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시그널랩] 프리미엄 콘텐츠
✍️ 미국 관세 정책 우려로 4월 9일 저점을 기록했던 우리 증시는 그 이후 반등을 지속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최근에는 미국 관세 정책 관련한 우려가 최악의 구도를 지났다는 인식이 시장을 지배하는 상황으로 반등세가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감안하면 통계적 저평가 구간에 있는 ETF들에 대한 매력도가 부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은 어떤 ETF가 통계적으로 저평가 구간에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시그널종목] 계절성 포착주 (매수/국내ETF) - 2025/04/28
https://naver.me/FqW1jRcD
오늘은 어떤 ETF가 통계적으로 저평가 구간에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시그널종목] 계절성 포착주 (매수/국내ETF) - 2025/04/28
https://naver.me/FqW1jRcD
Forwarded from [시그널랩] 프리미엄 콘텐츠
image_2025-04-28_18-55-10.png
924.2 KB
[시그널랩 리서치] 1Q25 분기 실적 리뷰
4월 28일(월) 기준 2025년 1분기 잠정실적 발표 현황입니다.
(4월 24일~28일 잠정실적발표 기업 업데이트)
발표기업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43,32%, 종목 수 기준으로 4.92% 진행되었습니다.
● 서프라이즈 업종 (12개)
: 디스플레이, 소매(유통), 자본재, 제약과생물공학, 소재, 반도체와반도체장비, 증권, 내구재와의류, 소프트웨어와서비스, 기술하드웨어와장비, 상업서비스와공급품, 전자와전기제품
● 어닝 서프라이즈 비율 50% 상회 업종 (7개)
: 상업서비스와공급품, 증권, 소재, 자본재, 기술하드웨어와장비, 소매(유통), 내구소비재와의류
● 어닝 쇼크 비율 50% 상회 업종 (2개)
: 호텔,레스토랑,레저등, 에너지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바랍니다
[실적리뷰] 1Q25 실적공시 분석
https://naver.me/FEUSQwkz
4월 28일(월) 기준 2025년 1분기 잠정실적 발표 현황입니다.
(4월 24일~28일 잠정실적발표 기업 업데이트)
발표기업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43,32%, 종목 수 기준으로 4.92% 진행되었습니다.
● 서프라이즈 업종 (12개)
: 디스플레이, 소매(유통), 자본재, 제약과생물공학, 소재, 반도체와반도체장비, 증권, 내구재와의류, 소프트웨어와서비스, 기술하드웨어와장비, 상업서비스와공급품, 전자와전기제품
● 어닝 서프라이즈 비율 50% 상회 업종 (7개)
: 상업서비스와공급품, 증권, 소재, 자본재, 기술하드웨어와장비, 소매(유통), 내구소비재와의류
● 어닝 쇼크 비율 50% 상회 업종 (2개)
: 호텔,레스토랑,레저등, 에너지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바랍니다
[실적리뷰] 1Q25 실적공시 분석
https://naver.me/FEUSQwkz
✍️ <글로벌 이슈 / 시장 컬러>
✅ 국내 경기 총체적 부진…강력한 부양정책 절실
건설투자 증가율은 금융위기 및 팬데믹 당시보다 낮은 수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역성장 위험이 높아, 상호관세 리스크를 고려하면 선제적이고 강력한 부양정책이 필요.
✅ 달러 약세 지속 시 미국 주식 수요 둔화 우려
연준 통화 확대, 무역수지 악화로 달러 가치 하락. 글로벌 투자자들의 달러 자산 다변화 가능성 증대. 반면, 채권 시장은 환헤지 비용 감소 등으로 외국인 수요 유지 전망.
✅ S&P500 5,500pt 회복…실적 시즌, 반등의 승자 가리는 시기
4월 8일 저점 대비 10.9% 상승. 전고점까지 추가 10% 상승 여지. 이번 실적 시즌은 관세 영향을 감안한 실적 가이던스 차별화가 핵심.
✅ 트럼프 관세·연준 압박 완화에도 위험자산 전면 회복은 제한적
달러 약세는 주로 선진국 통화에 국한.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주식 순매도 지속, 채권 순매수 강화. 4월에는 유틸리티·통신·필수소비 업종에 대한 방어적 매수만 활발.
✅ 달러/원 환율 고점 지속 가능성…글로벌 거시 경제 리스크 주의
무역 적자와 달러 수요는 균형 관계. 중국은 플라자합의 당시 일본과 달리 달러 약세 대응을 꺼릴 가능성. 달러/원 환율은 당분간 높은 수준 유지할 전망.
#시그널랩리서치 #국내경기 #달러약세 #S&P500 #외국인수급 #환율리스크
- SignalLab Research
- https://t.me/siglab
✅ 국내 경기 총체적 부진…강력한 부양정책 절실
건설투자 증가율은 금융위기 및 팬데믹 당시보다 낮은 수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역성장 위험이 높아, 상호관세 리스크를 고려하면 선제적이고 강력한 부양정책이 필요.
✅ 달러 약세 지속 시 미국 주식 수요 둔화 우려
연준 통화 확대, 무역수지 악화로 달러 가치 하락. 글로벌 투자자들의 달러 자산 다변화 가능성 증대. 반면, 채권 시장은 환헤지 비용 감소 등으로 외국인 수요 유지 전망.
✅ S&P500 5,500pt 회복…실적 시즌, 반등의 승자 가리는 시기
4월 8일 저점 대비 10.9% 상승. 전고점까지 추가 10% 상승 여지. 이번 실적 시즌은 관세 영향을 감안한 실적 가이던스 차별화가 핵심.
✅ 트럼프 관세·연준 압박 완화에도 위험자산 전면 회복은 제한적
달러 약세는 주로 선진국 통화에 국한.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주식 순매도 지속, 채권 순매수 강화. 4월에는 유틸리티·통신·필수소비 업종에 대한 방어적 매수만 활발.
✅ 달러/원 환율 고점 지속 가능성…글로벌 거시 경제 리스크 주의
무역 적자와 달러 수요는 균형 관계. 중국은 플라자합의 당시 일본과 달리 달러 약세 대응을 꺼릴 가능성. 달러/원 환율은 당분간 높은 수준 유지할 전망.
#시그널랩리서치 #국내경기 #달러약세 #S&P500 #외국인수급 #환율리스크
- SignalLab Research
- https://t.me/siglab
[WSJ] A Reckoning for the Magnificent Seven Tests the Market
- '매그니피센트 세븐'의 조정이 시장을 시험대에 올리다
✔️ 기술 대장주의 부진: 알파벳, 아마존,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테슬라로 구성된 '매그니피센트 세븐'이 올해 들어 총 2.5조 달러의 시가총액 손실을 기록하며 시장 전반에 충격을 주고 있음.
✔️ 주요 하락 요인: 기술·AI 지배력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이들 주식은 경쟁 심화, 규제 리스크,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조정세를 보임.
✔️ 지수에 미치는 영향: 이들 대형주가 주요 주가지수 내 비중이 큰 만큼, 하락세가 시장 전반의 불안을 확대시키고 있음.
✔️ 실적 발표 주목: 향후 발표될 이들 기업의 실적이 시장 심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단기적인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 존재.
✔️ 밸류에이션 논란: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여전히 이들 주식의 밸류에이션이 과도하다고 보는 반면, 투자 대안 부족으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투자자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옴.
https://www.wsj.com/finance/stocks/magnificent-seven-stocks-2025-losses-352b356e
- '매그니피센트 세븐'의 조정이 시장을 시험대에 올리다
✔️ 기술 대장주의 부진: 알파벳, 아마존,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테슬라로 구성된 '매그니피센트 세븐'이 올해 들어 총 2.5조 달러의 시가총액 손실을 기록하며 시장 전반에 충격을 주고 있음.
✔️ 주요 하락 요인: 기술·AI 지배력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이들 주식은 경쟁 심화, 규제 리스크,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조정세를 보임.
✔️ 지수에 미치는 영향: 이들 대형주가 주요 주가지수 내 비중이 큰 만큼, 하락세가 시장 전반의 불안을 확대시키고 있음.
✔️ 실적 발표 주목: 향후 발표될 이들 기업의 실적이 시장 심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단기적인 방향성이 결정될 가능성 존재.
✔️ 밸류에이션 논란: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여전히 이들 주식의 밸류에이션이 과도하다고 보는 반면, 투자 대안 부족으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투자자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옴.
https://www.wsj.com/finance/stocks/magnificent-seven-stocks-2025-losses-352b356e
WSJ
A Reckoning for the Magnificent Seven Tests the Market
Alphabet, Amazon, Apple, Meta, Microsoft, Nvidia and Tesla are collectively off to their worst start since the 2022 slide, worrying investors.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셀비온 - 2H25 모멘텀 구간 기대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84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784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IV리서치: [IV Research] 셀비온(308430)-2H25 모멘텀 구간 기대 기업개요 동사는 의료용 동위원소 및 방사성의약품을 개발하는 신약개발 전문 기업으로, 선도물질 Lu-177-DGUL을 통해 전립선암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다. 동사는 서울대학교병원 내 암연구소에 방사선의약품 GMP 생산시설과 의약품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원... $셀비온
전기 대신 ‘빛’으로 작동하는 AI 칩 세계 첫 구현...전력 30%↓, 정보량 9배↑
- KAIST, 세계 최초 ‘카이랄 자성 양자점’ 개발…고성능 AI하드웨어에 적용 가능
https://zdnet.co.kr/view/?no=20250425104426
- KAIST, 세계 최초 ‘카이랄 자성 양자점’ 개발…고성능 AI하드웨어에 적용 가능
https://zdnet.co.kr/view/?no=20250425104426
ZDNet Korea
전기 대신 ‘빛’으로 작동하는 AI 칩 세계 첫 구현...전력 30%↓, 정보량 9배↑
기존의 양자점 기술로는 빛의 방향성과 자기 성질을 동시에 구현하기 어렵다.양자점이 대칭적인 구조를 갖고 있는 반면, 빛의 방향성은 비대칭성을 띠는데다 자기 성질과 충돌하기 때문에 이의 통합에는 구조 충돌 등 물리, 화학적 한계가 생긴다.KAIST 연구진이 이 해답을 '카이럴 양자점...
[KB: FX] 트럼프 1기보다 가파른 달러 약세
■ 트럼프의 관세 위협, 두 가지 시나리오 중 완화된 방향으로 진행 중
■ 관세 위협 속 예상보다 더 가파른 하락세를 기록한 달러. 달러 약세의 이유
■ 트럼프 1기보다 빠른 달러 약세, 강력한 관세 정책을 통한 달러 약세 유도 전망 때문으로 판단
■ 달러 약세 속 원화도 완만한 강세 전망하나 미ㆍ중 갈등 전개에 따른 위안화 절하는 상방 리스크
▶ FX/원자재 Analyst 오재영
▶ 보고서 링크 : https://bit.ly/3YOI6Ew
■ 트럼프의 관세 위협, 두 가지 시나리오 중 완화된 방향으로 진행 중
■ 관세 위협 속 예상보다 더 가파른 하락세를 기록한 달러. 달러 약세의 이유
■ 트럼프 1기보다 빠른 달러 약세, 강력한 관세 정책을 통한 달러 약세 유도 전망 때문으로 판단
■ 달러 약세 속 원화도 완만한 강세 전망하나 미ㆍ중 갈등 전개에 따른 위안화 절하는 상방 리스크
▶ FX/원자재 Analyst 오재영
▶ 보고서 링크 : https://bit.ly/3YOI6Ew
美 관세 피해 한국산으로 둔갑한 중국산, 5년간 1235억
-국산 둔갑 수출 적발 5년간 5108억원
-대미 국산 둔갑 수출의 82.1%가 중국산
-올 1~3월 적발액, 지난해 전체의 84.8%
-“세관별 단속체계 전면 재점검해야”
https://naver.me/x5Gx1kD0
-국산 둔갑 수출 적발 5년간 5108억원
-대미 국산 둔갑 수출의 82.1%가 중국산
-올 1~3월 적발액, 지난해 전체의 84.8%
-“세관별 단속체계 전면 재점검해야”
https://naver.me/x5Gx1kD0
Naver
美 관세 피해 한국산으로 둔갑한 중국산, 5년간 1235억 [국회 방청석]
국산 둔갑 수출 적발 5년간 5108억원 대미 국산 둔갑 수출의 82.1%가 중국산 올 1~3월 적발액, 지난해 전체의 84.8% “세관별 단속체계 전면 재점검해야”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을 회피하기 위한 중국산 제
[FT] Boeing prepared to redirect orders destined for Chinese carriers
- 보잉, 미·중 무역 긴장 고조 속 중국행 항공기 주문 재배정 가능성 언급
✔️ 배경: 중국 정부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조치로 자국 항공사에 보잉 항공기 인도를 중단하라고 지시함에 따라, 보잉은 중국 항공사로 예정된 항공기 인도를 다른 고객사로 전환할 수 있다고 발표.
✔️ CEO 발언: 보잉 CEO 데이브 캘훈은 “항공기가 고객에게 인도되지 않는 상황에서 동일한 기종을 계속 생산할 수는 없다”며, 중국 외 항공사로 인도 대상 전환 가능성을 시사.
✔️ 대체 고객 모색: 보잉은 인도와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지역 항공사들과 재배정 협의를 진행 중이며, 일부 항공사는 빠른 인도를 희망하고 있는 상황.
✔️ 실적 및 생산 계획: 2025년 1분기 보잉은 순손실 3,1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매출은 18% 증가한 195억 달러로 개선세. 737 맥스 생산은 월 38대에서 연말까지 42대로 증산 예정.
✔️ 기타 조치: 보잉은 재무 구조 개선을 위해 디지털 항공 사업부를 106억 달러에 매각하며,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음.
https://on.ft.com/4jg2Op8
- 보잉, 미·중 무역 긴장 고조 속 중국행 항공기 주문 재배정 가능성 언급
✔️ 배경: 중국 정부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조치로 자국 항공사에 보잉 항공기 인도를 중단하라고 지시함에 따라, 보잉은 중국 항공사로 예정된 항공기 인도를 다른 고객사로 전환할 수 있다고 발표.
✔️ CEO 발언: 보잉 CEO 데이브 캘훈은 “항공기가 고객에게 인도되지 않는 상황에서 동일한 기종을 계속 생산할 수는 없다”며, 중국 외 항공사로 인도 대상 전환 가능성을 시사.
✔️ 대체 고객 모색: 보잉은 인도와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지역 항공사들과 재배정 협의를 진행 중이며, 일부 항공사는 빠른 인도를 희망하고 있는 상황.
✔️ 실적 및 생산 계획: 2025년 1분기 보잉은 순손실 3,1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매출은 18% 증가한 195억 달러로 개선세. 737 맥스 생산은 월 38대에서 연말까지 42대로 증산 예정.
✔️ 기타 조치: 보잉은 재무 구조 개선을 위해 디지털 항공 사업부를 106억 달러에 매각하며,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음.
https://on.ft.com/4jg2Op8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넷플릭스의 새로운 추천 시스템 분석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597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597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탑코더: $NFLX #추천시스템 #추천 #신기술 #파운데이션모델 넷플릭스가 추천 시스템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분야에 파운데이션 모델을 도입한 과정을 다룬 훌륭한 블로그 글을 공개했습니다. 그들의 도입 배경, 주요 도전 과제, 그리고 해결책을 요약해봤습니다. 파운데이션 모델, 특히 LLM의 예측 성능은 NLP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 $NFLX #LLM #NLP #신기술 #추천 #추천시스템 #파운데이션모델
Forwarded from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J)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공지] 운영 텔레그램 채널 소개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1️⃣ 시그널랩 리서치
👉 https://t.me/siglab
2️⃣ 시그널랩 리서치 프리미엄
👉 https://t.me/siglab_premium
3️⃣ 머니스테이션 소셜 투자 콘텐츠
👉 https://t.me/moneystation_best
• The Choice of a New Generation
• '실전성'과 '간결성' 돈 되는 투자 인사이트
• 무한한 집단지성 투자 아이디어 연결
• 앞서가는 투자자의 '새로운 아이콘'
• '공유'는 채널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엔비디아 넘겠다는 화웨이 "반도체 딥시크?" / 중국 떠나는 기업들, 메이드 인 인디아의 시대 옵니까?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822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822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고먐미: 엔비디아 넘겠다는 화웨이 "반도체 딥시크?" / 중국 떠나는 기업들, 메이드 인 인디아의 시대 옵니까? 메인 뉴스 : 화웨이가 신형 AI칩을 내놨습니다. 엔비디아H 100을 경쟁상대로 호명했는데요. 네, "아직은",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겠죠.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을 벗어나 공급체인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이 미국 편향 투자...
IBM "양자컴퓨터 美 생산 위해 216조원 투자...첨단 컴퓨팅 중심지로"
"이 가운데 300억달러는 양자컴퓨터와 메인프레임에 투자한다는 계획"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8001214
"이 가운데 300억달러는 양자컴퓨터와 메인프레임에 투자한다는 계획"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8001214
뉴스핌
IBM "양자컴퓨터 美 생산 위해 216조원 투자...첨단 컴퓨팅 중심지로"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IBM이 향후 5년간 미국에 1500억 달러(약 216조원)를 투자하겠다고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IBM은 이번 대규모 투자로 미국을 글로벌 첨단 컴퓨팅 기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시키겠다는 구상이다.CNBC등에 따르면, IBM
[WSJ] Americans Are Downbeat on the Economy. They Keep Spending Anyway
- 미국 소비자들은 경제에 비관적이지만 지출은 이어지고 있다
✔️ 지속된 소비: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경제 상황에 대한 불안감에도 불구하고, 미국 소비자들은 소매 판매 성장세를 이끌며 여전히 적극적인 지출을 이어가고 있음.
✔️ 고소득층의 역할: 특히 고소득층은 주식시장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는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을 우려해 구매를 앞당기고 있음.
✔️ 소비자 심리 악화: 소비자 신뢰지수와 심리 지표는 크게 하락했으며, 이는 향후 소비 지출이 감소할 위험성을 시사.
✔️ 기업들의 대비: 기업들은 향후 경기 악화를 염두에 두고 대비하고 있으며,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이 결국 소비자들의 구매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 불안과 지출의 균형: 많은 소비자들이 경제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소비 습관을 크게 바꾸지 않고 있어, 경제 불안과 소비 회복력 사이의 불확실한 균형이 지속되고 있음.
https://www.wsj.com/economy/consumers/us-economic-sentiment-spending-23d95f36
- 미국 소비자들은 경제에 비관적이지만 지출은 이어지고 있다
✔️ 지속된 소비: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경제 상황에 대한 불안감에도 불구하고, 미국 소비자들은 소매 판매 성장세를 이끌며 여전히 적극적인 지출을 이어가고 있음.
✔️ 고소득층의 역할: 특히 고소득층은 주식시장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는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을 우려해 구매를 앞당기고 있음.
✔️ 소비자 심리 악화: 소비자 신뢰지수와 심리 지표는 크게 하락했으며, 이는 향후 소비 지출이 감소할 위험성을 시사.
✔️ 기업들의 대비: 기업들은 향후 경기 악화를 염두에 두고 대비하고 있으며,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이 결국 소비자들의 구매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 불안과 지출의 균형: 많은 소비자들이 경제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소비 습관을 크게 바꾸지 않고 있어, 경제 불안과 소비 회복력 사이의 불확실한 균형이 지속되고 있음.
https://www.wsj.com/economy/consumers/us-economic-sentiment-spending-23d95f36
WSJ
Americans Are Downbeat on the Economy. They Keep Spending Anyway.
People are still buying things at a steady clip, keeping the economy humming—for now.
Forwarded from [머니스테이션] 베스트 피드
[주간베스트] 미국 판매 비중 40%, 혼다의 미래는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536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536
www.moneystation.net
머니스테이션(MoneyStation)
@신문읽어주는언니: 【Financial Times Journal 헤드라인】Japan carmakers’ US success could become a liability -1980년대 #혼다 어코드는 연비와 신뢰성을 앞세워 미국 #중형차 시장을 재정의하며 큰 성공을 거둠. 혼다는 1982년 미국 현지 생산을 시작하며 물류비 절감과 무역 장벽 회피 효과를... $KODEX자동차 $TM $TSLA $기아 $자동차와부품 $현대차 #일본차 #중형차 #혼다
[시그널랩 리서치] 4/29 (화) 모닝 브리프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0,227.59 (+0.28%)
- S&P500: 5,528.75 (+0.06%)
- 나스닥: 17,366.13 (-0.10%)
- S&P500 VIX: 25.15 (+1.25%)
- 달러인덱스: 98.96 (-0.51%)
- WTI선물: 62.05 (-1.54%)
- MSCI 한국 Index Fund: 55.65 (-0.29%)
◆ Comment
- 우리 증시는 어제에 이어 숨고르기 장세 전망. 최근 시장을 지배하는 미중 협상 기대감이 상당부분 낮아진 가운데, 새로운 소식이 없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관망세를 보일 가능성 높음.
- 결국 키 포인트는 중국의 반응. 장중 무역협상과 관련하여 중국의 반응에 따라 장중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
- 어제 미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 최근 상승에 따른 조정 심리와 함께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이 다소 완화한 점이 투심 억제 요소로 작용.
- 중국에서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최근 통화가 없었다는 입장을 밝힌 점이 미중 협상 기대감을 낮춘 요소로 작용.
-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의 발언도 협상 기대감을 낮춘 요소로 작용. 베센트 재무장관은 중국 측에서도 지금 상황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보고 있을 것이라며, 그들이 우리에게 전화를 걸어올지도 모른다고 언급.
- 미국의 경제지표도 대체로 부정적인 영향. 4월 댈러스 연준 제조업활동지수는 -35.8로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
- 다만 장 후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술주가 낙폭 회복 혹은 상승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주요 지수 역시 낙폭 회복 및 상승 전환.
◆ 4월 28일 발표 기준 1Q25 실적공시 분석
https://naver.me/FEUSQwkz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https://t.me/siglab
◆ Market
- 다우존스산업: 40,227.59 (+0.28%)
- S&P500: 5,528.75 (+0.06%)
- 나스닥: 17,366.13 (-0.10%)
- S&P500 VIX: 25.15 (+1.25%)
- 달러인덱스: 98.96 (-0.51%)
- WTI선물: 62.05 (-1.54%)
- MSCI 한국 Index Fund: 55.65 (-0.29%)
◆ Comment
- 우리 증시는 어제에 이어 숨고르기 장세 전망. 최근 시장을 지배하는 미중 협상 기대감이 상당부분 낮아진 가운데, 새로운 소식이 없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관망세를 보일 가능성 높음.
- 결국 키 포인트는 중국의 반응. 장중 무역협상과 관련하여 중국의 반응에 따라 장중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
- 어제 미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 최근 상승에 따른 조정 심리와 함께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이 다소 완화한 점이 투심 억제 요소로 작용.
- 중국에서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최근 통화가 없었다는 입장을 밝힌 점이 미중 협상 기대감을 낮춘 요소로 작용.
-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의 발언도 협상 기대감을 낮춘 요소로 작용. 베센트 재무장관은 중국 측에서도 지금 상황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보고 있을 것이라며, 그들이 우리에게 전화를 걸어올지도 모른다고 언급.
- 미국의 경제지표도 대체로 부정적인 영향. 4월 댈러스 연준 제조업활동지수는 -35.8로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
- 다만 장 후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술주가 낙폭 회복 혹은 상승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주요 지수 역시 낙폭 회복 및 상승 전환.
◆ 4월 28일 발표 기준 1Q25 실적공시 분석
https://naver.me/FEUSQwkz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시그널랩 리서치] 4/29 오늘의 주요 산업 리포트 요약
https://t.me/siglab
[화학] 올해 1분기 ECH 스프레드, 전 분기 대비 34.5% 증가
IBK투자증권 이동욱
ㆍ 글리세린 가격 상승으로 프로필렌 공법 ECH 수익성 개선
[건설] 건설장비; 1Q25 Re 휴식기, 안갯속에도 안정화
신한투자증권 이동헌,이지한
ㆍ 대외 불확실성 속에 실적 둔화, 다져지는 체력
ㆍ 1Q25 Review: 낮아진 기대치 부합, 아직은 안갯속
ㆍ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유지, 주가 변동에 따른 의견 조정
[복합기업] 전환기의 투자전략: 지주회사 스크리닝
KB증권 박건영
ㆍ 총주주 이익 보호”라는 최종 목표는 모두 같음
ㆍ 주주보호 & 주주관여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ㆍ 주주보호 논의는 계속될 것, 지주회사 스크리닝 전략을 통해 대비
[화장품] 지금 잘하는 브랜드를 사자
다올투자증권 박종현,이정우
ㆍ Issue화장품 업종 업데이트
ㆍ Pitch인디 브랜드 > ODM > 대형 브랜드 선호도 제시. 인디 업체들 대형 브랜드 화장품 업체 대비 밸류에이션 저평가 국면으로 Upside 기대. 신규 상장하는 달바글로벌 또한 공모 밴드 상단 10.8배로 주목
[식품] 길어지는 보릿고개
DS투자증권 장지혜,김대성
ㆍ 내수 소비 둔화로 음식료 기업 부진한 1분기 실적 전망
ㆍ 추경을 통한 내수 경기 회복 기대. 내수 비중 높은 종목 중 경쟁력 보유한 기업 주목
[은행] 은행 주주환원율 Update
메리츠증권 조아해
ㆍ 은행 1Q25 지배주주 순이익 6.22조원 (+12.2% YoY): 컨센서스 3.0% 상회
ㆍ CET-1비율 개선세 지속
ㆍ 25E 주주환원율 43% 추정
[생명보험] 1Q25 Preview: 순조로운 출발
신한투자증권 임희연
ㆍ 제도 관련 과도한 우려는 기우이나, 단기 모멘텀은 부재
ㆍ 1Q25 Preview: 보험손익은 견조, 관건은 투자손익
ㆍ 기본자본비율 제도 도입 시에도 과도한 우려는 제한적
[반도체와반도체장비] 메모리 고객사가 하이브리드 본더를 사가요
KB증권 이의진
ㆍ Besi 1Q25 실적발표
ㆍ Besi, “2027년 하이브리드 본더 시장 개화”
ㆍ 하이브리드 본딩 수혜는 전공정으로 확장
ㆍ 그림 1. 후공정 어셈블리 시장 규모 그림 2. 비메모리와 HBM에서의 하이브리드 본딩
[무선통신서비스] 짚고 넘어갈 건 짚고 넘어가자
한국투자증권 김정찬,정다솜
ㆍ SK텔레콤 USIM 정보 유출에 따른 2차 피해 우려 확산
ㆍ 단기 가입자 이탈은 제한적, 중장기 점유율 변동 가능
ㆍ 영업이익 하향 조정 불가피. 업종 내 선호도 KT > LGU+ > SKT 유지
[방송과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 - 2Q25 데이터 콘서트]
유안타증권 이환욱
ㆍ 합리적인 선택지 ‘K-엔터’
ㆍ 中 한한령 해제 방향성과 기대 수익
ㆍ 글로벌 K-POP 확산세는 현재 진행형으로 판단
[방송과엔터테인먼트] 국경도 장벽도 없습니다
대신증권 김회재
ㆍ 25년 드라마 제작 확대. TV향 72편(+29%), 오리지널 포함시 역대 최고
ㆍ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의 60%는 3대 플랫폼. K-컨텐츠에 대한 러브콜
ㆍ 중국 OTT의 자체 컨텐츠 투자 확대 기조는 한한령 해제시 기회 요인
https://t.me/siglab
[화학] 올해 1분기 ECH 스프레드, 전 분기 대비 34.5% 증가
IBK투자증권 이동욱
ㆍ 글리세린 가격 상승으로 프로필렌 공법 ECH 수익성 개선
[건설] 건설장비; 1Q25 Re 휴식기, 안갯속에도 안정화
신한투자증권 이동헌,이지한
ㆍ 대외 불확실성 속에 실적 둔화, 다져지는 체력
ㆍ 1Q25 Review: 낮아진 기대치 부합, 아직은 안갯속
ㆍ Valuation & Risk: 목표주가 유지, 주가 변동에 따른 의견 조정
[복합기업] 전환기의 투자전략: 지주회사 스크리닝
KB증권 박건영
ㆍ 총주주 이익 보호”라는 최종 목표는 모두 같음
ㆍ 주주보호 & 주주관여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ㆍ 주주보호 논의는 계속될 것, 지주회사 스크리닝 전략을 통해 대비
[화장품] 지금 잘하는 브랜드를 사자
다올투자증권 박종현,이정우
ㆍ Issue화장품 업종 업데이트
ㆍ Pitch인디 브랜드 > ODM > 대형 브랜드 선호도 제시. 인디 업체들 대형 브랜드 화장품 업체 대비 밸류에이션 저평가 국면으로 Upside 기대. 신규 상장하는 달바글로벌 또한 공모 밴드 상단 10.8배로 주목
[식품] 길어지는 보릿고개
DS투자증권 장지혜,김대성
ㆍ 내수 소비 둔화로 음식료 기업 부진한 1분기 실적 전망
ㆍ 추경을 통한 내수 경기 회복 기대. 내수 비중 높은 종목 중 경쟁력 보유한 기업 주목
[은행] 은행 주주환원율 Update
메리츠증권 조아해
ㆍ 은행 1Q25 지배주주 순이익 6.22조원 (+12.2% YoY): 컨센서스 3.0% 상회
ㆍ CET-1비율 개선세 지속
ㆍ 25E 주주환원율 43% 추정
[생명보험] 1Q25 Preview: 순조로운 출발
신한투자증권 임희연
ㆍ 제도 관련 과도한 우려는 기우이나, 단기 모멘텀은 부재
ㆍ 1Q25 Preview: 보험손익은 견조, 관건은 투자손익
ㆍ 기본자본비율 제도 도입 시에도 과도한 우려는 제한적
[반도체와반도체장비] 메모리 고객사가 하이브리드 본더를 사가요
KB증권 이의진
ㆍ Besi 1Q25 실적발표
ㆍ Besi, “2027년 하이브리드 본더 시장 개화”
ㆍ 하이브리드 본딩 수혜는 전공정으로 확장
ㆍ 그림 1. 후공정 어셈블리 시장 규모 그림 2. 비메모리와 HBM에서의 하이브리드 본딩
[무선통신서비스] 짚고 넘어갈 건 짚고 넘어가자
한국투자증권 김정찬,정다솜
ㆍ SK텔레콤 USIM 정보 유출에 따른 2차 피해 우려 확산
ㆍ 단기 가입자 이탈은 제한적, 중장기 점유율 변동 가능
ㆍ 영업이익 하향 조정 불가피. 업종 내 선호도 KT > LGU+ > SKT 유지
[방송과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 - 2Q25 데이터 콘서트]
유안타증권 이환욱
ㆍ 합리적인 선택지 ‘K-엔터’
ㆍ 中 한한령 해제 방향성과 기대 수익
ㆍ 글로벌 K-POP 확산세는 현재 진행형으로 판단
[방송과엔터테인먼트] 국경도 장벽도 없습니다
대신증권 김회재
ㆍ 25년 드라마 제작 확대. TV향 72편(+29%), 오리지널 포함시 역대 최고
ㆍ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의 60%는 3대 플랫폼. K-컨텐츠에 대한 러브콜
ㆍ 중국 OTT의 자체 컨텐츠 투자 확대 기조는 한한령 해제시 기회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