投資, 아레테
12.9K subscribers
2.53K photos
11 videos
1.18K files
2.7K links
본 채널에서 소개하는 모든 종목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고지드립니다.
Download Telegram
#가스 #LNG
EU, 러시아 공급 대체 위해 미국산 가스 및 재생에너지 확대 모색

EU 집행위원회는 직접 가스를 구매하지 않지만, LNG 공급업체와 협력하고 해외 LNG 수출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여 안정적인 가격으로 장기 계약을 확보하려는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고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eu-seeks-more-us-gas-renewable-energy-replace-russian-supplies-2025-02-21/?utm_campaign=trueAnthem%3A+Trending+Content&utm_medium=trueAnthem&utm_source=facebook&fbclid=IwZXh0bgNhZW0CMTEAAR26qTFeqnT_bly-XuFp79kXI_cE9ShYO9Uzw0WVx_fZAGezT-AEl00vAqw_aem_hA0ajSU8fjLaum7Hw4FBlQ
😁13
#실적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4Q 실적시즌 위클리 실적 서프/쇼크 공유드립니다. 기준일은 2월 21일 입니다.

해당 시트는 회사의 개별적인 내용을 고려하지 않은 정량적 시트임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서프섹터: 엔터/미디어, 제약/바이오, 미용, 게임, 전력, 에너지

쇼크섹터: IT, 2차전지, 화학, 제약/바이오, 금융/증권, 화장품, 음식료

혼재섹터: 조선, 건설, 제약/바이오, 반도체
👍38💯3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화장품/미용, 조선/LNG, 테크, 바이오, 이차전지, 철강, 방산, 밸류업
- 상대강도: 화장품/미용, LNG, 바이오, 이차전지, 방산
- 신고가(60일 기준): 방산, 밸류업, 미용, 철강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화장품/미용, LNG, 이차전지, 방산, 바이오
- 특이적인 유동성: 두산에너빌리티, 포스코인터내셔널, 대상, LS ELECTRIC

#수출입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66
- 초고압변압기(미국), 음반, 기초화장(미국), NCF(수입), 지혈제, 라이신

#실리콘투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1002845
- 글랜우드가 유한회사를 세워서 실리콘투에 RCPS로 1,500억 납입.
- 단가는 3.6% 할증하여 32,700원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해당 가격을 바닥으로 생각해볼 수 있음.
- 유통하는 업체가 돈이 모자라진 않은데 추가 유치를 통해 해외 확장을 하겠다는 그림.

#지엔씨에너지
- 3Q24 일회성이 좀 있었는데 4Q24에서도 데이터센터용 발전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익 체력이 유지됨. 3Q24 당시 본업체력 연간 OP 250억>TP 2,000억 타겟했는데, 4Q24 실적을 보니 연간 OP 500억 이상 타겟 가능한 수준으로 파악됨.
- OPM도 1H24 6~7%>2H24 17~18%까지 급증하고 있음. 현재 수준의 이익 체력만 확보되어도 25E P/E 5.x배 수준에 불과.
-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서는 25년은 본격 고성장이 시작되는 연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

#지누스
- 4Q 실적 무난하게 나오고 수출입데이터는 계속해서 우상향하는 등 수요 트렌드는 견조하게 상승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음.
- 1H25까지 비용 감축을 타이트하게 지속하면서 C 감소는 계속될 수 있는 상황
- 매크로적으로 생각보다 여유로워 24년 말 우려했던 상황 대비 개선되었으며 미국 공장을 보유해 중장기적으로 트럼프 수혜를 받을 수 있음. 중국 관련 리스크 해소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음.
- 반덤핑 관세는 최근 0% 확정 공시가 나왔으며 25.01월까지 과세를 지불했기 때문에 이전 생각했던 규모 대비 관세 환급 규모가 더 커진 상황.
- 전반적으로 1) 트렌드가 유지되면서(수요 확장 지속) 2) 비용 절감이 지속되고(비용 감소) 3) 시장 내 해자를 보유한 기업을 적절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시점이라고 생각.

#파마리서치
- 여러 이슈가 있었지만 결국 비에스테틱 판매 전담 자회사를 설립하고 파마리서치는 리쥬란 및 에스테틱 제품 연구개발 및 글로벌 판매를 담당하는 구조로 변화. 비에스테틱 전문 자회사 재상장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반복 언급.
- 1Q25부터 독일과 알바니아를 시작으로 유럽 내 마케팅 활동을 시작하며 2H25부터는 본격적으로 유럽 활동이 기대됨. 이에 맞춰 휴젤 출신의 대표이사를 선임하는 등의 과정을 밟고 있음.

#배당
- 최근 배당 이야기 나오지 않고 있지만 생각보다 배당 관련한 주식들의 상승이 조금씩 보이는 상황.
- 관심이 적다는 점에서 배당락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고 배당도 받을 수 있음. 고배당 중심으로 관심.

#LNG #조선
- 트럼프 첫 LNG 터미널 수출 승인으로 9.5MPTA의 29년 수요가 발생. 셰니어 역시 운영 중인 CAPA를 50% 이상 증설하는 계획을 밝힘. 또한 알래스카 가스 프로젝트 참여 관련해서도 LNG 내 밸류체인이 수혜를 볼 가능성 존재. 25년 당장 이뤄지는 내용들은 아니지만 26년 이후 LNG 터미널 및 파이프라인들이 상향되는 것들이 눈에 보이고 있음.
- 25.03월 USTR 공청회를 거치고 늦어도 2H25에는 제재안이 시행될 가능성이 높음. 주요 중국 제재안으로 1) 중국 선사 수수로, 2) 중국산 선박 항만 수수료, 3) 중국 조선소에서 선박을 발주한 선주 및 선사 수수료 등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선사'를 기준으로 해서 포괄적으로 적용한다는 점이 기대치 대비 서프라이즈 요인이라고 생각. 이전에도 일본 및 유럽 선주들의 중국 발주 주저 움직임이 있었는데, 이번 기준을 기점으로 더욱 한국 선박 발주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803
#조선 #USTR #해운
- USTR에서 제시한 제재안을 보면 1) 중국 국적 선사에 대한 수수료, 2) 중국산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 3) 중국 조선소에서 선박을 발주한 선사 및 선주에 대한 수수료, 4) 미국산 선박 사용 시 수수료 환급, 5) 미국 제품 수출 시 미국 국적 선박 의무 비율, 6) 중국 물류 플랫폼 사용 제한 등이 있음. 이 중 1~3번이 가장 핵심 사항.
- 해당 제재안에 가장 많이 걸리는 선종은 컨테이너와 벌크에 해당. 그 중 입항 빈도가 높은 선종을 고르면 컨테이너선이 정기적으로 항구를 드나드는 만큼 고빈도 운항이 특징이기에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 컨테이너선은 중국 건조 비중도 높음.
- 컨테이너선 중에서 1) 운항거리에 따라 항구 방문 횟수가 구조적으로 높고, 2) 중간의 여러 중소 항만은 연계해 입항하는 점에서 소형 컨테이너선이 가장 핵심이 될 수 있으며 소형 컨테이너선은 비용 민감도도 상대적으로 높아 한국과 일본의 수혜가 될 수 있을 것.
- 결과적으로 소형, 컨테이너선에 집중해야 하는데, 조선에서는 해당 부분에 강점이 있는 건 HJ중공업와 HD현대미포, 해운에서는 HMM, 흥아해운 등이 있음.
👍33💯2
#상법개정
- 자료참고: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4130300001
- 상법은 모든 회사에 적용되는 법으로, 기업활동 전반을 규율하는 법이면서 인수, 합병, 양업양수도에 관해 초점이 맞춰진 개정 방안. 합병 과정 내에서 먼저 거를 수 있는 이사회에서 이사 역할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상법 개정으로 주주 권리 보호가 합리적으로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이사의 충실 의무를 회사>모든주주로 확대하는 상법개정안 법사위 소위 통과. 당장은 1)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2) 대규모 사장회사 집중투표제 의무적용, 3) 상장회사 전자주주총회, 4) 대규모 상장회사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 4가지 중 1. 3번만 우선 처리된 상황. 법사위 전체회의> 본회의>표결>통과 등의 일정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1Q25 내 본회의까지 우선 통과되는 것을 기대 가능.
- 현재까지는 상법개정안 자체는 기대치를 충족하는 수준이며, 본회의 통과와 함께 향후 자본시장법까지 같이 보면 좋을 듯. 이러한 개정으로 대주주가 적은 지분을 가지고 이사회 장악이 어려워질 것. 일반 주주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수혜를 볼 회사들 선별 필요.
- 알짜 자회사들 상장 혹은 합병 등과 관련한 업체, 최대주주 및 자사주 비율이 낮아 비과세 배당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업체, 증여를 위해 주가를 누르고 있는 업체 등이 수혜를 받을 수 있을 듯함.
👍35
#국제정치
- 미국과 러시아 양국 모두 국방예산 감축 등과 같은 내용 논의
- 미국은 미국이 진행중인 군비 감축의 일환으로 활용해볼 수 있음
- 최근 미국과 유럽의 사이가 틀어지는 가운데, 러시아와 직접 국경을 맞닿게 되는 상황 발생.
이런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언제나 영원한 동맹은 없으니까요. 미국도 중국과 친하게 지내려고 했던 적도 있고 지금은 제재하고 있고 상황에 따라 국제정치는 다 바뀌는거 아니겠습니까. 그렇다고 러시아와 미국이 이번을 계기로 완전히 붙는다고 보는 것도 무리고 지금은 유럽과 미국의 관계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 정도만 체크해보는 중입니다.
https://www.ytn.co.kr/_cs/_ln_0104_202502250654290603_005.html
👍9
#디엔에이링크
디엔에이링크, 충남 예산군 영구자석 생산공장 인허가 완료

디엔에이링크는 현재 예산군에 소재한 연산 1000t 규모의 영구자석 제조공장에서 올해 7월부터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생산할 예정이다. 해당 장비들은 올해 6~7월에 예산공장에 설치된다. 디엔에이링크는 이번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통해 영구자석 시생산 계획을 진행할 계획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12908?sid=101
👍4😁3
이 9척이 나눠질 것이라고 보도가 나온바 있는데
삼성중공업이 모두 가져갑니다~
아주 좋네욥!!

[다올선박 2월2주] ▲ 브라질 Transpetro, Suezmax 셔틀탱커 9척 신조 발주 임박. 한국 2곳, 중국 1곳 건조
- Transpetro는 신조선 발주 계획을 기존 4척에서 9척으로 확대. 총 13억달러 이상 규모
- 158,000-dwt 최신식 DP2 셔틀탱커. 2027년까지 Petrobras에 용선 필요.
- 선주 및 조선소 최종 결정은 임박한 것으로 전함
- 빠른 인도와 슬롯 부족으로 한국 및 중국 조선소 분할 발주 예상
- 조선사는 한국의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이 참여 중이고
- 중국의 Cosco Shipping Heavy Industry Zhoushan는 참여하고, DSIC는 기술 문제로 입찰 철회한 것으로 전함
-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이 각각 2척씩, 나머지는 Cosco Heavy Zhoushan에 발주할 것으로 추정
- 선주 후보로는 10개사가 언급됨. Knutsen OAS Shipping, Navios, Capital Maritime, Tsakos Group, AET(MISC), JP Morgan 등
- Transpetro는 10년 만에 신조선 시장 복귀
- 2024년 12월에는 브라질 조선소 Ecovix 및 MacLaren에 Handysize PC선(15,000~18,000 dwt) 4척을 발주. 69.5백만달러, Petrobras 연안 운송 목적
- 향후 LPG 운반선 및 MR PC선 등도 발주 예정으로 전함
👍20
#현대로템 #철도
- 이미 이전 보도가 나왔던 모로코 내 철도 확장 프로젝트에 대한 수주로 추정.
- 수출이 진행될수록 규모가 커지는 추이는 긍정적이나, 사업 특성 및 대당 마진을 생각하면 기업가치에 크리티컬한 내용은 아님.
👍185
#방산
- 2010년대 초중반에 나타났던 큰 흐름의 정세 변화가 세분화되어 2020년대 중반에 다시 한번 변동되고 있는 조짐이 보인다는 측면에서 큰 흐름을 보려고 함. 또한 영국, 독일 등의 선진국에서도 국방 확대 움직임이 다시 구체화되고 있음. 해당 분위기가 글로벌리 확산되는건 16~17년부터 시작되었고 22년을 기점으로 가속화되어 변한게 1도 없음.
- 계속 말씀드리듯 EU는 자체 컨소시엄 및 의도적인 구매를 통해 역내 조달을 늘리고 있는 상황이기에 모든 수요를 K방산이 흡수할 것이라는 뷰는 경계해야 할 것. 현실적으로 전체 시장과 접근 가능 시장을 구분해야됨. 해자가 높은 무기체계와 아닌 무기체계 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이 될 것. 현재 나오는 유럽 내 수요를 한국이 실질적으로 얼마나 수주할 수 있을지 생각해야 함. 다만, 수주 Pool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수출 시도가 증가한다는 점과 자체국방 예산이 증가한다는 점 자체는 흐름 측면에서 긍정적.
- 2010년대 중반 이후 나타나는 분쟁 및 전쟁을 통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자주포 및 지대공미사일과 같은 무기체계는 구조적인 수요 성장이 나온다는 것. 전차와 같은 무기체계는 선택적이고 선별적인 성장이 나온다는 점. 한편, 기수출국가 확대에 따라 해당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추가 무기 수출 기회가 발생할 수 있을 것.
- PS. 방산도 군비확장 나오면 헷제하는 곳이 좀 많아졌네욥

#상법개정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75
- 알짜 자회사들 상장 혹은 합병 등과 관련한 업체, 최대주주 및 자사주 비율이 낮아 비과세 배당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업체, 증여를 위해 주가를 누르고 있는 업체 등.
- 참고로 배당은 정부협의체 관련 배당 확대 띰도 있음.
👍21💯4
投資, 아레테
참고로 배당은 정부협의체 관련 배당 확대 띰도 있음.
#지역난방공사
정부협의체 관련된 업체들의 배당 확대 기대감이 최근 반영되고 있었는데 예상보다 더 잘 나왔네요.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등등의 정부 지분이 유의미하게 들어간 업체들 역시 배당을 올릴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
💯15
#중국 #의류 #이구환신
24년부터 시작된 이구환신은 1~2인자가 주도해 성과가 본 궤도에 오를 때까지 지속하고 있음.

IT와 가전 등의 성과가 나타난다면 이후 이구환신 성과가 날 곳은 현재 본궤도에 오르지 못한 의류 및 신발류가 될 가능성.
🫡176👍4😁4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화장품/미용, 조선/LNG, 테크, 바이오, 밸류업, 이차전지, AI SW
- 상대강도: 미용, 바이오, 밸류업, 이차전지, AI SW, 완성차
- 신고가(60일 기준): 미용, 테크, 바이오, 밸류업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미용, 바이오, 밸류업, 이차전지, AI SW
- 특이적인 유동성: 감성코퍼레이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수스페셜티케미칼, 포스코인터내셔널, 두산에너빌리티
- 오늘 방산 너무 낙관적인 뷰는 경계하자고 올리니까 팔았냐고 계속 물어보는데 제가 그럴리가요~

#브이티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6900601
- 4Q 연결 기준 실적은 노이즈 대비해서 무난하게 나왔고 별도 실적은 예상보다 잘 나온 수준으로 보임. 실적이 예상을 상회하는 요인은 주로 해외 시장. 특히 4Q부터 미국과 중화권이 QoQ 2~3배 이상 성장하며 유의미함.
- 마진은 연결 기준 QoQ 소폭 하락을 기록했는데, 이는 미국 시장 마케팅에 기인. 별도 기준 마진은 그렇게 깨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 미국은 25년 중순 즈음 얼타 및 코스트코 입점이 예상되며 미국 매출 성장이 본격화 될 수 있고, 이미 아마존 데이터는 계속 우수한 모습으로 유지되고 있음. 중국은 역직구몰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요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1Q25부터 현지 판매가 가능해져 매출 확대를 기대.

#지역난방공사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82
- 정부협의체에 따른 정부 지분이 들어간 업체들의 배당 재개 및 확대 기조가 분명히 드러나고 있음. 그 중 최근 발표된 회사 중 예상치 대비 상회하는 배당을 제시함.

#효성중공업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6800892
- 효붕이가 배당을 컨센서스보다 훨씬 더 많이 준대요~

#조선 #군함 #LNG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74
- 자료참고: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9657?sid=100
- 제재내용이 생각보다 훨씬 서프라이즈. 이전에도 유럽/일본 선주들이 옵션 물량을 한국 조선소에 주는 등 중국을 꺼리는 분위기에서 제재로 인해 해당 부위기 구체화. 또한 최근 기타 기자재까지 실적이 올라오고 있는 상황에서 CAPA 의문점을 한화엔진이 공시를 통해 실질적 CAPA를 늘려 어느정도 해소해준 상황. USTR 공정회도 3/24 예정.
- 군함 관련해서도 조선소에 연락해 방한 관련 논의를 진행 중이며 군함 및 방위비 관련해 3월 방한 일정으로 조율 중이라고 함.
- LNG는 내러티브 측면에서 1) 트럼프의 9.5MPTA 규모 첫 수출 터미널 승인, 2) 셰니어의 CAPA 50% 이상 증설 계획, 3) GTT의 LNG선 추가 수요, 4) Shell의 LNG 수요 전망 10%p 상향 등의 긍정적인 내용들이 붙고 있음. 또한 LNG 관련주들의 실적이 2H24를 기점으로 턴어라운드 및 수주잔고 급증 추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

#상법개정
- 자료참고: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4783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75
- 법사위 전체회의에서도 무난하게 통과. 이제는 국회 본회의 표결 및 통과 일정만 남은 상황. 상법개정이 되는건 시장 기대치를 충족시키는 정도.
- 알짜 자회사들 상장 혹은 합병 등과 관련한 업체, 최대주주 및 자사주 비율이 낮아 비과세 배당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업체, 증여를 위해 주가를 누르고 있는 업체 등.

#세일즈
- 세일즈에 대해 말이 많은데, 기본적으로 거래와 비즈니스 입장에서 세일즈가 필연적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고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세일즈는 오히려 바람직하게 권장될 수 있다고 생각함.
- 다만, 그 세일즈가 1) 선동이거나, 2) 회사의 톤을 교묘하게 부풀려서 오해를 만들거나, 3) 뇌피셜을 오피셜인 것처럼 거짓으로 하거나, 4) 더 좋은 회사가 있음에도 주가를 올리기 쉽다는 이유로 안좋은 회사를 부풀려서 하거나, 5) 엿바꿔먹듯 자주 변경되거나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세일즈라고 생각함.

#공매도
- 재개되기 2주 전부터는 소외 종목과 쏠림 종목에 대해 모두 관심을 두어야 할 듯.
👍6310❤‍🔥5💯3😁2
#방산 #K2 #현대로템
27일 폴란드 국방부에 따르면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악-카미슈 부총리 겸 국방장관과 로버트 칼리낙 슬로바키아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바르샤바 국방부 청사에서 국방 협력을 위한 의향서(LOI)에 서명했다.

이번 LOI에는 △피오룬(Piorun) 휴대용 대공미사일(MANPADS) 수출 △155㎜ 탄약 생산 확대 △신형 장갑차 공동 생산과 함께 K2 전차 공급도 담겼다. 슬로바키아는 폴란드에서 생산할 K2 전차(K2PL)를 확보할 계획이다.


최근 슬로바키아향으로 나온 보도 및 내용들은 LOI보다는 조금 더 포괄적인 협력 및 관심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진짜 LOI까지 급격하게 진행된 것이라면 긍정적. 현실적으로 아직 폴란드 외 수출을 해보지 못한 K2가 유럽 내 다른 국가들로 확산될 수 있는 기점.

Letter of Intent이라는 단어가 있긴하네요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3835
👍2
投資, 아레테
여러분이 산업재 감수성이 부족한것입니다
난 산업재 감수성이 풍부한데 왜 재미가 없지?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