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 Morgan: 딥리서치 - 양자 컴퓨팅 주요 기업들 접근 방식 (장기적으로 지대한 관심의 투자자들 대상)
1️⃣ 투자자들이 관심 가져야 할 이유
1)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IBM 및 시스코 등 대형 기술 기업들이 이 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
2) 고전 가속 컴퓨팅에 양자 컴퓨팅을 결합해 분자 모델링이나 사이버보안과 같은 특정 활용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
3) 사이버보안과 같은 분야를 뒤흔들 잠재력이 있어, 주요 보안 기업들이 기술 로드맵을 미래에도 유효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투자하게 될 것
4) 양자 네트워크의 진화, 즉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통신망의 구축
2️⃣ 다양한 기업별 접근 방식
Microsoft: 위상 양자 컴퓨팅 (양자 오류 수정)
Google: Error-Corrected Supremacy
IBM: 모듈형 로드맵
Cisco: 양자 네트워킹 개척자
HP Enterprise: 하이브리드 HPC 아키텍처 내 양자 컴퓨팅 통합
IonQ: 트랩 이온 시스템
D-Wave Quantum: 양자 어닐링
Quantinuum: 고충실도 트랩 이온 시스템
#REPORT
1)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IBM 및 시스코 등 대형 기술 기업들이 이 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
2) 고전 가속 컴퓨팅에 양자 컴퓨팅을 결합해 분자 모델링이나 사이버보안과 같은 특정 활용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
3) 사이버보안과 같은 분야를 뒤흔들 잠재력이 있어, 주요 보안 기업들이 기술 로드맵을 미래에도 유효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투자하게 될 것
4) 양자 네트워크의 진화, 즉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통신망의 구축
Microsoft: 위상 양자 컴퓨팅 (양자 오류 수정)
위상 큐비트 사용을 개척하고 있으며 위상 초전도체에서 발생하는 마요라나 제로 모드를 활용.이들이 개발한 Majorana 1 칩은 H 패턴으로 배열된 8개의 위상 큐비트를 특징으로 하며, 디지털 전압 제어를 통해 아날로그 튜닝이 필요하지 않도록 설계. 이 방식은 큐비트 상태를 통해 내재적 오류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Microsoft는 이를 통해 손바닥 크기의 칩에 100만 개의 큐비트를 집적하고 이를 Azure HPC 인프라와 직접 통합하는 것을 목표. 그러나, 위상 큐비트는 아직 실험적인 성격이 강하며, 새로운 물질 상태의 입증과 실용적인 양자 우위 실현이라는 중대한 과제
Google: Error-Corrected Supremacy
transmon 초전도 큐비트 기술을 바탕으로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 이 기술은 두 개의 대표적인 프로세서에서 구현:
Sycamore (53 큐비트)는 분자 화학 시뮬레이션과 위상 얽힘과 같은 획기적 성과를 이뤄냄. 이후 개발된 Willow(105 큐비트) 칩은 코히런스 시간을 Sycamore의 20μs에서 100μs로 대폭 향상시켰으며, 지수적 오류 감소를 달성. Willow는 랜덤 회로 샘플링(RCS) 작업을 5분 내 해결했으며, 이는 클래식 슈퍼컴퓨터가 약 10셉틸리언(10²⁵)년이 걸리는 작업. 하지만 Willow는 논리 오류율이 0.14%/사이클로 비판을 받고 있으며, Google의 로드맵은 1백만 회 연산이 가능한 장 기간 논리 큐비트의 개발을 목표
IBM: 모듈형 로드맵
초전도 큐비트 기술을 중심으로 한 로드맵을 통해 양자 컴퓨팅에서 상당한 진전. 특히 Heron(133 큐비트), Condor(1,121 큐비트) 프로세서를 개발하며 Eagle(127 큐비트)과 같은 이전 혁신에 기반. 2023년에 공개된 Heron 프로세서는 튜닝 가능한 커플러를 특징으로 하며, 크로스토크를 줄여 Eagle 대비 오류율을 3~5배 개선하고 최대 5,000개의 게이트로 회로를 실행할 수 있음. 모듈형 Quantum System Two에 통합된 Heron은 여러 크라이오스탯이 장거리 커플러를 통해 연결되는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를 지원하며, 이론적으로는 세 개의 시스템에서 최대 16,632 큐비트까지 확장 가능. 2029년까지 200 큐비트로 1억 개의 게이트를 수행 가능한 "Starling" 시스템을 통해 오류 허용 양자 컴퓨팅을 달성하고, 2033년까지는 2,000 큐비트로 10억 개의 게이트를 목표.
Cisco: 양자 네트워킹 개척자
양자 컴퓨팅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산된 양자 프로세서를 연결하는 인프라 개발에 집중하며 양자 네트워킹 분야를 개척.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는 UC Santa Barbara와 협력하여 개발한 Quantum Network Entanglement Chip. 이 광통합회로는 초당 2억 쌍의 고충실도 얽힘 광자쌍을 생성하며, 기존 광섬유 네트워크에 원활하게 통합되도록 설계되었고, 실온에서 1mW의 낮은 소비 전력으로 작동. Cisco의 로드맵에는 소형 양자 프로세서들이 벤더 독립적인 네트워크 QFabric과 소프트웨어 스택을 통해 협업하는 양자 데이터 센터 구축이 포함. 이러한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산타모니카에 Quantum Lab을 설립했으며, 초전도 및 트랩 이온 큐비트 플랫폼 간의 상호운용성 강조. 주요 과제는 전송 중 취약한 양자 상태를 보존하는 것, 나노초 이하 동기화 달성, 얽힘 분배 프로토콜 확장.
HP Enterprise: 하이브리드 HPC 아키텍처 내 양자 컴퓨팅 통합
2019년 자사 벤처 부문 Hewlett Packard Pathfinder를 통해 IonQ에 투자함으로써 양자 컴퓨팅 분야에 전략적으로 진입. 이 파트너십은 양자 컴퓨팅을 하이브리드 고성능 컴퓨팅 아키텍처 내 가속기로 통합하려는 HPE의 비전과 부합하며, 고객들이 물질과학, 물류, 제약 분야에서 복잡한 문제를 해결 도움.
IonQ: 트랩 이온 시스템
선형 RF 트랩 내에서 이터븀-171 이온을 사용하며, 모드 고정 펄스 레이저를 통해 네이티브 전결합 연결성 제공. 이들의 Reconfigurable Multicore Quantum Architecture는 실행 중 동적 큐비트 재매핑을 지원하며, 광자 인터커넥트를 통해 모듈형 오류 수정 시스템을 구현. IonQ는 2028년까지 32,000개의 물리 큐비트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중코어 연산을 통해 확장성을 강조. 높은 일관성과 연결성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 모듈을 연결하는 데 필요한 광자 인터커넥트의 성능 측면에서 확장성에 한계Rigetti Computing: 초전도 큐비트
Rigetti는 초전도 큐비트에 집중하고 있으며, 주파수 타겟팅을 위한 교차 바이어스 보조 어닐링을 사용하는 조정 가능한 트랜스몬을 활용. 이들의 Ankaa-3 시스템은 84 큐비트와 4배 연결성을 특징으로 하며, 99.5%의 중간 fSim 게이트 충실도를 달성. Rigetti의 모듈형 접근에는 상호 연결된 9큐비트 칩으로 구성된 36큐비트 시스템이 포함되며, 향후 336큐비트 Lyra 프로세서를 개발할 계획. 빠른 연산 속도를 장점으로 하지만, 시스템이 커짐에 따라 계산 정확성을 유지 어려움.
D-Wave Quantum: 양자 어닐링
D-Wave는 최적화 문제 해결에 최적화된 초전도 플럭스 큐비트를 사용하여 양자 어닐링 기술에 특화. 새로 발표된 Advantage2 시제품은 1,200개 이상의 큐비트와 20방향 연결성을 갖추고 있으며, 완성형 Advantage2 시스템에서는 7,000 큐비트를 목표. 이 시제품은 고전적 슈퍼컴퓨터 대비 상당한 속도 향상을 주장하며, 스핀 글라스와 같은 난이도 높은 최적화 문제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제약 만족 문제에서도 개선된 성능. D-Wave는 엑사스케일 HPC와의 통합을 통해 고전적 컴퓨팅과 양자 어닐링을 병용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으며, 특정 문제 유형에 한정된다는 한계와 양자 어닐링의 넓은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쟁에 직면.Quantum Computing Inc: 오류 감지 초전도체
근이 용이하고 실온에서 작동하는 양자 시스템에 특화되어 있으며, TFLN 칩 및 Dirac-3 엔트로피 양자 컴퓨터를 활용. Dirac-3는 랙 마운트형 저전력 장치로, 비선형 양자 광학을 이용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최적화. 로드맵은 텔레콤/데이터콤 공급망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TFLN 포토닉 파운드리 확장과 NASA, 미 국방부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양자 기반 원격 탐지 및 최적화 응용 확대를 포함. Dirac-3는 $300,000에서 시작하며 극저온 환경이 필요 없는 점과 하이브리드 양자-고전 워크플로우로 차별화. 하지만 복잡한 제작 공정, 광손실, 비선형 공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로 인해 포토닉 칩 생산 확장에 어려움.
Quantinuum: 고충실도 트랩 이온 시스템
QCCD 아키텍처를 활용하며, 2D 트랩에서 바륨/이터븀 이온을 사용. 이들은 새로운 2D 격자 칩 설계를 통해 "큐비트 배선 문제"를 해결. H2 프로세서는 56큐비트 전결합 시스템이며, 논리 큐비트 충실도 98%, 2큐비트 게이트 충실도 99.87%를 달성하였고 단일 샷 오류 수정기술로 내결함성을 강화. Quantinuum은 2025년까지 96큐비트 Helios 시스템으로 확장할 계획. 이들은 충실도와 연결성 측면에서 우수하나, 50개 이상의 논리 큐비트를 넘는 확장성과 회로 깊이 최적화에 과제.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
- [그림 1] 장기 채권 선물 롱보다 숏 포지션 쪽에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하면서 까지 가격 하락 위험에 대해 헤지
- 이번 판결로 올해 발표된 6.7%포인트의 관세가 중단되었지만 백악관은 다른 관세 수단을 활용해 이를 보완 가능.
- 대안 3가지
1) 섹션 232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수입에 부과되는 관세): 현재 계류 중인 모든 조사 결과가 25% 관세로 이어지고 섹션 232 아래 기존 관세에 추가된다면, 이는 단독으로 7.6%포인트의 부과 효과#MACRO
2) 섹션 122(국제 수지 또는 경제 위기 상황): 최대 15% 관세를 150일 동안 부과할 수 있으며,
3) 섹션 301(외국 불공정 무역 관행 조치): 조사 절차를 개시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시행까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음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7👍4
미국 주택 시장 균열: 결국 저조한 거래량에서 매도 물량 확대 전환
- 주택 판매자 (194만 개)가 구매자 (145만 개)보다 약 50만 명 더 많아: 사상 최대 격차 기록
Chart Source: Redfin
#Index
- 주택 판매자 (194만 개)가 구매자 (145만 개)보다 약 50만 명 더 많아: 사상 최대 격차 기록
Chart Source: Redfin
#Index
❤8😢4👏2
지난 주 일본 주식 시장에서 사상 최대 규모인 120억 달러 (약 15조원)에 달하는 주간 매도세가 발생했습니다.
- 매크로 및 채권 시장 영향이 큰 한편, 미국 내 주요 IB 및 운용사들이 쉴링하며 투자 비중을 확대해 오던 일본 투자에 대해 일부 리스크를 축소했기 때문입니다.
Chart Source: Bank of America
#Index
- 매크로 및 채권 시장 영향이 큰 한편, 미국 내 주요 IB 및 운용사들이 쉴링하며 투자 비중을 확대해 오던 일본 투자에 대해 일부 리스크를 축소했기 때문입니다.
Chart Source: Bank of America
#Index
❤7👍3
Goldman Sachs: 현재 10년 물 시장 금리는 오랜 기간 유지될 것
1. [그림 1] 1940년 이후, 채권 금리 레벨과 주식 성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2. [그림 2] 그러나 2022년 초 대비 현재 borrowing cost는 대기업 +0.74%, 소기업 +1.16% 증가하였습니다. 소기업들은 10년 금리보다 높은 차입 비용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모펀드 활동이 중요한 때이지만 현재 M&A/IPO활동은 저조한 상황입니다.
해당 사이클에 통폐합이 더욱 가속화될 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Index
1. [그림 1] 1940년 이후, 채권 금리 레벨과 주식 성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2. [그림 2] 그러나 2022년 초 대비 현재 borrowing cost는 대기업 +0.74%, 소기업 +1.16% 증가하였습니다. 소기업들은 10년 금리보다 높은 차입 비용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모펀드 활동이 중요한 때이지만 현재 M&A/IPO활동은 저조한 상황입니다.
해당 사이클에 통폐합이 더욱 가속화될 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Index
❤5👍3
Bank of America: "조용히" 경기 둔화 우려로 Values에 대한 장기간 포지셔닝 확대 중
1. 에너지 섹터 더욱 외면 받더라도 투자 비중 확대
- 에너지 섹터는 인플레이션 헤지 수익을 제공하며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에서 수혜를 본 섹터이고 관세 영향도 대부분 피할 수 있음. 또한 2010년대 후반 이후 유가와의 연동성이 줄어들었으며 이는 강화된 자본적 지출 규율과 현금 환원 중심의 전략 때문
2. 소비재(필수소비재) 섹터로의 큰 이동
-[그림 1] 필수소비재 섹터는 지난 3개월 동안 펀드들의 상대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한 섹터이며 2025년 전체 기준으로도 가장 큰 상대 비중 증가. 역사적으로 펀드들은 필수소비재를 비중 축소하고 임의소비재를 비중 확대해왔으나, 이제는 두 섹터 간의 스프레드가 예년보다 좁아진 상태.
- 이는 경기 둔화 우려가 반영된 결과. 저소득 및 중간소득층 소비자에 노출된 필수재 기업들은 특정 세금법안 조항(팁/초과근무 소득 면세 및 SALT 상한 인상 등)의 수혜를 받을 것. 해당 포지셔닝 지속 예정인데 “가처분 소득 증가” 수혜 종목들은 해당 법안 초안이 발표된 이후부터 실적 대비 저조한 주가 흐름을 보였기 때문에,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저렴한 수준이기 때문
+[그림 2] 헤지펀드의 여전히 낮은 Values에 대한 포지셔닝
#REPORT
1. 에너지 섹터 더욱 외면 받더라도 투자 비중 확대
- 에너지 섹터는 인플레이션 헤지 수익을 제공하며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에서 수혜를 본 섹터이고 관세 영향도 대부분 피할 수 있음. 또한 2010년대 후반 이후 유가와의 연동성이 줄어들었으며 이는 강화된 자본적 지출 규율과 현금 환원 중심의 전략 때문
2. 소비재(필수소비재) 섹터로의 큰 이동
-[그림 1] 필수소비재 섹터는 지난 3개월 동안 펀드들의 상대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한 섹터이며 2025년 전체 기준으로도 가장 큰 상대 비중 증가. 역사적으로 펀드들은 필수소비재를 비중 축소하고 임의소비재를 비중 확대해왔으나, 이제는 두 섹터 간의 스프레드가 예년보다 좁아진 상태.
- 이는 경기 둔화 우려가 반영된 결과. 저소득 및 중간소득층 소비자에 노출된 필수재 기업들은 특정 세금법안 조항(팁/초과근무 소득 면세 및 SALT 상한 인상 등)의 수혜를 받을 것. 해당 포지셔닝 지속 예정인데 “가처분 소득 증가” 수혜 종목들은 해당 법안 초안이 발표된 이후부터 실적 대비 저조한 주가 흐름을 보였기 때문에,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저렴한 수준이기 때문
+[그림 2] 헤지펀드의 여전히 낮은 Values에 대한 포지셔닝
#REPORT
❤6👍3
개인투자자들이 만든 알고리즘 봇이 최근 S&P 500 차트 패턴을 만들고 있습니다.
1. [그림 1] 개인투자자들의 분 단위 봇
-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은 더 이상 월가/수학 박사들의 소유물이 아닙니다. S&P500 옵션 거래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하루 만기 초단기 옵션 특성(제로데이 옵션)을 살려 [그림 2], 개인투자자들이 많은 소프트웨어 업체/API를 활용하여 분 단위 자동화 트레이딩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거래소 API로 직접 연결을 요청한 리테일 고객 수가 지난 10년치를 합친 것보다 많았습니다.
2. 하지만 단점은 바로 예측 가능한 군집 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림 1] 하루 중 특정 시점에 거래가 집중되는 현상이 관찰: 10시 거래량이 정확히 급증하며, 10시 15분, 10시 30분, 11시에 소규모 급등, 그리고 오후 2시에 다시 큰 급등이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알고리즘 전문 트레이더들은 개인투자자들 (10계약 이하)의 이러한 예측 가능한 행동을 특정 시점에서 악용할 수 있다는 위험 또한 존재합니다.
- 그러나 최근 개인투자자들은 자동화된 커버드콜 전략, 방향성 옵션 매수/매도 등의 투자 전략도 활용합니다.
(Chart Source: CBOE)
#NARRATIVE
1. [그림 1] 개인투자자들의 분 단위 봇
-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은 더 이상 월가/수학 박사들의 소유물이 아닙니다. S&P500 옵션 거래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하루 만기 초단기 옵션 특성(제로데이 옵션)을 살려 [그림 2], 개인투자자들이 많은 소프트웨어 업체/API를 활용하여 분 단위 자동화 트레이딩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거래소 API로 직접 연결을 요청한 리테일 고객 수가 지난 10년치를 합친 것보다 많았습니다.
2. 하지만 단점은 바로 예측 가능한 군집 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림 1] 하루 중 특정 시점에 거래가 집중되는 현상이 관찰: 10시 거래량이 정확히 급증하며, 10시 15분, 10시 30분, 11시에 소규모 급등, 그리고 오후 2시에 다시 큰 급등이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알고리즘 전문 트레이더들은 개인투자자들 (10계약 이하)의 이러한 예측 가능한 행동을 특정 시점에서 악용할 수 있다는 위험 또한 존재합니다.
- 그러나 최근 개인투자자들은 자동화된 커버드콜 전략, 방향성 옵션 매수/매도 등의 투자 전략도 활용합니다.
(Chart Source: CBOE)
#NARRATIVE
❤8👍3
Jefferies: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이 현재 S&P 500에 대해 지난 20여 년간 가장 많은 ‘매수’ 의견을 보유
- 이에 대해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목표 주가들은 약 +10%의 상승 여지를 암시하고 있으며, 이는 도취된 과열이 아니라 신중한 낙관론을 반영한 것입니다. 매크로와 상관없이 주가는 결국 이익의 함수입니다.
#Index
- 이에 대해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목표 주가들은 약 +10%의 상승 여지를 암시하고 있으며, 이는 도취된 과열이 아니라 신중한 낙관론을 반영한 것입니다. 매크로와 상관없이 주가는 결국 이익의 함수입니다.
#Index
👍6🔥2🫡2❤1
Goldman Sachs: CTA 포지션들은 향후 시나리오 상 6월 상승 여력은 제한적이며, 시장 하락시 하락폭을 확대하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CTA: 시스템 트레이딩, 주로 추세 추종 전략. 방향성 확대에서 큰 몫.
#INDEX
* CTA: 시스템 트레이딩, 주로 추세 추종 전략. 방향성 확대에서 큰 몫.
#INDEX
❤8👍2
매크로 헤지펀드는 역사상 최대 숏 배팅으로 2004년 이후 최악의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2008년과 같은 기회는 트럼프 시대에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 [그림2]한편 美 증시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다시 들어오기 시작하였습니다.
* 달러는 과연 Goldman Sachs 언급대로 +15% 과대평가 된 것일까요? (MS는 26년 중반까지 +9% 과대)
#Index
- 2008년과 같은 기회는 트럼프 시대에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 [그림2]한편 美 증시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다시 들어오기 시작하였습니다.
* 달러는 과연 Goldman Sachs 언급대로 +15% 과대평가 된 것일까요? (MS는 26년 중반까지 +9% 과대)
#Index
❤8👍5
JP Morgan: 美 채권 시장은 자금 유입보다 듀레이션 임펄스 문제
1️⃣ 2가지 "듀레이션 변화"는 수급 측면에서 중기적 금리 상승 압력 요인
1) 듀레이션 변화 첫 번째 "수요 측면 - 듀레이션 임펄스" (=[총 채권 시장 유입 자금 대비 금리 민감 채권에 얼마나 집중], 채권 수요의 질과 금리 압력 수준 평가에 활용)
- 올해 채권 펀드로 유입된 자금은 약 4,500억~5,000억 달러 수준으로, 2024년 기록한 1.36조 달러에 비해 급감. 채권 수요 악화 이유는 단순한 유입 규모보다 듀레이션 임펄스가 원인
- [그림 1]의미는 플러스는 자금 유입이 평균보다 더 긴 듀레이션 채권으로 구성 (마이너스는 반대). 최근 마이너스라는 것은 명목 자금 유입과 관계없이 금리 하락을 지지할 힘이 부족하다는 증거. 즉 장기채 회피, 단기채 선호 현상. 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2) 듀레이션 두 번째 변화 "공급 측면 - 발행 구조 변화"
- [그림 2] 우량 등급 회사채 발행 듀레이션 임펄스는 둔화, 반면 국채 발행 듀레이션은 지속적으로 상승 중. 양자 간 격차가 확대. 즉 기업들은 단기채, 국채는 장기채를 발행함으로써 중장기 시장 금리 상승 압박 요인으로 작용 가능성.
- 미국 하이일드 회사채는 2009년 이후 만기가 꾸준히 증가했고, 특히 2018년 말~2020년 3분기 사이에 급격한 상승. 그러나 2022년부터는 다시 감소, 현재까지 약 1.7년 감소.
2️⃣ 6월 말 월말 및 분기말 리밸런싱 흐름은 증시에 단기적인 역풍, 채권에는 단기적인 지지 요인이 될 것
1) 미국 DB형 연금펀드: 이들은 한 분기에 걸쳐 천천히 리밸런싱 경향. 약 1,400억 달러 규모 주식 순매도와 동일 규모 채권 순매수 예상
2) 노르웨이 국부펀드, 일본 GPIF, 스위스 중앙은행 각각 약 150억, 180억 달러 및 40억 달러 주식 순매도 예상.
#REPORT
1) 듀레이션 변화 첫 번째 "수요 측면 - 듀레이션 임펄스" (=[총 채권 시장 유입 자금 대비 금리 민감 채권에 얼마나 집중], 채권 수요의 질과 금리 압력 수준 평가에 활용)
- 올해 채권 펀드로 유입된 자금은 약 4,500억~5,000억 달러 수준으로, 2024년 기록한 1.36조 달러에 비해 급감. 채권 수요 악화 이유는 단순한 유입 규모보다 듀레이션 임펄스가 원인
- [그림 1]의미는 플러스는 자금 유입이 평균보다 더 긴 듀레이션 채권으로 구성 (마이너스는 반대). 최근 마이너스라는 것은 명목 자금 유입과 관계없이 금리 하락을 지지할 힘이 부족하다는 증거. 즉 장기채 회피, 단기채 선호 현상. 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 2020년 1분기 팬데믹으로 인해 기업채 펀드에서 자금 이탈이 나타나면서 채권 자금 유출이 발생. 그러나 2020년 2분기와 2021년 상반기에는 채권 펀드로 자금이 재유입 되었으며, 이 시기에는 특히 평균 듀레이션이 짧은 하이일드 기업채 ETF로의 유입이 두드러짐 반면, 2023년부터는 평균보다 긴 듀레이션 채권 ETF(장기 국채, 투자등급 회사채 등) 중심으로 6,300억 달러, 2024년 사상 최대치인 1조 3,600억 달러 유입. 그러나 2024년 11월 美 대선 이후, 채권 펀드로 자금 유입은 2024년 대비 급격히 둔화. 동시에 장기 듀레이션 국채 및 회사채 ETF로의 유입이 줄고 단기 듀레이션 ETF로의 자금 이동 증가
2) 듀레이션 두 번째 변화 "공급 측면 - 발행 구조 변화"
- [그림 2] 우량 등급 회사채 발행 듀레이션 임펄스는 둔화, 반면 국채 발행 듀레이션은 지속적으로 상승 중. 양자 간 격차가 확대. 즉 기업들은 단기채, 국채는 장기채를 발행함으로써 중장기 시장 금리 상승 압박 요인으로 작용 가능성.
- 미국 하이일드 회사채는 2009년 이후 만기가 꾸준히 증가했고, 특히 2018년 말~2020년 3분기 사이에 급격한 상승. 그러나 2022년부터는 다시 감소, 현재까지 약 1.7년 감소.
1) 미국 DB형 연금펀드: 이들은 한 분기에 걸쳐 천천히 리밸런싱 경향. 약 1,400억 달러 규모 주식 순매도와 동일 규모 채권 순매수 예상
2) 노르웨이 국부펀드, 일본 GPIF, 스위스 중앙은행 각각 약 150억, 180억 달러 및 40억 달러 주식 순매도 예상.
#REPORT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3
Nomura: 美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은 미국 주식 시장 ‘충격 흡수’ 능력에서 지속적으로 과소평가되어 온 요인
- 최근 미국 증시 우려로, 글로벌 투자 펀드들의 미국 투자 비중 축소라는 글로벌 주식의 리밸런싱에 대한 충격을 자사주 매입으로 흡수 완화
#INDEX
- 최근 미국 증시 우려로, 글로벌 투자 펀드들의 미국 투자 비중 축소라는 글로벌 주식의 리밸런싱에 대한 충격을 자사주 매입으로 흡수 완화
#INDEX
👍4❤3
Goldman Sachs: 美 소형주 상승 배팅 흐름과 TMT 창조적 파괴 헤드라인들
1. 소형주 상승 베팅 수요 포착. 이유:
1) 총 익스포저는 높은 반면, 순 익스포저는 낮은 상태 [그림 1]
2) 퀄리티 중심 포트폴리오에 대한 헤지 수단
3) 러셀 지수가 100일 이동평균선과 저항선 위에 위치한 가운데, 기술적 돌파 가능성
2. TMT 요약
- 최근 생성형 AI테마 반등: 소형주 > 대형주, 후발주자 > 선도주 흐름
- 최근 Russell 2000 기술주 지수가 오늘 나스닥100대비 약 +1.8% 상회(올해 들어 상위 백분위 수준)
- 1회성 급등 종목들 (밈 주식 등)이유: 베타 추격 또는 숏 스퀴즈 현상
- 긍정적 이벤트들: GOOGL I/O 발표/메타 AI 기반 광고 제품 발표/AVGO 실적 발표 예정(목)/ 긍정적인 셀사이드 리포트 및 스트리트 리서치 자료들(Mary Meeker가 주말에 발표한 300페이지 분량의 AI 리포트, 업계에서 큰 관심 유발)
- Creative Disruption: 1) Meta Platforms는 내년 말까지, 광고를 완전 자동화된 AI 시스템으로 제작하고 타겟팅하는 기능 도입, 2) 기존 플랫폼들도 대체될 가능성: 삼성은 지금까지 Google Gemini에 의존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해왔지만, 최근 Perplexity AI와의 선탑재 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음
3. 최근 시장이 작은 상승 범위 폭을 보이고 있음 [그림 1]
4. 6월 6일 비농업고용지표 예상: Goldman Sachs 12.5만명 (BBG 컨센서스 13만 명)
#REPORT
1. 소형주 상승 베팅 수요 포착. 이유:
1) 총 익스포저는 높은 반면, 순 익스포저는 낮은 상태 [그림 1]
2) 퀄리티 중심 포트폴리오에 대한 헤지 수단
3) 러셀 지수가 100일 이동평균선과 저항선 위에 위치한 가운데, 기술적 돌파 가능성
2. TMT 요약
- 최근 생성형 AI테마 반등: 소형주 > 대형주, 후발주자 > 선도주 흐름
- 최근 Russell 2000 기술주 지수가 오늘 나스닥100대비 약 +1.8% 상회(올해 들어 상위 백분위 수준)
- 1회성 급등 종목들 (밈 주식 등)이유: 베타 추격 또는 숏 스퀴즈 현상
- 긍정적 이벤트들: GOOGL I/O 발표/메타 AI 기반 광고 제품 발표/AVGO 실적 발표 예정(목)/ 긍정적인 셀사이드 리포트 및 스트리트 리서치 자료들(Mary Meeker가 주말에 발표한 300페이지 분량의 AI 리포트, 업계에서 큰 관심 유발)
- Creative Disruption: 1) Meta Platforms는 내년 말까지, 광고를 완전 자동화된 AI 시스템으로 제작하고 타겟팅하는 기능 도입, 2) 기존 플랫폼들도 대체될 가능성: 삼성은 지금까지 Google Gemini에 의존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해왔지만, 최근 Perplexity AI와의 선탑재 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음
3. 최근 시장이 작은 상승 범위 폭을 보이고 있음 [그림 1]
4. 6월 6일 비농업고용지표 예상: Goldman Sachs 12.5만명 (BBG 컨센서스 13만 명)
#REPORT
❤5👍1