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rrative Economics
3.33K subscribers
3.17K photos
141 videos
17 files
822 links
Explain how narratives can influence the global economy, sharing personal outlook
※ 해당 채널 내 모든 자료/인사이트는 특정 회사/개인과 관계 없는 저의 개인적 정보/의견에 해당합니다. 또한 채널 내 종목 관련 내용은 매수/매도 투자권유가 아니며 만약 거래하여 손실시 거래당사자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Download Telegram
JP Morgan: 지난주 헤지펀드의 숏 커버링은 역사상 최고 수준 중의 하나

#INDEX
11🔥2
EM 채권 Hedge Fund 포지셔닝: EM 랠리 예상하며 지속 EM 단기채 매입
* EM 리스크 프리미엄: 미국 국채 대비 신흥국 달러 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EM 채권을 운용하는 헤지펀드들이 EM의 중단기 랠리를 예상하고 EM 채권 지속적인 매입(단, 트럼프 때문에 단기채 중심)함에 따라 EM 리스크 프리미엄이 지속적으로 하락. 목표는 두 자리 수익률.

- 역사적으로 EM 리스크 프리미엄(하얀색)은 EM 증시(보라색)와 강한 음(-)의 상관관계로, EM 증시 랠리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판단

#INDEX
👍9🔥31
Goldman Sachs: 데이터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은 전반적으로 S&P 500 및 나스닥 100 기업들보다는 암호화폐, 인공지능 및 양자 컴퓨팅 분야 소형주에 더 집중하고 있는 것이 명확

밈도 소형주 위주

#INDEX
👍9🔥3🫡31
Goldman Sachs: 연준의 독립성 위협 자체가 기대 인플레이션에 끼치는 영향

- [그림 1] 최근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기존에 동행하던 2년 금리와의 관계에서 벗어나 상승하는 모습.

- 다시 말해, 연준 독립성에 대한 위험은 오히려 시장 참여자들의 인플레이션 우려를 유발해 연준 위원들의 금리 인하를 더 고민하게 만드는 촉매제 (시그널의 중요성 측면에서)

#INDEX
👍92🔥2
마이크로소프트 및 메타 실적(장후 주가 각각 +7% 및 +9%)

📱 마이크로소프트
- 주당순이익: $3.65 (시장 예상치: $3.61 상회)
- 매출: 764억 4천만 달러 (시장 예상치: 738억 9천만 달러 상회)
- Azure 연간 매출: 올해 750억 달러 돌파, 전년 대비 34% 증가
- Azure 클라우드를 포함한 Intelligent Cloud 부문 매출은 298억 8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26% 증가
- 생산성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부문 (Office, LinkedIn 포함): 매출 331억 1천만 달러, 전년 대비 16% 증가 (컨센서스: 321억 2천만 달러)

📱 메타
- 주당순이익: $7.14 (시장 예상치: $5.89 상회)
- 매출: 475억 2천만 달러 (시장 예상치: 448억 3천만 달러 상회)
- Reality Labs 부문(가상현실/증강현실 기술 개발)은 2분기 동안 4억 5,3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지만 운영 손실은 45억 3천만 달러. 다만, 이는 예상했던 손실보다는 작아
- 향후 가이던스
1) 3분기 매출 전망: 475억 ~ 505억 달러 (시장 예상치: 462억 달러보다 높음)
2) 2025 Total expenses 전망: 1,140억 ~ 1,180억 달러 (기존 전망: 1,130억 ~ 1,180억 달러)
3) 2025년 자본지출 전망: 660억 ~ 720억 달러 (기존 전망: 640억 ~ 720억 달러)
4) 채용 관련 보상 비용이 "성장 요인 중 두 번째로 큰 항목"이 될 것.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2026년 연간 비용 증가율은 2025년보다 더 높을 것"


#INDEX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8👍5
Nomura: 시스템 트레이딩 전략은 역사상 최대 투 자비중으로 글로벌 증시 상승 배팅 포지션 예상

- 글로벌 증시 상승 추세에 따른 CTA의 급격한 포지션 반전 및 추가 매수

#INDEX
8👍2🔥2
Bank of America: 위험 선호도 레벨 측정 지표

S&P 500 및 나스닥 100 관련 레버리지/인버스 ETF 모두 1년래 최고치 수준에서 급격히 하락

#INDEX
🔥73👍2
현재 美 증시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단기 지표 (실적 끝나갈 시점 3분기부터 4분기): "유동성"

1. [그림 1] 설명
- 파란색: 美 재무부 TGA - 위 방향은 시중 유동성 흡수(<> 반대로 아래 방향은 시중 유동성 공급)
- 빨간색: S&P 500 움직임

2. 결론은..
- (실적이 끝난 후) 3분기부터 단기적으로 증시의 움직임은 TGA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아: 즉, TGA가 유동성 사이클의 신호가 될 것.

- 이미 TGA 잔고를 크게 늘릴 계획에 있으며 시장 유동성 흡수는 역사적으로 보여온 관계*처럼 단기 S&P 500의 조정으로 작용할 가능성 (그러나 특정 트리거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촉발될 경우 일부 상쇄 가능)

* 역사적으로 특정 시기에는 시차를 두고 서로 반대 움직임을 보여


#INDEX
👍138
Goldman Sachs: 모멘텀 투자자들이 매수에서 매도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번 주에만 약 200억 달러 규모의 매도 압력이 글로벌 전반에서 발생

-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유입된 모멘텀 자금이 그대로 빠져나갈 수 있는 가능성

- 시장이 소폭 하락할 경우(노란색) 약 20억 달러, 시장이 큰 폭 하락할 경우(빨간선)약 $40bn 이상 자금 유출 예상

* [그림 1]은 S&P 500의 1개월 조건부 자금 흐름 예상치


#INDEX
🔥11👍6😭43
Citadel's Rubner: S&P 500에 대해 현재 시스템 트레이딩(CTA)의 ‘매도로의 전환’ 레벨은 6166

- 이는 현재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지난 일주일 동안 변동성이 소폭 더 높은 수준으로 조정되면서 그 격차는 점차 좁혀지고 있음

- 참고로, NASDAQ은 최근 CTA가 큰 폭으로 추세 매수 진행해왔음

#INDEX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