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9.6K photos
607 videos
521 files
112K links
📌 시그널랩은 증권사/은행/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삼성/신한/우리/iM/DB/IBK/BNK/유안타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한화오션, 회사채로 700억원 조달해 해상풍력 확대…터빈·블레이드도 만든다

- 한화오션, 해상풍력 사업에 ‘터빈·블레이드’ 포함
- 국내 터빈 시장 두산에너빌·유니슨 양강 구도에 도전장 내나
- 국내 선도 WTIV, 하부구조물 이어 밸류체인 확장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33067
“中 빈자리 꿰차야 하는데” ··· 韓대기업, 해외기업 인수 반토막 났다

- 2017~2022년 100억 달러대 넘었지만
- 2023년, 2024년 65~69억 달러로 주춤
- 원화 평가절하·보수적 경영태도 도마 위
- 트럼프 정부, 中기업 미국기업 인수 불허
- 中 빈자리 韓 대기업이 노릴 수 있는 기회
- “원천기술 있는 해외기업 인수 적극 나서야”

https://www.mk.co.kr/news/stock/11369605
[시그널랩 리서치] 자사주 매매(직접취득) 모니터링
https://t.me/siglab

7월 16일 기준 자사주 매매 직접취득 기준 체결내역입니다.

● 체결비율 = 누적체결량 / 신고수량

체결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자사주매매가 많이 진행되었다는 의미(체결비율 100% = 자사주 매매 완료)입니다.

평균 거래량 대비 잔여수량은 최근 평균 거래량 대비 현재 남은 자사주 취득예정 물량이 몇 배인지를 의미합니다. 높을 수록 자사주 취득이 완료될 때까지 남은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평균 거래량 대비 신청수량은 최근 거래량 대비 하루 기준 취득 예정 자사주 물량이 몇 배인지를 의미합니다. 신청수량 배수가 높다는 것은 최근 보여주는 거래량에서 자사주가 관여하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단독] 금융위, 대체거래소 거래량 제한 적용 유예 검토

- 전체 거래량의 15% 초과금지
- ATS 흥행하며 거래중단 위기
- 당국, 비조치 의견서 활용 검토
- 자본시장 활성화 차원 전격 결정
- 거래량 상한 재조정도 나설 듯

https://www.sedaily.com/NewsView/2GVDGMHON1
✍️ 업종별 주요 투자자(외국인, 투신, 개인) 20일 누적순매수와 20일 누적순매수의 60일 평균을 활용한 업종별 빈집·찬집 추적 자료입니다.

개인의 경우 밴드 상단부터 하단까지의 크기를 100%로 가정할 때, 20% 이하(빈집)인 업종은 에너지, 소재, 상업서비스와공급품, 운송, 호텔,레스토랑,레저등, 제약과생물공학, 기술하드웨어와장비, 전자와전기제품 등 8개 업종이며, 반면 80% 이상(찬집)은 자본재, 내구소비재와의류, 식품과기본식료품소매, 은행, 소프트웨어와서비스, 미디어와엔터테인먼트 등 6개 업종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섹터분석] 업종별 투자자 빈집·찬집
https://naver.me/58jOQEPn
✍️ <글로벌 이슈 / 시장 컬러>

관세 협상 낙관론과 위험자산 랠리
관세 피로감과 관세 수입 증가로 달러 반등 가능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은 에브리씽 랠리를 지속. 7월 중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주요국 간 관세 제로섬 게임 가능성 주의 필요.

중국 2분기 성장과 하반기 전망
중국 GDP는 부양책과 수출 호조로 5% 상회했지만, 하반기에는 소비·수출 모멘텀 약화 및 우회 수출에 대한 제약이 강화될 가능성. 대중국 관세 강화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

국내 유동성 장세와 순환매 흐름
풍부한 유동성 속에서 국내 증시는 강세를 보이며, 주도주 외 다수 업종도 상승 중. AI 소프트웨어, 제약·바이오 등 정책 수혜 기대 업종 주목 필요. 신용융자 잔고 증가에도 변동성 우려는 낮은 편.

저P/B주 흐름과 밸류에이션 착시 경계
저P/B주 내 업종 순환매와 종목 키맞추기 진행 중이나, ‘적정 P/B’ 고정 관념은 KOSPI 리레이팅 구간에서 오류일 수 있음. 시장 구조 변화에 따른 유연한 시각 필요.

AI 자본지출 확대와 데이터센터 투자
2분기 클라우드 기업 실적에서 AI 주도 투자 확대 확인. 엔비디아 시총 4조 달러 돌파, 메타·아마존의 인프라 강화, 상업용 건축지수(DMI) 상승 등 AI 기반 인프라 수요 증가. OBBBA 정책과 세제 혜택 통해 미국이 초격차 유지 전략.

#시그널랩리서치 #관세정책 #달러환율 #국고채금리 #의료관광 #KOSPI200

- SignalLab Research
- https://t.me/siglab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FT> Saudi Arabia to boost renewables with $8bn investment

사우디의 거대 전력회사 ACWA 파워가 이끄는 컨소시엄이 83억 달러를 투자해 사우디에 15기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를 건설하며 재생에너지 사업에 박차를 가할 예정임

✔️ 대규모 신재생 프로젝트: ACWA 파워가 주도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 중심으로 15GW 용량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 탄소중립 달성 의지: 사우디는 자국 내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비전2030 전략의 일환으로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강화.

✔️ 경제 다변화 노력: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전력 생산을 넘어서,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술 이전을 통해 사우디 경제의 다변화를 가속화하는 역할을 기대.

✔️ 국제 협력 및 기술 도입: 여러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 하에 최첨단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며, 중동 내 최대 재생에너지 투자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음.

https://on.ft.com/4eSvrYa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KB Macro - 미국: 관세로 상품 물가 상승세 vs. 근원 물가 예상치 하회

■ 6월 소비자물가, 관세 영향으로 상품 물가 상승세 vs.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원 물가 예상치 하회
■ 디스인플레이션 요인: 물가 하단 지지하던 주거비 하락 중
■ 인플레이션 요인 (1): 전력 수요 증가로 유틸리티 비용 증가세
■ 인플레이션 요인 (2): 관세 효과 일회성이라도 8월 1일부터 신규 관세 부과된다면…

▶️ https://bit.ly/4nY8Xt1
▶️ 류진이

KB증권 내부 컴플라이언스 점검을 완료했음. 단순 참고자료로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되지 않음
🇰🇷🔥 "'코스피 5000' 간다…여름 중 조정 오면 더 사라" 깜짝 전망

- “한국의 기업 지배구조 개혁이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코스피지수는 2년 내에 현 수준 대비 50% 이상 상승할 수 있다”
- “최근 상법 개정 등이 한국 주식시장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57096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 <FT> Trading firms Virtu and Citadel Securities clash over new options exchange

IEX의 신규 옵션 거래소 계획을 두고 Virtu와 Citadel 간 공개 충돌 발생

✔️ IEX의 제안과 Virtu의 지지: Virtu Financial은 IEX가 제안한 신규 미국 옵션 거래소에 찬성 입장을 표명. 해당 거래소는 350마이크로초의 ‘속도 지연(speed bump)’을 도입해 초단타 거래자들의 지연차익(latency arbitrage) 남용을 억제하려는 목적.

✔️ Citadel의 강한 반대: Citadel Securities는 이 방안을 “악의적이며 투자자에게 해롭다”고 비판하며 강하게 반대. 찰스 슈왑,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 등도 반대 입장.

✔️ 시장 공정성 논란: IEX는 지연을 통해 구식 호가를 제거하고 거래 공정성을 높인다고 주장. 그러나 반대 측은 시장의 무결성을 훼손한다고 경고.

✔️ 시장 구조를 둘러싼 근본적 갈등: 이는 시장 구조·혁신·공정성을 둘러싼 광범위한 갈등의 일환. Virtu 및 투자자 시민단체인 We The Investors는 IEX의 시도가 경쟁 촉진과 남용 방지 측면에서 의미 있다고 평가.

https://www.ft.com/content/15295fd0-7f9b-4a7e-bc41-67fb35147fc6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