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warded from 졸업준비위원회🎓
🏛 12월 FOMC 결과 5.25% - 5.5% 동결
🗝 2024년 목표금리 4.6%: 점도표 상 지난번 9월 목표금리 (중앙값) 5.1%대비 4.6%. 즉, 내년 금리 인하 0.25%씩 3번 인하하여 0.75%인하할 것으로 정리
🗝 9월 FOMC에서 2024년 5%이상 지지하는 위원들이 10명 이상에서 12월 3명으로 감소
🗝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남겨둘 것임
#FOMC
🗝 2024년 목표금리 4.6%: 점도표 상 지난번 9월 목표금리 (중앙값) 5.1%대비 4.6%. 즉, 내년 금리 인하 0.25%씩 3번 인하하여 0.75%인하할 것으로 정리
🗝 9월 FOMC에서 2024년 5%이상 지지하는 위원들이 10명 이상에서 12월 3명으로 감소
🗝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남겨둘 것임
#FOMC
❤2👍2
- 이번 해 1회로 금리 인하 시사 (5-5.25%)되었으며 내년 금리 인하 본격적 시사 (2025년 4-4.25%).
- 다만, 2명 이상의 위원이 한 단계 더 내려오면 2회 금리인하 가능
- 5월 CPI 발표 이후 연준 위원들 전망치 수정 예정이었으나 변화 없었음
- 인플레이션에 대해 점차 보수적으로 보는 중이며, 고착화 되면 인하 지연이 더 될 수도 있을 듯
- 고용시장은 강하지만 균형 찾아가는 중. 고용지표가 급격히 악화되면 대응 정책 바로 준비할 것.
- 그래도 금리 인하에 대해 서서히 구체적으로 논의 중. 그러나 아직도 확신이 있는 것은 아님
- 신용카드 디폴트 및 연체 우려할만한 수준 아님
- 인플레이션으로 소비가 위축되고 있음을 알고 있음
#FOMC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This media is not supported in your browser
VIEW IN TELEGRAM
💡 💡 FOMC 성명서 및 파월 의장 요약: [영상 1] 금리 인하 9월 가능성 언급 부분
#FOMC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
2024년 9월 FOMC 필자의 요약
- 0.50% 금리 인하: 5.25% - 5.5% » 4.75% - 5.00%
- FOMC 19명 위원 중 17명 올해 3회 이상 금리 인하 필요 의견
-2024년 말 중앙값 예상치: 4.38% (총 1% 인하)
남은 11월 8일 및 12월 19일 2번의 회의 동안 0.25% 씩 2번 더 인하하여 0.50% 인하 가능성 시사
-2025년 말 중앙값 예상치: 3.38% (총 1% 인하)
-2026년 말 중앙값 예상치: 2.88% (총 0.5% 인하)
-실질 GDP 성장률: 2.1% » 2.0%
-실업률: 4.0% » 4.4%
-PCE 인플레이션: 2.6% » 2.3%
1) 50bp 금리 인하 이유: 경기 침체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 아니며, 노동 시장은 견고하면서 PCE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목표치인 2% 대에서 움직인다는 확신이 있기 때문. 즉, 중립적 수준으로 "재조정"하여 고용 시장 강세를 유지하겠다는 의미.
2) 고용 시장: 최대 고용에 가까운 상태이나 일자리 창출이 둔화되어 주의 깊게 지켜봐야. 정책 재조정으로 노동시장 지지할 것. 임금 상승률은 장기적 수준보다 약간 높지만 낮아지고 있음.
3) 대차대조표 축소: 준비금은 현재로써 감소하지 않을 것이며 대차대조표 축소 (주로 RRP 시장에서) 중단은 고려하고 있지 않음. 즉 축소하면서 금리 인하를 할 수 있음 시사.
4) 주택시장: 느리지만 임대료는 인플레이션 따라 하락할 것. 사람들은 기존의 낮은 금리의 주담대 때문에 집을 팔기 원하지 않음 (비싼 금리로 재대출 받아야 하니).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연준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나 정책 재조정으로 정상화될 것.
5) 그 밖에
-초저금리 시대로 돌아가지 않을 것
-투자자들은 이번 금리 인하를 "새로운 속도"로 정의하지 말 것
-중립 금리는 과거보다 높아질 것
-경기 침체 가능성 거의 없음
- 고용 지표 조금 더 일찍 받았다면 7월 금리 인하 했을 수 있다 :"실수"라는 뉘앙스의 멘트로 인해 주식 시장 요동
#FOMC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0❤5🥰2
2025년 5월 FOMC 요약
1️⃣ 기준금리: 4.25%~4.5% 동결
2️⃣ 이전 대비 5월 FOMC 새로 추가된 중요 문구: “높은 실업률과 높은 인플레이션의 위험이 증가했다" (스태그플레이션 경고)
3️⃣ 파월 기자회견 요약
0) 미국의 무역 협상이 경제 전망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도 있다: 한편 4월 2일 관세 발표는 나의 예측이나 연준의 자체 전망보다 훨씬 큰 규모였다
1) 현재 수준 관세가 유지된다면, 연준은 목표 달성까지 최소 1년 이상 지연될 수 있어
2) 선제적 금리 인하 가능성 일축: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목표치 상회 및 향후 상승 가능성 때문
3) 고용과 인플레이션 이중 책무 중 어느 쪽을 우선시할지 판단하기엔 이르다: 관세 정책이 어떤 형태로 정착될지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현재 정책금리는 적절한 수준. 현재 통화정책이 “moderately restrictive” 상태.
4) 현재 발표된 관세 수준이 경제 성장 둔화와 장기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
5) 정책 대응 여력 충분해
6) 연준은 지금 기다리며 지켜볼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7) 재정정책은 의회의 몫… 조언은 필요 없을 것: 미국을 지속 가능한 재정 경로로 되돌려놓는 일은 전적으로 의회의 책임 (한편 현재 부채 수준 지속 불가능한 경로에 놓여 있다)
8) 트럼프 대통령이나 다른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청받은 적도 한 적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 금리 인하 요구도 영향 전혀 없어.
9) 공급망 관련 문제에 연준 정책 도구 존재하지 않아
4️⃣ 주요 IB 코멘트
1) JP Morgan: 연준 성명은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경고 사격’
2) Goldman Sachs: 다음 회의에서도 동결 가능성 높아
#FOMC
0) 미국의 무역 협상이 경제 전망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도 있다: 한편 4월 2일 관세 발표는 나의 예측이나 연준의 자체 전망보다 훨씬 큰 규모였다
1) 현재 수준 관세가 유지된다면, 연준은 목표 달성까지 최소 1년 이상 지연될 수 있어
2) 선제적 금리 인하 가능성 일축: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목표치 상회 및 향후 상승 가능성 때문
3) 고용과 인플레이션 이중 책무 중 어느 쪽을 우선시할지 판단하기엔 이르다: 관세 정책이 어떤 형태로 정착될지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현재 정책금리는 적절한 수준. 현재 통화정책이 “moderately restrictive” 상태.
4) 현재 발표된 관세 수준이 경제 성장 둔화와 장기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
5) 정책 대응 여력 충분해
6) 연준은 지금 기다리며 지켜볼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7) 재정정책은 의회의 몫… 조언은 필요 없을 것: 미국을 지속 가능한 재정 경로로 되돌려놓는 일은 전적으로 의회의 책임 (한편 현재 부채 수준 지속 불가능한 경로에 놓여 있다)
8) 트럼프 대통령이나 다른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청받은 적도 한 적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 금리 인하 요구도 영향 전혀 없어.
9) 공급망 관련 문제에 연준 정책 도구 존재하지 않아
1) JP Morgan: 연준 성명은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경고 사격’
2) Goldman Sachs: 다음 회의에서도 동결 가능성 높아
#FOMC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