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4K photos
522 videos
477 files
108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경훈 김)
# 채권시장의 이상징후 - "둘 중 하나는 과대계상"

상단 차트는 1960년대 이후 장기시계열간 미국 장기채 수익률(10년) 및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역축) 추이입니다.

동구간 두 지표의 동행성은 -0.79, 설명력은 0.67로 강한 역의 관계의 높은 통계적 유의도를 갖고 있습니다. 즉, 공공부채가 많아질수록(부양) 시장금리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1980년대 부터 본격 시작된 미국의 부채 증가는 지난 40년간 채권시장의 랠리를 야기했습니다. 허나, 정부부채 대비 GDP 비율이 100%를 터치한 2011년부터 S&P와 같은 기관에서의 신용등급 강등이 시작됐으며, 이러한 강등 경고음은 지난 주말 Moody's까지 이어져 온 상황입니다.

코로나 당시 DEBT/GDP 비율이 급등하며 139%까지 터치한 이후 현재 123% 대에서 안착 중인 미국의 모습입니다. 이는 천조국인 미국의 1년 이자비용만 국방비를 초과하게 만들었습니다.

트럼프는 정권은 이러한 모습들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번 뿐만 아니라 미국 정부은 앞으로 이 비율을 100% 미만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를 위해 세수가 필요한데, 내부 증세냐? 외부 관세냐?의 싸움이서 트럼프는 후자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지요.

현재 시장에선 이 둘간 큰 괴리가 존재합니다.

현 10년물 금리는 공공부채비율 75%에 해당되거나, 현 부채비율은 시장금리 1.92%에 해당됩니다 (FYI, 100% Debt to GDP = 3.0% 10-y t).

둘 중 하나가 과대계상되어 있다면, arbitrage 기회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 Perhaps short the treasuries over the long-term a.k.a. putting an end to the bond rally and replacing it with gold)
<WSJ> The Ditch-America Trade Now Has Its Own Acronym: ABUSA

- 비싼 美주식 대신 ‘ABUSA(미국 제외 투자)’ 주목… 밸류에이션·성장률 균형 회복 조짐

✔️ 투자 트렌드 전환: ‘ABUSA(Anywhere But U.S.A.)’로 불리는 새로운 투자 테마가 부상 중. 미국 제외 글로벌 주식은 올해 달러 기준 11% 상승한 반면, 미국 주식은 정체. 밸류에이션과 성장 기대치 균형 회복을 반영.

✔️ 밸류에이션 격차: 2024년 말 기준 미국 주식의 선행 PER은 23배로, 세계 평균(14배)보다 훨씬 높아 조정 가능성이 제기됨.

✔️ 미국 예외주의 해소: 혁신·성장·기술 주도력에 대한 프리미엄이 과도했으며, 최근 미국 주식 부진은 구조적 문제라기보다 자연스러운 조정이라는 시각도 있음.

✔️ 구조적 역풍: 미국은 무역 협상력 약화, 소프트파워 후퇴, 재정 지속가능성 저하 등의 리스크에 직면. 국내 성장은 과도한 재정 부양에 의존해 왔다는 비판도 존재.

✔️ 글로벌 반격: 유럽은 국방·인프라 지출 확대와 재정 규제 완화를 통해 성장 견인 중. 중국은 AI·전기차·배터리 기술에서 회복세 보이며 소비 중심 경제 전환 기대감 상승.

✔️ 이익 성장 수렴: 애널리스트들의 2025년 이익 성장률 예상치는 미국과 비미국 지역 모두 약 8%로 수렴. 과거에는 미국 13%, 기타 지역은 그보다 낮았음.

✔️ 미국의 내재적 강점은 여전: 높은 기업 수익성, 인구구조, 에너지 자립도 등은 미국의 장기적 우위를 뒷받침.

✔️ 결론: 미국 자산의 프리미엄이 과도하게 반영된 가운데, 비미국 지역의 리스크 대비 상승 여력이 확대되는 상황.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한 글로벌 분산 투자 전략의 필요성이 커지는 중.

https://www.wsj.com/finance/stocks/the-ditch-america-trade-now-has-its-own-acronym-abusa-15ba3a58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6월 인하만 물 건너갔나, 7월도 건너갔다…Fed, '9월에나 인하' 신호[Fed워치]

"트럼프 관세 영향이 금리 인하의 발목을 잡는 셈인데, 이 문제를 두고 연준과 백악관의 기싸움도 계속될 것"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215648i
<WSJ> Will Anyone Take the Factory Jobs Trump Wants to Bring Back to America?

- 트럼프의 제조업 부활 구상, 인력난이 최대 걸림돌

✔️ 현장 인력 확보의 난관: 오하이오주의 퀘이커시티 주물 공장을 포함한 미국 제조업체들이 인력 확보에 고전 중.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주문은 늘었지만, 열악한 근무환경·낮은 임금 탓에 지원자 확보와 이탈 방지 모두 어려움.

✔️ 일자리 많지만 인기 없어: 전국적으로 제조업 부문 미충원 일자리는 약 50만 개에 달함. 타 산업 대비 낮은 평균임금과 딱딱한 근무시간으로 인해 구직자, 특히 젊은 층에게 매력 부족. 현장에서는 2~3개월 내 이직률이 매우 높음.

✔️ 현장 인물 사례: 25세 남성 노동자와 36세 여성 작업자는 극소수의 장기 재직자. 특히 여성 노동자인 신시아 졸러는 심각한 부상에도 복귀해 ‘블랙 위도우’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현장에서 인정받음.

✔️ 기술 인력 부족 심화: 단순 노무 외에도 기술 기반 작업이 많아 숙련도가 중요하나, 현장 경험을 통한 습득이 필수적. 지역 고등학교에서도 제조업보다는 건설·자동차 정비 같은 직종이 더 인기 있는 상황.

✔️ 결론: 트럼프의 제조업 부흥 계획은 단순한 공장 유턴만으로 실현되기 어려움. 시장 수요와 정책 의지가 충분해도, 인력난과 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해결되지 않으면 생산 확대는 어려움. 근로환경 개선, 유연한 근무조건, 직업 이미지 변화가 병행되어야 실질적 재산업화가 가능.

https://www.wsj.com/economy/jobs/will-anyone-take-the-factory-jobs-trump-wants-to-bring-back-to-america-f6cd377b
[시그널랩 리서치] 5/21 (수)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2,677.24 (-0.27%)
- S&P500: 5,940.46 (-0.39%)
- 나스닥: 19,142.71 (-0.38%)
- S&P500 VIX: 18.10 (-0.22%)
- 달러인덱스: 100.03 (-0.40%)
- WTI선물: 62.03 (-0.18%)
- MSCI 한국 Index Fund: 58.40 (-0.71%)

◆ Comment

- 우리 증시는 반등 시도 전망. 다만 장중 관망세는 지속하면서 움직임은 제한적일 가능성 높음.
- 시장 전반적인 상승 동력이 부재한 상황. 미중 무역협상 관련 새로운 소식이 발표될 경우 장중 방향성이 결정될 수 있음.
- 어제 미 증시는 약세 마감. 시장 전반의 강세 요인이 부재한 가운데, 최근 강세를 보인 기술주가 하락한 점이 주된 약세 요인으로 작용.
- 경기 방어주가 강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미국 정치적 불확실성 높아지며 주요 지수 재차 낙폭 확대. 다만 장 마감 직전 매수세 유입되며 낙폭 일부 회복.
- 메디케어와 관련한 민주당 및 일부 공화당 의원들의 반발, 하원 의장의 발언 등으로 이번주 예산안 통과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
-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지금은 인플레이션과 싸움을 계속하겠다고 대중에게 확신을 줘야 하는 때라고 언급.
-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관세로 인해 성장 둔화 및 인플레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발언.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5/21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석유와가스] 지속되는 것과 개선될 것
NH투자증권 최영광
ㆍ 유가 하향 안정화 및 석유화학산업 다운사이클 지속
ㆍ 합성고무와 미국 태양광 모듈 업황 개선

[우주항공과국방] 2025년 하반기 전망: 혼돈과 견제에서 자라는 방위산업(요약)
현대차증권 곽민정
ㆍ 유럽전쟁사를 통해 본 글로벌 방산업체들의 현지화 및 국방비 지출 확대, 제2의 폴란드: 루마니아 시장 주목
ㆍ 드론, MUM-T가 이끌 모자이크전
ㆍ Top Picks: 한국항공우주, 차선호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아이쓰리시스템

[우주항공과국방] 2025년 하반기 전망: 혼돈과 견제에서 자라는 방위산업
현대차증권 곽민정,성기용
ㆍ 유럽전쟁사를 통해 본 글로벌 방산업체들의 현지화 및 국방비 지출 확대, 제2의 폴란드: 루마니아 시장 주목
ㆍ 드론, MUM-T가 이끌 모자이크전

[건설] 회복, 그리고 성장
NH투자증권 이은상
ㆍ 건설: 경기 부양, 신규 수주 그리고 신사업
ㆍ 리츠: 배당 성장으로 입증

[건설] [Beyond 팀코리아] 뉴클리어 어벤져스의 탄생
KB증권 장문준,정혜정,한제윤,강민창
ㆍ 돌아오는 원전 사이클, 달라지는 결. 현대건설, 두산에너빌리티, 비에이치아이에 주목
ㆍ 2008~2010년 원자력 사이클 - 팀코리아에 쏠린 기대와 주가 흐름
ㆍ 팀코리아 → Beyond 팀코리아. 지난 원자력 사이클과 무엇이 다른가

[기계] 아직 꿈꾸는 휴머노이드
유진투자증권 양승윤
ㆍ I. 현실과 미래 사이 어딘가
ㆍ II. 로봇 투자에서 살아남기
ㆍ 기업분석

[조선] 계속되는 정책 및 수주 모멘텀
NH투자증권 정연승
ㆍ 차별화될 한국 조선사의 신조선가와 수주 흐름
ㆍ 하반기는 LNG선, 미국 조선 정책, 특수선, 해양플랜트에 주목

[운송인프라] 반등 요인을 찾아본다면
NH투자증권 정연승
ㆍ 하반기 수요를 기다리는 항공과 육운
ㆍ 공급 조절이 필요한 해운

[화장품] 해외 진출 다변화, 기회 요인 확대
하나증권 박은정,김다혜
ㆍ 해외 진출 다변화, 하반기 기회 요인 확대
ㆍ 비중확대, 해외 진출 다변화 → 구조적 성장의 지속 가능성을 높일 것

[판매업체] 백화점/편의점 1Q25Re: 과거보다 미래로
하나증권 서현정
ㆍ 편의점: 동일점 성장률 하락
ㆍ 백화점: 1분기 부진보다 소비심리 개선과 불확실성 해소 주목

[식품] 2025년 하반기 음식료/화장품 전망: 기우와 도약
현대차증권 하희지
ㆍ 2H25 음식료/화장품 업종에 대한 투자의견 Overweight 유지
ㆍ Top Pick: 삼양식품, KT&G,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제약] 2025년 하반기 전망: 진보는 계속된다: 혼란 속 하반기 전망과 항암학회 길라잡이
현대차증권 여노래,김현석
ㆍ 글로벌 제약사의 2024년: 모든 성장은 이유가 있다 - 연구개발/M&A/투자 요약
ㆍ 글로벌 환경 변화: 도저히 종잡을 수 없는 매크로 환경
ㆍ 2025년 하반기 항암학회 길라잡이

[증권] 차려진 밥상
NH투자증권 윤유동
ㆍ 거래시장의 구조적 성장
ㆍ 벌써 내년 먹거리 준비
ㆍ 투자유망종목

[전자장비와기기] 2025년 하반기 산업 전망: 리바이벌
신한투자증권 오강호,서지범
ㆍ 2H25 전망 - 관세 시나리오 분석 + 3가지 투자 아이디어
ㆍ Top Picks - 삼성전기, 리노공업, 티에스이, 이수페타시스

[전자장비와기기] 선조정 후반등
NH투자증권 주민우
ㆍ 미국과 유럽의 상반된 시그널
ㆍ 새롭게 열리는 기회의 시장

[전자장비와기기] 엔비디아 NVLink Fusion과 퀄컴의 데이터센터 CPU
한국투자증권 박상현,홍예림
ㆍ 경쟁사까지 품으려는 엔비디아의 AI 큰 그림
ㆍ 삼성전기 FC-BGA 사업에 긍정적인 변화

[반도체와반도체장비] 2025년 하반기 산업 전망: 역풍 이후 AI로 회귀(回歸)
신한투자증권 김형태,여현석
ㆍ 2H25 전망 - 관세 간접 영향권 노출, 고부가 중심 기대감 유효
ㆍ Top Picks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와반도체장비] 폭풍 속으로
NH투자증권 류영호
ㆍ 메모리 업황 회복세
ㆍ 전방산업 수요 점검

[반도체와반도체장비] 엔비디아 GB300, 3분기 출시 공식화
KB증권 김동원,이의진,도상우
ㆍ GB300 3분기 출시, NVLink Fusion 신기술 공개
ㆍ 엔비디아, Physical AI 플랫폼 구축
ㆍ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와반도체장비] From Shadows to Clarity
대신증권 류형근
ㆍ Boom Still in Motion
ㆍ 2025년 사이클: Moderate Growth, Solid Outcome
ㆍ 변화하는 공급의 지형도

[무선통신서비스] 안정성과 성장성, 배당까지!
NH투자증권 안재민
ㆍ 우호적 업황 지속
ㆍ 이익 성장하는 만큼 배당도 늘어난다
ㆍ 투자유망종목

[무선통신서비스] 통신서비스 2025년 하반기 전망: 하반기 밸류업 이슈 부각되면서 통신사 주가 오를
하나증권 김홍식,이상훈
ㆍ 인건비/경비 등 영업비용 부담 감소로 하반기에도 통신사 실적 개선 지속될 것
ㆍ 하반기에도 배당/자사주 이슈 부각될 전망, 규제 리스크는 여전히 낮을 것
ㆍ 실적 흐름/밸류업 정책이 중요, KT를 하반기 Top Pick으로 선정

[방송과엔터테인먼트] K-pop: The Show Must Go On
DS투자증권 장지혜,김대성
ㆍ 엔터 1Q25Re: 활동 비수기 영향 음반 부진했지만 공연/MD 매출 성장 긍정적
ㆍ 2분기 음반/공연 활동 증가와 MD 성과로 실적 기대감 상승하며 주가 상승 이벤트도 풍부

[게임엔터테인먼트] 실적과 모멘텀의 균형점
NH투자증권 안재민
ㆍ 인터넷: 내수 경기 회복과 실적 성장
ㆍ 게임: 이제는 신작으로 보여줄 것

[복합유틸리티] Well Positioned
NH투자증권 이민재
ㆍ 가스터빈, 전력기기 후발주자로서 거두는 최고의 성과
ㆍ 미래 세대를 위한 전기요금 인상
ㆍ 투자유망종목
[시그널랩 리서치] 5/21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SK하이닉스[000660] 더 큰 도약의 기회>
대신증권 류형근
ㆍ HBM 선점 효과 지속. DRAM 1c도 Soft Landing
ㆍ 연내 순현금 구조 전환 예상. NAND 경쟁력도 과거 대비 개선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 지주사의 품격!>
IBK투자증권 남성현
ㆍ 1분기 Review: 연결 효과 본격화
ㆍ 추가적인 기업가치 상승 가능
ㆍ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8,500원 제시

<삼성전자[005930] 변화를 위한 거인의 발걸음>
대신증권 류형근
ㆍ 체질 개선을 위한 변화 시작. 하반기 개선의 흔적들이 구체화될 것
ㆍ 주가는 Risk를 상당 부분 반영. 개선 가능성에 무게를 둬야할 시점

<유니드[014830] 1Q25 리뷰: 업황은 봄인데 주가는 아직 겨울>
DS투자증권 김수현
ㆍ 25년 1분기 가동률 회복과 실적 개선
ㆍ 2분기도 QoQ 실적 개선 전망

<두산에너빌리티[034020]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 수혜>
KB증권 정혜정
ㆍ 미국 SMR 발전소 계약, 연내 현실화 기대
ㆍ 원전의 TSMC, 글로벌 원전 정책 변화 수혜

<세진중공업[075580] 조선 밸류체인 상장사 중 '가장 높은' 수익성 기록>
IBK투자증권 오지훈
ㆍ 1Q25 Re: 연결 기준 18.1%, 별도 기준 19.0% 영업이익률 기록
ㆍ 2025년 Outlook: 2027년까지 담보된 성장. 2025년이 성장의 시작점
ㆍ 가장 좋은 실적, 가장 저렴한 밸류에이션. 목표주가 14,000원으로 상향

<칩스앤미디어[094360] 차량 ADAS 고도화 흐름에 중장기적 성장성 지속>
LS증권 정우성
ㆍ 성장성: 차량 ADAS 고도화 & 중국 내 AI 칩 수요 증가에 수혜
ㆍ 안정성: 반도체 IP 시장 확대 흐름, 고객 수 지속 증가(3년 주기)
ㆍ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0,6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오리온[271560]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은 유효>
LS증권 박성호
ㆍ 4월 잠정 실적 Review: 중국 출고량 감소 영향
ㆍ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 유효. 러시아 법인 고성장 지속
Forwarded from DS 경제 김준영
(DS투자증권) 2025 하반기 경제 전망.pdf
2.7 MB
[DS 경제 김준영] 2025 하반기 경제전망

■ 구름 낀 하늘 아래 별을 따라가는 중
- 미국 경제는 후행적으로 둔화를 보일 것
- 스태그는 아니지만 편하지 않을 물가 경로
- 고용 둔화는 인하로 이끌 것
- 미국의 양극화, 경제 데이터의 이면 부각
- 커지는 정부 부채 부담: 관세와 감세
- 약달러와 미국 자산
- 인하에 여유가 생긴 파월
- 한국 경제: 하반기 둔화 지속 전망

■ Macro Appendix
- 경제 전망표
- 지역별 성장률/인플레 리비전 추이
- 경제 지표 일정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Forwarded from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Jonghyun Kim)
★ [키움 허혜민] ★ 2025 제약/바이오 하반기 전망 – 규제의 나비효과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하반기 전망 시즌을 맞아, 3월 말 자료 이후 두 달 만에 다시 산업 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지난 리포트에 대한 좋은 반응과 추천 종목들의 성과(에이비엘바이오 +96%, 지아이이노베이션 +29%, 한미약품 +20% 등) 덕분에 이번 자료는 더 고민이 깊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최근 섹터의 가장 큰 이슈인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 및 약가 인하 정책을 중심으로, 그 파급 효과와 K-BIO의 수혜 가능성에 대한 저의 견해를 담았습니다.
예측이 어려운 정책 환경 속에서도 기회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를 참고해주시고, 세미나에서 뵙겠습니다.
최선호주: 한미약품
차선호주: 녹십자, 지아이이노베이션
관심 종목: 디앤디파마텍, 인투셀

그리고...
3주 뒤 한국경제 베스트애널리스트 선정 투표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상반기 정말 열심히 달려왔습니다. 부족하더라도 도움되셨다면,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325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KB증권 건설/REITs 장문준]

[원전/SMR] Beyond 팀코리아: 뉴클리어 어벤져스의 탄생

KB증권 건설 장문준 (02-6114-2928)

* 원전 관련 인뎁스 자료를 작성하였습니다.

* 5월내 발간해 온 자료를 묶어 발간한 것인데 그 사이 원전주 움직임이 가팔라 부담도 있지만 이 밸류체인 지속적인 재평가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 원자력 수요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한국이 왜 글로벌 원전 산업에서 중요한지, 그리고 이번 사이클의 키 플레이어는 누구인지 담아보았습니다.

* 2008년~2010년 원전 사이클을 기억해 봅니다. 당시 주식시장에서 원전 테마는 UAE 바라카 수주 기대감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됐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시기였던 만큼 원전주의 주가 강세는 상당한 존재감을 가졌습니다.

* 2008년을 기점으로 볼 때 비에이치아이는 589%, 한전KPS는 400% 상승하였으며 2009년 12월말 상장했던 한전기술은 이후 10개월만에 326% 상승했습니다.

* 원전 르네상스 속에서 한국 기업들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열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돌아오는 원전 사이클에서 투자자는 이번 사이클이 1) 더 강하고, 2) 결이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 과거 원전 테마는 ‘팀코리아’라는 국가 주도 수출 모델에 기반해 움직였고, 그 기대감은 한전기술, 한전KPS 등 공기업 중심 밸류체인 종목군의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 하지만 이번 사이클은 핵심은 ‘Beyond 팀코리아’입니다. 국가 주도 수출이라는 단일한 프레임을 넘어, 한국 기업이 글로벌 기술사들과 함께 산업 전체를 재편하는 하나의 축으로 들어가는 흐름입니다.

* 주도주는 달라질 수밖에 없고 투자전략도 바뀌어야 합니다.

* 시장의 ‘확장’과 ‘주도권 이동’이라는 관점에서 KB증권이 현대건설과 두산에너빌리티, 비에이치아이 등 민간기업을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리포트 클릭: https://bit.ly/3YSM92X

KB증권 건설 장문준 텔레그램 채널 링크 클릭: https://t.me/KB_EPC_MJ


* 위 내용은 금일 발간된 리포트에 포함된 내용입니다.
[현대차증권 기계/방산/우주/로봇 곽민정]
방산(OVERWEIGHT)(유지)
<2025년 하반기 전망: 혼돈과 견제에서 자라는 방위산업>


유럽전쟁사를 통해 본 글로벌 방산업체들의 현지화 및 국방비 지출 확대, 제2의 폴란드: 루마니아 시장 주목
미국은 정권과 관계없이 관심사가 중국으로 이동하고 있는 가운데, 유럽의 전쟁사는 투키디데스의 함정이 반복적으로 작동한 대표적인 예. 러시아가 유럽 질서의 상수로 등장하게 된 것은 역사적, 지리적,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요인의 복합적인 결과임. NATO 파트너국 및 기타 연합국가들과의 동맹을 강화하여 방위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글로벌 방산업체들의 현지화가 가속화될 전망. 또한 유럽과 중동을 중심으로 국방비 지출 확대 기조 지속 증가
러시아의 다음 목표가 될 수 있는 지역은 발트 3국과 벨라루스 바로 옆 폴란드, 크림반도에서 배로 타고 올 수 있는 루마니아임. 폴란드에 이어 루마니아가 대표적인 차기 수출 시장으로 부각될 것. 루마니아의 방산 시장은 NATO 및 EU 회원국으로서 전략적 위치 덕분에 동유럽, 흑해 그리고 중동 지역의 전통적인 안보 환경과 관련성이 높음. 루마니아가 승인한 2024-2030 국가 방위산업 전략은 루마니아의 방위 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방침으로 한국 등 외국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첨단 기술과 노하우를 유치하여 5세대 전투기를 도입하는 등 육해공 군사력 증강 및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어 주목해야 할 시장 중 하나임

드론, MUM-T가 이끌 모자이크전
DSK 2025와 한국항공안전기술원에 따르면, 2023년 전세계 드론 시장은 33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30년에는 62.5% 증가한 546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 MUM-T, AI 무인체계는 유무인체계를 각 1개 이상 실시간 네트워크로 연결 후 협업을 수행하도록 운용통제하여 마치 1개의 독립된 무기체계인것처럼 동작하는 가상의 복합 무기 체계. 미 국방부는 2042년까지 완전한 MUM-T 통합을 목표로 하며, AI와 5G를 활용하여 동적이고 네트워크화된 모자이크 전쟁을 가능하게 할 것. 이에 따라 한국항공우주는 NACS를 구상, 안두릴, Shield AI 등과 협력하여 첨단 MUM-T 개발 중.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역시 지상 무인체계와 선택적 유무인체계 개발을 통해 무인체계 계열화 추진중으로 향후 가시적 성장이 기대됨

Top Picks: 한국항공우주, 차선호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아이쓰리시스템
탑픽은 한국항공우주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현대로템 > LIG넥스원 순이며, 중소형주에서 아이쓰리시스템을 차선호주로 추천. 한국항공우주는 필리핀 FA-50 수주 외에 페루/UAE의 KF-21 및 NACS에 대한 추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미국 UJTS에 대한 수주도 당겨지고 있어 주가 상승 모멘텀이 커질 것으로 기대되어 최선호주로 선정.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글로벌 디펜스 그룹의 역할이 확대될 것이며, 현지화에 따른 수혜가 클 것으로 기대되어 차선호주로 선정. 아이쓰리시스템은 국내 유일의 적외선 영산센서를 제작하는 방산업체로서 양산성(가격과 품질)을 확보 하고 있는 군수 제품군에 대한 우선적인 지위를 확보함과 동시에 높은 이익률을 보이는 해외향 센서 매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어 실적 개선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차선호주로 선정

* URL: https://bit.ly/43pOl3a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로봇/방산/조선/항공 양승윤

로봇산업(Robotics) - 아직은 꿈 속의 로봇

-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 로봇 산업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났다. 주가도 말 그대로 폭풍 상승하고,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모두 로봇을 외쳤다.

- 로봇 산업의 미래는 밝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로봇 수요 더욱더 늘어날 것이고, 기술 개발도 계속되면서 시장에서의 기대감도 커져갈 것이다.

- 그러나, 기대감과 더불어 한 번쯤은 냉정하게 로봇의 현주소를 직시할 필요도 있다. 우리가 기대하는 휴머노이드나 로봇 AI 모두 언제 상용화 될지 그 시기를 예측하기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 냉정하게 보면, 아직 한창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단계이다. 지금 당장 휴머노이드를 완제품으로 만들어내고 있는 기업에 관심을 갖는 것도 좋지만, 투자의 기간이 10년 이상의 긴 호흡이 아니라면, 지금 로봇의 현 주소인 개발 단계에서 수혜를 볼 수 있는 기업으로 시선을 넓혀볼 필요가 있겠다.
------------------------------------------------------
1. 현실과 미래 사이 어딘가
- 휴머노이드.휴머노이드.휴머노이드.
- 모든 것의 시작은 AI로부터
- 다변화되는 액츄에이터의 길
- 먼저 치고 나가는 중국
- 우리도 아직 늦지 않았다

2. 로봇 투자에서 살아남기
- 투자 아이디어 I: 테마에서 살아남기
- 투자 아이디어 II: 인력 Pool 체크
- 투자 아이디어 III: 개발 인프라
- 투자 아이디어 IV: 우량주 소팅하기

3. 기업분석 - 로보티즈, 에이딘로보틱스(비상장)

* 보고서 -> http://www.eugenefn.com/common/files/amail/20250521_B2030_syyang0901_230.pdf
* 본 내용은 당사 준법감시관리인의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