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9.5K photos
605 videos
520 files
111K links
📌 시그널랩은 증권사/은행/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삼성/신한/우리/iM/DB/IBK/BNK/유안타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비츠로시스]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821000094

● 판매ㆍ공급계약 내용: 서해선 초지역 승강장안전문 제조설치

● 계약내역
- 확정 계약금액: 58억 원
- 계약금액 총액(원): 58억 원
- 2024년 매출액대비: 22.58%
- 2Q25 매출액대비: 57.66%

● 계약상대방: 국가철도공단

● 판매ㆍ공급지역: 국내

● 계약기간: 2025-08-20 ~ 2026-03-31 (약 8개월간)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CFD(차액결제거래) 모니터링
https://t.me/siglab

8월 20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오늘의 읽을 거리: 구글(GOOGL), 스마트폰 AI에서 애플(AAPL)을 압도하다


오늘 아침엔 월스트리트저널(WSJ)에서 나온 흥미로운 분석 기사를 공유해 드립니다. 아이폰 유저인 기자가 구글의 신작 '픽셀 10'을 사용해보고 느낀 점을 솔직하게 담았는데, 투자 관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핵심 요약: 스마트폰 경쟁의 축이 'AI'로 넘어가고 있으며, 현재 구글이 한참 앞서나가고 있습니다.

아이폰 유저가 부러워한 픽셀 10의 AI 기능들

** 애플이 '애플 인텔리전스'와 똑똑해진 시리를 예고했지만 아직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이, 구글은 실제로 사용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AI 기능들을 픽셀 10에 대거 탑재했습니다.

1. AI 포토샵, '포토에게 질문하기' (Ask Photos)

단순 보정을 넘어 "나를 더 전문적으로 보이게 해줘"라고 말하면 조명과 배경을 조절해 줍니다.

심지어 "비즈니스 정장 입혀줘"라고 하면 가상으로 블레이저를 입혀주는 등, 제미나이(Gemini) 기반의 놀라운 편집 능력을 보여줍니다.

2. 알아서 정보를 찾아주는 '매직 큐' (Magic Cue)

과거 친구와의 문자에서 추천받은 식당 이름을 현재 대화창에 바로 띄워줍니다.

3. 항공사에 전화하면, 이메일에 있던 항공편 예약 정보를 화면에 자동으로 보여줍니다.

사용자가 필요를 느끼기 전에, 휴대폰이 먼저 이메일, 캘린더, 문자를 분석해 필요한 정보를 제시하는 '비서' 역할을 합니다.

4. 내 목소리로 실시간 통역, '보이스 번역' (Voice Translate)

전화 앱에서 바로 작동하며, 내가 영어로 말하면 약간의 지연 후 '내 목소리'로 독일어, 프랑스어 등 다른 언어로 통역해줍니다. 해외 비즈니스나 여행 시 판도를 바꿀 만한 기능입니다.

5. 개인화된 AI 헬스 코치 (Fitbit)

단순 격려를 넘어, 사용자의 수면 데이터나 컨디션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어젯밤 잠을 설쳤으니 오늘은 가벼운 운동으로 계획을 수정하는 게 좋겠습니다" 와 같이 개인화된 운동 계획을 제안합니다.

【인사이트】

경쟁의 패러다임 전환: WSJ은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이 하드웨어 스펙에서 '실제로 유용한 AI 소프트웨어'로 넘어가고 있음을 지적합니다.

애플의 과제: 현재 구글은 광고를 통해 애플의 AI 지연을 비판할 정도로 자신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애플(AAPL)이 이 격차를 얼마나 빨리 좁힐 수 있을지가 향후 주가의 중요 변수가 될 것입니다.

구글의 베팅: 시장 분석가는 "아직 사람들이 휴대폰에서 AI를 요구하고 있지는 않다"고 말하지만, 구글(GOOGL)은 '일단 한번 써보면 헤어나올 수 없는' 강력한 AI 경험을 통해 시장의 요구를 스스로 만들어낼 것이라 베팅하고 있습니다.
————————————

오늘 데일리에서 “에너지가 지능으로 변모하는 시대”다 라는 글이 참 인상 깊었는데 세상은 정말 변하고 있네여.

개인적으로는 구글 제미나이가 가장 우수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컨센서스 최저값은 해당 기업의 실적을 가장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애널리스트의 전망치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이 개선되었다는 것은 기존에 부정적인 전망이 개선되었다는 것으로 기업 실적에 있어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최근 1개월 사이 3Q25 영업이익 컨센서스 최저값 개선 정도를 살펴보면, 스튜디오드래곤, 한온시스템, 에코프로비엠, 유한양행, 롯데관광개발 등의 영업이익 컨센서스 최저값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그만큼 해당 종목들의 실적 기대감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 3Q25 컨센서스 최고·최저 변화 모니터링
https://naver.me/GZ6s2J2h

● 목표주가 괴리율 모니터링
https://naver.me/52cTNopV
빌 게이츠 만난 李대통령...SMR·보건·AI 협력 논의

"게이츠 이사장은 "AI 산업 발전은 필연적으로 전력 수요를 늘린다"고 언급했고, 이에 이 대통령은 SMR을 직접 거론하며 한국의 기술 역량과 정부의 관심을 강조했습니다.

게이츠 이사장은 재단 자산을 전 세계 보건 증진에 집중하겠다고 밝히며 한국 기업들의 활약상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254614
암호화폐 재무전략 기업 승자와 패자…이더리움 웃고, 비트코인 울고

"CNBC는 이더리움 보유 기업의 주가 상승률이 높았던 이유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인터넷그룹(NYS:CRCL)의 IPO(기업공개) 성공▲지니어스 법안 통과로 스테이블코인 규제 체계 확립 ▲기관투자가의 스테이블코인 수요 폭발 등을꼽았다.

스테이블코인은 대부분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관의 스테이블코인 매입이 늘어날 수록 이더리움이 수혜를 받는다는 논리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0766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글로벌 핵심기술 확보전략: 11대 초격차 기술별 스타트업 현황 분석
https://www.kiat.or.kr/front/board/boardContentsView.do?board_id=71&contents_id=8561f16a9832448494edb14b66c69f19&MenuId=878cb9b6d5ec41bf914ad5c0f590ed14

👉 해외 선진 테크 트렌드를 선도할 유망 전략기술의 도입을 위해 각 기술의 발전 로드맵별로 해외의 잠재 파트너를 조사하여,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활동의 기반 자료로 제시하고자 함.
✔️ 오픈이노베이션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전략기술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부상.
✔️ 전략기술은 글로벌 시장성 검증이 어려워 전통적 기술 거래보다 해외 혁신 네트워크와의 직접 협력이 효과적. 이를 위해 잠재 파트너 스터트업들의 정보가 필요.

👉 기술적 타당성과 혁신의 사업성에 대한 검증에 기초한 오픈이노베이션으로 유망 기술의 내재화 전략이 요구됨.
✔️ 바이오·소부장 등 R&D·제조부터 핀테크·e커머스·콘텐츠 등 서비스 산업 전반에 걸쳐 테크스카우팅에 참여한 대기업의 숫자는 2018년 7건 18개 사에서 2023년 87건 361개 사로 대폭 증가.
✔️ 최근 사례들은 수요기업이 탐색부터 맞춤형 잠재 파트너 공급기업 발굴 및 1대1 밋업, 초기 검증 및 평균적으로 2~3년 전후의 기간이 소요.

👉 산업통산자원부의 11대 전략기술별 로드맵 및 산업 동향에 기초해 관련 국내외 혁신기업 Pool 조사 및 목록을 제시.

👉 반도체
✔️ 전력반도체의 소형화·고효율화, 차량용 반도체가 신경망 중심의 재편 및 고레벨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센서정보 융합이 중요.
✔️ 산업맞춤형 AI, 온-센서 AI, 온-디바이스 AI, 경량화 AI 등 다양한 수요의 AI 반도체 등장.

👉 디스플레이
✔️ 폴더블, 롤러블 등 유연한 가변형 디스플레이, 무안경 3D 및 공연장용 초대형 디스플레이, 무기발광 기반의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기술 등이 대세.

👉 이차전지
✔️ 리튬 배터리 성능 혁신, 안전성·에너지 밀도·가격 경쟁력이라는 세가 지 목표를 잡은 차세대 배터리, 배터리 핵심 원자재 공급 차원의 폐배터리 처리 기술 등이 주목.

👉 모빌리티
✔️ 전통화 시스템의 효율화, 충전속도와 수명을 극대화한 차량용 배터리,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시대를 준비하는 통합 SW 개발 추세.

👉 핵심소재
✔️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친환경 소재기술, DX 기반의 소재개발기간 단축, 경량화·극한환경대응·탈탄소를 위한 금속 소재, 세라믹 매트릭스 혁신 등이 주된 흐름.

👉 지능화로봇
✔️ 단순 자동화를 넘어 복잡·비정형 작업 수행과 사람과의 교감 기능 개발에 중점.

👉 첨단제조
✔️ 제조시스템·장비의 지능화 및 데이터 기반 기기·공장간 연결을 통한 자율제조 기반 구축이 관건.

👉 무인이동체
✔️ 유무인 수직이착륙기 개발과 군집임무 수행이 가능한 대응 기능, 첨단방산을 뒷받침할 고성능반도체와 첨단 패키징 기술이 주된 트렌드를 형성.

👉 차세대 원자력
✔️ 전통 재형원전 대신 소형 모듈 원자로(SMR)의 설계·제조·기반기술 내재화와 원전을 다목적 에너지원으로 탈바꿈할 연계가 관건.

👉 첨단바이오
✔️ AI를 활용한 첨단의약품·의료기기·바이오 원부자재의 디지털 제조, 생유전체 정보 활용 개인맞춤형 진단, 웨어러블 기반 디지털헬스기기 기술이 부상.

👉 에너지신산업
✔️ 수전해·액화·가스터빈 등 수소 생태계 기반 기술 확보, 전력망 수요 관리, 초대형 풍력발전, 핵심광물의 저품위 원료 개발 등이 이슈.
📰🖼 <Economist> What 630,000 paintings say about the world economy

AI 기반 연구가 63만 점 이상의 회화를 분석해 예술이 감정의 역사적 지표이자 경제·사회 환경을 반영한다는 결과를 제시함.

✔️ 연구 개요: ArtEmis·ArtELingo 프로젝트의 데이터와 AI 분석을 활용해 15세기 이후 회화의 감정 패턴을 추적. 칸딘스키는 흥분, 모네는 안정, 렘브란트는 슬픔을 유발하는 등 작가별 감정적 서명이 확인됨.

✔️ 국가·역사적 맥락: 영국·덴마크 미술은 상대적으로 만족감을 더 자주 불러일으키는 반면, 이탈리아·스페인 작품은 그렇지 않음. 전쟁과 사회적 격변은 감정 패턴을 어둡게 변화시킴.

✔️ 경제와 예술 감정의 연관성: 지속적 경제 성장기는 작품의 슬픔 감소와 만족감 증가로 이어졌으며, 19세기 후반 영국처럼 무역 개방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가 강화됨.

✔️ 개인적 진화: 엘 그레코는 후기 작품에서 더 어두워졌고, 드가는 초기 우울한 주제에서 활기찬 무용수 그림으로 변모함.

✔️ 의미: 예술은 단순한 개인 감정 전달을 넘어 사회·경제적 조건을 반영하는 지표 역할을 하며, 작가별 작품 변화는 시대적 정서를 읽는 창으로 기능함.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25/08/14/what-630000-paintings-say-about-the-world-economy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파미셀] 단일판매ㆍ공급계약 체결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821000154

● 판매ㆍ공급계약 구분: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체결계약명: 전자재료용 소재 공급계약

● 계약내역
- 계약금액: 54억 원
- 2024년 매출액대비: 8.34%
- 2Q25 매출액대비: 20.21%

● 계약상대: (주)두산 전자BG

● 판매ㆍ공급지역: 두산전자-증평

● 계약기간: 2025-08-21 ~ 2025-10-31 (약 3개월간)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8/21 (목)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 (독일) 8월 제조업 PMI
- 예상: 48.8 / 이전: 49.1
● (독일) 8월 서비스업 PMI
- 예상: 50.4 / 이전: 50.6
● (EU) 8월 제조업 PMI
- 예상: 49.5 / 이전: 49.8
● (EU) 8월 서비스업 PMI
- 예상: 50.8 / 이전: 51.0
● (미국)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연설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예상: 22만 6천 건 / 이전: 22만 4천 건
● (미국) 8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 예상: 6.8 / 이전: 15.9
● (미국) 8월 제조업 PMI
- 예상: 49.7 / 이전: 49.8
● (미국) 8월 서비스업 PMI
- 예상: 54.2 / 이전: 55.7
● (미국) 7월 기존주택판매
- 예상: 392만 건 / 이전: 393만 건
● (미국) 7월 선행지수
- 예상: MoM -0.1% / 이전: MoM -0.3%

# 오늘은 미국과 유로존 등 주요 선진국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동향이 중요.
# 시장에서는 이번주 예정된 잭슨홀 미팅에서의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발언을 주목하면서 경계하는 가운데,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동향에 따라 파월 의장 발언의 강도가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
# 어제 공개된 7월 FOMC 의사록에서 연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위험을 더 크게 간주하는 모습. 만약 오늘 발표되는 미국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PMI가 모두 시장 예상치와 기준치인 50을 상회할 경우 인플레이션 위험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연준 위원들의 입장에 힘을 실어줄 수 있음.
# 반대로 둘 모두 시장 예상을 하회하는 경우, 경기 하방 리스크가 부각하면서 파월 의장의 발언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발생할 수 있음.
# 이외에는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발표도 주목할 필요. 관건은 시장 예상을 얼마나 벗어날지 여부. 시장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 높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한전KPS] 단일판매ㆍ공급계약 체결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821000242

● 판매ㆍ공급계약 구분: 공사수주
- 체결계약명: 루마니아 설비개선사업 Retubing 및 Refurbishment 공사

● 계약내역
- 계약금액: 4,850억 원
- 2024년 매출액대비: 31.15%
- 2Q25 매출액대비: 106.83%

● 계약상대: 한국수력원자력(주)

● 판매ㆍ공급지역: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 계약기간: 2025-08-21 ~ 2030-06-30 (약 59개월간)

● 주요 계약조건
- 대금지급 일정: 전체 계약금액 중 지급일정에 따라 당사에서 기성청구 후 발주사에서 검토하여 통상 30일 이내 기성청구분의 100% 공사대금 지급

●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이 건은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1호기 압력관교체 및 설비개선공사 계약임.
- 최근 매출액은 2024년도 연결기준 매출액임.(K-IFRS)
- 상기 계약금액은 부가세제외 금액이며, 계약금액 및 계약기간 등은 공사진행 과정상 변경될 수 있음.
- 선급금의 경우 계약금액의 10%이며, 계약서상의 지급 일정에 따라 지급받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