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11.1K subscribers
18.1K photos
499 videos
466 files
107K links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Download Telegram
[시그널랩 리서치] 4/29 오늘의 주요 목표주가 상향 및 신규 커버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NH투자증권[005940] 총주주환원수익률 9.1% 기대>
유안타증권 우도형
ㆍ 1Q25 순이익 컨센서스 상회
ㆍ 경상이익은 양호한 수준, 연말 배당수익률 7.6% 기대
ㆍ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9,000원 5.6% 상향

<호텔신라[008770] 면세점 실적 개선 가능성 제고>
흥국증권 박종렬,송지원
ㆍ 1Q OP -25억원(적전 YoY), 당초 예상보다 소폭 상회
ㆍ 업계 전반의 경쟁 완화와 수익성 개선은 긍정적으로 작용
ㆍ 투자의견 Hold 유지, 목표주가 49,000원 상향

<주성엔지니어링[036930] 1Q25 Preview: 개선되는 중>
유진투자증권 임소정
ㆍ 1분기 실적은 매출 1,208억원(YoY +113.6%, QoQ +11.6%), 영업이익 339억원(YoY +382.3%, QoQ +1,655.1%, OPM 28%)을 기록하며 모두 컨센서스를 큰 폭 상회
ㆍ 주요 고객사의 국내 및 해외 팹 전환 물량이 순차적으로 인식되는 가운데 하반기 중국 고객사 주문이 본격적으로 발생할 전망

<한화오션[042660] 1Q25: 호실적, 설비투자, 블록딜>
iM증권 변용진
ㆍ 1분기 매출 3조 1,431억원/영업이익 2,586억원
ㆍ 호실적에 이은 설비투자 및 블록딜 뉴스
ㆍ 목표주가 91,000원 상향, 투자의견 HOLD로 하향

<한화오션[042660] 1Q25 Review: Ride the Storm>
LS증권 이재혁
ㆍ 1Q25 Review: Ride the Storm
ㆍ 외형 성장을 위한 본격 행보. Capa 증설 확정
ㆍ 투자의견 Hold 유지. 목표주가 90,000 원으로 20% 상향

<한화오션[042660] 고수익 상선 매출 인식 확대>
대신증권 이지니
ㆍ LNG선 중심 고수익성 상선의 매출 인식
ㆍ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상존하나 구조적인 성장세는 여전

<LG생활건강[051900] 점차 성장 동력을 갖춰가는 중>
키움증권 조소정
ㆍ 1Q25: 내수의 부진에 가려진 해외 성장
ㆍ 점차 성장 동력을 갖춰가는 중

<LG생활건강[051900] 괜찮은 출발>
대신증권 정한솔
ㆍ 1Q25 영업이익 1,424억원(YoY -6%, OPM 8.4%)로 컨센서스 소폭 상회
ㆍ 중국 영업이익 QoQ 흑자전환 성공. 다만 2분기 비용 부담 존재
ㆍ 자체브랜드의 북미 및 일본 성장세 지속되며 지역 다각화 긍정적

<LG생활건강[051900] 1Q25 review: 지속된 부진 속, 약간의 희망>
삼성증권 이가영
ㆍ 화장품, 부진 지속
ㆍ 의외로 엣지가 드러난 생활용품

<LG씨엔에스[064400] 서프라이즈의 의미>
신한투자증권 오강호,서지범
ㆍ 1분기 클라우드 성장 증명 + 저평가 매력 부각
ㆍ 1Q25 Review: 클라우드 기대치 상회. 수요 증가 구간 진입 확인
ㆍ Valuation & Risk: 산업 클라우드 성장 → 밸류에이션 재평가 기대

<SNT모티브[064960] 신규 매출원의 가세로 성장 구간 진입>
하나증권 송선재,강민아
ㆍ 고수익 유지한 가운데, 성장성 제고
ㆍ 1Q25 Review: 영업이익률 10.2% 기록
ㆍ 2025년 이후 다수의 신규 매출원들이 가세

<비에이치아이[083650] 매 분기 큰 폭의 성장세 기대>
IBK투자증권 김태현
ㆍ 1분기 기대 이상의 호실적 전망
ㆍ 올해 4월 누적 수주액 1.2조원에 달해
ㆍ HRSG 수요 증가 및 시장 점유율 확대

<iM금융지주[139130] PF 부담 완화되며 높아진 이익 정상화 기대감>
SK증권 설용진
ㆍ 목표주가 12,300원으로 상향
ㆍ 어느정도 완화된 PF 등 대손비용 부담
ㆍ 1Q25 지배순이익 1,543 억원(+38.1% YoY) 기록

<iM금융지주[139130] 거침없는 개선 추세. 목표가 상향>
하나증권 최정욱,정소영
ㆍ 충당금 부담 완화로 기대치를 크게 상회. 은행 외 증권, 캐피탈도 실적이 상당폭 개선
ㆍ 빠르게 12%를 상회한 CET 1 비율. 총주주환원율 목표 확대 변경 가능성 높다고 판단
ㆍ 올해 기대 총주주환원수익률 10% 상회. PBR 0.25배의 저평가 매력 한층 부각 전망

<HK이노엔[195940] 1Q25 Review: 미국 진출 가시화>
LS증권 신지훈
ㆍ 1Q25 Review
ㆍ 가시화된 미국 진출, 경쟁사의 독점권 만료 시점에 주목

<넷마블[251270] 1Q25 Preview: 1분기가 저점>
다올투자증권 김혜영
ㆍ 1Q25E 실적 PReview
ㆍ 1Q25E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1분기가 2025년 실적 저점이며 향후 신작 모멘텀이 가속화될 전망
ㆍ 1Q25E 연결 매출액은 5,628억원(-3.9% YoY, -13.3% QoQ), 영업이익은 271억원(+634% YoY, -23.1% QoQ)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HD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 좋은 실적에 모멘텀도 더해진다>
DS투자증권 안주원,김진형
ㆍ 1Q25 Review: 수익성 좋은 국내매출 낮은 분기
ㆍ 2분기 턴어라운드, 셀/모듈 일괄생산으로 수익성 제고
[한투증권 김대준] 5월 전략: 세 번째 등반

5월 코스피 밴드로 2,450~2,650p를 제시합니다. 지수 변동성은 4월처럼 확대되지 않을 것입니다. 코스피는 투자심리 회복을 토대로 점진적 상승세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한국 내수 부양 기조와 미국 관세 리스크 완화도 미리 고민할 시점입니다. 실적 전망이 양호한 업종이 대내외 호재까지 반영한다면 시세를 더 뽑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HBM과 함께 기존 주도주에 관심을 유지할 때입니다. 

------------------------------

- 코스피 예상 밴드는 2,450~2,650p. 5월 증시는 점진적 회복세를 보일 것

- 대내외 악재는 약해질 전망. 올해 실적 전망이 양호한 민감업종으로 대응

- 달러 약세와 물가 상승은 경계 대상. 해당 변수 변화 여부를 지켜볼 필요

보고서 링크: https://bit.ly/3RAa0QS

------------------------------
[SK 증권 조준기] QRA Update: 유동성 2Q>3Q, 주가는 저렴

2Q25 QRA - Key Facts
1) 오늘 새벽 공개된 미국 재무부의 2분기(4~6월) 차입 추정치는 5,140억 달러로 올해 2월 초에 제시되었던 예상치 대비 3,910억 달러 증가. 이는 분기 초 낮아져 있는 TGA 잔고와 순 현금 흐름 감소 예상에 기인하며 SOMA 상환액 하향도 부분적으로 상쇄 효과. 정부가 재정 지출을 과도하게 해서 발생한 결과는 아니고, 지난 분기에 예상보다 순발행을 적게(예상치 대비 -4,460억 달러) 한 것을 보완하는 영향이 큼. 이를 감안할 경우 이번 분기 차입 추정치는 2월 예상치 대비 530억 달러 낮음. 분기 말 TGA 잔고 목표치는 8,500억 달러 유지
2) 3분기 차입 예상치는 3분기 말 TGA 잔고 8,500억 달러를 가정하고 5,540억 달러로 제시됨
3) 만기별 발행 규모 등 추가적인 관련 디테일은 미국 현지 시간으로 4월 30일 오전 8시 30분에 발표 예정(한국 시간 기준 저녁 9시 30분)

3월 FOMC로 QT 규모 감소 – 통화정책 유동성 흡수량 축소 요인
지난 달 있었던 3월 FOMC에서 미 연준은 양적 긴축(QT) 속도를 완화했는데, 미 국채에 대한 월간 상환 한도를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하향 조정함(MBS 월간 상한 한도는 350억 달러로 유지). 기존에도 연준은 월간 상환 한도를 꽉 채워서 양적 긴축을 해 오지 않아 왔기 때문에 앞으로도 낮아진 상한선보다 적은 양적 긴축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음. 이는 시장 유동성 흡수 규모의 감소 요인으로 판단

재정정책 유동성 효과: 2Q 보합, 3Q 하락
당초 지금 크게 낮아져 있는 TGA 잔고(1분기말 기준 3천억 달러, 현재 5,700억 달러 수준)를 감안했을 때 2분기 차입 추정치가 상향 조정되지 않는다면 유동성 측면에서 극도로 비우호적인 환경 전개 우려했으나 추정치가 크게 상향 조정되며 이번 분기 재정정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효과는 보합 정도의 효과를 예상. 3분기차입 추정치 감안 시 2분기보다 재정정책 유동성 효과는 다소 감소하는 궤적 전망

그럼에도 유동성 환경 대비 많이 낮아진 주가
현재 재정/통화정책 유동성의 주가 설명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노이즈로 낮아져 있음. 유동성 대비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한 상황을 감안할 경우 반대로 노이즈 걷히며 기존 설명력 높았던 구간으로 복귀할 경우에는 주가 회복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는 판단. 관세 이슈의 향후 방향성 속단하기 어려우나 적어도 유동성 측면에서만 바라본다면 손익비 유리한 위치로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buly.kr/2Jo0IQx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한투증권 이동연] 중국: 확인할 것이 많은 구간

5월 중화권 증시는 박스권 흐름이 예상됩니다. 5월은 확인해야 할 것이 많은 구간입니다. 끝날 것 같지 않던 미중 관세 갈등이 소폭이나마 완화될 시그널이 일부 나타나고 있지만, 양국 간의 대화는 매우 더디게 진행될 가능성이 여전히 높습니다. 이에 따라 1분기에 기대 이상이었던 경제 성장률도 2분기부터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분기에 3% YoY 늘었던 수출은 관세 협상 없이는 2분기부터 역성장할 전망입니다. 본토와 홍콩 증시의 이익 추정치가 전월대비 하향 조정된 것도 증시에는 부담 요인입니다.

단,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지 않고, 4월 정치국회의에서 기존의 경기 부양 기조를 이어갈 것을 중국 정부가 재차 강조한 점은 증시 하방을 방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혼재하는 구간이기 때문에 증시는 박스권 흐름이 예상됩니다. 한편, 전술한 부정적 요인을 반영해 본토와 홍콩 증시 밴드는 전월대비 하향 조정합니다

포트폴리오 측면에서는 경쟁력 높은 국유기업(자금광업, 페트로차이나)을 편입해 전월과 마찬가지로 업종을 다변화하는 전략을 유지합니다. 빅테크(알리바바, 텐센트), 반도체(베이팡화창), 여행(Trip.com) Theme과 이구환신 정책의 수혜가 가장 강하게 나타날 샤오미를 상대적으로 선호합니다.

*보고서: https://vo.la/lXcDTlX
*텔레그램: https://t.me/chinaitev
Forwarded from DS투자증권 리서치
250429_음식료_추경(DS장지혜).pdf
1.6 MB
DS투자증권 음식료·엔터·미디어 Analyst 장지혜, RA 김대성

[음식료] 길어지는 보릿고개

■ 내수 소비 둔화로 음식료 기업 부진한 1분기 실적 전망
- 1분기 음식료 업체들의 실적은 내수 소비 둔화로 낮아진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 최근 한 달간 1Q25 영업이익이 하향 조정된 기업은 롯데웰푸드(-23%), 롯데칠성(-21%), 농심(-14%), CJ제일제당(-9%), 빙그레(-6%) 등으로 내수 비중 높은 기업

■ 추경을 통한 내수 경기 회복 기대. 경쟁력 보유한 기업 주목
- 전일(28일) 국회는 정부에서 제시한 12.2조원 규모의 추경안 심사
- 추경안의 경제 성장률 기여도는 0.1%p로 추경안 증액 요구도 강화되고 있음
- 추경안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와 잇단 악재로 최악의 시점을 지나고 있는 국내 소비에 대한 우려를 일부 완화시켜 줄 것으로 전망
- CJ프레시웨이는 자체 경쟁력을 통해 MS 확대 및 외형성장 시현해 긍정적

■ 종목분석
- CJ프레시웨이(매수, 3만원/유지): 1분기 식자재유통 외형 성장에도 푸드 서비스 비수기 및 병원 파업 영향 부진. 2분기 이후 실적 모멘텀 강화될 전망
- CJ제일제당(매수, 35만원/하향): 1분기 식품 부진, 바이오 기저 부담, F&C는 호조.
최근 식품 부문 수익성 하락 및 순차입금 등 감안해 목표배수 하향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시그널랩 실적속보] SOOP (06716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9000047

● 매출액: 1,077억원
- YoY: +13.4%
- QoQ: +5.8%
- 컨센대비: +2.1%

● 영업이익: 327억원
- YoY: +14.8%
- QoQ: +17.8%
- 컨센대비: +8.9%

● 당기순이익: 271억원
- YoY: +9.5%
- QoQ: +4.3%
- 컨센대비: +6.2%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Forwarded from 신한 리서치
[신한투자증권 통신서비스/SW 김아람]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관련 Comment

▶️ Event: 유심 정보 유출
- 지난주 외부 해킹으로 이용자 유심 관련 일부 정보 유출. 전 고객 대상 유심 무상 교체,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후 피해 발생시 100% 보장을 약속했으나 언론/SNS를 중심으로 금융사고 우려 등이 계속해서 부각. 특히 주말 간 가입자 이탈이 현실화될 조짐이 관찰되자 전일 주가 6.7% 급락 

▶️ Pitch: 영향을 지켜볼 필요
- 주가 급락으로 SK텔레콤의 25년 예상 배당수익률은 6.6%까지 상승. 다만 과거 배당수익률 밴드 하단이 7.0~7.5% 수준이었음을 고려하면 사태의 진전을 좀 더 지켜볼 필요

- 적어도 대규모 가입자 이탈 우려가 어느 정도 진정되어야 투자심리 회복이 가능할 것. 이번 사건의 구체적인 원인과 유출 범위 등은 정부 합동조사가 완료된 1~2개월 뒤 공개될 것으로 예상

- 일회성 비용을 부담하는 수준에서 진정된다면 주가는 시차를 두고 회복될 가능성이 높음. 결국 통신주 주가는 실적과 규제, 주주환원으로 움직일텐데, 재무 부담이 1~2천억원 수준이라면 현재 주주환원 규모가 유지될 것이기 때문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958
위 내용은 2025년 4월 29일 7시 50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우리 증시는 개장 초반 KOSPI 약세, KOSDSAQ 강세를 보이며 혼조세로 출발하였습니다. 최근 시장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던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이 상당부분 약해진 가운데, 투자자들은 대체로 관망세를 보이는 상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와 하락 섹터가 비슷하게 형성된 가운데, 섹터 중에서는 최근 강세를 보였던 정책 관련 테마가 대체로 약세를 보이고, 비만치료제 섹터가 강세를 보이는 점이 특징입니다. 최근 경구용 비만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점이 주된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는 모습입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대우건설 (0470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9000069

● 매출액: 2조 767억원
- YoY: -16.5%
- QoQ: -21.5%
- 컨센대비: -4.0%

● 영업이익: 1,513억원
- YoY: +31.8%
- QoQ: +24.8%
- 컨센대비: +80.1%

● 당기순이익: 580억원
- YoY: -36.6%
- QoQ: +299.8%
- 컨센대비: +12.6%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삼성전기 (00915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9000117

● 매출액: 2조 7,386억원
- YoY: +4.4%
- QoQ: +9.9%
- 컨센대비: +1.9%

● 영업이익: 2,006억원
- YoY: +11.2%
- QoQ: +74.3%
- 컨센대비: +0.4%

● 당기순이익: 1,416억원
- YoY: -24.1%
- QoQ: -32.9%
- 컨센대비: -17.2%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에코프로비엠 (2475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9000114

● 매출액: 6,298억원
- YoY: -35.1%
- QoQ: +35.5%
- 컨센대비: +10.5%

● 영업이익: 23억원
- YoY: -66.0%
- QoQ: 흑자전환
- 컨센대비: +46.5%

● 당기순이익: -100억원
- YoY: 적자지속
- QoQ: 적자지속
- 컨센대비: +35.7%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CFD(차액결제거래) 모니터링
https://t.me/siglab

4월 28일 기준 CFD 매수잔고율, 신규매수주식수, 신규매수금액 상위 20개 종목 리스트입니다.

● CFD 매수잔고율 = CFD 매수잔고주식수 / 결제일의 상장주식수

CFD 매수잔고율이 높다는 것은 상장주식수 대비 CFD 매수 물량이 많다는 의미로, CFD 투자자들이 매수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동아쏘시오홀딩스 (000640)
2025 1Q 연결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9000146

● 매출액: 3,284억원
- YoY: +7.7%
- QoQ: -5.3%
- 컨센대비: -3.8%

● 영업이익: 204억원
- YoY: +30.9%
- QoQ: -6.2%
- 컨센대비: +4.4%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실적속보] 동아에스티 (170900)
2025 1Q 개별 잠정실적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429000148

● 매출액: 1,690억원
- YoY: +20.7%
- QoQ: +3.4%
- 컨센대비: +9.2%

● 영업이익: 70억원
- YoY: +853.5%
- QoQ: +45.0%
- 컨센대비: +133.6%

● 당기순이익: 49억원
- YoY: +188.0%
- QoQ: +13.1%
- 컨센대비: +207.8%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