러시아, 북한의 생산량은 각각 전 세계 생산량의 4.5%, 2.6%, 2.2%의 비중을 차지

2. 중국은 전략물자 관리와 자원보호를 위해 2002년부터 텅스텐 광석에 대한 지역별 채굴 쿼터제를 도입하기 시작

3. 2015년부터 텅스텐에 대한 수출쿼터제와 수출관세 철폐로 2016년부터 수출량은 점차 증가세를 보이다 2018년 최고점을 찍은 후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었으며, 2023년 산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52.3% 감소한 2,699톤으로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탄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18.7% 감소한 4,433톤을 기록

4. 2023년 중국 산화텅스텐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 러시아, 이스라엘, 한국, 이탈리아로 상위 5개국으로의 수출비중은 87%를 차지했다. 상위 5개국 중 對러시아 수출량이 전년 대비 536.7% 급증하였으며, 그 외 4개국으로의 수출량은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2023년 對한 산화텅스텐 수출량은 전년 대비 73.9% 감소한 358톤으로 전체 수출량의 13.3%를 차지

#같이보기
텅스텐과 몰리브덴, 우리가 우즈베키스탄에서 꼭 데려와야 할 희소금속!-타슈켄트무역관 한정선 2024-03-28
https://t.me/twozaga/8798

중국 텅스텐 시장동향-베이징무역관 조민 2023-06-26
https://t.me/twozaga/5533
우리보다 훨씬 긴박한 안보위기 상황에 처해있는 대만 TSMC의 시총을 보면, 북한 때문에 한국에 자본이 안 들어 온다는 말씀은 혹세무민 같네요. 홍콩 몰락의 수혜를 받아 먹어야 된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던 당시에 우리 정부와 관료들은 반시장주의 노선을 타면서 기회를 제발로 찼고, 세제 개편 등 글로벌 기업들에게 각종 혜택을 제시하며 재빠르게 대응한 싱가폴이 홍콩 몰락의 꿀을 다 빨아갔죠.
https://youtu.be/LFzQWIfqGtU?si=oNzguhsFt9IlG7Y2?t=js
스페인, 중국 자동차기업의 EU 내 첫 승용차 생산공장 유치-마드리드무역관 이성학 2024-07-04
#스페인 #유럽 #중국 #자동차 #제조 #전기차 #배터리
#요약
-중국 체리 사는 2024년 말부터 바르셀로나 공장에서 자동차 생산 예정
-스페인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산 판매 급성장 중

1. 중국 체리(Chery), 2024년 말부터 바르셀로나 공장에서 자동차 생산 개시 예정
2.중국 전기차, 스페인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중

#시사점
1. 체리나 BYD 외에도 중국의 주요 완성차 제조기업들은 EU 내 자동차 생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상하이자동차는 MG 차량 생산 공장을 어느 EU 회원국에 설립할 지에 대해 검토 중이며, 동펑자동차그룹은 트럭 생산 공장 설립과 관련해 이탈리아 정부와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중국 제조사들은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시장 점유율 확보 등을 위한 목적으로 EU 내 생산기반 확보에 나서고 있는데, EU 집행위가 2024년 7월부터 잠정적으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최대 48.1%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한 점도 더해져, EU 내 자동차 공장 설립을 위한 중국기업들의 움직임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

3. 스페인 자동차 업계는 대체적으로 체리의 스페인 내 자동차 생산 결정 소식을 반기고 있다. 스페인 자동차제조협회(ANFAC)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몇 년간 폐쇄됐던 닛산의 바르셀로나 자동차 공장이 다시 가동될 수 있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며, 이는 스페인 자동차 제조산업의 경쟁력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평가

#같이보기
스페인, 향후 전기차 생산 비중 대폭 증가 전망 -마드리드무역관 이성학 2023-04-21
https://t.me/twozaga/4412
중국 해양경제 산업 현황-광저우무역관 2024-07-02
#중국 #해양 #인공지능 #조선 #해운 #물 #관광 #물류 #바이오
#요약
-다양한 산업과 AI‧빅데이터 기술 융합으로 큰 발전 가능성을 보여

*해양경제 산업 체계상 중국 내 해양 권역은 크게 북부(랴오닝, 허베이, 톈진시, 보하이만, 산둥반도 등 연안지역), 동부(장쑤, 상하이, 저장 등 창장삼각주 연안지역), 남부(광둥, 푸젠, 하이난 등 해역)로 구분할 수 있다. 3대 해양 권역 중 남부 해양경제권이 중국 전체 해양 권역 총생산 중 39.3% 비중을 차지

#시사점
1. 중국 정부 차원에서 발표된 관련 정책들은 국제 경쟁력 강화 및 첨단 해양산업 체계 정비, 국가 해양산업 기술의 자체 역량 제고, 해양산업의 녹색 및 고효율 발전에 방점을 두고 있다. 또한 중국 해양 재생가능에너지 산업 및 해양바이오, 해수 담수화 공정 등 산업이 시장 잠재력을 갖추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 기술이 성숙해지고, 시장 수요가 그에 따라 증가할수록 이러한 해양경제 산업들은 신속하게 발전하게 될 것

2. KOTRA 광저우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해양 생태환경 보호는 해양경제 산업의 중요 조건으로, 수자원 분포도 및 해류, 기온 등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언급했다. 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실제와 근접한 해상 생태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면,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사전에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해양경제 산업을 보호‧운영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
중국 정수기 시장동향-선전무역관 2024-07-02
#중국 #정수기 #필터 #물 #가전
#요약
-한국, 중국의 정수기 주요 수입 대상국 3위로 전체 정수기 수입의 14.9% 차지
-중국 정수기 시장, 세부 스마트기능 탑재한 정수기로 시장 공략 필요

*2024년부터 2032년까지 글로벌 정수기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7.5%로 예상돼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

#시사점
1. 2023년 중국의 정수기 수입액은 2022년 대비 18.8% 줄어든 4676만5000달러다. 중국의 정수기 수입액은 2000년대 초반부터 2017년까지 매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8년부터 매년 감소하고 있다. 중국은 주로 독일, 미국, 한국, 일본 등으로부터 정수기를 수입한다. 수입액 기준으로 3대 수입 대상 국가가 전체 정수기 수입의 55.4%를 차지

2. 이 중 샤오미(小米)가 전체 정수기 시장의 14.8%를 차지해 시장 점유율 1위다. 뒤를 이어 메이디(美的), 하이얼(海尔), 에이오스미스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중국 로컬브랜드인 친위엔(Truliva, 沁园), 안지얼(Angel, 安吉尔), 이카이더(IKIDE,易开德) 등도 온라인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

3. 2022년 기준 중국 정수기 시장 침투율은 23%에 불과하다. 이는 시장 침투율이 모두 80% 이상인 미국, 유럽, 한국, 일본 등 국가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2022년 기준 한국의 정수기 침투율이 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