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3K photos
514 videos
472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KB: Commodity] 미-중 합의 서프라이즈에 유가 상승. OPEC 증산 확대는 부담

■ 미-중의 예상보다 강한 무역협상 결정으로 국제유가 반등, 단 OPEC+ 추가 증산 확대는 부담

■ OPEC+, 두 달 연속 증산 규모 확대 결정. 공급 우위는 글로벌 원유 재고 증가로 이어질 전망

■ 유가의 근본적인 펀더멘털 (수급)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추가 상승 가능성은 제한적

■ EU는 러시아산 가스에 대한 단계적 계약 종료 계획 발표. 미국산 LNG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

FX/원자재 Analyst 오재영
보고서 링크 : https://bit.ly/435MJeN
<FT> Donald Trump’s attack on green energy could hurt US in AI race, data centres warn

* 트럼프의 친화석 정책, 미국 AI 경쟁력 약화시킬 수 있다고 데이터 센터 업계 경고

✔️ 산업계 경고: 미국 주요 데이터 센터 운영사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 시 재생에너지 지원을 축소하거나 철회할 경우, AI 산업 성장의 핵심 인프라인 전력 공급망이 타격받을 수 있다고 주장.

✔️ 전력 수요 급증: AI 모델 훈련과 운영에는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며, 이를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하게 공급하려면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대가 필수적임.

✔️ 정책 역풍 우려: 트럼프는 대통령 재임 중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대폭 축소했으며, 이번 대선 캠페인에서도 전기차 보조금 및 청정에너지 법안 폐지를 공언.

✔️ 경쟁 우위 위협: 데이터 센터 업계는 "AI 경쟁은 계산 능력뿐 아니라 전력 접근 경쟁이기도 하다"며, 정책 후퇴가 글로벌 기술 패권에서 미국의 입지를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

✔️ 경제적 영향: 재생에너지 축소는 전력비 상승과 전력 부족으로 이어져, 기업 투자 유치와 신산업 기반 구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음.

on.ft.com/3EVYT1S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이 됩니다
<WSJ> Tariff Shock Reverberates in the Bond Market

- 트럼프발 관세 충격, 미 국채 시장까지 흔든다

✔️ 장단기 금리차 왜곡 발생: 트럼프 대통령의 4월 2일 관세 발표 이후 미 국채 시장은 ‘스티프닝 트위스트(steepening twist)’ 현상 발생. 단기물 금리는 하락하는 반면 장기물 금리는 상승, 연준의 금리 인하 효과 제한.

✔️ 10년물 금리 상승세 지속: 10년물 금리는 4.37%까지 상승하며 30년 모기지 금리도 6.8%로 올라 소비자 대출 부담 가중. 이는 재정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투자자들이 ‘기간 프리미엄’을 요구하기 때문.

✔️ 통화정책 효과 약화 우려: 시장금리는 안정됐지만 기간 프리미엄이 높아 통화 완화의 효과를 제약. 연준과 재무부 모두 정책 대응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경기 침체가 오더라도 장기금리는 고점에서 버틸 가능성 존재.

https://www.wsj.com/finance/investing/treasury-yields-bonds-federal-reserve-34f2b6cb
[시그널랩 리서치] 5/13 (화)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2,410.10 (+2.81%)
- S&P500: 5,844.19 (+3.26%)
- 나스닥: 18,708.34 (+4.35%)
- S&P500 VIX: 18.40 (-15.98%)
- 달러인덱스: 101.76 (+1.42%)
- WTI선물: 61.95 (+1.52%)
- MSCI 한국 Index Fund: 58.04 (+0.61%)

◆ Comment

- 어제 미 증시는 나스닥이 4% 넘게 상승하는 등 강세 마감. 미국과 중국이 90일간 대부분의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긍정적 요소로 작용.
- 이에 따라 미국은 대중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125%에서 10%로 일시적으로 낮추게 되며, 양국은 향후 협의를 이어나가기로 결정.
- 경제지표 발표는 특별히 없었으나, 일부 연준 위원들은 협상 결과에 대해 언급.
-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이번 관세 인하가 연준의 대응 필요성을 낮췄다고 평가.
-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미번 관세 합의는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피해는 여전하다며, 주요 결정을 미루는 것 뿐이라 평가.

◆ 5월 12일 발표 기준 1Q25 실적공시 분석
https://naver.me/F2nhYEte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NHN (18171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030

● 매출액: 6,001억원
- YoY: -0.7%
- QoQ: -6.8%
- 컨센대비: -5.5%

● 영업이익: 276억원
- YoY: +1.3%
- QoQ: +10.6%
- 컨센대비: +6.3%

● 당기순이익: -2억원
- YoY: 적자지속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101.9%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5/13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항공사] 4월 항공 실적 - 매크로 난기류를 타고
상상인증권 이서연
ㆍ 4월 전국 공항 국제선 여객 수송 실적 yoy +6%
ㆍ 4월 인천 공항 화물 수송 실적 yoy +1%
ㆍ 단기 우려는 일부 해소, 중장기 변동성은 예의주시 필요

[항공사] 4월 항공실적: 양극화 시대
한국투자증권 최고운,황현정
ㆍ 양대 국적사는 내수소비 부진과 사고 여파에도 차별화
ㆍ 저비용항공 국제선 점유율은 30%대에서 정체될 전망
ㆍ 결국 길게 보면 경쟁력이 더 부각되는 건 대한항공

[운송인프라] 이제 혼란은 선사들의 기회
한국투자증권 최고운,황현정
ㆍ 미중 관세 인하 합의는 해운업종에게 가장 긍정적
ㆍ 단기적으로 혼란을 이용할 수 있는 물류/해운선사에 주목할 차례

[자동차] 중국 자동차 판매 동향: 2025년 4월: 신에너지차 위주의 성장 속 로컬 브랜드의 입지 강화
하나증권 송선재,강민아
ㆍ 중국 자동차 시장: 4월 도매판매 +11%, 소매판매 +15%, 생산 +12%, 수출 -2% 기록. 신에너지차 소매판매는 +34%, 비중 51.6%로 상승
ㆍ 업체별 점유율: 지리기차/장안기차 상승 vs. VW/테슬라/BYD 하락
ㆍ 주요 시사점: 중국 정부의 소비진흥 정책 효과가 지속. 로컬 브랜드의 입지 강화 중

[호텔,레스토랑,레저] 예상보다 더 좋았다
하나증권 이기훈,김현수
ㆍ 중국인 드랍액만 상승한다면 추가 상승 여력도 높다
ㆍ 파라다이스 1Q Review: OP 573억원(+18% YoY)
ㆍ GKL 1Q Review: OP 202억원(+46% YoY)

[제약] 트럼프, 약가 인하 위한 행정명령 서명
SK증권 이선경
ㆍ 미국 내 약가 인하를 위한 광범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관련 내용을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
ㆍ 제약사, 보험사, 유통사 등 대상, 가격 투명성 제고 및 인하 조치 본격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 표명
ㆍ 구체적인 내용은 부재, 법적/구조적 한계로 인해 단기내 추진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되며 소비자 구매 프로그램 촉진, 유럽 약가 시스템 조정 압박 가능성 존재함에 따라 제약사의 피해는 제한적일 수 있는 상황

[제약] American Patient First
대신증권 이희영
ㆍ American Patients First: 트럼프 2기, 약가를 둘러싼 구조적 재편 선포
ㆍ 애널리스트 코멘트: 1기보다 광범위한 내용 포함, 세부 시행안 모니터링 필요

[제약] 에버그리닝에서 찾는 투자 아이디어
하나증권 김선아,유창근
ㆍ 빅파마들의 에버그리닝 헛점
ㆍ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인 정책 환경
ㆍ 더 강력한 에버그리닝을 위하여

[은행] 대선 공약 관련 내용 점검
LS증권 전배승
ㆍ 금융업종별 대선 공약 관련 내용 점검
ㆍ 증권업에 우호적 정책기조. 은행/보험업종 일부 정책 불확실성 상존

[증권] 최근 주가 상승에 대한 생각
한국투자증권 백두산,안현빈
ㆍ 증권 업종은 2분기 들어 22% 상승
ㆍ 증권업 비중확대. 채권운용 호실적
ㆍ 국내주식 브로커리지 개선

[기타금융] 디지털 자산; 존재한다, 고로 투자된다
메리츠증권 조아해
ㆍ 변화될 금융 생활
ㆍ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세상
ㆍ 무엇이든 투자 가능한 플랫폼

[전자장비와기기] 관세 협상 관련 전기전자 업종 주가 코멘트
iM증권 고의영,손우성
ㆍ ①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Apple의 노력
ㆍ ② 미·중이 합의하면 없던 일이 될까
ㆍ ③ 그래도 주가는 빠르게 반등할 전망
ㆍ ④ 추세성을 가지기 위한 조건
ㆍ ⑤ ‘성장하는’ 레거시 주식도 관심

[반도체와반도체장비] 미중 합의, 반도체 수요에 긍정적
KB증권 김동원,이의진
ㆍ 중국산 제품 대한 관세를 30%로 90일간 인하
ㆍ 관세 불확실성 해소, 반도체 수요에 긍정적 요인
ㆍ Top picks: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시그널랩 리서치] 5/13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 주주환원 여력과 의지 확인>
흥국증권 박종렬,송지원
ㆍ 1Q Review: OP 956억원(+159.7, YoY), 전망치 하회
ㆍ 소비 불황에도 강한 내성 확인, 양호한 실적 모멘텀 지속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반등의 서막>
SK증권 박형우,권민규
ㆍ 1분기: 적자 기록했지만, 저점 확인
ㆍ 2분기 및 향후 전망: 가동률 반등
ㆍ 목표주가 29,500원, 매수 의견으로 커버리지 개시

<현대백화점[069960] 실적 호전과 재평가>
흥국증권 박종렬,송지원
ㆍ 1Q Review: OP 1,125억원(+63.5% YoY), 전망치 상회
ㆍ 실적 호조 지속: 백화점 주도, 지누스와 면세점 가세
ㆍ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84,000원 상향

<이마트[139480] 할인점 비용 절감, 자회사 실적 개선으로 서프라이즈 기록>
대신증권 유정현
ㆍ 할인점 GPM 개선, 판관비 절감으로 손익 대폭 개선
ㆍ 건설 자회사 적자 개선, 프라퍼티도 회계 인식 변경으로 손익 급증
ㆍ 할인점 기존점 회복 여전히 숙제, 다만 이익 레벨 상승한 점 고무적

<이마트[139480] 1Q25 Review - 본업 호조는 지속>
상상인증권 김혜미
ㆍ 1Q25 매출액 yoy +0.2%, 영업이익 yoy +238.2%

<리가켐바이오[141080] 올해도 새로운 기술이전을 기다리며>
하나증권 김선아,유창근
ㆍ 바이오텍의 본질에 충실하며 매년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해 온 기업
ㆍ 파트너사의 임상 결과와 후속 파이프라인들의 학술 발표 기대
ㆍ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50,000원

<클래시스[214150] 성수기를 더 기대하게 만드는 비수기 호실적>
LS증권 조은애
ㆍ 소모품 매출 고성장으로 증명한 볼뉴머와 인바운드 효과
ㆍ 2025년, 소모품 고성장 지속, 하반기 장비 매출 레벨업 기대

<클래시스[214150] 진격의 클래시스>
키움증권 신민수
ㆍ 시장 기대치 상회한 1Q25 실적, 소모품이 마진 드높였다
ㆍ 앞으로도 든든할 사업 성장세, 목표주가 +16.4% 상향

<클래시스[214150] 미용의료기기 매출은 고성장 중이다>
상상인증권 하태기
ㆍ 1분기 영업실적 기대수준 이상
ㆍ 2025년 1분기 장비/소모품 매출 예상보다 고성장 중

<실리콘투[257720] 1Q25 review: 유럽/중동이 이끈 서프라이즈>
삼성증권 이가영
ㆍ 성공적 지역 확장이 이끈 서프라이즈
ㆍ 매입채무 x9배, 재고자산은 +24% … 다음 분기 성장도 대비 중
ㆍ 목표주가 50,000원으로 상향

<실리콘투[257720] 사상 최대 실적 기록>
하나증권 박은정,김다혜
ㆍ 1Q25 Review: 사상 최대 실적 기록
ㆍ 전체 매출 +64% = 미국 -29% + 미국 외 +115%
ㆍ 2025년: 미국을 넘어서는 유럽과 중동 성장

<실리콘투[257720] 1Q25 Re: K뷰티 유럽 지역 맹주가 되다>
메리츠증권 박종대
ㆍ 1분기 영업이익 477억원(YoY 62.1%), 호실적 기록
ㆍ 유럽/중동, 빠른 글로벌 지역 확장세
ㆍ 적정주가 4.2만원 → 4.8만원 상향 조정, 투자의견 매수 유지

<보로노이[310210] 항암제 내성 시장의 떠오르는 다크호스>
대신증권 이희영
ㆍ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5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ㆍ VRN11: 기대감이 높아지는 임상 결과 발표, 내성 시장 정조준
ㆍ VRN10: HER2 TKI 충분히 매력적인 파이프라인으로 추후 기술이전 기대

<원텍[336570] 원텍 그는 누구인가>
키움증권 신민수
ㆍ 시장을 놀래킨 좋은 호실적, 새롭게 태어난 느낌
ㆍ 어느새 시가총액 8천억 원, 목표주가 +10.0% 상향

<디어유[376300] 펀더멘털 이상없다>
NH투자증권 이화정,문소영
ㆍ 중국 진출 + 수익성 강화가 목전
ㆍ 1Q25 Review: 재정비의 시기

<케이카[381970] 1등은 역시 위기에 강하다>
흥국증권 최종경
ㆍ 1Q25 Review: 매출액 +0.04%, 영업이익 +22% YoY
ㆍ 1등은 역시 위기에 강하다
『신한속보; 미중 관세 데탕트의 주식시장 영향』
주식전략 노동길 02-3772-4455 / 김성환 / 신승웅
 
 -주식시장 영향: Best Scenario 가정한 주식시장 반응 활용할 필요 있는 변수
 
-세부 주식시장 전략: Best Scenario 반영은 미국과 중국 양쪽 기술주에 우호적 변수
 :미국 주식시장 전략: 대응에 가장 효과적 공격 수단은 AI CapEx(반도체, 전력망, 원전)
 :중국 주식시장 전략: 수출주 트레이딩 유효, 정부육성산업(AI, 로봇, 반도체) 전략적 비중 확대
 :국내 주식시장 전략: 미국 수입시장 점유 가능해 유리한 변수. 관세 피해주에 무게 중심 둘 필요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5356
위 내용은 2025년 5월 13일 7시 3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컴투스 (0783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35

● 매출액: 1,680억원
- YoY: +6.5%
- QoQ: -11.7%
- 컨센대비: -4.0%

● 영업이익: 17억원
- YoY: +44.3%
- QoQ: -22.5%
- 컨센대비: +458.0%

● 당기순이익: 20억원
- YoY: -49.4%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412.0%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CJ제일제당 (09795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513000129

● 매출액: 7조 2,085억원
- YoY: -0.1%
- QoQ: -3.8%
- 컨센대비: -2.1%

● 영업이익: 3,332억원
- YoY: -11.4%
- QoQ: -11.7%
- 컨센대비: -6.0%

● 당기순이익: 574억원
- YoY: -62.9%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59.0%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섹터코멘트_반도체_250513.pdf
632.6 KB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돌아온 Tech의 시간

1. 중단기로 반도체 비중을 높여야 하는 타이밍
- 관세 합의로 인해 ‘정책 리스크 완화 + AI 수요 재가속 + 2분기 메모리 가격 상승’이 동시에 겹치는 구간이 시작된다는 판단
- 1) IT 기기의 수요 회복 기대감
- 2) NVIDIA를 포함한 미국 IT 하드웨어 업체들의 제조원가 상승 우려 해소되며 마진 회복 기대
- 3) 미국과 중국 CSP 업체들의 AI Capex 경쟁 재개 기대감으로 이어짐
- AI 모멘텀을 누르고 있던 Capex 둔화 우려 완화 시 AI H/W 업종의 반등은 자연스러운 수순

2. SK하이닉스, 에스앤에스텍, 테스 추천종목 제시
- 추천 종목은 2025년 실적 성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현시점 주목받을 수 있는 모멘텀을 보유
- 1) AI 밸류체인: SK하이닉스, 이수페타시스, 두산
- 2) HBM 밸류체인: 피에스케이홀딩스, 한미반도체, 한화비전, 디아이, 와이씨, 테크윙
- 3) 삼성전자 밸류체인: 에스앤에스텍, 테스, 유진테크, 이오테크닉스, 하나머티리얼즈, 솔브레인
- 국내 반도체 업종에서도 AI/HBM 밸류체인의 주가 반등이 강하게 나타날 것
- IT 수요 우려 완화로 레거시 비중이 큰 삼성전자 밸류체인 역시 투자 매력도 증가

3. 미, 대중 관세 145%→30% 중국은 125%→10%
- 향후 90일 동안 각각 상호관세를 115%p 인하
- 발표 후 나스닥 장전에서 IT H/W 각각 NVIDIA 4.9%, Broadcom 6.2%, TSMC 4.4%, Intel 4.2%, AMD 4.9%, DELL 5.6%, Micron 6.1% 상승
- SOX 지수는 급반등에도 불구하고 현재 25F PER 24배 수준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