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최선생네 반지하
해저케이블 공급은 수요에 비해 느리게 증가한다.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하고, 기술 진입 장벽이 높기 때문이다.
https://m.kmib.co.kr/view.asp?arcid=0018492808&code=61141411&cp=nv
https://m.kmib.co.kr/view.asp?arcid=0018492808&code=61141411&cp=nv
국민일보
미국·유럽, 해저케이블 자체 조달 차질 예상…‘전선 메이저’ 몸값 뛴다
미국과 유럽의 해저케이블 자체 조달이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풍력발전 같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의 증가로 해저케이블 수요는 크게 늘어날
“스캐터랩은 자체 개발한 sLLM을 토대로 올해 하반기 다양한 기업과 창작자들이 입맛대로 AI 캐릭터를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 스캐터랩은 한국어 기반의 ’즐거운 AI 대화‘를 만드는 데에 그 누구보다 진심인 팀. 그런 스캐터랩의 플랫폼을 활용하면 (특히 데이팅 분야에서) 엄청난 작품들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플랫폼 론칭하면 나부터 사용하고 싶다.
https://m.mk.co.kr/news/it/10791394
👉 스캐터랩은 한국어 기반의 ’즐거운 AI 대화‘를 만드는 데에 그 누구보다 진심인 팀. 그런 스캐터랩의 플랫폼을 활용하면 (특히 데이팅 분야에서) 엄청난 작품들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플랫폼 론칭하면 나부터 사용하고 싶다.
https://m.mk.co.kr/news/it/10791394
매일경제
작지만 똑똑한 AI … sLLM 시대 온다
비용은 적고 특정 성능 우수해학계서 주목하고 개발 잇달아스캐터랩, AI플랫폼 이어42마루·스켈터랩스도 서비스
Forwarded from 요즘AI
최근 일론 머스크의 AI 스타트업 ‘xAI’의 공식 출범 이후, 그들의 첫 공개적인 행보가 트위터 스페이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xAI의 공동 설립자들과 이야기를 나눈 것인데, 팀의 방향성과 그들의 사명이 잘 나타난 것 같아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유튜브 백색나무님께서 내용을 잘 번역해주셨습니다. 이곳에서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xAI의 궁극적인 목표는 ‘우주의 진정한 본질을 이해하는 것’.
그들은 과학을 추구하며, 단순히 AGI라는 시스템의 구축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해’에 집중함.
2/ 이를 위해 그들이 만들고자 하는 것은 ‘고차원적인 목적’을 가진 선한 AGI.
고차원적인 목적이라 함은, 암흑 물질과 같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우주의 근본적인 의문들을 해결하는 것.
3/ 즉 (리만 가설과 같은) 근본적이고 중요한 문제를 풀 수 있는지가 AGI의 영역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핵심 요소라고 함.
인간이 역사적으로 이런 근본적인 의문들을 상당 부분 해결해왔듯, 컴퓨터도 이를 하나라도 해결할 수 있어야 AGI에 도달했다고 생각하는 것.
4/ AI 안전은, AI가 최대한의 호기심을 갖고 진실을 탐구하도록 해야 이루어질 수 있음.
도덕적으로 프로그래밍 된 AI는 단순히 뒤집기만 하면 악한 AI가 될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호기심과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 역도덕성 문제를 피하는 방법임.
5/ 태양계만 보더라도 인류만큼 흥미롭고 호기심이 드는 존재는 없음.
즉 AI는 인류가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이 훨씬 더 흥미롭다고 여길 것이기 때문에 이를 쫓으면 안전한 AI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
6/ 현재 진행되는 AI의 방식들은 굉장히 크게 빗나가고 있다고 생각함.
일례로 AI는 10MW의 GPU 컴퓨팅으로도 훌륭한 작가의 집필 능력을 따라가지 못함.
7/ 그에 반해 인간은 고작 10W로 두뇌 능력을 활용하기 떄문에, 10^6(약 100만 배)만큼의 전력 소모 차이가 남.
또한 전기화학과 같은 기술적인 질문에 있어서도 도움이 안 되는 무의미한 답변만 줌.
8/ 답은 생각보다 훨씬 간단할 것임.
현재의 AI 개발은 무차별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하는 방식이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있음.
9/ 솔루션을 직접 하드 코딩할 수도 있지만, 컴퓨터가 알아서 해결책을 찾도록 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음.
결국 AI가 스스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평가하는 것이 AGI로 향하는 길이라고 생각함.
10/ AI의 전력 효율성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임.
전력 효율에 신경 쓰지 않으면 더 많은 발전기와 변압기가 필요해지며, 이를 확보하지 못하면 컴퓨팅에 병목이 생길 수 있음.
11/ 결국 어느 시점에는 지불할 비용이 있음에도 AI를 작동할 수 없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에너지 최적화된 추론이 매우 중요해질 것임.
12/ 이러한 에너지 효율적인 측면에서 xAI는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음.
일론 머스크의 또 다른 기업인 테슬라가 GPU 역할을 하는 자체 칩 HW3.0과 자체 슈퍼컴퓨터인 Dojo를 가지고 있기 때문.
13/ xAI는 두 가지 지표를 추적함. 1인당 컴퓨팅의 양과 1인당 에너지의 양.
현재 GPU의 원료인 실리콘이 매우 부족한 상황임. 1년 후에는 변압기가 부족해질 것이며, 2년 후에는 전력 부족으로 이어질 것. 결국 몇 년 후 가장 중요한 지표는 ‘에너지 당 컴퓨팅 양’이 될 것.
14/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 스페이스X 등 Real-World와 관련된 기업을 소유하고 있음.
이는 OpenAI와의 큰 차별점이며, 이들 기업 간의 협업과 테슬라의 현실 세계 AI와 관련된 엄청난 통찰력은 xAI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임.
15/ 이미 xAI 내부에서는 첫 번째 발표(release)를 준비 중이며, 몇 주 안에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할 예정.
저희도 AGI에 대한 답이 생각보다 간단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문제들은 명확하고 간단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 이후, 그 틀에서 문제를 바라볼 경우 쉽게 풀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는 다윈의 진화론과 왓슨-크릭의 DNA 발견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우리는 두뇌가 어떠한 방식으로 사고하는지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갖추지 못했을 뿐, 간단한 프레임워크만 등장한다면 의외로 쉽게 그 구조를 이해하고 AI에 유사한 솔루션을 적용해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지금까지 풀리지 않던 다양한 문제를 AGI가 해결한다면 이러한 기초 원리들을 응용해 더욱 많은 발전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고, 그 속도는 더욱 가팔라질 것입니다.
재밌는 건, 계속해서 AGI의 기준이 올라간다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수학 문제를 풀거나 인간 챔피언에게 체스를 이기면 AGI에 도달한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그것이 바둑, 그리고 이제는 인간이 풀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까지 넘어온 것입니다.
리만 가설과 같은 중요한 문제를 풀게 되면 그때는 인간이 AGI를 인정하게 될까요?
인류를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 이들은 더욱 깊은 본질을 보고 있습니다. 영상을 보고 나서, 개인적으로도 많이 응원하게 되는 것 같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일론 머스크가 xAI의 공동 설립자들과 이야기를 나눈 것인데, 팀의 방향성과 그들의 사명이 잘 나타난 것 같아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유튜브 백색나무님께서 내용을 잘 번역해주셨습니다. 이곳에서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xAI의 궁극적인 목표는 ‘우주의 진정한 본질을 이해하는 것’.
그들은 과학을 추구하며, 단순히 AGI라는 시스템의 구축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해’에 집중함.
2/ 이를 위해 그들이 만들고자 하는 것은 ‘고차원적인 목적’을 가진 선한 AGI.
고차원적인 목적이라 함은, 암흑 물질과 같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우주의 근본적인 의문들을 해결하는 것.
3/ 즉 (리만 가설과 같은) 근본적이고 중요한 문제를 풀 수 있는지가 AGI의 영역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핵심 요소라고 함.
인간이 역사적으로 이런 근본적인 의문들을 상당 부분 해결해왔듯, 컴퓨터도 이를 하나라도 해결할 수 있어야 AGI에 도달했다고 생각하는 것.
4/ AI 안전은, AI가 최대한의 호기심을 갖고 진실을 탐구하도록 해야 이루어질 수 있음.
도덕적으로 프로그래밍 된 AI는 단순히 뒤집기만 하면 악한 AI가 될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호기심과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 역도덕성 문제를 피하는 방법임.
5/ 태양계만 보더라도 인류만큼 흥미롭고 호기심이 드는 존재는 없음.
즉 AI는 인류가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이 훨씬 더 흥미롭다고 여길 것이기 때문에 이를 쫓으면 안전한 AI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
6/ 현재 진행되는 AI의 방식들은 굉장히 크게 빗나가고 있다고 생각함.
일례로 AI는 10MW의 GPU 컴퓨팅으로도 훌륭한 작가의 집필 능력을 따라가지 못함.
7/ 그에 반해 인간은 고작 10W로 두뇌 능력을 활용하기 떄문에, 10^6(약 100만 배)만큼의 전력 소모 차이가 남.
또한 전기화학과 같은 기술적인 질문에 있어서도 도움이 안 되는 무의미한 답변만 줌.
8/ 답은 생각보다 훨씬 간단할 것임.
현재의 AI 개발은 무차별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하는 방식이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있음.
9/ 솔루션을 직접 하드 코딩할 수도 있지만, 컴퓨터가 알아서 해결책을 찾도록 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음.
결국 AI가 스스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평가하는 것이 AGI로 향하는 길이라고 생각함.
10/ AI의 전력 효율성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임.
전력 효율에 신경 쓰지 않으면 더 많은 발전기와 변압기가 필요해지며, 이를 확보하지 못하면 컴퓨팅에 병목이 생길 수 있음.
11/ 결국 어느 시점에는 지불할 비용이 있음에도 AI를 작동할 수 없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에너지 최적화된 추론이 매우 중요해질 것임.
12/ 이러한 에너지 효율적인 측면에서 xAI는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음.
일론 머스크의 또 다른 기업인 테슬라가 GPU 역할을 하는 자체 칩 HW3.0과 자체 슈퍼컴퓨터인 Dojo를 가지고 있기 때문.
13/ xAI는 두 가지 지표를 추적함. 1인당 컴퓨팅의 양과 1인당 에너지의 양.
현재 GPU의 원료인 실리콘이 매우 부족한 상황임. 1년 후에는 변압기가 부족해질 것이며, 2년 후에는 전력 부족으로 이어질 것. 결국 몇 년 후 가장 중요한 지표는 ‘에너지 당 컴퓨팅 양’이 될 것.
14/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 스페이스X 등 Real-World와 관련된 기업을 소유하고 있음.
이는 OpenAI와의 큰 차별점이며, 이들 기업 간의 협업과 테슬라의 현실 세계 AI와 관련된 엄청난 통찰력은 xAI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임.
15/ 이미 xAI 내부에서는 첫 번째 발표(release)를 준비 중이며, 몇 주 안에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할 예정.
저희도 AGI에 대한 답이 생각보다 간단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문제들은 명확하고 간단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 이후, 그 틀에서 문제를 바라볼 경우 쉽게 풀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는 다윈의 진화론과 왓슨-크릭의 DNA 발견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우리는 두뇌가 어떠한 방식으로 사고하는지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갖추지 못했을 뿐, 간단한 프레임워크만 등장한다면 의외로 쉽게 그 구조를 이해하고 AI에 유사한 솔루션을 적용해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지금까지 풀리지 않던 다양한 문제를 AGI가 해결한다면 이러한 기초 원리들을 응용해 더욱 많은 발전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고, 그 속도는 더욱 가팔라질 것입니다.
재밌는 건, 계속해서 AGI의 기준이 올라간다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수학 문제를 풀거나 인간 챔피언에게 체스를 이기면 AGI에 도달한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그것이 바둑, 그리고 이제는 인간이 풀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까지 넘어온 것입니다.
리만 가설과 같은 중요한 문제를 풀게 되면 그때는 인간이 AGI를 인정하게 될까요?
인류를 풍요롭게 하기 위해서, 이들은 더욱 깊은 본질을 보고 있습니다. 영상을 보고 나서, 개인적으로도 많이 응원하게 되는 것 같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YouTube
수학으로 돌파구를 찾는 xAI
그동안 공개활동이 없었던 xAI 공동 설립자들의 소개가 트위터 스페이스로 진행되었습니다. 딥마인드에서 AlphaStar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Igor Babuschkin과 그와 함께 딥마인드 강화학습 부문에서 6년 간 일한 엔지니어 Manuel kross, 우리가 이해하는 수학을 컴퓨터 코드로 변환하는 논문과 Minerva라는 모델로 실제 수학문제를 풀어낸 논문을 발표한 Tony Wu, 그리고 수학자 출신이자 배치 정규화 논문을 쓴 Christian szegedy…
👍1
전국의 유흥가(=비싼 땅)에 가보면 항상 타로, 사주, 점집이 있다.
알짜배기 땅에서 지금까지 살아남은 건, 고객의 돈을 엄청나게 쓸어모은다는 건데, 이 영역을 AI로 대체할 수 있을까?
한국에서는 이미 ‘신점’과 ’헬로우봇‘이라는 어플이 플레이를 잘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AI라는 데에 반감을 느끼기는 커녕, 오히려 무슨 기술이길래 이렇게 용한지 궁금해하더라.
내가 더 플레이 해볼 영역이 있을까? 혹은 10배 싸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알짜배기 땅에서 지금까지 살아남은 건, 고객의 돈을 엄청나게 쓸어모은다는 건데, 이 영역을 AI로 대체할 수 있을까?
한국에서는 이미 ‘신점’과 ’헬로우봇‘이라는 어플이 플레이를 잘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AI라는 데에 반감을 느끼기는 커녕, 오히려 무슨 기술이길래 이렇게 용한지 궁금해하더라.
내가 더 플레이 해볼 영역이 있을까? 혹은 10배 싸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1
Q. 고객 분들이 무엇을 좋아하시는지 파악하는 비결은 무엇인가요?
A. “고객 분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관찰하는 것 밖에 답이 없어요. … 대표인 제가 최전방에서 고객과 직접 소통하고 제품에 대해 피드백하며 제품을 개발하니,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밖에 없고요.”
👉 #망넛이네 브랜드는 고객이 뭘 원하는지 진심으로 잘 알고 있다고 느껴왔는데, 이런 노력이 있으셨구나.
고객접점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느끼게 해주는 글이라 아카이브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SHXBOuzxDPFZdUVAEkho3suI8wYFIVU=
A. “고객 분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관찰하는 것 밖에 답이 없어요. … 대표인 제가 최전방에서 고객과 직접 소통하고 제품에 대해 피드백하며 제품을 개발하니,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밖에 없고요.”
👉 #망넛이네 브랜드는 고객이 뭘 원하는지 진심으로 잘 알고 있다고 느껴왔는데, 이런 노력이 있으셨구나.
고객접점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느끼게 해주는 글이라 아카이브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SHXBOuzxDPFZdUVAEkho3suI8wYFIVU=
Stibee
연 매출 40억 '망넛이네' 대표가 직접 CS를 하는 이유
하루 평균 30건의 CS를 대표가 직접 수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RWA 시장이 열리고 있다,
B2C 서비스가 아니라 몰랐을 뿐!(Feat. 메이커다오는 이미 절반의 수익을 RWA에서 벌고 있음)
- 많은 대형 기관들이 RWA(Real-world asset)*의 토큰화를 추진하거나 관련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
(*) RWA란?
: 현실 세계의 오프체인 자산(부동산, 원자재, 미술품 등 유형자산과 주식, 채권, 탄소배출권 등 무형자산)을 블록체인으로 올리는 것. 이를 통해 더 효율적이고, 투명하고, 휴먼에러를 줄일 수 있음
- 디파이 수익률의 하락과 기준 금리 상승으로 토큰화된 국채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며 RWA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현재 6억달러 이상의 미국 국채가 토큰화되어 투자자들에게 연 4.2%의 이자를 지급 중)
- 토큰화된 RWA 규모는 22년 3,100억달러에서 30년 16조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MakerDAO, Maple Finance 등 다수의 프로토콜들이 RWA를 접목하고 있음
- 아직까지는 B2B를 중심으로 시장이 돌아가고 있지만, 조만간 개인들의 참여 기회도 늘어날 것. 금융 산업이 대표적인 규제 산업이라 개인들이 다른 국가의 상품 투자하기 어려운데 RWA는 온체인 네트워크만 접속되면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음
👉 RWA의 보증을 공공에서 해준다면 어떨까? 온-오프체인간의 연계에서는 결국 신뢰가 문제인데, 이를 공공에서 해결해줄 수 있다면 유동성이 많이 들어오지 않을까 🤔
원문 출처
https://twitter.com/crypto_teo_inf/status/1684745672485208064?s=46&t=7CtGXi9Yd7G87Q9WTRNyjw
B2C 서비스가 아니라 몰랐을 뿐!(Feat. 메이커다오는 이미 절반의 수익을 RWA에서 벌고 있음)
- 많은 대형 기관들이 RWA(Real-world asset)*의 토큰화를 추진하거나 관련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
(*) RWA란?
: 현실 세계의 오프체인 자산(부동산, 원자재, 미술품 등 유형자산과 주식, 채권, 탄소배출권 등 무형자산)을 블록체인으로 올리는 것. 이를 통해 더 효율적이고, 투명하고, 휴먼에러를 줄일 수 있음
- 디파이 수익률의 하락과 기준 금리 상승으로 토큰화된 국채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며 RWA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현재 6억달러 이상의 미국 국채가 토큰화되어 투자자들에게 연 4.2%의 이자를 지급 중)
- 토큰화된 RWA 규모는 22년 3,100억달러에서 30년 16조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MakerDAO, Maple Finance 등 다수의 프로토콜들이 RWA를 접목하고 있음
- 아직까지는 B2B를 중심으로 시장이 돌아가고 있지만, 조만간 개인들의 참여 기회도 늘어날 것. 금융 산업이 대표적인 규제 산업이라 개인들이 다른 국가의 상품 투자하기 어려운데 RWA는 온체인 네트워크만 접속되면 편리하게 투자할 수 있음
👉 RWA의 보증을 공공에서 해준다면 어떨까? 온-오프체인간의 연계에서는 결국 신뢰가 문제인데, 이를 공공에서 해결해줄 수 있다면 유동성이 많이 들어오지 않을까 🤔
원문 출처
https://twitter.com/crypto_teo_inf/status/1684745672485208064?s=46&t=7CtGXi9Yd7G87Q9WTRNyjw
X (formerly Twitter)
Crypto TEO (@CRYPTO_TEO_INF) on X
[RWA 시장이 열리고 있다, B2C 서비스가 아니라 몰랐을 뿐!(Feat. 메이커다오는 이미 절반의 수익을 RWA에서 벌고 있음)]
- 많은 대형 기관들이 RWA(Real-world asset)*의 토큰화를 추진하거나 관련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 디파이 수익률의 하락과 기준 금리 상승으로 토큰화된 국채에 대한 투자가
- 많은 대형 기관들이 RWA(Real-world asset)*의 토큰화를 추진하거나 관련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 디파이 수익률의 하락과 기준 금리 상승으로 토큰화된 국채에 대한 투자가
최근에 나심 탈레브, 알렉산더 엘더 같은 트레이더의 책을 연달아 읽었다.
이들이 인생에 주는 교훈은 상당히 명확했는데,
1. 계속 시도한다.
2. 손실에 노출되는 정도를 줄인다.
3. 행운이 찾아오는 확률을 높인다.
인간 세상을 아무리 예측하려고 애쓴다 한들, 우리는 10분 뒤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도 알 수 없는 존재들이다.
반대로 말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 수 없기에 엄청난 성공 역시 나에게 찾아올 수 있는 것이다.
성공이 찾아오기 전까지 해야할 일은 1) 계속 도전하고, 2) 도전에서 오는 Downside를 줄이고, 3) Upside를 마주할 확률을 하루하루 꾸준히 높여가는 게 전부였다.
이러한 프레임으로 여러 가지 일을 살펴보면 내가 할 일이 명확해진다.
트레이딩이라면 손실제한주문 잘 걸어야 하고, 창업가라면 실패에서 찾아오는 정신적 충격을 줄여야 하고, 좋은 사람을 만나고 싶으면 일단 많은 사람을 만나야 한다.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223157198734
이들이 인생에 주는 교훈은 상당히 명확했는데,
1. 계속 시도한다.
2. 손실에 노출되는 정도를 줄인다.
3. 행운이 찾아오는 확률을 높인다.
인간 세상을 아무리 예측하려고 애쓴다 한들, 우리는 10분 뒤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도 알 수 없는 존재들이다.
반대로 말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 수 없기에 엄청난 성공 역시 나에게 찾아올 수 있는 것이다.
성공이 찾아오기 전까지 해야할 일은 1) 계속 도전하고, 2) 도전에서 오는 Downside를 줄이고, 3) Upside를 마주할 확률을 하루하루 꾸준히 높여가는 게 전부였다.
이러한 프레임으로 여러 가지 일을 살펴보면 내가 할 일이 명확해진다.
트레이딩이라면 손실제한주문 잘 걸어야 하고, 창업가라면 실패에서 찾아오는 정신적 충격을 줄여야 하고, 좋은 사람을 만나고 싶으면 일단 많은 사람을 만나야 한다.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223157198734
NAVER
안티프래질 | 4의 찬미
👍10❤1
주말에 재미있게 알아본 프로젝트
1. 아프리카 오지에 수력 발전소를 건설한다
2. 비트코인 채굴로 투자금을 회수한다
3. 오지 마을에는 전력을 공급하고, 회사는 돈을 벌고, 비트코인 해시파워는 분산화된다
“Bitcoin and mining is really the tool. We're not doing bitcoin for bitcoin.”
https://www.cnbc.com/amp/2022/12/06/jack-dorseys-block-backs-bitcoin-mining-firm-bringing-affordable-electricity-to-africa.html
1. 아프리카 오지에 수력 발전소를 건설한다
2. 비트코인 채굴로 투자금을 회수한다
3. 오지 마을에는 전력을 공급하고, 회사는 돈을 벌고, 비트코인 해시파워는 분산화된다
“Bitcoin and mining is really the tool. We're not doing bitcoin for bitcoin.”
https://www.cnbc.com/amp/2022/12/06/jack-dorseys-block-backs-bitcoin-mining-firm-bringing-affordable-electricity-to-africa.html
CNBC
Jack Dorsey’s Block backs bitcoin mining company that wants to bring 25-cent electricity to rural Africa
Jack Dorsey's digital payments firm Block invests in an East African bitcoin miner that uses wasted energy.
윤도현님 인스타
==
이틀전 약 3년간의 투병? 을 마치고 드디어 암세포 완치 판정을 받았습니다.
태어나 전 죽음이란것을 첨으로 진지하게 고민해보기도했구요 정말 수많은 생각에 잠겨 혼자 울기도 해보고 방사선치료때문에 몸이 힘들어도 억지로 웃어보고 스케쥴을 견뎌보기도 하면서 참 많은 교훈을 얻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제가 겪어보니 암세포보다 사실 부정적인 마음이 더 위험한것이라걸 뼈저리게 느꼈기에 긍정의 마음으로 부정적인 모든것들로부터 이겨내시길 바라는 맘으로 알립니다
저도 3년이 정말 길고 지루하게 느껴졌습니다.
도대체 언제 없어지는건지도 모르겠고 없어지기는 하는건지 그것도 불투명하고
여러분은 공포와 고립을 택하지마시고
그저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치료하고 건강을 찾기위해 노력하면 그만입니다.
지지않겠다는 약속
부탁드립니다!
https://www.instagram.com/p/Cvu57AOJbAX/?igshid=MzRlODBiNWFlZA==
==
이틀전 약 3년간의 투병? 을 마치고 드디어 암세포 완치 판정을 받았습니다.
태어나 전 죽음이란것을 첨으로 진지하게 고민해보기도했구요 정말 수많은 생각에 잠겨 혼자 울기도 해보고 방사선치료때문에 몸이 힘들어도 억지로 웃어보고 스케쥴을 견뎌보기도 하면서 참 많은 교훈을 얻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제가 겪어보니 암세포보다 사실 부정적인 마음이 더 위험한것이라걸 뼈저리게 느꼈기에 긍정의 마음으로 부정적인 모든것들로부터 이겨내시길 바라는 맘으로 알립니다
저도 3년이 정말 길고 지루하게 느껴졌습니다.
도대체 언제 없어지는건지도 모르겠고 없어지기는 하는건지 그것도 불투명하고
여러분은 공포와 고립을 택하지마시고
그저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치료하고 건강을 찾기위해 노력하면 그만입니다.
지지않겠다는 약속
부탁드립니다!
https://www.instagram.com/p/Cvu57AOJbAX/?igshid=MzRlODBiNWFlZA==
❤1
군만두의 서비스
RWA 시장이 열리고 있다, B2C 서비스가 아니라 몰랐을 뿐!(Feat. 메이커다오는 이미 절반의 수익을 RWA에서 벌고 있음) - 많은 대형 기관들이 RWA(Real-world asset)*의 토큰화를 추진하거나 관련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 (*) RWA란? : 현실 세계의 오프체인 자산(부동산, 원자재, 미술품 등 유형자산과 주식, 채권, 탄소배출권 등 무형자산)을 블록체인으로 올리는 것. 이를 통해 더 효율적이고, 투명하고, 휴먼에러를 줄일…
부산 거래소와 RWA는 조용히 진행 중..
“부산 거래소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원자재, 귀금속, 지적재산권(IP), 탄소배출권, 토큰증권(STO) 등 모든 가치있는 자산을 토큰화한 후 작은 단위로 24시간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3092101291466776
“부산 거래소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원자재, 귀금속, 지적재산권(IP), 탄소배출권, 토큰증권(STO) 등 모든 가치있는 자산을 토큰화한 후 작은 단위로 24시간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3092101291466776
부산일보
부산시 “거래소에서 산 토큰을 실생활 소비에 사용”
부산시와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추진위원회는 21일 오전 10시 40분 부산시청에서 이상의 내용을 골자로 한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추진...
Forwarded from COINNESS News Feed (코인니스)
[메이커다오, $1.91억 규모 실물자산 추가 매입]
메이커번 데이터에 따르면 메이커다오(MKR) 커뮤니티가 최근 이틀에 걸쳐 1.91억 달러 규모의 실물자산(RWA)을 추가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매입은 주로 미국 단기 국채를 매입하는 투자자문사 모네알리스 클리스데일(Monetalis Clysdale)과 블록타워 안드로메다(BlockTower Andromeda)가 대행한 것으로, 연간 이자율은 각각 4%와 4.5%다. 이에 따라 메이커다오가 보유한 총 RWA 규모는 29억 달러를 넘어섰다.
https://coinnesslive.page.link/R4AxsBEqKqtidzVg6
코인니스에 활동 보상 '펄'이 출시 됐습니다. 투자 정보도 얻고 보상도 얻어보세요.
앱 업데이트 및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메이커번 데이터에 따르면 메이커다오(MKR) 커뮤니티가 최근 이틀에 걸쳐 1.91억 달러 규모의 실물자산(RWA)을 추가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매입은 주로 미국 단기 국채를 매입하는 투자자문사 모네알리스 클리스데일(Monetalis Clysdale)과 블록타워 안드로메다(BlockTower Andromeda)가 대행한 것으로, 연간 이자율은 각각 4%와 4.5%다. 이에 따라 메이커다오가 보유한 총 RWA 규모는 29억 달러를 넘어섰다.
https://coinnesslive.page.link/R4AxsBEqKqtidzVg6
코인니스에 활동 보상 '펄'이 출시 됐습니다. 투자 정보도 얻고 보상도 얻어보세요.
앱 업데이트 및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coinnesslive.page.link
메이커다오, $1.91억 규모 실물자산 추가 매입
메이커번 데이터에 따르면 메이커다오(MKR) 커뮤니티가 최근 이틀에 걸쳐 1.91억 달러 규모의 실물자산(RWA)을 추가 ...
겨울 동안 붕어빵 장사를 했습니다. 힙스터들의 성지 홍대에서요.
가게를 임차하고, 브랜딩을 입히고, 나름의 성장과 부침을 겪으면서 배우고 느낀 점을 블로그에 정리했습니다.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223334094007
웹툰 보신다는 느낌으로 종종 들러주셔도 감사할 것 같습니다 ㅎㅎ (내용을 계속 추가하는 중입니다!)
장사를 핑계로 글쓰기가 뜸했었는데요. 텔레그램에서도 다시 자주 뵙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십시오 :)
가게를 임차하고, 브랜딩을 입히고, 나름의 성장과 부침을 겪으면서 배우고 느낀 점을 블로그에 정리했습니다.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223334094007
웹툰 보신다는 느낌으로 종종 들러주셔도 감사할 것 같습니다 ㅎㅎ (내용을 계속 추가하는 중입니다!)
장사를 핑계로 글쓰기가 뜸했었는데요. 텔레그램에서도 다시 자주 뵙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십시오 :)
NAVER
붕어빵 마을 | 0.Intro
👍7
군만두의 서비스
겨울 동안 붕어빵 장사를 했습니다. 힙스터들의 성지 홍대에서요. 가게를 임차하고, 브랜딩을 입히고, 나름의 성장과 부침을 겪으면서 배우고 느낀 점을 블로그에 정리했습니다.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223334094007 웹툰 보신다는 느낌으로 종종 들러주셔도 감사할 것 같습니다 ㅎㅎ (내용을 계속 추가하는 중입니다!) 장사를 핑계로 글쓰기가 뜸했었는데요. 텔레그램에서도 다시 자주 뵙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십시오…
장사 경험을 딱 하나의 글로 정리해야 한다면, 아래의 폴 그레이엄 에세이로 대신하고 싶다
The most dangerous way to lose time is not to spend it having fun, but to spend it doing fake work.
https://paulgraham.com/selfindulgence.html
The most dangerous way to lose time is not to spend it having fun, but to spend it doing fake work.
https://paulgraham.com/selfindulgence.html
👍5
대한민국 사람들을 경부고속도로에 일렬로 세워놓는다면,
만남의 광장부터 수원신갈IC까지는 외국인만 서있을 것이다.
다시 수원신갈IC 부터는 한국인을 나이 순으로 세워놓는다면 100세 넘는 어르신부터 80대, 70대를 차례차례 넘어..
경상북도 구미시와 칠곡군을 가르는 낙동강 줄기까지 가서야, 39살의 청년을 만날 수 있다.
혹시라도 이 여정에서 10대 청소년을 만나고 싶다면, 대구를 넘고, 경주를 넘어, 울산의 활천IC에 가서야 교복 입은 청소년을 만날 수 있다.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223419430920
만남의 광장부터 수원신갈IC까지는 외국인만 서있을 것이다.
다시 수원신갈IC 부터는 한국인을 나이 순으로 세워놓는다면 100세 넘는 어르신부터 80대, 70대를 차례차례 넘어..
경상북도 구미시와 칠곡군을 가르는 낙동강 줄기까지 가서야, 39살의 청년을 만날 수 있다.
혹시라도 이 여정에서 10대 청소년을 만나고 싶다면, 대구를 넘고, 경주를 넘어, 울산의 활천IC에 가서야 교복 입은 청소년을 만날 수 있다.
https://blog.naver.com/man2_service/223419430920
NAVER
세상이 만일 24시간이라면
'세계'라는 거인과 1시간 동안 밥을 먹는다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