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이 처음부터 돈을 버는 걸 우습게 생각하지 않으려고 했어요.
'돈을 받아야 사람들의 진짜 의견을 알 수 있다, 그래야 제품이 더 잘 성장할 수 있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https://maily.so/unsexybusinesskr/posts/4046fc76
'돈을 받아야 사람들의 진짜 의견을 알 수 있다, 그래야 제품이 더 잘 성장할 수 있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https://maily.so/unsexybusinesskr/posts/4046fc76
언섹시 비즈니스
단 둘이서 시작해 6개월 만에 월 1천만원의 매출을 내는 AI 서비스
feat. 투자도, 유료 마케팅도 없이
한국전력거래소에 따르면 2012~2022년 우리나라 발전설비는 8만1806MW에서 13만8018MW로 69% 늘어났다.
반면 이 기간 송전선로는 3만676km에서 3만4944km로 14% 확충되는 데 그쳤다.
.. 현재까지 계획된 주요 전력망 건설 사업들이 적개는 13개월 많게는 137개월 째 지연되고 있다.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6727
반면 이 기간 송전선로는 3만676km에서 3만4944km로 14% 확충되는 데 그쳤다.
.. 현재까지 계획된 주요 전력망 건설 사업들이 적개는 13개월 많게는 137개월 째 지연되고 있다.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6727
Electimes
고준위 특별법에 밀린 ‘전력망 특별법’ 처리도 시급…통과 가능성은? - 전기신문
21대 국회 종료 시한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특별법 및 해상풍력 특별법만큼 중요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전력망 특별법)도 통과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1
요즘 조용히 유행한다고 느끼는 것들
- 혼성&여자 풋살팀
- 러닝크루(+마라톤 완주 인증)
- 락 음악 (힙합보다 실리카겔)
- 키스오브라이프
- 무해한 컨텐츠 (소소한 일상, 긍정적인 생각, 럭키비키~)
https://www.hankyung.com/amp/2024051634691
- 혼성&여자 풋살팀
- 러닝크루(+마라톤 완주 인증)
- 락 음악 (힙합보다 실리카겔)
- 키스오브라이프
- 무해한 컨텐츠 (소소한 일상, 긍정적인 생각, 럭키비키~)
https://www.hankyung.com/amp/2024051634691
한국경제
골대 향해 튀어!…'풋' 사랑에 빠진 그녀들
골대 향해 튀어!…'풋' 사랑에 빠진 그녀들, Cover Story '발로 쓰는 드라마' 여성 풋살 전성시대
요즘 엔터 씬에서 가장 영리하다고 느끼는 프로젝트 QWER
그들의 실력이 어떻고 노래가 어떻고 이런거 다 떠나서, 수요(서브컬쳐)가 있는 곳에 공급(밴드 아이돌)을 했다는 게 가장 큰 배울 점.
스마트폰도 성능만 놓고 보면 아이폰보다 갤럭시가 좋았고, 잘되는 음식점이라고 모두 맛있는 음식점은 아니다.
결국 고객님이 정답이고 시장이 정답
https://x.com/neuralinko/status/1793557853481193979?s=46&t=7CtGXi9Yd7G87Q9WTRNyjw
그들의 실력이 어떻고 노래가 어떻고 이런거 다 떠나서, 수요(서브컬쳐)가 있는 곳에 공급(밴드 아이돌)을 했다는 게 가장 큰 배울 점.
스마트폰도 성능만 놓고 보면 아이폰보다 갤럭시가 좋았고, 잘되는 음식점이라고 모두 맛있는 음식점은 아니다.
결국 고객님이 정답이고 시장이 정답
https://x.com/neuralinko/status/1793557853481193979?s=46&t=7CtGXi9Yd7G87Q9WTRNyjw
👍1
와.. 그리드위즈가 IPO라니..
투자자의 관점에서는 따로 분석해야겠지만, 창업가의 관점에서는 Hard Startup을 만들어내신 분.
안그래도 보수적인 유틸리티 업계에서 정부는 툭하면 간섭하고, 언론은 탈원전 때문에 생긴 제도라고 호도하는 동안,
옆에서는 KT나 EnelX(이탈리아의 한전 같은 회사)처럼 큰형님들과 경쟁해야 하는 업계라 살아남기 어렵다고 봤는데,
어느새 업력이 10년이고 시장점유율 1위를 하셨구나.. 대단하다.
(투자 추천 아닙니다. 창업가로서 존경..)
https://ift.tt/aqbGuLj
투자자의 관점에서는 따로 분석해야겠지만, 창업가의 관점에서는 Hard Startup을 만들어내신 분.
안그래도 보수적인 유틸리티 업계에서 정부는 툭하면 간섭하고, 언론은 탈원전 때문에 생긴 제도라고 호도하는 동안,
옆에서는 KT나 EnelX(이탈리아의 한전 같은 회사)처럼 큰형님들과 경쟁해야 하는 업계라 살아남기 어렵다고 봤는데,
어느새 업력이 10년이고 시장점유율 1위를 하셨구나.. 대단하다.
(투자 추천 아닙니다. 창업가로서 존경..)
https://ift.tt/aqbGuLj
www.thelec.kr
그리드위즈, "10년의 전력 데이터 통해 전기차 충전 관련 사업영역 확대할 것"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전력수요관리(DR, Demand Rsponse) 시장의 점유율 1위 기업인 그리드위즈가 코스닥 상장에 도전한다. 회사는 DR 사업의 경험을 기반으로 E-Mobility(EM) 사업,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태양광(PV) 사업 등으로 사...
그리드위즈와 테슬라는 같은 미래를 바라보고 있다.
테슬라의 Master Plan 3를 요약하면 “재생에너지로 전력 만들고, 남을 때는 전기차 배터리에 저장하자!”이다.
따라서 전기차 충방전으로 고객 접점 만들고 → 전력거래와 수요관리(DR)를 통해 전력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사업자가 우위를 가져갈 수 있을 것.
(+여기에 전력수요/공급에 대한 데이터 바탕으로 수요예측까지 할 수 있으면 해자도 만들 수 있을듯)
전기차 열풍이 시들해진 요즘이, 그리드위즈 입장에서는 아쉽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회일 수도 있겠다.
(투자 추천 아닙니다. 저는 공모주 분석 같은거 잘 못하고 아직 이익도 작은 회사임..)
https://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203
테슬라의 Master Plan 3를 요약하면 “재생에너지로 전력 만들고, 남을 때는 전기차 배터리에 저장하자!”이다.
따라서 전기차 충방전으로 고객 접점 만들고 → 전력거래와 수요관리(DR)를 통해 전력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사업자가 우위를 가져갈 수 있을 것.
(+여기에 전력수요/공급에 대한 데이터 바탕으로 수요예측까지 할 수 있으면 해자도 만들 수 있을듯)
전기차 열풍이 시들해진 요즘이, 그리드위즈 입장에서는 아쉽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회일 수도 있겠다.
(투자 추천 아닙니다. 저는 공모주 분석 같은거 잘 못하고 아직 이익도 작은 회사임..)
https://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203
Fortune Korea
‘무탄소 섬 제주’는 한국의 묵시록일까
26조 8000억원. 정부는 제주 재생에너지 문제를 해결하자면 이만한 돈이 든다고 추산한다. 이 돈으로 ESS를 설치해야 한단 것. 스마트그리드 시장을 개척한 그리드위즈의 생각은 다르다.문상덕 기자 mosadu@fortu...
Forwarded from 전종현의 인사이트
뾰족한 문제를 설정한다는 것
"AI로 사업을 할 때, 아니 모든 창업이 보통 창업가나 창업팀이 관심있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에서 출발합니다. 하지만 위조 상품의 적발, IP 보호 같은 영역은 일반적인 창업씬의 분들이 떠올리기 쉽지 않은 특수한 영역이거든요. 저처럼 법학을 전공하거나, 특별한 전공을 하지 않는 이상 이 분야를 떠올리지 않고, 지겨운 산업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혹여 새로운 회사가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저희가 지금까지 쌓아온 데이터와 경험, 노하우, 고객사와의 관계가 수 년은 앞서 있기 때문에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봅니다.”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SQU-VGA4Gw8T-Yykls7rEsXH_IXZiI
"AI로 사업을 할 때, 아니 모든 창업이 보통 창업가나 창업팀이 관심있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에서 출발합니다. 하지만 위조 상품의 적발, IP 보호 같은 영역은 일반적인 창업씬의 분들이 떠올리기 쉽지 않은 특수한 영역이거든요. 저처럼 법학을 전공하거나, 특별한 전공을 하지 않는 이상 이 분야를 떠올리지 않고, 지겨운 산업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혹여 새로운 회사가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저희가 지금까지 쌓아온 데이터와 경험, 노하우, 고객사와의 관계가 수 년은 앞서 있기 때문에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봅니다.”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SQU-VGA4Gw8T-Yykls7rEsXH_IXZiI
Stibee
@[쫌아는기자들] 마크비전의 짝퉁잡는 버티컬 AI,
3년 만에 APR 1000만 달러 달성
👍2
The future that is happening
GPT-4o 모델을 통해 Figma 디자인을 만들어낸다.
유저의 PRD*와 기존 디자인 시스템 작업물을 바탕으로 만들어낸다고..
아직은 개인의 작업물이지만, Figma에서 정식으로 사용할 날도 금방 오겠지?
https://x.com/yancymin/status/1795308932216525229?s=46&t=7CtGXi9Yd7G87Q9WTRNyjw
PRD :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
GPT-4o 모델을 통해 Figma 디자인을 만들어낸다.
유저의 PRD*와 기존 디자인 시스템 작업물을 바탕으로 만들어낸다고..
아직은 개인의 작업물이지만, Figma에서 정식으로 사용할 날도 금방 오겠지?
https://x.com/yancymin/status/1795308932216525229?s=46&t=7CtGXi9Yd7G87Q9WTRNyjw
PRD :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
👍1
한국의 전력산업에 관한 뉴스를 볼 때, 아래 3가지가 있는지 살펴보세요.
1. 전기요금 인상
2. 송전망 확충
3. 고준위 방폐장 건설
위 내용이 없는 정책은 모두 Bullshit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719570
==
[셀프반박-1]
물론 원전 관련주처럼 개별기업에 관한 아이디어를 얻는다면 OK.
하지만 지금은 멀쩡한 발전소도 송전선이 없어서 멈춰있으며, 멀쩡한 원전도 방폐장 없어서 문 닫을 위기인 상황..
전력수요의 증가는 명약관화한 일인데, 전력 문제가 대한민국 전체의 아킬레스건이 될 수 있겠다는 불안함이 점점 강해진다.
[셀프반박-2]
전기본(전력수급기본계획)은 본래 전력의 수요-공급에 관한 계획이므로, 내가 언급한 3가지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런데 얼마나 공급할 지만 계획해놓고 ‘어떻게’ 공급할 지에 관한 계획을 빼놓는 건 “책임 없는 쾌락” 아닌가..?
1. 전기요금 인상
2. 송전망 확충
3. 고준위 방폐장 건설
위 내용이 없는 정책은 모두 Bullshit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719570
==
[셀프반박-1]
물론 원전 관련주처럼 개별기업에 관한 아이디어를 얻는다면 OK.
하지만 지금은 멀쩡한 발전소도 송전선이 없어서 멈춰있으며, 멀쩡한 원전도 방폐장 없어서 문 닫을 위기인 상황..
전력수요의 증가는 명약관화한 일인데, 전력 문제가 대한민국 전체의 아킬레스건이 될 수 있겠다는 불안함이 점점 강해진다.
[셀프반박-2]
전기본(전력수급기본계획)은 본래 전력의 수요-공급에 관한 계획이므로, 내가 언급한 3가지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런데 얼마나 공급할 지만 계획해놓고 ‘어떻게’ 공급할 지에 관한 계획을 빼놓는 건 “책임 없는 쾌락” 아닌가..?
Naver
신재생·원전 함께 늘린다…2038년 '무탄소 전기' 70.2%
11차 전기본 실무안…새 원전 '최대 3기'에 '미니원전' SMR 신설도 2030년 태양광·풍력 설비용량, 2022년 대비 3배 이상으로 확충 2037∼2038년 '퇴역' 석탄발전기 12기, 무탄소전원 교체 2038
👍2
‘석유’에 관해 입문하기 좋은 책
[황금의 샘]
석유에 관해 1도 모르는 분이 읽으셔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
비록 무척이나 두꺼운 책이지만… 그만큼 생생한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심지어 한국어판의 번역과 감수도 퀄리티가 좋음)
https://naver.me/FW6kivSn
[황금의 샘]
석유에 관해 1도 모르는 분이 읽으셔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
비록 무척이나 두꺼운 책이지만… 그만큼 생생한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심지어 한국어판의 번역과 감수도 퀄리티가 좋음)
https://naver.me/FW6kivSn
군만두의 서비스
‘석유’에 관해 입문하기 좋은 책 [황금의 샘] 석유에 관해 1도 모르는 분이 읽으셔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 비록 무척이나 두꺼운 책이지만… 그만큼 생생한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심지어 한국어판의 번역과 감수도 퀄리티가 좋음) https://naver.me/FW6kivSn
👉 포항 이슈에 맞게 책을 요약하자면 “석유 뽑아내는 거 무척 어렵다”
대규모 유전이었던 펜실베이니아도, 페르시아도, 북해도 포기하기 직전까지 가서야 석유가 나왔을 만큼 어려운 일이다.
동해라고 쉽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심해에서 시추를 해야 할테고, 동해의 지질학적 나이가 석유를 품기에는 젊은 편이라는 풍문도 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이런 이유들때문에,
석유 시추는 국가가 나서서 해야 한다.
민간에서 쉽사리 하기 어려운 일이기도 하거니와, 경제성 있는 석유 생산을 시작한다면 관에서 주도하는 게 가장 뒤탈이 적을 거라고 생각한다.
(같은 이유로 지오액트에서도 한국석유공사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보시는듯)
물론 보란듯이 실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국민에게 25만원을 주는 사업(13조원)보다는, 동해에 석유 시추 5번 해보는 사업(0.5조원)이 훨씬 타당해 보인다.
대규모 유전이었던 펜실베이니아도, 페르시아도, 북해도 포기하기 직전까지 가서야 석유가 나왔을 만큼 어려운 일이다.
동해라고 쉽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심해에서 시추를 해야 할테고, 동해의 지질학적 나이가 석유를 품기에는 젊은 편이라는 풍문도 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이런 이유들때문에,
석유 시추는 국가가 나서서 해야 한다.
민간에서 쉽사리 하기 어려운 일이기도 하거니와, 경제성 있는 석유 생산을 시작한다면 관에서 주도하는 게 가장 뒤탈이 적을 거라고 생각한다.
(같은 이유로 지오액트에서도 한국석유공사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보시는듯)
물론 보란듯이 실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국민에게 25만원을 주는 사업(13조원)보다는, 동해에 석유 시추 5번 해보는 사업(0.5조원)이 훨씬 타당해 보인다.
21.095km 하프 마라톤을 뛰고 왔습니다.
달리기는 한 걸음 한 걸음 정직하게 나아가는 운동이라 매력적인데요.
갑자기 조상님이 나타나셔서 코스 길이가 짧아진다거나, 축지법을 사용해서 단숨에 반환점까지 도달할 수는 없거든요.
각자의 거리를 각자의 페이스로 한 걸음씩 나아갈 뿐이죠.
다른 영역들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루고 싶은 목표를 향해 출발하고,
지름길을 찾기보다는 공식 코스를 꼼꼼히 분석하고,
조금씩 나아가는 ‘과정’ 그 자체를 즐기다보면,
어느샌가 목표했던 지점에 들어가지 않을까요.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223476703477
달리기는 한 걸음 한 걸음 정직하게 나아가는 운동이라 매력적인데요.
갑자기 조상님이 나타나셔서 코스 길이가 짧아진다거나, 축지법을 사용해서 단숨에 반환점까지 도달할 수는 없거든요.
각자의 거리를 각자의 페이스로 한 걸음씩 나아갈 뿐이죠.
다른 영역들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루고 싶은 목표를 향해 출발하고,
지름길을 찾기보다는 공식 코스를 꼼꼼히 분석하고,
조금씩 나아가는 ‘과정’ 그 자체를 즐기다보면,
어느샌가 목표했던 지점에 들어가지 않을까요.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223476703477
👍3
무언가를 열정적으로 하다보면 "귀인"을 만나게 된다.
그 귀인은 대개 평소 아주 잘 아는 사람이 아니다. 자신의 사업이나 삶과 큰 관계가 없어 보이지만 자신을 다른 세계로 연결해준다.
https://m.blog.naver.com/inno_life/223487707755
그 귀인은 대개 평소 아주 잘 아는 사람이 아니다. 자신의 사업이나 삶과 큰 관계가 없어 보이지만 자신을 다른 세계로 연결해준다.
https://m.blog.naver.com/inno_life/223487707755
NAVER
차별화도 없고 인맥도 없는 이의 성공비결: 부제) 덤 흥 정 ----
차별화도 없고 인맥도 없는 이의 성공비결: 부제) 덤 흥 정 ---- 1. 유퀴즈를 보니 흥미로운 분이 나왔다. ...
👍3
“제가 11살부터 시작해서 19살이 될 때까지는 주식시장에서 온갖 걸 다 해보면서 노닥거렸습니다. (차트도 보고 기술적 분석도 하고..)
그 노닥거렸던 첫 8년은 저에게 재정적으론 전혀 도움이 되지 못했지만,
뭔가 이치에 맞는 걸 읽을 때 그걸 받아들일 준비가 되도록 제 마인드를 갖추는 데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https://youtu.be/cOINKq-rzVE?si=1W7264L5FIuF1Et6
그 노닥거렸던 첫 8년은 저에게 재정적으론 전혀 도움이 되지 못했지만,
뭔가 이치에 맞는 걸 읽을 때 그걸 받아들일 준비가 되도록 제 마인드를 갖추는 데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https://youtu.be/cOINKq-rzVE?si=1W7264L5FIuF1Et6
YouTube
“나도 기술적 분석 다 해봤지” #워런버핏
#워런버핏 #기술적분석 #포스트모템
이 영상은 AI 영상 편집기 Vrew로 편집했습니다.
이 영상은 AI 영상 편집기 Vrew로 편집했습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