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 2020.10.21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0.8%, 2,367선 마감. 상승주 7, 하락주 23, 보합 0
다우 -0.3%, S&P 500 -0.2%, 나스닥 -0.3%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화요일에 보합을 기록한 이후 수요일에 재차 하락. 미국 부양책 협상에 대해 기대감 낮아져 반도체 투자심리에 부정적. 반도체지수는 장중에 박스권 등락하다가 장 마감 전에 낙폭 확대
#텍사스_인스트루먼트 -3.1%. 하루 전에 실적 발표. 4분기 매출 가이던스 34.1~36.9억 달러로 컨센서스 소폭 상회. 동종업종에서 NXP, ST마이크로가 이미 예상을 상회하는 잠정 매출을 몇 주 전에 발표. 이번 실적 발표 계기로 차익 실현 분위기 형성. 동사는 조정 베타 0.8로 주가 움직임이 무거운 편인데 6개월 동안 주가 +36.8%로 가파르게 상승
#자일링스, 정규장 -3.0%, 시간외 +2.4%.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FQ2 매출이 화웨이 제재조치 영향에도 불구하고 $757 million 기록. 컨센서스 $756 million 대비 상회하며 선방해 시간외 주가에 긍정적 영향. 자일링스의 Huawei 매출 비중은 5~10% 수준으로 높은 편. 자일링스의 실적 개선 견인차는 자동차 및 데이터센터 수요. 특히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매출은 +23% Q/Q, +30% Y/Y 기록. 시간외 주가 상승 영향으로 자일링스 인수 추진하는 AMD 시간외 주가도 +0.5% 상승. 양사의 시너지가 기대되는 분야는 데이터센터 부문
#램리서치, 정규장 +0.8%, 시간외 -1.7%. 다음 분기 가이던스 중에서 매출총이익률이 45~47%로 전 분기 매출총이익률 47.5% 대비 둔화된다는 것이 시간외 주가 하락 요인. 매출 가이던스는 $3.1~$3.5 billion으로 컨센서스 $3.1 billion 대비 상회
결론적으로 실적 발표 기업 중에서 'better than feared' 실적을 기록한 자일링스만 시간외 주가 상승. 다음 분기 가이던스가 전반적으로 빼어난 서프라이즈 수준이 아니면 오히려 주가 하락. 내일 (금) 아침에 실적 발표하는 기업은 인텔
메모리 업종 주가는 #인텔 NAND Flash 사업 매각 발표 영향으로 월~화 상승했다가 #WDC 제외하고 단기 조정 분위기. 마이크론 -0.4%, WDC +1.6%, 실리콘모션 -0.2%. Western Digital 주가 상승 지속 이유는 메모리 업종의 consolidation 영향으로 공급 과잉이 중장기적으로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 때문. 공급 과잉 완화되면 최근에 IPO 연기했던 일본 #Kioxia가 IPO를 재추진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Kioxia의 모회사 #Toshiba 주가는 지난 이틀간 상승 (월 +2.6%, 화 +4.1%)
필라델피아 반도체 P/E, Trailing 기준 33.4배, FY1 기준 22.5배
52주 장중 최고점 대비 -3.3%, 52주 장중 최저점 대비 +91.8%, YTD 상승률 +28.0%
★ 2020.10.21 (수) 필라델피아 반도체 -0.8%, 2,367선 마감. 상승주 7, 하락주 23, 보합 0
다우 -0.3%, S&P 500 -0.2%, 나스닥 -0.3%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화요일에 보합을 기록한 이후 수요일에 재차 하락. 미국 부양책 협상에 대해 기대감 낮아져 반도체 투자심리에 부정적. 반도체지수는 장중에 박스권 등락하다가 장 마감 전에 낙폭 확대
#텍사스_인스트루먼트 -3.1%. 하루 전에 실적 발표. 4분기 매출 가이던스 34.1~36.9억 달러로 컨센서스 소폭 상회. 동종업종에서 NXP, ST마이크로가 이미 예상을 상회하는 잠정 매출을 몇 주 전에 발표. 이번 실적 발표 계기로 차익 실현 분위기 형성. 동사는 조정 베타 0.8로 주가 움직임이 무거운 편인데 6개월 동안 주가 +36.8%로 가파르게 상승
#자일링스, 정규장 -3.0%, 시간외 +2.4%.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FQ2 매출이 화웨이 제재조치 영향에도 불구하고 $757 million 기록. 컨센서스 $756 million 대비 상회하며 선방해 시간외 주가에 긍정적 영향. 자일링스의 Huawei 매출 비중은 5~10% 수준으로 높은 편. 자일링스의 실적 개선 견인차는 자동차 및 데이터센터 수요. 특히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매출은 +23% Q/Q, +30% Y/Y 기록. 시간외 주가 상승 영향으로 자일링스 인수 추진하는 AMD 시간외 주가도 +0.5% 상승. 양사의 시너지가 기대되는 분야는 데이터센터 부문
#램리서치, 정규장 +0.8%, 시간외 -1.7%. 다음 분기 가이던스 중에서 매출총이익률이 45~47%로 전 분기 매출총이익률 47.5% 대비 둔화된다는 것이 시간외 주가 하락 요인. 매출 가이던스는 $3.1~$3.5 billion으로 컨센서스 $3.1 billion 대비 상회
결론적으로 실적 발표 기업 중에서 'better than feared' 실적을 기록한 자일링스만 시간외 주가 상승. 다음 분기 가이던스가 전반적으로 빼어난 서프라이즈 수준이 아니면 오히려 주가 하락. 내일 (금) 아침에 실적 발표하는 기업은 인텔
메모리 업종 주가는 #인텔 NAND Flash 사업 매각 발표 영향으로 월~화 상승했다가 #WDC 제외하고 단기 조정 분위기. 마이크론 -0.4%, WDC +1.6%, 실리콘모션 -0.2%. Western Digital 주가 상승 지속 이유는 메모리 업종의 consolidation 영향으로 공급 과잉이 중장기적으로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 때문. 공급 과잉 완화되면 최근에 IPO 연기했던 일본 #Kioxia가 IPO를 재추진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Kioxia의 모회사 #Toshiba 주가는 지난 이틀간 상승 (월 +2.6%, 화 +4.1%)
필라델피아 반도체 P/E, Trailing 기준 33.4배, FY1 기준 22.5배
52주 장중 최고점 대비 -3.3%, 52주 장중 최저점 대비 +91.8%, YTD 상승률 +28.0%
[하나금투 반도체 김경민, 김주연]
★ 2020.11.09 (월) 필라델피아 반도체 -1.3%, 2,498선 마감. 상승주 16, 하락주 14, 보합 0
다우 +2.9%, S&P 500 +1.2%, 나스닥 -1.5%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일 미국 화이자(pfizer) 제약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성공 기대감으로 컨택트(크루즈, 항공, 여행 등) 관련주가 급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소외. 전일 대비 31p 하락한 2,497p 마감
언택트 수혜주로 주목받았던 업종 위주로 주가 조정. 프로세서 공급사(엔비디아 -6.4%, AMD -3.2%) 및 5G 관련주(마벨 -6.5%, 자일링스 -2.8%, Skyworks -1.5%). #엔비디아: 현대차그룹과 커넥티드 카 컴퓨팅 시스템 개발 협력 확대 발표. 2022년부터 현대차, 기아차에 엔비디아의 최신형 고성능 정보 처리 반도체(엔비디아 드라이브) 탑재될 예정
반면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른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감에 (1) 공정장비 공급사(브룩스 +5.6%, 램리서치 +1.7%, AMAT +1.1%) 및 (2) 중국향 매출비중이 큰 온세미 +3.6% 상승. #AMAT: 한국 시각으로 11/13 오전에 FQ4 실적 발표 예정. 바이든 행정부 출범 관련 중국향 장비 납품에 대한 언급 여부 확인 필요. #램리서치: NAND 공급사들의 고단화에 지속에 따른 2021년 실적 호조 예상.
메모리 업종 주가 상대적으로 양호. 마이크론 +1.5%, WDC +4.2%. #마이크론: 장 종료 후 176단 3D-NAND Flash를 SSD향으로 출하하기 시작했다고 발표. 2021년 NAND 공급사들의 고단화(144단, 176단) 지속 예상. #WDC: 중국향 매출비중 약 25%로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감에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P/E, Trailing 기준 33.8배, FY1 기준 22.3배
52주 장중 최고점 대비 -4.1%, 52주 장중 최저점 대비 +102.4%, YTD 상승률 +35.0%
★ 2020.11.09 (월) 필라델피아 반도체 -1.3%, 2,498선 마감. 상승주 16, 하락주 14, 보합 0
다우 +2.9%, S&P 500 +1.2%, 나스닥 -1.5%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일 미국 화이자(pfizer) 제약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성공 기대감으로 컨택트(크루즈, 항공, 여행 등) 관련주가 급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소외. 전일 대비 31p 하락한 2,497p 마감
언택트 수혜주로 주목받았던 업종 위주로 주가 조정. 프로세서 공급사(엔비디아 -6.4%, AMD -3.2%) 및 5G 관련주(마벨 -6.5%, 자일링스 -2.8%, Skyworks -1.5%). #엔비디아: 현대차그룹과 커넥티드 카 컴퓨팅 시스템 개발 협력 확대 발표. 2022년부터 현대차, 기아차에 엔비디아의 최신형 고성능 정보 처리 반도체(엔비디아 드라이브) 탑재될 예정
반면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른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감에 (1) 공정장비 공급사(브룩스 +5.6%, 램리서치 +1.7%, AMAT +1.1%) 및 (2) 중국향 매출비중이 큰 온세미 +3.6% 상승. #AMAT: 한국 시각으로 11/13 오전에 FQ4 실적 발표 예정. 바이든 행정부 출범 관련 중국향 장비 납품에 대한 언급 여부 확인 필요. #램리서치: NAND 공급사들의 고단화에 지속에 따른 2021년 실적 호조 예상.
메모리 업종 주가 상대적으로 양호. 마이크론 +1.5%, WDC +4.2%. #마이크론: 장 종료 후 176단 3D-NAND Flash를 SSD향으로 출하하기 시작했다고 발표. 2021년 NAND 공급사들의 고단화(144단, 176단) 지속 예상. #WDC: 중국향 매출비중 약 25%로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감에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P/E, Trailing 기준 33.8배, FY1 기준 22.3배
52주 장중 최고점 대비 -4.1%, 52주 장중 최저점 대비 +102.4%, YTD 상승률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