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 이 채널과 블로그 정체성 자체가 방산에서 시작했고 계속 커버한 만큼 특별히 더 언급할 부분은 없고 근본으로 다시 돌아가보고자 22년에 썼던 글( https://blog.naver.com/arete0101/222860375941
)을 공유. 지금하고 살짝 맞지 않는 부분이 있으나 21년부터 정립했던 개인적인 방산 투자에 있어 가장 큰 뼈대가 되는 글. 결론은 "평화배당이 끝이나고 다극체제에 투자해야한다"임. 그리고 그 당위성이 한국에게 기회와 수요로 작용한다는 것.
- NATO 조달 비중 확대의 경우 과거 대비 유의미한 진전이 파악됨. 그러나 목표치 도달에는 당분간 쉽지 않고 이에 따른 수혜는 계속 유지될 수 있을 것.
- 여기에 최근 미국이 유럽에서 힘을 빼고 러시아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지내면서 대륙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하고, 아태지역은 군비를 유지 및 확장하면서 한국의 공산권 국가 수출을 허용하는 측면에서 군비 확대 최소화로 해양쪽에서 중국을 견제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양쪽으로 중국을 견제하는 흐름이 긍정적.
- 특히 24년 말에 작성한 25년 전망(https://t.me/mstaryun/7331)에서 볼 수 있듯 제3세계로의 파이프라인 다각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음.
- 방산 개별종목 코멘트는 무기체계 외에는 채널에서는 언급x
위 사진은 그라닛34(https://t.me/Joorini34)가 23년 초에 준 사진인데 금요일 급락 후 이대로 죽을 순 없다는 내 마음을 대변하며 2년만에 꺼내봄.
- 이 채널과 블로그 정체성 자체가 방산에서 시작했고 계속 커버한 만큼 특별히 더 언급할 부분은 없고 근본으로 다시 돌아가보고자 22년에 썼던 글( https://blog.naver.com/arete0101/222860375941
)을 공유. 지금하고 살짝 맞지 않는 부분이 있으나 21년부터 정립했던 개인적인 방산 투자에 있어 가장 큰 뼈대가 되는 글. 결론은 "평화배당이 끝이나고 다극체제에 투자해야한다"임. 그리고 그 당위성이 한국에게 기회와 수요로 작용한다는 것.
- NATO 조달 비중 확대의 경우 과거 대비 유의미한 진전이 파악됨. 그러나 목표치 도달에는 당분간 쉽지 않고 이에 따른 수혜는 계속 유지될 수 있을 것.
- 여기에 최근 미국이 유럽에서 힘을 빼고 러시아와 상대적으로 가깝게 지내면서 대륙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하고, 아태지역은 군비를 유지 및 확장하면서 한국의 공산권 국가 수출을 허용하는 측면에서 군비 확대 최소화로 해양쪽에서 중국을 견제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양쪽으로 중국을 견제하는 흐름이 긍정적.
- 특히 24년 말에 작성한 25년 전망(https://t.me/mstaryun/7331)에서 볼 수 있듯 제3세계로의 파이프라인 다각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음.
- 방산 개별종목 코멘트는 무기체계 외에는 채널에서는 언급x
위 사진은 그라닛34(https://t.me/Joorini34)가 23년 초에 준 사진인데 금요일 급락 후 이대로 죽을 순 없다는 내 마음을 대변하며 2년만에 꺼내봄.
👍37❤🔥7😁3
#방산 #탈레스 #가이던스
프랑스 방위산업체 탈레스도 25년 가이던스가 예상치를 상회했고, EU는 우크라이나 관련 긴급회의 및 방위비 조성을 위한 프로젝트 밟는 중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3-04/thales-guidance-dovetails-with-european-military-spending-boost?embedded-checkout=true
프랑스 방위산업체 탈레스도 25년 가이던스가 예상치를 상회했고, EU는 우크라이나 관련 긴급회의 및 방위비 조성을 위한 프로젝트 밟는 중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3-04/thales-guidance-dovetails-with-european-military-spending-boost?embedded-checkout=true
Bloomberg.com
Thales Guidance Dovetails With European Military Spending Boost
Thales SA shares rallied after the company’s guidance surpassed estimates as Europe’s pledge to boost military spending to support Ukraine is expected to lift sales for defense firms across the region.
😁11👍2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조선/LNG, 화장품/미용, 방산, 전력, 엔터, 밸류업
- 상대강도: 바이오, 조선/LNG, 미용, 방산, 음식료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조선/LNG, 방산, 엔터, 음식료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조선/LNG, 미용, 방산
- 특이적인 유동성: 대상, 유니드, 두산에너빌리티, YG
#에이비엘바이오
- 25년 주요하게 볼 이벤트는 1) 1Q25 ABL001 2/3상 탑라인, 2) 2Q~3Q25 ABL111 삼중 병용 1상 중간데이터, 3) 2H25~1H26 3건의 ADC FDA IND 등이 있음.
- ABL001은 무난하게 결과 나와서 가속승인 후 26년 2차 치료제로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동시에 연구자 주도의 1차 치료제 임상을 진행 중에 있어 긍정적 결과 시 NCCN 표준화 가능성이 높아 생각보다 빨리 1차 치료제 등재 가능성 존재.
- ABL111은 현재 옵디보 삼중 병용에서 Astellas의 VYLOY 대비 높은 ORR이 확인되고 있어 2Q~3Q25에 발표될 중간 데이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면 옵디보의 M/S를 방어할 수 있는 병용 요법으로 부각될 수 있을 것. ABL111이 상대적으로 저발현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하고 VYLOY가 블록버스터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ABL111 데이터로 시장을 어느정도 유지할 수 있을지 관심.
- 이중항체 ADC는 2H25 내 1개, 1H26내 2개로 일정. 미국법인에서 파이프라인을 가져가서 FDA와 직접 소통하면서 진행할 것.
#한국카본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04800353
- HD현대중공업향으로 오랜만에 LNG 보냉재 관련 공급계약 진행. 기존까지는 단가 이슈로 지연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공시는 단가는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
- 2월말을 기점으로 4Q24 진행한 증여 단가 결정 기간이 마무리되었고 실적도 양호하게 나옴. 3월부터는 주가를 특별히 누를만한 이슈는 없는데, 1) 오랜만에 LNG 관련 공급 계약, 2) 증여 이슈 해소, 3) 동성화인텍과의 괴리 축소 등의 이점이 언급될 수 있음.
- 참고로 동성화인텍의 잠정실적은 3월 2주차에 공개될 예정.
#유니드
- 25년 염화칼륨 YTD+16.9%. 춘절 이후 재고 수요, 성수기 진입에 따른 내수수요 증가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 가성/탄산칼륨 스프레드도 벌어지고 있음.
- 미국이 캐나다산 칼륨계 비료 수입이 절대적인데, 캐나다 관세 부가 시 가격 상방압력이 될 것. 한편, 러시아 물량 우려의 경우 중국이 이미 사실상 물량을 사들이고 있어 러시아가 풀리더라도 가격 하방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게다가 러시아쪽은 감산 기조 유지 중.
- 칼륨 가격 및 스프레드 확대와 함께 양호한 실적이 전망되며 주가 역시 우호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러우 협상 및 러시아 제재 관련한 추이는 F/U 필요.
#테크
- 오늘 테크에 우호적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 수출데이터 상 저점을 잡아볼 레벨, 2) 대형 테크 업체들의 주가 레벨이 비탄력적이라는 점을 볼 때 금일 움직임에 유의미하게 볼 회사들이 좀 있다고 생각함. 레거시 2H25 가격 반등에 대한 논리가 점차적으로 쌓이고 있는 중.
- 실제 관세 이슈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중국 테크는 반등이 나오고 있음. 레거시와 함께 AI패권 확보라는 관점에서 악재해소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 SK하이닉스의 경우 25E 매출의 20~25%가 ASIC에서 나올 것으로 전망되며 HBM 시장은 여전히 공급 부족 시장으로 물량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 관심.
- 한솔케미칼, 하나머티리얼즈 등이 연기금이 최근 지분 확대 공시 진행.
#LNG
- 자료참고: https://t.me/enc210406/2701
- 미국발 LNG선 발주 시작 및 이번 선가 관심. 미국 에너지 수입의 경제적 실질은 추후 생각을 해야하지만 당장은 미국의 에너지 수출국 의지가 매우 강한 상황.
- 유가는 60$ 정도까지는 관망.
#RISC-V
- 자료참고: https://www.reuters.com/technology/china-publish-policy-boost-risc-v-chip-use-nationwide-sources-2025-03-04/
- 중국이 전국적으로 오픈소스 RISC-V 칩 사용을 장려하는 지침을 발표할 계획. 의존도 감축 측면에서 진행.
- 발표 후 중국 RISC-V 이끌고 있는 업체 상한가, 국내 관련주 급등 등 반응은 나오는 중.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나온건 아니지만 향후 국내 업체도 전방 업체를 통해 진출할 수 있을지 관심.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조선/LNG, 화장품/미용, 방산, 전력, 엔터, 밸류업
- 상대강도: 바이오, 조선/LNG, 미용, 방산, 음식료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조선/LNG, 방산, 엔터, 음식료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조선/LNG, 미용, 방산
- 특이적인 유동성: 대상, 유니드, 두산에너빌리티, YG
#에이비엘바이오
- 25년 주요하게 볼 이벤트는 1) 1Q25 ABL001 2/3상 탑라인, 2) 2Q~3Q25 ABL111 삼중 병용 1상 중간데이터, 3) 2H25~1H26 3건의 ADC FDA IND 등이 있음.
- ABL001은 무난하게 결과 나와서 가속승인 후 26년 2차 치료제로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동시에 연구자 주도의 1차 치료제 임상을 진행 중에 있어 긍정적 결과 시 NCCN 표준화 가능성이 높아 생각보다 빨리 1차 치료제 등재 가능성 존재.
- ABL111은 현재 옵디보 삼중 병용에서 Astellas의 VYLOY 대비 높은 ORR이 확인되고 있어 2Q~3Q25에 발표될 중간 데이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면 옵디보의 M/S를 방어할 수 있는 병용 요법으로 부각될 수 있을 것. ABL111이 상대적으로 저발현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하고 VYLOY가 블록버스터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ABL111 데이터로 시장을 어느정도 유지할 수 있을지 관심.
- 이중항체 ADC는 2H25 내 1개, 1H26내 2개로 일정. 미국법인에서 파이프라인을 가져가서 FDA와 직접 소통하면서 진행할 것.
#한국카본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04800353
- HD현대중공업향으로 오랜만에 LNG 보냉재 관련 공급계약 진행. 기존까지는 단가 이슈로 지연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공시는 단가는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
- 2월말을 기점으로 4Q24 진행한 증여 단가 결정 기간이 마무리되었고 실적도 양호하게 나옴. 3월부터는 주가를 특별히 누를만한 이슈는 없는데, 1) 오랜만에 LNG 관련 공급 계약, 2) 증여 이슈 해소, 3) 동성화인텍과의 괴리 축소 등의 이점이 언급될 수 있음.
- 참고로 동성화인텍의 잠정실적은 3월 2주차에 공개될 예정.
#유니드
- 25년 염화칼륨 YTD+16.9%. 춘절 이후 재고 수요, 성수기 진입에 따른 내수수요 증가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 가성/탄산칼륨 스프레드도 벌어지고 있음.
- 미국이 캐나다산 칼륨계 비료 수입이 절대적인데, 캐나다 관세 부가 시 가격 상방압력이 될 것. 한편, 러시아 물량 우려의 경우 중국이 이미 사실상 물량을 사들이고 있어 러시아가 풀리더라도 가격 하방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게다가 러시아쪽은 감산 기조 유지 중.
- 칼륨 가격 및 스프레드 확대와 함께 양호한 실적이 전망되며 주가 역시 우호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러우 협상 및 러시아 제재 관련한 추이는 F/U 필요.
#테크
- 오늘 테크에 우호적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 수출데이터 상 저점을 잡아볼 레벨, 2) 대형 테크 업체들의 주가 레벨이 비탄력적이라는 점을 볼 때 금일 움직임에 유의미하게 볼 회사들이 좀 있다고 생각함. 레거시 2H25 가격 반등에 대한 논리가 점차적으로 쌓이고 있는 중.
- 실제 관세 이슈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중국 테크는 반등이 나오고 있음. 레거시와 함께 AI패권 확보라는 관점에서 악재해소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 SK하이닉스의 경우 25E 매출의 20~25%가 ASIC에서 나올 것으로 전망되며 HBM 시장은 여전히 공급 부족 시장으로 물량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 관심.
- 한솔케미칼, 하나머티리얼즈 등이 연기금이 최근 지분 확대 공시 진행.
#LNG
- 자료참고: https://t.me/enc210406/2701
- 미국발 LNG선 발주 시작 및 이번 선가 관심. 미국 에너지 수입의 경제적 실질은 추후 생각을 해야하지만 당장은 미국의 에너지 수출국 의지가 매우 강한 상황.
- 유가는 60$ 정도까지는 관망.
#RISC-V
- 자료참고: https://www.reuters.com/technology/china-publish-policy-boost-risc-v-chip-use-nationwide-sources-2025-03-04/
- 중국이 전국적으로 오픈소스 RISC-V 칩 사용을 장려하는 지침을 발표할 계획. 의존도 감축 측면에서 진행.
- 발표 후 중국 RISC-V 이끌고 있는 업체 상한가, 국내 관련주 급등 등 반응은 나오는 중.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나온건 아니지만 향후 국내 업체도 전방 업체를 통해 진출할 수 있을지 관심.
👍32🫡1
投資, 아레테
모든 수요를 K방산이 흡수할 것이라는 뷰는 경계해야 할
모든 수요를 가져오는건 경계해야합니다
전 폴란드 말고 다른 국가 잠수함 사업에 더 관심이 있습니다
https://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4067
전 폴란드 말고 다른 국가 잠수함 사업에 더 관심이 있습니다
https://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4067
theguru.co.kr
[더구루] "폴란드 잠수함 사업, 독일·스웨덴 선두 경쟁"…9월 사업자 최종 선정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 해군의 잠수함 현대화 사업인 '오르카(ORKA)' 프로젝트의 최종 사업자 선정이 카운트다운에 돌입했다. 폴란드 군비청이 수주전에 참여한 후보군 중 3개 업체를 압축해 올 상반기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 오는 9월께 최종 사업자를 선정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폴란드 뉴스매체 TVP World 등 외신에 따르면 폴란드 군비청은
👍12😁1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폴란드, 유럽 내 한국 무기 주요 조립공장으로 지정 크라쿠프(폴란드), 3월 5일(EFE) - 폴란드와 한국은 수요일에 바르샤바에서 2028년까지 지속되는 행동 계획에 서명했습니다. 이 계획에 따라 폴란드는 유럽에서 한국산 무기를 구매하는 주요 조립 센터가 될 것입니다. 중부 유럽 국가가 서울에서 구매한 많은 무기 덕분에 "폴란드는 유럽에서 한국 군사 장비를 더욱 홍보하고 우크라이나를 재건하는 허브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시코르스키 대통령은…
#방산
옙 이렇게 현지에서 생산하면 유럽 역내로 계산되니까 좋습니다. 하는 이유구욧
옙 이렇게 현지에서 생산하면 유럽 역내로 계산되니까 좋습니다. 하는 이유구욧
😁13
PLUS ETF 리서치룸
차근차근 차곡차곡🚢
https://m.sedaily.com/NewsViewAmp/2GQ51P55G9
https://m.sedaily.com/NewsViewAmp/2GQ51P55G9
요건 이제
1) '에드윈 퓰너'가 트럼프 1기 인수위원으로 활동한 것이 강점이 있고
2) '조지p부시'는 조지부시 대통령 가문이라 전통적으로 공화당과 인연이 깊다는데 강점이 있음.
3) 다만, 조지P부시는 트럼프 가문하고는 우호적인 가문이 아니긴 함. 트럼프가 대놓고 실패한 정치가문이라고 비판했음.
4) 참고로 24년 7월까지 캐나다 국방참모총장을 지냈던 '웨인'은 한국 명예 이름까지 받을정도로 한국과 연이 깊었음.
1) '에드윈 퓰너'가 트럼프 1기 인수위원으로 활동한 것이 강점이 있고
2) '조지p부시'는 조지부시 대통령 가문이라 전통적으로 공화당과 인연이 깊다는데 강점이 있음.
3) 다만, 조지P부시는 트럼프 가문하고는 우호적인 가문이 아니긴 함. 트럼프가 대놓고 실패한 정치가문이라고 비판했음.
4) 참고로 24년 7월까지 캐나다 국방참모총장을 지냈던 '웨인'은 한국 명예 이름까지 받을정도로 한국과 연이 깊었음.
👍14😁3
Forwarded from MZ타뇽 긴축모드 ON
안녕하세요! 상상인증권 철강 담당자 김진범 연구원입니다! 최근 중국산 후판 반덤핑 예비판정도 긍정적으로 났고, 전일 중국의 감산 관련 이슈도 있어서 철강 업종 관심 가져볼만한 것 같습니다... 이 틈을 타서 제 채널을 조금 열심히 키워보려는데, 관심 있으신 분들은 구독 한번만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관심 없으시면 무시하셔도 됩니다 ㅎㅎ/향후 건설까지 커버할 예정 참고 부탁드려요...!)
상상인증권 철강/비철 김진범: https://t.me/KJBIron
상상인증권 철강/비철 김진범: https://t.me/KJBIron
👍12
Forwarded from Stock Trip
#지누스 25년 1월 미국 매트리스 수입 데이터 발표
- HS CODE 4자리 기준 1월 인도네시아 » 미국 수입 YoY +75%
- HS CODE 6자리 기준 1월 인도네시아 » 미국 수입 YoY +83%
- 작년 계절성 때문에 MoM 비교는 무의미하나 궁금하시면 차트 참고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24년 10월, 11월 정도의 데이터가 나온 것은 굉장히 고무적이라고 판단. 실제로 회사도 이제 계절성 점점 옅어지고 있다고 소통하는 만큼 이익체력 Level UP 하고 있음
- 멕시코는 반덤핑 시행 전 마지막 물량이 1월에 미국에 도착했을 것인데 여전히 절고 있고 인도네시아 차별화 추세 지속되고 있음
- 1월 1일부터 반덤핑 관세 시행되었기에 이 추세는 지속될 개연성이 높음
- HS CODE 4자리 기준 1월 인도네시아 » 미국 수입 YoY +75%
- HS CODE 6자리 기준 1월 인도네시아 » 미국 수입 YoY +83%
- 작년 계절성 때문에 MoM 비교는 무의미하나 궁금하시면 차트 참고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24년 10월, 11월 정도의 데이터가 나온 것은 굉장히 고무적이라고 판단. 실제로 회사도 이제 계절성 점점 옅어지고 있다고 소통하는 만큼 이익체력 Level UP 하고 있음
- 멕시코는 반덤핑 시행 전 마지막 물량이 1월에 미국에 도착했을 것인데 여전히 절고 있고 인도네시아 차별화 추세 지속되고 있음
- 1월 1일부터 반덤핑 관세 시행되었기에 이 추세는 지속될 개연성이 높음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