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4K photos
522 videos
477 files
108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우리 증시는 개장 초반 양 시장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 출발하였습니다. 어제 미 증시는 약세를 보였고, 시장 전반의 상승 동력은 부재한 상황이나, 최근 약세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한 점이 강세로 연결된 모습입니다.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가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바이오 섹터 전반의 강세 연출되는 점이 특징입니다. 올해 하반기 국내 제약사들의 신약 개발 기대감이 커질 것이란 소식 등이 섹터 전반의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투자 늘린 제약사들…하반기 기대되는 '신약 성과'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5대 제약사의 R&D비용은 △한미약품 553억원 △대웅제약 518억원 △유한양행 517억원 △종근당 388억원 △GC녹십자 395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한미약품은 18.6%, 유한양행은 15%, GC녹십자는 4.2%, 종근당은 19.3% 증가했다. 반면 대웅제약은 8.6% 감소했다. 올해 1분기 기준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은 유한양행은 10.5%, GC녹십자는 10.3%, 한미약품 14%, 종근당 9.69%, 대웅제약 16.39%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2017501739864
트럼프 '골든 돔' 프로젝트 발표에…우주항공·방산株 급등[핫종목]

"트럼프 대통령은 총 1750억 달러(약 244조 원)를 투입해 자신의 임기 중인 3년 내에 미국 본토를 방어하기 위한 '골든돔' 구축을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미국판 아이언돔'을 구축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https://www.news1.kr/finance/general-stock/5789448
[시그널랩 리서치] CFD(차액결제거래) 모니터링
https://t.me/siglab

5월 20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치킨 3사, 브라질산 닭 수입금지에 "가격 인상 없다"

"정부의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금지 조치로 원부자재 수급에 빨간불 켜지며 치킨 가격 인상론이 대두되고 있지만 치킨업계를 비롯한 외식업계는 이를 부인했다.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들의 브라질산 닭 의존도가 낮은 데다 재고 물량도 충분해서다."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52109400154174
✍️ 업종별 주요 투자자(외국인, 투신, 개인) 20일 누적순매수와 20일 누적순매수의 60일 평균을 활용한 업종별 빈집·찬집 추적 자료입니다.

외국인의 경우 밴드 상단부터 하단까지의 크기를 100%로 가정할 때, 20% 이하(빈집)인 업종은 없습니다. 반면 80% 이상(찬집)은 에너지, 소재, 자본재, 내구소비재와의류, 호텔,레스토랑,레저등, 식품과기본식료품소매, 은행, 증권, 다각화된금융, 보험, 유틸리티 등 11개 업종으로 나타났습니다.

종합하면 최근 우리 증시 전반에 대한 매수세를 상당히 높여온 외국인의 자금 유출 가능성이 커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섹터분석] 업종별 투자자 빈집·찬집
https://naver.me/Fc5ZWxhg
‘파두 사태’ 재발 막는다…직전 분기·반기 보고서도 공시 의무화

"앞으로는 최초로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이 되는 법인은 직전 사업연도 보고서뿐 아니라 직전 분기나 반기보고서도 5일 이내에(그사이에 보고서 제출 의무가 발생하면 그 기한까지) 공시해야 한다. 금융위는 “신규 상장법인이 상장 과정에서 제시한 예상 실적에 현저히 못 미치는 실적이 나온 사실이 상장한 지 3개월이 지나고야 드러나 주가가 하락한 사례 등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finance/1198573.html
전일 있었던 연준 위원들의 발언 내용입니다. 최근 연준 위원들이 현재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것에 힘을 실은 발언을 이어오고 있는데, 이번 발언들도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만 일부 위원들이 기대 인플레이션을 강조했는데, 이 부분은 새로운 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의 경우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잘 고정되어 있다면서, 현재 연준이 취할 최선의 조치는 관망하는 것이라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기대 인플레이션이 흔들릴 경우 연준의 행동 신호가 될 수 있다고도 했는데, 이는 앞으로 기대 인플레이션이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음을 암시하는 부분입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경제 침체는 예상하지 않는다면서도 무역정책 등 주요 정책에 대한 명확성은 오히려 후퇴하고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이는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것과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는데, 기업과 가계가 상황을 지켜보는 태도를 유지할 것이라고도 언급한 점을 감안하면 통화정책을 유지하는 것에 힘을 실은 발언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지금은 인플레이션과 싸움을 계속하겠다고 대중에게 확신을 줘야 할 때라고 언급하면서 연준의 현재 통화정책이 지속될 필요성을 언급하였습니다. 특히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을 뒤흔들 수 있는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압력 앞에서 가격 안정을 우선시해야 한다고도 했는데, 이는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와 마찬가지로 기대 인플레이션을 강조한 내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WSJ> Chinese Battery Giant CATL’s Shares Surge on Hong Kong Debut

- 중국 배터리 대장주 CATL, 홍콩 상장 첫날 16% 급등…글로벌 IPO 최대 규모

✔️ 흥행 성공: 중국 배터리업체 CATL(닝더시대)이 홍콩증시에 상장하며 첫날 주가가 16% 상승. 이번 공모를 통해 약 46억 달러(약 6조 원)를 조달, 2025년 들어 전 세계 최대 규모의 IPO 기록.

✔️ 할인 효과와 성장 기대: 선전증시 상장 주가 대비 7% 할인된 가격으로 홍콩에서 주식을 발행해 투자자들의 관심 집중. 조달 자금의 90%는 헝가리 신규 배터리 공장 건설에, 나머지는 일반 기업 운영에 투입 예정.

✔️ 시장 분위기 반영: 미중 무역 긴장 완화와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 회복 분위기가 맞물리며 주식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 CATL은 미국 노출도가 낮아 관세 리스크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향후 전망에는 여전히 불확실성 존재.

✔️ 글로벌 점유율 우위: 작년 전 세계 전기차 3대 중 1대에 배터리를 공급한 CATL은 전 세계 13개 공장과 64개국에 사업을 운영. 이번 상장은 향후 홍콩 증시 상장을 노리는 우량 중국 기업들의 투자심리 회복에도 긍정적 신호.

https://www.wsj.com/business/chinese-ev-battery-giant-catls-shares-surge-on-hong-kong-debut-666363cd
[시그널랩 리서치] 5/21 (수)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 (미국) EIA 주간 원유재고
- 예상: 90만 배럴 감소 / 이전: 345만 4천 배럴 증가
● (미국)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

# 오늘도 경제지표 발표는 부재한 가운데,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의 발언이 중요.
# 최근 연준 위원들은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성이 커진 강누데, 기대 인플레이션이 잘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
#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현재 위치가 좋은 위치이며, 유지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
# 보우만 이사의 발언이 다른 연준 위원들의 발언과 얼마나 차이가 있을지 여부가 중요. 다만 보우만 이사가 매파적 발언을 다수 했던 점을 감안하면, 다른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