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만두의 서비스
527 subscribers
112 photos
4 videos
2 files
182 links
책을 읽고 글을 씁니다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
Download Telegram
Forwarded from 습관이 부자를 만든다. 🧘 (습관)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혼자 노력하는 것과 배우는 것의 차이
👍4
[피그마 AI 공개후 찾아온 정적] There was silence after the Figma AI announcement at #ConFig. It was more of an embarrassment than a surprise.

오늘 #Config 오프닝 키노트에서 어떤 것을 공개하든 박수갈채와 함성이 이어졌다.

드디어 마지막에 공개된 피그마 AI. 프롬프트를 입력하니 정말 군더더기 없는 UI가 몇 초 만에 완성됐다.

정적이 흘렀다. 놀람보다는 당황에 가까운. 5초넘게 박수도 없었다. 아마 다 같은 생각을 한 듯하다. 분명 디자인 업계에 피할수 없는 전환점이 될 것이고 “이제는 정말 비주얼보다는 스토리와 본질을 다루는 디자이너가 되어야 할 시대가 오고 있다.”

————

Whatever was unveiled at the opening keynote of #Config today, there was applause and cheers.

Figma AI was finally revealed at the end. When the prompt was entered, design was completed in a few seconds.

There was silence. More of an embarrassment than a surprise. There was no applause for more than five seconds. I think we all thought the same thing. It will definitely be an unavoidable turning point in the design industry, and "the time has come when we really need to be designers who deal with stories and essence rather than just design."

https://www.linkedin.com/posts/kyokim_config-config-config-activity-7211971978067369984-_B8r?utm_source=share&utm_medium=member_ios
1
군만두의 서비스
The future that is happening GPT-4o 모델을 통해 Figma 디자인을 만들어낸다. 유저의 PRD*와 기존 디자인 시스템 작업물을 바탕으로 만들어낸다고.. 아직은 개인의 작업물이지만, Figma에서 정식으로 사용할 날도 금방 오겠지? https://x.com/yancymin/status/1795308932216525229?s=46&t=7CtGXi9Yd7G87Q9WTRNyjw PRD : Product Requirements…
이번 피그마 키노트는 거를 타선이 없다.. 사람 미치게 만드네..

‘좋은 아이디어를 가진 PM 1명이 나머지 팀원을 대체하지 않을까?’하고 막연히 상상하던 게 현실로 훅 들어옴..

1. 어떤 앱을 만들고 싶은 지 텍스트로 적으면 디자인 초안을 만들어줌
→ 무에서 유를 창조하기보다는, 초안을 보고 수정하는 게 훨씬 쉽다.
→ 기존에도 디자이너는 유사한 제품의 레퍼런스를 살펴보는 게 주요 업무 중 하나였음. 이런 시간을 대폭 줄여줄 듯

2. Figma Slides 기능을 통해 PPT 슬라이드를 만들 수 있음
→ 이거 몇번 써보기는 해야 할텐데.. 앞으로는 나도 피그마로 PPT 만들 것 같다.
→ 슬라이드 전반에 걸쳐 테마 맞추고, 예쁘게 간격 조정하고 하는 데에는 이미 피그마 따라올 툴이 없었음..
→ 이 기능이 없던 작년에만도 벌써 350만 개 이상의 프레젠테이션이 Figma에서 만들어졌다고 함

3.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 ‘Auto Layout’ 기능이 전반적으로 대폭 개선되었는데 꽤 편리해질듯
- 애플의 iOS 18과 구글의 Material 3 키트를 Figma에 통합. (그동안 개인들이 서드파티처럼 복제해서 만들고 사용해왔음)

4. Code Connect 기능이 숨겨진 게임체인저라고 생각함.
- 눈으로 보는 피그마 디자인과, 그 뒤에 있는 실제 React 코드의 유기성을 높여주는 기능임.
- 덕분에 개발자&디자이너 간의 협업이 훨씬 원활해질 것 같고
- “이럴거면 1~2명이서 제품 만들어도 되겠는데?” 싶은 생각이 가장 강력하게 들었던 기능임


피그마 AI 공개의 순간은 아래 링크에서 (33분 21초로 바로 이어짐)
https://www.youtube.com/live/n5gJgkO2Dg0?si=xc4b8lx8ojUA2N71&t=2001

피그마 키노트 요약은 아래 링크에서
https://lilys.ai/digest/842295
👍1
GTX B/C선 동시환승역을 만들어준다는 데도, 집앞에 변전소(지하 25m에 건설) 들어오는 건 싫다며 반대하심..

👉 한국에서 이 정도의 저항을 뚫고.. SMR을 수도권에 건설할 수 있을까?

아무리 SMR이 세계적인 추세라도, 최소한 한국에서는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함.

(어차피 외곽에 지을 거라면 SMR 대신 기존의 대형원전을 짓는 게 나음)

[GTX 변전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72496?sid=101

[SMR]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8990
스트라이프는 IT 강국 대한민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미국의 혁신적인 결제 기술 인프라이다.

그리고, 이제 그 위에 또 다른 혁신이 더해지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에게 또 언제 주어질지 모르는 골든 타임을, 우리는 앞으로도 눈 앞에서 계속 놓쳐야 할지도 모른다.

https://www.facebook.com/share/p/FySaFAz4JMEZ7Jdw/?mibextid=WC7FNe

https://x.com/coinbase/status/1806425092513210492?s=46&t=7CtGXi9Yd7G87Q9WTRNyjw
이렇게 얻은 단골 고객님들은 혼자만 오지 않으셨다..!

SNS나 지인들 통해서 가게 홍보해주시거나, 직장/학원에서 단체주문 해주실 때가 많으셨음 😎
정답 : 기본에 충실한 운영 + SNS를 엄청 잘하심..

https://www.instagram.com/earth__us?igsh=MTQ4N2RqaGk2bDBxcw==
문화는 위대하다!

한국에 정식 수입된 “푸바오 6개월 인형” - 590,000원

(중국에서 출시 당시 반응)
https://m.dcinside.com/board/baofamily/48767

(한국 정식 수입 반응)
https://paper.wolfkorea.com/issue/3854658
그리고,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한국에서 태어난 AI 스타트업은 Open AI 등의 해외 빅테크와 어떻게 경쟁할래? 라는 질문에 대답하기가 참 쉽지 않지만, 지금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한국의 매력이 통하고 있는 영역은 화장품, 음악, 게임, 드라마, 영화, 그리고 여러 식품입니다. 이 영역에 종사하고 있었던 많은 분들이, VC 관점에서는 새롭게 S급 인재라는 앵글로 재발견되어야 하는 시점이 아닐까 싶네요.”

https://www.fastventures.co.kr/post/tal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